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911B1 - 입체형 배너 거치대 - Google Patents

입체형 배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911B1
KR101759911B1 KR1020150113182A KR20150113182A KR101759911B1 KR 101759911 B1 KR101759911 B1 KR 101759911B1 KR 1020150113182 A KR1020150113182 A KR 1020150113182A KR 20150113182 A KR20150113182 A KR 20150113182A KR 101759911 B1 KR101759911 B1 KR 10175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anner
stand
fix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162A (ko
Inventor
박정영
서원순
박민아
Original Assignee
박정영
서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영, 서원순 filed Critical 박정영
Priority to KR102015011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형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너를 오목 또는 볼록하게 절곡시켜 입체 구조를 형성하여 배너에 개시되는 광고 특성에 맞추어 표현할 수 있으며, 폭이 가변되도록 구성하여 복수의 배너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대형 이미지 월(image wall)을 형성할 수 있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배너와; 상기 배너 중 적어도 한 영역을 절곡시키는 입체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형 배너 거치대{The three-dimensional banner stand}
본 발명은 입체형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거치하는 방식의 평면 배너를 오목 또는 볼록하게 절곡시켜 입체 구조를 형성해 줌으로써 배너에 개시되는 광고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표현을 지원할 수 있으며, 특히 배너의 폭과 길이가 가변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배너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대형 이미지월(image wall)을 형성할 수도 있게 하는 단일구성 또는 복수 구성으로 변용 가능한 입체형 배너 거치대를 개시한다.
대중에게 특정 정보를 알리기 위한 일반적 수단으로 우리는 광고판, 전광판, 현수막, 배너 거치대 등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광고판이나 전광판은 벽면이나 옥상에 고정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되고, 현수막은 벽면, 가로수, 전봇대의 사이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광고 수단들이 설치 장소나 시간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기는 하지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배너 거치대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배너 거치대는 주로 작은 크기의 광고에 이용되며 설치 장소나 시간의 선택이 자유롭고 그 설치 방법도 매우 간단하여, 상인들 사이에서는 쉽고 간편한 간이 광고에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배너 거치대란 실외 또는 실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광고 효과를 얻는 광고 거치대로서, 천이나 시트 등에 광고가 인쇄된 배너를 평면 형태로 세워 광고 효과를 얻는 것이다.
이러한 배너의 사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3096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너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을 고리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하여 심한 바람이 불더라도 배너가 거치대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광고용 배너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393에는 광고면이 인쇄된 배너광고시트를 게재하는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너광고시트의 게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배너광고시트가 게재된 상태에서 장력에 의하여 팽팽하게 당겨져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배너광고시트의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렇게 간단하게 교체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배너광고시트가 배너광고대에 게재된 상태에서 외력이나 충격에 의한 지지력을 강화하여 배너광고시트가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배너광고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96648에는 LED 어셈블리를 부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키되, 특히 LED 어셈블리는 LED에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투광부를 씌워서 빛이 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빛의 조사범위를 투광부의 크기로 지정하며 박막투광부에서는 빛을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하면서도 LED 정면에서의 눈부심을 완화시키며 후막투광부에서는 매질이 두꺼우므로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가 내부에서 반사되어 빛을 측면으로도 전달할 수 있게 하여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배너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광고 및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킨 시인성이 향상된 배너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 배너는 모두 평면 구조로 구성되는 단점이 있어 입체적으로 광고를 표현하지 못하는 결정적 단점이 있어 왔고, 특히, 종래 배너는 극장, 예식장, 공연장 등 업종에 따라 대형 광고 수단을 게재해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광고물을 인쇄한 배너를 수 십개 내지 수 백개가 유기적으로 설치되지 못하는 평면적 구조라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3096호(2014.07.2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393호(2014.07.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6648호(2011.12.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배너를 오목 또는 볼록하게 절곡시켜 3차원 입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배너에 개시되는 광고 특성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폭 및 형태가 가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십개 내지 수백개의 배너가 대형 광고물로 결합될 수 있게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대형 이미지 월(image wall)을 형성할 수 있는 가변 입체형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배너와; 상기 배너의 한 영역을 절곡시켜 스탠드의 수직부에 결합하는 입체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형성부는 일측은 상기 절곡시킨 배너의 절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스탠드의 수직부에 대응 고정하되, 상기 배너의 절곡부를 상기 스탠드 수직부 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배너가 상기 절곡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입체형성부는 상기 배너의 절곡부 후면에 형성되며 공간부가 마련된 봉제부와, 상기 봉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의 수직부에 고정되는 배너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배너 고정수단은 상기 봉제부에 삽입되는 봉부재와, 일단은 상기 봉부재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탠드 수직부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는 볼트,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체결되도록 고정홀,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배너 고정수단은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와이어의 양단에는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고정구가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의 수직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체결되도록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입체형성부는 상기 배너 절곡부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입체형성부는 상기 배너 후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양단에 자석부재가 마련되는 후면 지지바와; 일단은 상기 후면 지지바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 지지바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너의 절곡부를 고정하도록 와이어 또는 탄성이 있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전면 고정부의 타단에는 상기 후면 지지바의 타단에 마련된 자석부재에 결합하는 금속편 또는 자석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전면 고정부의 타단에는 상기 후면 지지바의 타단에 마련된 너트부 또는 볼트부에 치합되는 볼트 또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는 각각의 길이와 폭이 가변되는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가변형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는 후방바와, 전방바 및 상기 후방바와 전방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되되, 상기 후방바, 전방바 및 연결바는 각각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후방바, 전방바 및 연결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접이식 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상기 접이식 바는 상기 힌지를 통해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이며, 내측에는 제2바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바는 상기 제1바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단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스탠드의 수직바에는 걸이부가 마련되어 벽체에 걸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스탠드에는 조명장치 및 회전모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조명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와, 조도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어되고, 상기 회전모터는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동체를 따라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조명장치 및 회전모터는 스탠드 일측에 설치된 태양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에 의하면, 배너를 오목 또는 볼록하게 절곡시켜 입체 구조를 형성하여 배너에 개시되는 광고 특성에 맞추어 표현할 수 있어 배너 자체의 사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전후면 및 좌우폭을 가변되게 가변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대형 이미지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전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너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게 지원함으로써 대형 이미지월(image wall) 또는 3차원 형상의 다양한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스탠드 수직바에 걸이부를 마련함으로써 좁은 실내 파티션이나 거리의 벽면 등 좁은 면적에도 쉽게 거치할 수 있고, 소비자 동선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원격 통제장치를 제어부에 부가시 조명장치, 센서 및 모터를 모바일을 통하여 조절하여 조명 및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각각 본 발명의 입체형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와 다른 구조의 입체형 배너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c 도 6b의 측면도이다.
도 6d는 도 6b에서 푸싱부가 가변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후방바 또는 전방바 중 어느 하나는 접이식 바 형태인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가 다수 개 설치되어 입체적인 곡면 벽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 수준의 평면형 배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반복되는 수단에서는 단수 용어가 복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3은 각각 본 발명의 입체형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100)는 광고 또는 안내를 위한 배너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복수 개가 병렬로 설치될 수 있어 대형 이미지를 분할하여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월(image wall)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100)는 스탠드(110)와,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배너(150)와, 상기 배너(150) 중 적어도 한 영역을 절곡시키는 입체형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10)는 배너(150)를 고정하기 위해 입설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이나 철제와 같은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수직부(111)와, 상기 수직부(111)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150)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113)와, 상기 수직부(111)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150)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바 또는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종방향으로 고정홀(112)이 복수 개 형성되어 후술할 입체형성부의 고정구, 구체적으로는 볼트(175a) 등이 체결된다.
상기 상부 고정부(113) 및 하부 고정부(115)는 각각 상기 수직부(111) 상단 및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너(150)의 모서리 영역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너(150)의 상단과 상부 고정부(113) 사이 및 상기 배너(150)의 하단과 하부 고정부(115) 사이에는 각각 장력조절장치(140)가 설치되어 배너(150)를 팽팽하게 유지시켜준다.
상기 입체형성부(170)는 스크린 형상의 배너(150)를 입체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스탠드의 수직부(111) 쪽으로 잡아당겨 배너(150)에는 절곡부(151)를 형성함으로써 체결 상태의 배너(150)가 절곡부(151)를 기준으로 오목한 입체구조가 되도록 하며, 입체형성부(170)는 봉제부(171)와, 배너 고정수단(173a,173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곡부(151)는 수평하게 배치하면 배너(150)가 상하로 절곡되도록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절곡부(151)를 수직하게 배치하면 배너(150)가 좌우로 절곡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봉제부(171)는 상기 배너(150)의 절곡부(151) 후면에 횡 또는 종방향으로 봉제되어 이루어지고 공간부가 마련된다.
상기 배너 고정수단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제부(1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111)에 고정되는 봉부재(173a)와, 일단은 상기 봉부재(173a)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부(111)에 고정되는 고정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수직부(111)에 마련된 고정홀(112)에 체결되는 볼트(175a) 및 너트(175b)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다만, 고정구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175c), 링(175d) 및 벨크로 테입 등 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차용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벨크로 테입인 경우 수직부에는 대응하는 벨크로 테입이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2b를 참조하면, 고정구는 받침편(176a)와, 상기 받침편의 일면에 형성되며 봉부재에 형성된 홀(175e)에 결합하는 나사부(176b)와, 상기 받침편의 타면에 형성되는 누름편(176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너 고정수단은 와이어(173b)와, 고정구(175)를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73b)는 피아노 줄이나 낚시줄은 물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봉제부(171)에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173b)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구가 설치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구가 후크(175c)인 경우, 수직부(111)에 설치된 링(175d)에 체결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형성부(170)는 상기 절곡부(151)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절곡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미리 봉제부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임의로 절곡부의 위치를 바꿀 수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봉제부를 생략하여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절곡부(151)의 가변 구조를 위해 본 실시예의 입체형성부(170)는 배너(150) 후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양단에 자석부재(180a)가 마련되는 후면 지지바(180)와, 일단은 상기 후면 지지바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 지지바(180)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너(150)의 절곡부(151)를 고정하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전면 고정부(183a,18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고정부(183a,183b)가 실, 피아노 줄, 낚시줄 또는 고무줄 등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는 볼트부재(184)가 설치되어, 상기 후면 지지바(180)의 타단에 마련된 나사홈(181)에 체결될 수도 있고,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금속편 또는 자석부재(183c)를 설치하여 상기 후면 지지바(180)의 타단에 마련된 자석부재(180a)와 자력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직바(111)는 상기 자석부재(180a)의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철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자석부재(18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자석(111a)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홀(112)을 대신하여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달리 전면 고정부(183b)가 와이어(180a)가 아닌, 얇은 바 형태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거나, 후면 지지바(18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철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고정부(183b)는 타단이 벌어진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배너(150)를 후면 지지바(180)와 전면 고정부(183b) 사이에 쉽게 삽입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b 및 도 6c는 도 6a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푸싱부의 푸싱부재가 인출 및 인입되는 구조인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d는 도 6b의 측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배너(150)가 상기 절곡부(151)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입체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입체형성부(170)는 수직부(111)에 형성되고 상부 고정부(113) 및 하부 고정부(115)보다 상대적으로 전면에 더 돌출되게 함으로써 배너(150)를 전면측으로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푸싱부재(1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복수의 푸싱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각 푸싱부재들의 돌출되는 길이를 상하로 각각 달리함으로써, 배너(150)를 보다 입체적인 구조로 다양한 형상으로 전시할 수 있다.
도 6b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푸싱부재는 수직부(111)에서 연장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푸싱부재(136)와, 상기 제1푸싱부재(136)에 삽설된 상태로 인출 및 인입이 되어 상기 배너(150)의 절곡부(151)가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제2푸싱부재(137)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푸싱부재(136) 및 제2푸싱부재(137)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홀부(136a)가 형성되며, 각 홀부(136a)에는 체결구(137a)가 삽설됨으로써 제2푸싱부재(137)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푸싱부재에서 각 제2푸싱부재(137)를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시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가 다수 개 설치되어 입체적인 곡면 벽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상부 고정부(113)와 하부 고정부(115)는 각각의 폭이 가변되도록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식 구조의 상부 고정부(113) 및 하부 고정부(115)는 상기 후방바(120)와, 전방바(125) 및, 이들 후방바와 전방바를 연결하는 연결바(129)가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부는 힌지(127)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방바(120) 또는 전방바(125) 중 어느 하나가 접이식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방바(120)가 접이식 바 형태인 경우, 힌지(127)에 연결되는 제1바(121)와, 상기 제1바(12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바(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바(121)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이며, 내측에는 제2바(122)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121a)이 마련되고, 상기 제2바(122)는 상기 제1바(121)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단턱(121a)에 걸리는 걸림돌기(122a)가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바(121)에는 제1홀(121b)이 마련되고, 상기 제2바(122)에는 상기 제1홀(121b)에 대응하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홀(122b)이 마련되며, 제1홀(121b) 및 제2홀(122b)은 핀과 같은 고정부재(123)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바(121) 및 복수의 상기 제2바(122)는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접이식 안테나와 같이 길이 신장이 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다.
후방바 및 전방바는 연결바와 힌지식으로 결합하되, 후방바, 전방바 및 연결바는 각각 모두 가변형의 제1바 및 그 내부에 결합되어 조정되는 제2바의 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스탠드의 크기를 조절하고 전후면 각도를 다양하게 변형 사용함으로써 곡면형 거대구조물을 형상화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바(129)는 후방바(120) 및 전방바(125)와 힌지(127)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탠드에서 전방 또는 후방의 폭이 가변되기 때문에 다수의 입체형 배너 거치대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웃하는 스탠드들이 수평하게 나란히 배치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각 스탠드 내지 입체형 배너 거치대가 소정 각도로 비틀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마치 뱀과 같은 형상의 거대 입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110)가 제1실시예와 같이 지면에 안착되지 않고, 벽체(W) 등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탠드의 후면 수직바에는 예를 들어 'ㄱ'자 형상의 걸이부(130)가 마련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걸이부(13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입체형 배너 거치대가 전시되는 장소의 특성에 맞추어 벽체에 걸어 고정하는 방식 및 지면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봇대 등 지지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배너 거치대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장치(190) 및 회전모터(191)가 더 부가되며, 이들은 제어부(193)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조명장치(190)는 배너 또는 그 주변에 빛을 방사하는 장치로 스탠드(110)의 상부나 하부에서 직접 조명할 수 있고, 후방 등 다양한 위치에서 간접조명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조명 색상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3)는 조도센서(194) 등을 이용하여 입체형 배너 거치대가 설치된 장소가 미리 설정된 조도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조명장치를 온-상태로 하고, 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면 오프-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양한 색의 빛이 다양한 조합으로 방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모터(191)는 스탠드(110)의 하단, 예를 들어, 하부 고정부(115)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195) 및 상기 제어부(193)에 의해 이동체를 따라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회전 방향, 속도 및 자동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190) 및 회전모터(191)는 태양전지(196)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상기 태양전지(196)는 스탠드 상단, 예를 들어 상부 고정부(11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소비자 동선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다만, 태양전지(196)에 의해 전기를 얻기 위해서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가 야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전지 등을 설치하여 주간에 발생한 전기를 야간에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원격 통신제어 장치를 상기 제어부에 부가할 경우 모바일을 통한 원격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서울 본사로부터 지방 말단지역까지 총괄하여 쉽게 배너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입체형 배너 거치대 110 : 스탠드
111 : 수직부 112 : 고정홀
113 : 상부 고정부 115 : 하부 고정부
120 : 후방바 121 : 제1바
121a : 단턱 121b : 제1홀
122 : 제2바 122a : 걸림돌기
122b : 제2홀 123 : 고정부재
125 : 전방바 127 : 힌지
129 : 연결바 130 : 걸이부
136 : 푸싱부재 140 : 장력조절장치
150 : 배너 151 : 절곡부
170 : 입체형성부 171 : 봉제부
173 : 배너 고정수단 173a : 봉부재
173b : 와이어 175 : 고정구
175a : 볼트 175b : 너트
175c : 후크 175d : 링
180 : 후면 지지바 181 : 나사홈
183 : 전면 고정부 183a : 와이어
183b : 볼트부재 183c : 금속편 또는 자석부재
190 : 조명장치 191 : 회전모터
193 : 제어부 194 : 조도센서
195 : 모션센서 196 : 태양전지
벽체 (W)

Claims (19)

  1.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배너와;
    상기 배너의 한 영역을 절곡시켜 스탠드의 수직부에 결합하는 입체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너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체형성부는,
    일측은 상기 절곡시킨 배너의 절곡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스탠드의 수직부에 대응 고정하되, 상기 배너의 절곡부를 상기 스탠드 수직부 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배너가 상기 절곡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성부는,
    상기 배너의 절곡부 후면에 형성되고 공간부가 마련된 봉제부와, 상기 봉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 수직부에 고정되는 배너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고정수단은,
    상기 봉제부에 삽입되는 봉부재와, 일단은 상기 봉부재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탠드 수직부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는 볼트,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체결되도록 고정홀,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너 고정수단은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는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고정구가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 수직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체결되도록 후크, 링 및 벨크로 테입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성부는,
    상기 배너 절곡부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성부는,
    상기 배너 후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양단에 자석부재가 마련되는 후면 지지바와;
    일단은 상기 후면 지지바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면 지지바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너의 절곡부를 고정하도록 와이어 또는 탄성이 있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전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고정부의 타단에는 상기 후면 지지바의 타단에 마련된 자석부재에 결합하는 금속편 또는 자석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고정부의 타단에는 상기 후면 지지바의 타단에 마련된 너트부 또는 볼트부에 치합되는 볼트 또는 나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는 각각의 길이와 폭이 가변되는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는,
    후방바와, 전방바 및 이들 후방바와 전방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되되, 상기 후방바, 전방바 및 연결바는 각각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후방바, 전방바 및 연결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접이식 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바는,
    상기 힌지를 통해 연결바에 연결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이며, 내측에는 제2바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바는 상기 제1바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단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수직바에 걸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에는 조명장치 및 회전모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와, 조도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어되고,
    상기 회전모터는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동체를 따라 회전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 및 회전모터는 스탠드 일측에 설치된 태양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배너 거치대.
KR1020150113182A 2015-08-11 2015-08-11 입체형 배너 거치대 KR10175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82A KR101759911B1 (ko) 2015-08-11 2015-08-11 입체형 배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82A KR101759911B1 (ko) 2015-08-11 2015-08-11 입체형 배너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383A Division KR101759913B1 (ko) 2017-05-08 2017-05-08 입체형 배너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62A KR20170019162A (ko) 2017-02-21
KR101759911B1 true KR101759911B1 (ko) 2017-07-20

Family

ID=5831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82A KR101759911B1 (ko) 2015-08-11 2015-08-11 입체형 배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9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071A (ja) * 2006-10-10 2008-04-24 Okamura Corp スクリーンパネル
JP2013045716A (ja) * 2011-08-25 2013-03-04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付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648B1 (ko) 2009-03-26 2011-12-21 광성기업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배너
KR101423096B1 (ko) 2012-05-14 2014-07-25 김지현 광고용 배너 거치대
KR101415393B1 (ko) 2013-01-07 2014-07-04 민은홍 배너광고시트를 안정적으로 게재할 수 있는 배너광고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071A (ja) * 2006-10-10 2008-04-24 Okamura Corp スクリーンパネル
JP2013045716A (ja) * 2011-08-25 2013-03-04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付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62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839B2 (en) LED light device with changeable features of geometric dimension
US20060171147A1 (en) Lighting system
US20160313636A1 (en) Led projection light has features
US20150009659A1 (en) Universal solar illuminator system
US20120014104A1 (en) Flag Lighting Apparatus
US20120127759A1 (en) Led light has built-in projection light and night light
US20150219903A1 (en) LED Light Has Colorful Kaleidoscope Image and Means
US20170329211A1 (en) Laser Projection Light
US20190313829A1 (en) Collapsible holiday decoration with internal storage
KR101759913B1 (ko) 입체형 배너 거치대
KR101759911B1 (ko) 입체형 배너 거치대
US8905582B2 (en) Collapsible decorative system
US20220358860A1 (en) Illuminated flag
CN201956032U (zh) 一种新型的广告旗杆
CN202033996U (zh) 一种广告旗杆
CN208848554U (zh) 一种动态广告灯箱
KR200330625Y1 (ko) 현수막 거치대
US10032397B2 (en) Banner display with swivel interface
JP3001842U (ja) 展示物引立用管状発光具
JP3126023U (ja) 広告装置
BE1022913B1 (nl)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een boodschap
KR102236213B1 (ko) 접이식 옥외 광고 스크린
JP3034581U (ja) 充電式置き看板
KR20090006762U (ko) 발광부가 구비된 마네킹 회전진열구
CN220205599U (zh) 一种便于收卷灯面的装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