KR101760290B1 -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 - Google Patents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290B1
KR101760290B1 KR1020150060065A KR20150060065A KR101760290B1 KR 101760290 B1 KR101760290 B1 KR 101760290B1 KR 1020150060065 A KR1020150060065 A KR 1020150060065A KR 20150060065 A KR20150060065 A KR 20150060065A KR 101760290 B1 KR101760290 B1 KR 10176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dapter
ferrule
optical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565A (ko
Inventor
김정수
조범근
송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to KR1020150060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2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어뎁터와 결합하여 광전 복합전송이 가능한 광전 복합 커넥터에 있어,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플러그부 및 상기 어뎁터와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플러그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부는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섬유 케이블과 내부에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을 이용해 광 신호를 전송하며, 표면을 이용해 상기 어뎁터로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페룰(Ferrule) 및 상기 광 섬유 케이블과 상기 페룰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스터브(Stu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Optical and Electrical Hybrid Connector and Adapter}
본 실시예는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커넥터와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어뎁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광통신 중계기 등 광통신설비에 사용되는 광케이블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가볍고, 높은 전송 속도를 갖는 이점 때문에 고속 데이터 송수신과 높은 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데이터 전송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표준 광 커넥터는 단일코어를 접속하여 단순히 광 신호 전송만 할 뿐 장비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동시에 공급할 수 없어 광케이블과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를 위하여 광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를 별도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광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를 별도로 사용함에 따라 설치작업이 어렵고, 설치비용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커넥터 만으로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나의 슬리브만으로도 커넥터가 제공하는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어뎁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어뎁터와 결합하여 광전 복합전송이 가능한 광전 복합 커넥터에 있어,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플러그부 및 상기 어뎁터와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플러그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부는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섬유 케이블과 내부에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을 이용해 광 신호를 전송하며, 표면을 이용해 상기 어뎁터로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페룰(Ferrule) 및 상기 광 섬유 케이블과 상기 페룰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스터브(Stu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커넥터와 결합하는 어뎁터에 있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며, 상기 커넥터와 접촉하는 표면을 전도체로 코팅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슬리브(Sleeve) 및 내부에 슬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어뎁터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뎁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커넥터 만으로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어뎁터가 하나의 슬리브만으로도 커넥터가 제공하는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뎁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넥터가 어뎁터 내에서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넥터가 어뎁터 내에서 결합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10)는 플러그부(120) 및 커넥터 몸체부(130)를 포함한다.
플러그부(120)는 어뎁터의 슬리브와 결합하여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부(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커넥터 몸체부(130)는 어뎁터와 결합하며, 내부에 플러그부를 구비하고 있어 플러그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 몸체부(130)는 광 커넥터의 표준에 따라 형상이 규정되어 있으며, 커넥터 몸체부(130)는 커넥터 몸체부 내벽(132)과 탈착수단(134)을 포함한다.
커넥터 몸체부 내벽(132)는 커넥터가 어뎁터와 결합함에 있어, 커넥터의 플러그부 이외에 어뎁터의 외벽과 접촉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이때, 커넥터 몸체부 내벽(132)은 전도체로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몸체부 내벽(132)이 어뎁터의 외벽과 접촉하는 경우, 커넥터 몸체부 내벽(132)이 전도체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하는 부분을 따라 전력 신호가 전송된다.
커넥터 몸체부는 탈착수단(134)를 포함한다. 탈착수단(134)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커넥터와 어뎁터가 결합함에 있어서 결합한 상태로 고정이 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한다고 치더라도 결합한 상태에서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부에 탈착수단(134)을 구비함으로써, 커넥터가 어뎁터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용이하도록 하며, 결합한 후 분리될 때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플러그부(120)는 페룰(210), 스터브(220) 및 광 섬유(230)를 포함한다.
페룰(Ferrule, 210)은 플러그부에서 어뎁터의 슬리브와 결합하는 돌출부로서 어뎁터로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페룰(210)은 내부에 광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 광 섬유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어뎁터로 전달한다. 또한 페룰(210)의 표면을 전도체로 코팅을 하여 페룰(210)과 어뎁터의 슬리브가 결합할 때, 페룰(210)의 표면으로 전력 신호가 전달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 내에 포함된 페룰은 전력 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별도의 전달 공(Hole) 없이도 기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며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스터브(Stub, 220)는 페룰과 광 섬유(230)를 연결시키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터브(220)는 페룰과 광 섬유 사이에 위치하여, 페룰 내에 광 섬유가 고정되도록 한다.
스터브는 전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로 전력이 전달되는 때, 스터브가 커넥터로 전달된 전력을 페룰의 표면으로 전달한다. 즉, 스터브는 페룰과 광 섬유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며, 페룰로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광 섬유(230)는 페룰의 내부로 연결되어 있으며, 광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뎁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뎁터(310)는 어뎁터 몸체부(320)와 슬리브(330)를 포함한다.
어뎁터 몸체부(320)는 하나 이상의 슬리브(330)를 구비하며, 커넥터와 결합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이때, 커넥터 몸체부의 내벽과 접촉하는 어뎁터 몸체부의 외벽(325)은 전도체로 코팅된다. 어뎁터 몸체부의 외벽(325)을 전도체로 코팅함으로써, 전도체로 코팅된 커넥터 몸체부의 내벽과 접촉하여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슬리브(330)는 커넥터의 플러그부의 페룰이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돌출되어 있는 페룰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페룰이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의 페룰이 이탈하지 않고 잘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리브는 커넥터 간에 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슬리브에 두 개의 커넥터가 각각 결합하는 경우, 각각의 커넥터의 페룰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 신호가 커넥터 간에 전송된다. 이때, 슬리브는 각각의 커넥터와 결합하여 각각의 커넥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각각의 커넥터의 페룰 간에 광 신호의 전송이 원활하도록 한다.
슬리브는 표면이 전도체로 코팅될 수 있다. 슬리브를 전도체로 코팅함으로써, 커넥터의 페룰이 슬리브와 결합되는 경우, 페룰의 표면으로 전달되는 전력 신호를 슬리브를 거쳐 어뎁터가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한 전력 신호는 슬리브에 연결된 다른 커넥터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어뎁터는 광 신호외에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별도의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고도 광 신호와 함께 전력 신호도 한번에 수신하여 다른 커넥터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넥터가 어뎁터 내에서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커넥터가 어뎁터 내에서 결합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어뎁터의 슬리브 내에서 두 개의 커넥터의 페룰이 접촉함으로써, 광신호가 전달(410)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커넥터의 페룰(460)과 다른 커넥터의 페룰(480)이 어뎁터의 슬리브 내에서 접촉하면서 각각의 페룰 내에 포함되어 있는 광 섬유(470)를 이용하여 하나의 커넥터에서 다른 커넥터로 광 신호를 전송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커넥터 몸체부의 내벽과 어뎁터 몸체부의 외벽이 접촉함으로써, 전력 신호가 전달(420)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부의 내벽과 어뎁터 몸체부의 외벽 각각을 전도체로 코팅하기 때문에, 커넥터 몸체부의 내벽과 어뎁터 몸체부의 외벽이 접촉하는 경우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커넥터가 어뎁터로 전력 신호를 전달하며, 어뎁터는 몸체부의 외벽을 이용해 다른 커넥터로 전력 신호를 전달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커넥터 페룰의 표면과 어뎁터 슬리브의 표면이 접촉함으로써, 전력 신호가 전달(430)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어뎁터 슬리브의 표면(450)과 커넥터 페룰(460)의 표면이 접촉하고 있는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어뎁터 슬리브의 표면(450)과 커넥터 페룰(460)의 표면을 전도체로 코팅하기 때문에, 어뎁터 슬리브의 표면(450)과 커넥터 페룰(460)의 표면이 접촉하는 경우 전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커넥터 페룰의 표면으로부터 전력 신호를 전달받은 어뎁터는 어뎁터 슬리브의 표면(450)을 이용하여 다른 커넥터 페룰의 표면으로 전력 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 페룰 및 어뎁터 슬리브의 표면을 이용하여 전력 신호를 하나의 커넥터에서 다른 커넥터로 전달하기 때문에, 커넥터 및 어뎁터는 전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전달 공(Hole)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440: 커넥터 120: 플러그부
130: 커넥터 몸체부 132: 커넥터 몸체부 내벽
134: 탈착수단 210, 460: 페룰
220: 스터브 230, 470: 광섬유
310: 어뎁터 320: 어뎁터 몸체부
325: 어뎁터 몸체부 외벽 330, 450: 슬리브

Claims (6)

  1. 어뎁터와 결합하여 광전 복합전송이 가능한 광전 복합 커넥터에 있어,
    광 신호와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플러그부; 및
    상기 어뎁터와 결합하며 내부에 상기 플러그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부는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섬유 케이블;
    내부에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광 섬유 케이블을 이용해 광 신호를 전송하며, 표면을 이용해 상기 어뎁터로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페룰(Ferrule); 및
    상기 광 섬유 케이블과 상기 페룰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스터브(Stub)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몸체부는 상기 어뎁터와 결합하는 커넥터 몸체부의 내벽을 전도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표면을 전도체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상기 페룰의 표면을 상기 어뎁터와 접촉함으로써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
  4. 삭제
  5. 커넥터와 결합하는 광전 복합 어뎁터에 있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며, 상기 커넥터와 접촉하는 표면을 전도체로 코팅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슬리브(Sleeve) 및
    내부에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며, 상기 커넥터와 접촉하는 외벽을 전도체로 코팅한 어뎁터 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 복합 어뎁터.
  6. 삭제
KR1020150060065A 2015-04-28 2015-04-28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 KR101760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65A KR101760290B1 (ko) 2015-04-28 2015-04-28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065A KR101760290B1 (ko) 2015-04-28 2015-04-28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65A KR20160128565A (ko) 2016-11-08
KR101760290B1 true KR101760290B1 (ko) 2017-07-26

Family

ID=5752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065A KR101760290B1 (ko) 2015-04-28 2015-04-28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2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7854A (ja) 2009-02-23 2010-09-3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光コネクタ装置
JP2015031819A (ja) * 2013-08-02 2015-02-16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および光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7854A (ja) 2009-02-23 2010-09-3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光コネクタ装置
JP2015031819A (ja) * 2013-08-02 2015-02-16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および光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65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0894A1 (en) Indoor hybrid connectivity system for providing both electrical power and fiber optic service
JP4927085B2 (ja) 光電気コネクタ
CN102782549B (zh) 加固的光纤/电连接系统
CN102870027B (zh) 四通道小型可插拔(qsfp)适配器模块
US8472767B2 (en) Fiber optic cable and fiber optic cable assembly for wireless access
US20080050123A1 (en) Integrated Optical Fiber and Electro-Optical Converter
JP2015508183A (ja) 光物理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TWI830793B (zh) 航空電子可插拔主動光學連接器
CN201852962U (zh) 一种光电混合连接器
CN107045166A (zh) 光模块
US20170192188A1 (en) Cable connector retention design
US9432119B2 (en) Contactless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ies
CN105137546B (zh) 有源光缆连接器组件
US20130266277A1 (en) Opto-Electronic Module with Patchcords
US20110206327A1 (en) Active optical c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KR101760290B1 (ko) 광전 복합 커넥터 및 어뎁터
US20160161690A1 (en) Electro-optical connector systems incorporating gradient-index lenses
JP2013152363A (ja) 電気光複合ケーブル用の中継コネクタ
US20170176696A1 (en) Wireless non-intrusive remote monitoring optical connection apparatus utilizing rft photo-detector
CN108061938B (zh) 一种光电有源缆
US20140064673A1 (en) Optoelectronic connector
KR102158300B1 (ko) 광전케이블 커넥터
KR20190127327A (ko) 광전 복합 커넥터
CN210835349U (zh) 光电插座和光电连接组件
US10310200B1 (e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