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796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796B1
KR101759796B1 KR1020150160430A KR20150160430A KR101759796B1 KR 101759796 B1 KR101759796 B1 KR 101759796B1 KR 1020150160430 A KR1020150160430 A KR 1020150160430A KR 20150160430 A KR20150160430 A KR 20150160430A KR 101759796 B1 KR101759796 B1 KR 10175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precast concrete
wall
manufacturing apparatus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498A (ko
Inventor
이홍명
신의철
박종호
최진웅
박선규
홍성남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7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30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9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through a sieve or grid, e.g. to ensure evenly filling of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열수단; 고정수단; 및 거푸집수단; 을 포함하여, 보강재의 배열 방향을 간단하고 빠르게 변경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보강재에 소정의 긴장력을 부여하여 보강재의 형상 변화 방지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적용된 구조물에 휨 모멘트 작용 시 뛰어난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APPARATUS OF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는 보강재의 배열 방향을 간단하고 빠르게 변경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보강재에 소정의 긴장력을 부여하여 보강재의 형상 변화 방지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적용된 구조물에 휨 모멘트 작용 시 뛰어난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슬래브 등과 같은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 제품을 공장에서 미리 제조한 것으로, 이처럼 미리 제조되어 현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기의 단축, 공사비의 절감, 품질 관리의 용이, 내구성 증대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는 보강재로서 철근이 주로 사용되는데, 철근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자중을 증가시키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등과 같은 재료를 다발로 가공하여 직물형태로 제작한 텍스타일(Textile)을 철근 대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보강재로 사용하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TRC; Textile Reinforced Concrete 또는 FRC; Fiber Reinforced Concrete)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는 철근을 보강재로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을 뿐 텍스타일을 보강재로 사용하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어려우며,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규정 또한 없어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하고,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및 시공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2669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재의 배열 방향을 간단하고 빠르게 변경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보강재에 소정의 긴장력을 부여하여 보강재의 형상 변화 방지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적용된 구조물에 휨 모멘트 작용 시 뛰어난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동시에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가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보강재의 한쪽말단과 다른쪽말단이 둘레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재의 배열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배열수단; 상기 보강재의 긴장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강재를 상기 배열수단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수단; 및 상기 배열수단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재가 관통하고,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상기 보강재와 상기 콘크리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거푸집수단; 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열수단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 상기 고정수단을 통한 상기 보강재의 긴장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열수단의 둘레측에 장착되는 지지판부; 상기 지지판부에 마련되고, 내주면을 따라 제1 톱니가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일측 외주면에 상기 수납부의 내주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한 제2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돌출되는 타측에 상기 보강재의 한쪽말단 또는 다른쪽말단이 결속되어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보강재의 긴장 정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수단은,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체; 양측이 상기 기둥체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벽체; 및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고, 상기 벽체가 상기 기둥체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보강재와 접하는 일부가 상기 벽체의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승강벽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벽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면이 평행을 이루고, 양측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둥체는, 수평단면이 열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말단측에 상기 벽체 한 쌍이 끼워지도록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벽체는, 상기 기둥체의 길이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는 격자 형상으로 교차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재의 배열 방향을 간단하고 빠르게 변경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또, 보강재에 소정의 긴장력을 부여하여 보강재의 형상 변화 방지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적용된 구조물에 휨 모멘트 작용 시 뛰어난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α"에 해당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서 사용되는 거푸집수단의 일부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보강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β"에 해당하는 고정수단이 보강재를 긴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배열수단을 회전시켜 보강재의 배열방향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열수단 내에 거푸집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γ"에 해당하는 거푸집수단의 일부와 거푸집수단을 관통하는 보강재를 나타낸 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거푸집수단에 콘크리트를 채운 상태를 나타낸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강재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현무암(Basalt)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틸렌섬유, 폴리비닐섬유, 나이론섬유, 셀룰로오스섬유(Cellulous fiber)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재료를 다발로 가공하여 직물형태로 제작한 텍스타일을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α"에 해당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서 사용되는 거푸집수단의 일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는 크게 배열수단(100)과 고정수단(200), 거푸집수단(300) 및 제어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열수단(100)은 다수가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보강재(도 5의 T)의 한쪽말단과 다른쪽말단이 둘레측에 배치되고, 보강재(도 5의 T)의 배열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열수단(10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비어 있는 내부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거푸집수단(300)이 배치된다. 이를 위해 배열수단(100)의 내부측 바닥에는 거푸집수단(300), 특히 기둥체(3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둥홈(I)이 형성된다. 이때, 기둥홈(I)은 기둥체(310)의 형상에 맞게 열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수단(200)은 다수로 마련되고, 보강재(도 5의 T)의 긴장 정도를 조절하여 배열수단(100)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수단(200)은 지지판부(210)와 수납부(220) 및 회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판부(210)는 배열수단(100)의 둘레측에 장착되어 배열수단(100)과 고정수단(200)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지지판부(210)에 형성된 두개의 구멍을 배열수단(100)의 둘레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맞춘 후 고정앵커(212)를 삽입하여 지지판부(210)를 배열수단(100)의 둘레측에 장착시키게 된다.
수납부(22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부(210)에 마련되는 부분으로, 내주면을 따라 제1 톱니(222)가 형성된다.
회전부(230)는 수납부(220)에 삽입되어 회전이 가능한 부분으로, 이를 위해 수납부(220)에 삽입되는 하부 일측 외주면에 제1 톱니(222)와 맞물리는 제2 톱니(232)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부(230)를 수납부(220)에 수납했을 때 수납부(220)로부터 돌출되는 타측에 보강재(도 5의 T)의 한쪽말단 또는 다른쪽말단이 결속되며, 회전부(230)의 상면에는 렌치(도 6의 R)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결합부재(234)가 형성된다. 이에, 공구(도 6의 R)를 통한 공구결합부재(234)의 회전, 즉 회전부(23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결속된 보강재(도 5의 T)의 긴장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230)의 타측에는 보강재(도 5의 T)를 구속할 수 있는 구성으로 홀이 형성된 구속부재(236)가 마련되고, 구속부재(236)의 홀에 삽입된 보강재(도 5의 T)를 고정하여 구속할 수 있도록 구속볼트(238)가 사용된다.
거푸집수단(300)은 배열수단(100) 내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배열수단(100)에 배열되는 보강재(도 5의 T)가 관통하여 지나가게 되고, 내측에 콘크리트(도 10의 C)가 채워져 보강재(도 5의 T)와 콘크리트(도 10의 C)가 결합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즉 섬유 보강 콘크리트(TRC)를 제조하게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거푸집수단(300)은 기둥체(310)와 벽체(320) 및 승강벽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둥체(310)는 배열수단(100) 내에서 다수가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배열수단(100)의 내부측 바닥에 형성되는 기둥홈(I)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둥체(310)는 수평단면이 열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기에 서술하는 벽체(320)가 기둥체(310)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 각각의 말단측에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둥체(310)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 각각의 말단측 마다 한 쌍의 벽체(32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구획되어 구성되며, 이에 따라 기둥체(310) 하나 당 총 8개의 벽체(320)를 끼울 수 있다. 이에, 제조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하나의 기둥체(310)에 하나의 벽체(320)만 끼워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 각각의 말단측 중 하나의 말단측에 한 쌍의 벽체(320)가 끼워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기둥체(310)에 벽체(320)가 끼워질 수 있다.
벽체(320)는 다수 마련되어 양측이 기둥체(310)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벽체(3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면이 평행을 이루고, 양측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벽체(320)는 기둥체(310)의 길이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 가능하게 된다.
승강벽체(330)는 벽체(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고, 벽체(320)가 기둥체(310)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보강재(도 5의 T)와 접하는 일부가 벽체(320)의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에 승강벽체(330)는 기둥체(310)에 끼워지는 벽체(320)의 양측말단측에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승강벽체(330)가 보강재(도 5의 T)에 의해 벽체(320)의 내부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 보강재(도 5의 T)와 승강벽체(330)가 겹치는 부분에서 보강재(도 5의 T)가 거푸집수단(300)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제어수단(400)은 배열수단(10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 고정수단(200)을 통한 보강재(도 5의 T)의 긴장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배열수단(100)의 회전방향이나 회전각도의 조절, 그리고 고정수단(200)을 통한 보강재(도 5의 T)의 긴장 정도 조절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서는 제어수단(400)을 통해 배열수단(10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작업자가 설정한 대로 보강재(도 5의 T)의 배열 방향을 간단하고 빠르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열수단(100)에는, 배열수단(1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배열수단(100)을 회전시키는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가 마련되며, 제어수단(400)은 이러한 구동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수단(400)은 배열수단(100) 외에 회전부(230)의 회전 동작 또한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거푸집수단(300) 중 승강벽체(330)의 승강동작, 즉 다수의 승강벽체(330)들 각각이 벽체(320)의 내부측으로 삽입되거나 벽체(320)의 외부측으로 돌출되는 것 또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처럼 제어수단(400)을 통해 회전부(230)나 승강벽체(330)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배열수단(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 즉 모터,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에 제어수단(400)이 연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별도로 마련되는 회전부(230)의 구동장치(모터, 기어 등으로 구성)나 승강벽체(330)의 구동장치(모터, 기어 등으로 구성)에 제어수단(400)이 연결되어 회전부(230), 승강벽체(330) 각각의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보강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β"에 해당하는 고정수단이 보강재를 긴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배열수단을 회전시켜 보강재의 배열방향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열수단 내에 거푸집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한편, 도 9는 도 8에 도시된 "γ"에 해당하는 거푸집수단의 일부와 거푸집수단을 관통하는 보강재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거푸집수단에 콘크리트를 채운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배열수단(100)에 다수의 보강재(T)를 격자 형상으로 교차 배열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배열수단(100)에 배치되는 보강재(T)의 결속은, 도 6과 같이 보강재(T)의 말단을 회전부(230)의 구속부재(236)에 형성된 홀에 삽입하고, 보강재(T)의 말단이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속볼트(238)를 구속부재(236)에 체결함으로서 보강재(T)를 가압하여 결속(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재(T)를 격자 형상으로 배열하고 결속한 다음, 보강재(T)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수단(200), 특히 회전부(230)의 상면에 형성된 공구결합부재(234)에 렌치(R) 등과 같은 공구를 끼워 회전부(230)를 회전시키게 되면, 보강재(T)가 점차 긴장되어 팽팽해진다. 이처럼 보강재(T)에 어느 정도 긴장력을 부여함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섬유 보강 콘크리트) 제조를 위해 보강재(T) 위에 콘크리트(도 10의 C)를 타설하더라도 보강재(T)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적용된 구조물에 휨 모멘트 작용 시 뛰어난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보강재(T)가 가로로 4줄, 세로로 4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작업환경 등에 따라 고정수단(200) 및 보강재(T)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배열수단(100)에 보강재(T)를 배치하고 고정수단(200)을 통해 보강재(T)에 긴장력을 부여한 후, 도 7과 같이 제어수단(400)을 통해 설정한 대로 배열수단(100)을 회전시켜 보강재(T)의 배열 방향을 조절한다. 물론, 설정에 따라 보강재(T)를 배치한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보강재(T)의 배열 방향 조절과정이 완료되면, 제조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크기, 형상에 따라 도 8과 같이 기둥홈(I)에 기둥체(310)를 끼워 설치하고, 기둥체(310) 사이에 벽체(320)를 끼워넣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수단(300)을 만든다. 벽체(3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면이 평행을 이루고, 양측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벽체(320)가 삽입되는 기둥체(310)는 수평단면이 열십자 형상을 이루는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각 말단마다 한 쌍의 벽체(320)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격벽으로 구획되어, 말단에 한 쌍의 벽체가 끼워지는 경우 벽체(320)끼리 서로 접하는 면의 반대면측에 모따기된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거푸집수단(300)은 하나의 예이며, 도 8과 같은 거푸집수단(300) 형상 외에 기둥체(310)와 벽체(320)를 다양한 형상으로 연결한 거푸집수단(300)을 제작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배열수단(100)에 배열되는 보강재(T)는 배열수단(1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거푸집수단(300)을 지나가는, 다시 말해서 승강벽체(330)와 겹쳐지는 위치가 달라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배열수단(1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보강재(T)의 배열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9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벽체(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승강벽체(330) 중 일부가 보강재(T)와 겹쳐질 때 해당 승강벽체(330)가 보강재(T)에 의해 벽체(320)의 내부측으로 삽입되어 보강재(T)가 거푸집수단(300)을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벽체(330)는 벽체(320)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보강재(T)와 겹쳐지지지 않는 승강벽체(33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벽체(320)를 기둥체(310)의 길이방향으로 다단 적층하여 다양한 높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거푸집수단(300)의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도 10과 같이 해당 거푸집수단(30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5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동시에 제조하게 되며,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동시에 다수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타설된 콘크리트(C)가 굳으면 거푸집수단(300)의 해제 및 마무리 공정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섬유 보강 콘크리트, TRC)가 제조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공공기관이나 기업 빌딩,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의 시공시 적용하여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배열수단 200: 고정수단
210: 지지판부 212: 고정앵커
220: 수납부 222: 제1 톱니
230: 회전부 232: 제2 톱니
234: 공구결합부재 236: 구속부재
238: 구속볼트 300: 거푸집수단
310: 기둥체 320: 벽체
330: 승강벽체 400: 제어수단
I: 기둥홈 T: 보강재
R: 렌치 C: 콘크리트

Claims (8)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가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보강재의 한쪽말단과 다른쪽말단이 둘레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재의 배열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배열수단;
    상기 보강재의 긴장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강재를 상기 배열수단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수단; 및
    상기 배열수단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재가 관통하고,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져 상기 보강재와 상기 콘크리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거푸집수단;
    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수단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 상기 고정수단을 통한 상기 보강재의 긴장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열수단의 둘레측에 장착되는 지지판부;
    상기 지지판부에 마련되고, 내주면을 따라 제1 톱니가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일측 외주면에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는 제2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돌출되는 타측에 상기 보강재의 한쪽말단 또는 다른쪽말단이 결속되어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보강재의 긴장 정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수단은,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체;
    양측이 상기 기둥체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벽체; 및
    상기 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고, 상기 벽체가 상기 기둥체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보강재와 접하는 일부가 상기 벽체의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승강벽체;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면이 평행을 이루고, 양측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체는,
    수평단면이 열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말단측에 상기 벽체 한 쌍이 끼워지도록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기둥체의 길이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격자 형상으로 교차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KR1020150160430A 2015-11-16 2015-11-1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KR10175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430A KR101759796B1 (ko) 2015-11-16 2015-11-1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430A KR101759796B1 (ko) 2015-11-16 2015-11-1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98A KR20170057498A (ko) 2017-05-25
KR101759796B1 true KR101759796B1 (ko) 2017-07-21

Family

ID=5905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430A KR101759796B1 (ko) 2015-11-16 2015-11-1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670B1 (ko) 2018-08-03 2019-07-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그리드 고정장치를 이용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19B1 (ko) * 2017-09-25 2019-04-25 (주) 군월드 광케이블벽돌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케이블벽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670B1 (ko) 2018-08-03 2019-07-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그리드 고정장치를 이용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10837175B2 (en) 2018-08-03 2020-11-1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Textile-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extile grid fix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98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335B1 (ko) 반력빔의 하단배치 및 거푸집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이동식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KR10175979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KR101948856B1 (ko) 3d 섬유강화복합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JP5675483B2 (ja) 軽量盛土用側壁
JP2007002515A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4733447B2 (ja) 補強壁
KR102098688B1 (ko)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JP4029108B1 (ja) Pc部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5541521B2 (ja) 混合構造梁
JP2016075131A (ja) 複合構造
KR101895898B1 (ko) 내다이아프램용 수평 철근콘크리트 블록이 내장된 cft기둥
KR20190001383A (ko)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되어 전단 보강된 pc 중공슬래브
KR101599484B1 (ko) 프리캐스트 기둥 세그먼트 조립형 풍력발전타워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98938A (ko)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JP646390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構造及び建築物
JP3131259U (ja) らせん筋を用いた柱構造体の骨組み
JP5091624B2 (ja) 補強構造
JP2008223242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作方法
JP6576204B2 (ja) スラブ構造の施工方法
JP6253035B2 (ja) 受け台及び受け台の製造方法
JP2016188487A (ja) 基礎構造および基礎構造の施工方法
JPH05337922A (ja) 型枠装置
JP2008179944A (ja) 梁端rc造の鉄骨梁の柱への施工方法
RU2724648C1 (ru) Пустотообразующий моду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