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655B1 -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 Google Patents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655B1
KR101759655B1 KR1020160131919A KR20160131919A KR101759655B1 KR 101759655 B1 KR101759655 B1 KR 101759655B1 KR 1020160131919 A KR1020160131919 A KR 1020160131919A KR 20160131919 A KR20160131919 A KR 20160131919A KR 101759655 B1 KR101759655 B1 KR 10175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hollow
mounting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16013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6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perpendicular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로서, 소정의 중공형 구조체인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 상에서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측정부에 접촉되는 접촉유닛; 상기 몸체유닛 상에서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로의 접촉에 따른 상기 접촉유닛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부의 수평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파트 부품들의 치수는 초기 설계치와 공차 범위 내에서 맞아 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주요부의 수평도를 정확하게 관리하여, 각 부품 상호 간의 결합 상에 파손 등이 야기되어 생산 상의 로스(Loss)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ity measuring module for a vehicle body part, comprising: a body unit which is a predetermined hollow structure; A contact unit provided to be able to protrude / retract outward from the body unit, the contact unit contacting the measurement unit;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unit and measuring the level of the measuring unit based on the flow of the contact unit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measuring unit.
Therefore, the dimension of each part part must fall within the initial design value and the tolerance range, and furthermore, the horizontality of the main part is precisely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uch occurrence.

Description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measurement module for a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량용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의 다른 부위별 부품과의 조립에 앞서 사전에 차량 내부 차체부 주요부의 수평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한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for a vehicle body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for a vehicle body part for accurately and easily measuring the horizontality of a main part of a vehicle body part in advance, To a horizontal level measuring module.

자동차제작사는 자동차의 제조를 위하여 디자인 과정, 엔지니어링 디자인 과정, 테스트 과정 등을 거쳐 자동차의 품질과 안전에 대한 각종 상황을 정밀하게 테스트 한다. 또한, 차제 조립시 안전성, 경제성, 연료 효율성 및 환경보호 등을 고려하며 차체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액압성형(Hydroforming), 맞춤재단용접강판(Tailored Blanks), 하이브리드(Hybrid Technology)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The automobile manufacturer thoroughly tests various aspects of automobile quality and safety through the design process,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the test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utomobiles.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ar, various techniques such as hydroforming, tailored blanks, and hybrid technology ar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economy, fuel efficiency, have.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 중에서도 특히 차체 조립 공정은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중요한 공정에 해당한다. 때문에, 차체 조립함에 있어서 각 파트 부품들의 치수는 초기 설계치와 공차 범위 내에서 맞아 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주요부의 수평도 등이 정확하게 맞아 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수평도가 맞지 않는 경우 차체의 조립 공정의 진행이 중단되게 된다. 이는 생산성의 저하와, 생산 수율 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mong these processes, the body assembly process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must ensure high precision and stability. Therefore, in the body assembly, the dimensions of each part part must fit within the initial design and tolerance, and the level of the main part must be precisely offset. If the horizontality is not matched,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vehicle body is stopped. This causes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 serious problem in production yield.

또한, 수평도 등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차체 조립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각 부품 상호 간의 결합 상에 파손 등이 야기되어 생산상의 로스(Loss)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가령 수평도가 맞추지 않고 강제 조립된 차량을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는 경우 예측할 수 없는 사고를 유발시켜 인명피해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 부품의 수평도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수평도의 정확하고 용이한 측정이 가능한 수단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Further, when the car body assembling process is carried out in a state in which the stability such as the horizontal degree is not ensured, there is a problem that loss of production is caused due to breakage or the like in the joint between the part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a driver drives a vehicle that has been assembled forcibly assembled without adjusting the horizontal level, it can cause unpredictable accidents and cause personal injury.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horizontality of such vehicle par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means for accurate and easy measurement of the horizontality.

따라서, 차량의 생산성, 안정성, 품질 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Therefore,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productivity, stability, and quality of the vehicl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440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4404

본 발명은, 차량용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의 다른 부위별 부품과의 조립에 앞서 사전에 차량 내부 차체부 주요부의 수평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한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for a vehicle body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for a vehicle body part for accurately and easily measuring the horizontality of a main part of a vehicle body part in advance, And to provide a module for measuring the horizontality of the part.

본 발명은,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로서, 소정의 중공형 구조체인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 상에서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측정부에 접촉되는 접촉유닛; 상기 몸체유닛 상에서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로의 접촉에 따른 상기 접촉유닛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부의 수평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ity measuring module for a vehicle body part, comprising: a body unit which is a predetermined hollow structure; A contact unit provided to be able to protrude / retract outward from the body unit, the contact unit contacting the measurement unit;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unit and measuring the level of the measuring unit based on the flow of the contact unit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measur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horizontality measuring modul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각 파트 부품들의 치수는 초기 설계치와 공차 범위 내에서 맞아 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주요부의 수평도를 정확하게 관리하여, 각 부품 상호 간의 결합 상에 파손 등이 야기되어 생산 상의 로스(Loss)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dimension of each part part must fall within the initial design value and tolerance range, and furthermore, the horizontality of the main part is precisely controlled, Can be prevented.

둘째, 가령 수평도를 맞추지 않고 강제 조립된 차량을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는 경우 예측할 수 없는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expected accident from being caused when a driver drives a vehicle assembled by forcibly assembling the vehicle without adjusting the horizontal angle.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부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도 10은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는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part according to FIG.
FIGS. 4 to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measurement unit is measured using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FIG. 1.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portion according to Fig.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portion according to FIG.
Figs. 12 to 13 sequentially illustrate the use state of the horizontality measuring module of the vehicle body portion according to Fig. 8. Fig.
FIG. 14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use state of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5 to 19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to 2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부(CP)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part according to FIG. FIGS. 4 to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of the measurement unit CP is measured using the level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FIG. 1.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100)(이하. “측정 모듈(100)”이라고 함)은 몸체유닛(110), 접촉유닛(120), 거치유닛(130), 측정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유닛(120)은 제1접촉부(121), 제2접촉부(122), 고정돌기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유닛(130)은 제1거치부(131), 제2거치부(132), 제3거치부(133), 제4거치부(134)를 포함한다.1 to 7, a horizontal degree measurement modul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asurement module 100") of a vehicle body includes a body unit 110, a contact unit 120, a mounting unit 130, , And a measurement unit (140). The contact unit 120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121, a second contact portion 122, and a fixing protrusion 125. The mount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131, a second mounting portion 132, a third mounting portion 133, and a fourth mounting portion 134.

상기 몸체유닛(110)은 소정의 중공형 구조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유닛(110)은 내부 일방으로 상기 접촉유닛(120)이 수용하기 위한 제1중공부(H1)가 형성되며, 내부 타방으로 상기 측정유닛(140)을 수용하기 위한 제2중공부(H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중공부(H1)와 상기 제2중공부(H2) 사이로는 제3중공부(H3)가 형성된되며, 상기 몸체유닛(110) 상면부에는 상방으로부터 상기 제1중공부(H1)를 향하도록 제1통공(H4)이 형성되며,The body unit 110 is a predetermined hollow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body unit 110 has a first hollow portion H1 for receiving the contact unit 120 i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hollow portion H1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unit 140 in the other side thereof. A portion H2 is formed. A third hollow portion H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llow portion H1 and the second hollow portion H2 and the first hollow portion H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unit 110 from above. , A first through hole (H4)

상기 몸체유닛(110)은 길이방향 일방으로부터 상기 제1중공부(H1)와 이웃하는 소정영역을 내부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상기 제1접촉부(121)와 대향하는 제2함입부(H6)가 형성된다. The body unit 110 includes a second recessed portion H6 oppos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of a predetermine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hollow portion H1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상기 제2함입부(H6)상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유닛(110)과 상기 제1접촉부(121) 간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접촉유닛(120)이 상기 몸체유닛(110)으로부터 출몰방향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n elastic member S is provided on the second recessed portion H6 to apply an elastic restoring force between the body unit 110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so that the contact unit 120 can be elastically restored to the body unit 110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상기 몸체유닛(110)은 상면부 상에서 상기 제1통공(H4)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돌기부(125)를 상기 제1통공(H4) 상에서 상기 몸체유닛(110)의 일방을 향하여 전진되지 않도록 하거나, 전진되도록 선택적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파츠(111)가 구비된다.The body unit 110 prevents the fixing protrusion 12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H4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from advancing toward one side of the body unit 110 on the first through hole H4 And a fixed part 111 for enabling selective fixing so as to be advanced.

상기 접촉유닛(120)은 상기 몸체유닛(110) 상에서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측정부(CP)에 접촉된다.상기 접촉유닛(120)의 상기 제1접촉부(121)는 상기 제1중공부(H1)로부터 상기 몸체유닛(110)의 외측 일방으로 출몰된다. The contact unit 120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protruding and retracting to the outside from the body unit 1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unit CP. The first contact unit 121 of the contact unit 120 includes the first hollow And protrudes and retracts from one side of the body unit (110)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110).

상기 제1접촉부(12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된 바 형상체이며, 일단부에 길이“‡항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121a)가 형성되어 측정부(CP)에 접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접촉부(12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된 바 형상체이며, 일단부에 길이“‡항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121a)가 형성되어 측정부(CP)에 접촉하게 된다.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is a bar-shap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ending portion 121a bent at an end portion thereof is formed at one end to contact the measuring portion CP.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is a bar-shaped bod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ending portion 121a bent at an end portion thereof is formed at one end to contact the measurement portion CP.

그러나, 이러한 제1접촉부(121)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is not limited to this, but can be modified to a certain extent.

상기 제2접촉부(122)는 상기 제1접촉부(121)와 결속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부(CP)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2접촉부(122)는 길이방향 일부 영역 상에 일정 깊이의 제1함입부(H5)가 형성된다.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is engaged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to directly contact the measurement portion CP to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is formed with a first recessed portion H5 having a certain depth on a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접촉유닛(120)의 상기 고정돌기부(125)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접촉부(122)로부터 상기 제1통공(H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부(125)는 상기 제1통공(H4) 내에서의 제한된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접촉유닛(120)의 출몰 동작을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125 of the contact unit 12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protrudes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H4. Therefore, the fixing protrusions 125 can constantly restrict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operation of the contact unit 120 based on the limited flow in the first through-hole H4.

상기 측정유닛(140)은 상기 몸체유닛(110) 상에서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CP)로의 접촉에 따른 상기 접촉유닛(120)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부(CP)의 수평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측정유닛(140)은 상기 몸체유닛(110) 타방으로 장착되어, 일단부가 상기 접촉유닛(120)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접촉부(122)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The measurement unit 140 is provided on the body unit 110 and measures the horizontality of the measurement unit CP based on the flow of the contact unit 120 due to the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unit CP. The measuring unit 14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unit 110 so that one end of the measuring unit 140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122 in correspondence with the flow of the contacting unit 120.

상기 거치유닛(130)은 상기 제2중공부(H2) 삽입되며 상기 측정유닛(140)을 상기 몸체유닛(110) 상에서 일정높이로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유닛(130)의 상기 제1거치부(131)는 소정 길이의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유닛(110)의 상기 제2중공부(H2)에 삽입된다. 상기 제2거치부(132)는 상기 제3거치부(133)의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확관 형성되어, 상기 몸체유닛(110)의 타방 둘레부에 안착된다.The mounting unit 130 is for inserting the second hollow part H2 and mounting the measuring unit 140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dy unit 11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1 of the mounting unit 130 is formed into a hollow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portion H2 of the body unit 110. [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2 is formed to extend stepwise above the third mounting portion 133 and is seated on the oth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ody unit 110.

상기 제3거치부(133)는 상기 제2거치부(132)에 삽입되며 상기 측정유닛(140)을 상기 제2거치부(132)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4거치부(134)는 상기 제3거치부(133)의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확관 형성되어, 상기 제2거치부(132)의 상면부에 안착되어진다.The third mounting portion 13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2 so that the measurement unit 140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ourth mounting portion 134 is formed so as to be stepped above the third mounting portion 133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2.

상기 측정유닛(140)은 상기 거치유닛(130)을 매개로 상기 몸체유닛(110)에 거치됨으로써, 일단부로 상기 제3중공부(H3)를 경유하여 접촉유닛(120)의 상기 제2접촉유닛(120)과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도 측정을 위한 상기 제1접촉부(121)의 측정부(CP) 접촉에 기반하여, 상기 제2접촉부(122)가 후퇴되는 경우, 후퇴되는 상기 제2접촉부(122)와 접촉하여 가압힘을 측정하는 것이다.The measurement unit 140 is mounted on the body unit 110 via the mounting unit 130 so that the measurement unit 14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unit 120 of the contact unit 120 via the third hollow portion H3, (120).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is retracted, based on the contact CP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for horizontal measurement,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contacts the retracted second contact portion 122 The pressure force is measur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8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portion according to FIG. FIGS. 12 to 13 sequentially show the use state of the horizontality measuring modul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일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different points from the above-described temporary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모듈(200)은 브릿지부(250) 및 가변 모듈(2100)을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부(250)는 상기 몸체유닛(110) 저면부에서, 소정 길이를 가지되 단부에 플랜지(253)가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가변 모듈(2100)은 상기 브릿지부(110)의 상기 플랜지(253)을 통해 상기 몸체유닛(110)과 결속되며, 상방과 하방으로 위치 이동을 위한 가변형 유동을 하는 것이다.8-13, a measurement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unit 250 and a variable module 2100. The bridge unit 250 is formed to have a flange 253 at an end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bottom of the body unit 110. That is, the variable module 2100 is coupled to the body unit 110 through the flange 253 of the bridge unit 110, and the variable module 2100 performs variable flow for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상기 가변 모듈(2100)은 상기 링크조립체(210), 상기 연결플레이트(220), 상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조립체(210)는 복수의 상기 링크로 짜여져 있으며, 링크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조립체(210)는 4개의 상기 링크부(210a, 10b, 10c, 10d)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The variable module 2100 includes the link assembly 210, the connection plate 220, and the driving unit. The link assembly 210 is woven with a plurality of links,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ink assembly 210 is shown to include four link portions 210a, 10b, 10c, and 10d.

상기 제1 링크부(210a)와 상기 제2 링크부(210b)는 동일한 형태이고,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1 링크부(210a)와 상기 제2 링크부(210b)가 전후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과 마주보게 상기 제3 링크부(210c)와 상기 제4 링크부(210d)가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link portion 210a and the second link portion 210b have the same shape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first link portion 210a and the second link portion 210b are arranged in parallel back and forth and the third link portion 210c and the fourth link portion 210d are disposed to face the first link portion 210a and the second link portion 210b .

상기 제1 링크부(210a) 내지 상기 제4 링크부(210d)는 베이스판(212)에 연결된다. 각 상기 링크부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어느 한 상기 링크는 상기 베이스판(212)에 힌지 결합되고, 나머지 상기 링크의 하단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판(212)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판(213)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구름 이동이 가능하다.The first link portion 210a to the fourth link portion 210d are connected to the base plate 212. One of the link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each link unit is hinged to the base plate 212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is provided with a roller to guide the guide plate 213 formed on the base plate 212 It is possible to move the clou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제1 링크부(210a)와 상기 제2 링크부(210b)는 하나의 축부재(2103)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212)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링크부(210c)와 상기 제4 링크부(210d)는 다른 하나의 축부재(2103)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212)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축부재들은 그 길이방향이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것이다.The first link portion 210a and the second link portion 210b are connected to the base plate 212 by a single shaft member 2103 and the third link portion 210c, And the portion 210d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212 by another shaft member 2103. These shaft member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한편 전방으로부터 상기 제1 링크부(210a), 상기 제3 링크부(210c), 상기 제2 링크부(210b)가 놓이고 최후방에 상기 제4 링크부(210d)가 놓여, 상기 제1 링크부(210a) 내지 상기 제4 링크부(210d)가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링크부(210a) 내지 상기 제4 링크부(210d)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각 상기 링크부가 신축 작동할 때에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link portion 210a, the third link portion 210c and the second link portion 210b are plac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fourth link portion 210d is placed at the rear side from the front side, The first to fourth link portions 210a to 210d are sequentially shif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disposing the first link portion 210a to the fourth link portion 210d in a zigzag manner, the respective link portions ar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 expanding and contract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베이스판(212)에는 상기 링크조립체(210)를 승강 작동시키는 상기 구동부가 구비된다. 도시를 생략한 상기 구동부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실린더에서 신장되는 피스톤이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중간에 놓인 어느 한 회전축을 밀어 올려 전체 상기 링크조립체(210)가 신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상기 구동부로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를 밀어 올리는 수직 체인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The base plate 212 is provided with th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link assembly 210 up and down. The driver, not shown, may be one of various configurations already known.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may be a hydraulic actuator. A piston extending from the cylinder may be pushed up on one of the rotational shafts in the middle of the link assembly 210 to configure the entire link assembly 210 to extend. A vertical chain system may be adopted in which the driving plate is vertically stacked while being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hydraulic motor to another driving unit to push up the connecting plate. The driving uni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연결플레이트(220)는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작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 링크부(210a) 내지 상기 제4 링크부(210d) 각각이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힌지 결합하게 된다.The connection plate 220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ink assembly 210 and is vertically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k assembly 210. The first link portion 210a to the fourth link portion 210d are hinged to the connection plate 220 of the connection plate 220, respectively.

상기 연결플레이트(220)의 상부에는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이동플레이트(23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20)에 대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230)가 일방향(좌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이동 방향을 구속하는것으로 엘엠 가이드(221)가 사용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엘엠 가이드는 직선 운동 기구이고, 다른 직선 운동 기구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이동플레이트(23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20) 상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late 220, a moving plate 230 is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LM guide 221 is used to restric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230 so that the moving plate 230 linearly moves in one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late 220. As is known, the LM guide is a linear motion mechanism and can be replaced by another linear motion mechanism. That is, the moving plate 2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22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가동플레이트(24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와 연동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220) 상부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며 표면에 상기 브릿지부(250)의 상기 플랜지가 삽입되는 장공형 가이드홈(GH)이 복수 형성된다. 즉, 브릿지부(250)는 상기 가이드홈(GH)을 따라 일정하게 유동됨으로써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이다.The movable plate 240 is slidably movable on the connecting plate 220 in cooperation with the moving plate 220 and has a slotted guide groove GH in which the flange of the bridge portion 250 is inserted. Respectively. That is, the bridge portion 250 can be moved by being constantly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GH.

추가적인 구성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220)의 상부에는 도면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동플레이트(2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20) 상에는 가동플레이트(240)의 하면에 접촉하는 구름볼부재(231)가 구비되어 연결플레이트(220)에 대한 가동플레이트(240)의 미끄럼 이동을 가능케 한다. 상기 구름볼부재(231)는 전술한 엘엠 가이드나 다른직선 운동 기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가변 모듈을 이용하여 운반할 적재물을 안치하기 위한 전용지그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vable plate 24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late 220 to allow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drawing. A rolling ball member 231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240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plate 220 to enable sliding of the movable plate 240 relative to the connecting plate 220. The rolling ball member 231 may be replaced with the above-described LM guide or other linear motion mechanism. Although not shown, a dedicated paper for laying a load to be carried by the variable module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한편 사용처에 따라 적재물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상기 가동플레이트를 생략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에 적재함이나 전용 지그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생략 가능한 추가 구성으로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중간 관절에 연결되는 상기 링크케이지(211)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케이지(211)에는 지그재그로 설치된 각 상기 링크부의 외곽 관절이 힌지결합되며, 내측의 관절들은 상기 링크케이지에 형성된 장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링크케이지(211)는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건전성을 향상시킨다.If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loa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depending on the place of use, the movable plate may be omitted, and a loading box or a dedicated jig may be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late. The linkage 211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joint of the link assembly 210 in a further optional configuration. The outer joints of each of the link portions provided in a zigzag manner are hinged to the link cage 211, and the inner joints are slidably coupled to an elongated hole formed in the link cage. The link cage 211 improves the health of the link assembly 210.

상기 가변 모듈(2100)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작동으로 적재물을 실은 상기 연결플레이트(220)가 상승되고, 작업자가 적정한 조립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230) 또는 가동플레이트(240)를 평면 이동시키게 된다. 적재물의 조립이 완료되면 다음 조립 차례의 적재물을 싣기 위하여 로딩 높이까지 상기 링크조립체(210) 및 연결플레이트(220) 등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였던 상기 이동플레이트(23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정렬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기 링크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판(213)과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에 구비된 접촉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When the variable module 2100 is used, the link plate 220 with the load is lif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nk assembly 210 and the operator moves the movable plate 230 or the movable plate 230 240). When the assembly of the load is completed, the link assembly 210, the coupling plate 220, and the like are lowered to the loading height to load the next assembly load.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align the moving plate 230, which ha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contact between the guide plate 213 coupled to the link and the moving plate 230 .

가이드판(213)은 최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링크부(210a)의 어느 한 상기 링크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가이드판(213)은 상기 연결플레이트(220)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상기 링크(2101)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213)은 상부 상기 링크(2101)와 다른 상기 링크들이 힌지결합되는 관절축(2102)을 통해 상부 상기 링크(2101)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관절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통해 상기 가이드판(213)과 상부 상기 링크를 고정할 수도 있다.The guide plate 213 is fixed to one of the links of the first link portion 210a locat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 FIG. 2, the guide plate 213 is connected to the upper link 2101 hinged to the connection plate 220. The guide plate 213 is fixed to the upper link 2101 through a joint shaft 2102 on which the upper link 2101 and the other links are hinged. Alternatively, the guide plate 213 and the upper link may be fixed through other portions except the joint portion.

상기 링크들이 연결되는 관절축(2102)을 통해 상기 가이드판(213)이 고정되는 경우, 하나의 상기 링크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관절축에 상기 가이드판(213)이 결합됨으로써 그 상기 링크와 상기 가이드판(213)은 일체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관절축(2102)을 통해 상기 링크와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판(213)은 해당 상기 링크를 이중으로 설치한 형태가 되므로 보강판으로 기능한다. 즉, 상부 상기 링크를 이중으로 덧댄 구조이므로 해당 부위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13)이 상부 상기 링크(2101)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상기 링크(2101)와 상기 가이드판(213)은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즉 링크조립체(210)의 신축 작동에 따라 상부 상기 링크(2101)가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와 높낮이가 변경되는데, 상기 가이드판(213)도 상부 상기 링크와 동일하게 변위된다. 상기 가이드판(213)의 상부면은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되는 경사면(2131)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중심 부근에서 경사면(2131)은 하부로 함몰되어 함몰턱(2132)을 형성하고 있다.When the guide plate 213 is fixed through the joint shaft 2102 to which the links are connected, the guide plate 213 is coupled to at least two joint axles provided on one link, The guide plate 213 is operated integrally. The guide plate 213 fixed to the link through the joint axis 2102 functions as a reinforcing plate because the link is installed in a double manner. That is, since the upper link is doubly attached, the rigidity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can be greatly improved. When the guide plate 213 is coupled to the upper link 2101, the upper link 2101 and the guide plate 213 move integrally. That is,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link assembly 210, the inclination angle and height of the upper link 210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re changed, and the guide plate 213 is also displaced like the upper link.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3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2131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link assembly 210. The inclined surface 2131 is depressed downward to form a depression 2132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link assembly 210.

또한 상기 가이드판(213)은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하나씩 구비된다. 또한 전방의 상기 가이드판(213)과 후방의 상기 가이드판(213)은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의 상기 가이드판(213)은 상기 제1 링크부(210a)의 좌측에 구비되며, 후방의 상기 가이드판(213)은 상기 제4 링크부(210d)의 우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링크부(210a)와 상기 제4 링크부(210d) 각각은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최전방과 최후방에 놓이면서 서로 대칭을 이루므로, 상기 제1 링크부(210a)의 상부 상기 링크에 연결된 상기 가이드판(213)과, 상기 제4 링크부(210d)의 상부 상기 링크에 연결된 상기 가이드판(213)도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게 된다.The guide plate 213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link assembly 210, respectively. The guide plate 213 at the front and the guide plate 213 at the rear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ink assembly 210. Specifically, the guide plate 213 on the front side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link portion 210a, and the guide plate 213 on the rear side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ourth link portion 210d. Since the first link portion 210a and the fourth link portion 210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foremost and the last rooms of the link assembly 210, The guide plate 213 connected to the link assembly 210 and the guide plate 213 connected to the link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link 210d are also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ink assembly 210. [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판(213)과 후방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판(213)은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수축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만일 상기 링크조립체(210) 전방의 좌우에 상기 가이드판(213)들 모두를 결합한 경우, 상기 가이드판(213)의 사이즈에 대한 고려가 없다면 상기 링크조립체(210)의 수축 시에 서로 간섭될 우려가 있다. 접촉부재(23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의 전단의 중심과 후단의 중심에 구비된다. 접촉부재(23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로 연장되는 브래킷(2321)과, 브래킷의 하단에 결합되는 롤러(232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20)에는 접촉부재(232)의 하부가 통과하는 장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태의 접촉부재(232)는 이 장홀(222)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플레이트(220)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된다. 즉접촉부재(232)의 하단에 구비되는 롤러(2322)의 높이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20)보다 낮다.The guide plate 213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link assembly 210 and the guide plate 213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ink assembly 210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link assembly 210 is contracted. If all of the guide plates 213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of the link assembly 210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guide plate 213, . The contact member 23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moving plate 230 and the center of the rear end. The contact member 232 includes a bracket 2321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and a roller 232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The connecting plate 220 is formed with a long hole 222 through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member 232 passes. The contact member 23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oving plate 230 passes through the elongated hole 222 and extends to a lower height than the connecting plate 220. That is, the height of the roller 232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member 232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necting plate 220.

장홀(222)의 장축 길이는 접촉부재(232)의 좌우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재(232)가 이 장홀(222)을 통과한 상태로 결합되면서 장홀(222)의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와 함께 접촉부재(232)가 이동하므로, 장홀(222)의 장축 길이가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약하게 된다. 즉, 장홀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좌우 길이를 제한하는 스톱퍼로 기능할 수 있다.The long shaft length of the elongated hole 222 is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contact member 232. The contact member 23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hole 222 with the moving plate 230 while the elongated hole 222 is coupled with the elongated hole 222,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moving plate restricts the distance that the moving plate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the long hole can serve as a stopper that limits the length of the moving plate.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아에서는 전술한 또 다른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S. 15 to 19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mentioned other embodiments.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은, 본체부(3110),승강이동부(3120), 승강구동부(3130), 상부접이부(3140), 하부접이부(3150a, 150b)와 이동지지부(3160a, 160b)를 더 포함한다. 본체부(3110)는 지지하우징(3111)과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을 포함한다. 지지하우징(3111)의 전면에는 하부접이부(3150a, 150b)가 연결된다. 하부접이부(3150a, 150b)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하우징(3111)의 양측면에는 이동지지부(3160a, 160b)가 각각 설치된다. 이동지지부(3160a,160b)는 본체부(3110)가 바닥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하우징(3111)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상부에는 본체손잡이(3117)가 마련된다. 여기서, 본체손잡이(3117)는 접이식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이동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접이식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을 밀도록 제공된 것이다.15 to 19, the horizontal degree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portion includes a body portion 3110, a lifting / lowering moving portion 3120, an elevation driving portion 3130, an upper folding portion 3140, and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And moving support portions 3160a and 160b. The main body 3110 includes a support housing 3111 and a guide rail housing 3115. Bottom folds 3150a and 150b ar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3111.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movable supporting portions 3160a and 160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housing 3111, respectively. The movable supporting portions 3160a and 160b are members that allow the main body portion 3110 to mov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guide rail housing 3115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housing 3111. A body handle 3117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Here, the body handle 3117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push the level measurement module of the folding vehicle body when the level measurement module of the folding vehicle body is moved.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전면에는 홈부(3115a)가 마련된다. 홈부(3115a)의 내측면에는 본체부(3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레일홈(3116)이 마련된다. 홈부(3115a)에는 승강이동부(3120)가 설치된다. 승강이동부(3120)는 레일홈(3116)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내부에는 홈부(3115a)의 양측으로 승강구동부(3130)가 각각 설치된다. 승강구동부(3130)는 가스스프링부재(3133), 제 1 도르래롤러(3134), 제 2 도르래롤러(3135)와 와이어(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스스프링부재(3133)는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가스스프링부재(3133)는 레일홈(3116)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스프링부재(3133)는 가스스프링본체(3133a)와 가스스프링작동부재(3133b)로 이루어진다. 가스스프링본체(3133a)는 제 1 지지몸체(3131)와 제 2 지지몸체(3132)에 의해 가스스프링부재(3133)의 내부에 결합 된다. 제 1 지지몸체(3131)는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몸체(3132)는 제 1 지지몸체(3131)의 하부로 이격되어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스스프링본체(3133a)의 상단은 제 1 지지몸체(3131)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가스스프링본체(3133a)의 하단은 제 2 지지몸체(3132)의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제 2 지지몸체(3132)의 일측에는 와이어일단고정부재(3132a)가 설치된다. 와이어일단고정부재(3132a)는 와이어(미도시)의 연결시작점이다. 가스스프링본체(3133a)의 하단에는 가스스프링작동부재(3133b)가 연결된다. 여기서, 가스스프링부재(3133)의 작동시, 가스스프링작동부재(3133b)의 상단은 가스스프링본체(3133a)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가스스프링본체(3133a)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가스스프링작동부재(3133b)의 하단에는 제 3 지지몸체(3133c)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3 지지몸체(3133c)는 제 2 지지몸체(3132)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3 지지몸체(3133c)는 제 1 지지몸체(3131)와 제 2 지지몸체(3132)와 달리 가스스프링본체(3133a)의 승강이동시 가스스프링작동부재(3133b)와 함께 이동된다. 제 3 지지몸체(3133c)에는 제 1 도르래롤러(31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도르래롤러(3134)는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가스스프링본체(3133a)에 연결된다. 제 1 도르래롤러(3134)를 경유한 와이어(미도시)는 제 2 도르래롤러(3135)로 이동된다. 제 2 도르래롤러(3135)는 가스스프링본체(3133a)의 상부로 이격되어 본체부(3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도르래롤러(3135)는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제 1 도르래롤러(3134)와 승강이동부(3120)에 연결된다.A groove 3115a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3115a, a rail groove 3116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110. The groove 3115a is provided with a lifting / lowering moving part 3120. [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3120 is connected to the rail groove 3116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interior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elevation driving parts 313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3115a. The lifting drive portion 3130 includes a gas spring member 3133, a first sheave roller 3134, a second sheave roller 3135 and a wire (not shown). The gas spring member 3133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rail housing 311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 spring member 3133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ail groove 3116. The gas spring member 3133 is composed of a gas spring main body 3133a and a gas spring operating member 3133b.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is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gas spring member 3133 by the first support body 3131 and the second support body 3132. [ The first support body 3131 is positioned above the guide rail housing 3115. The second support body 3132 is installed in the guide rail housing 3115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ody 3131. The upper end of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is fixed by the first support body 3131 and the lower end of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is fixed by the second support body 3132. [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body 3132 is provided with a wire end fixing member 3132a. The wire-once fixing member 3132a is a connection starting point of a wire (not shown). A gas spring operating member 3133b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The upper end of the gas spring actuating member 3133b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or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when the gas spring member 3133 is operated. A third support body 3133c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gas spring actuating member 3133b. Here, the third support body 3133c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ody 3132. The third support body 3133c is moved together with the gas spring operation member 3133b at the same time when the gas spring body 3133a is elevated unlike the first support body 3131 and the second support body 3132. [ A first sheave roller 3134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hird support body 3133c. Here, the first pulley roller 3134 is connected to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by a wire (not shown). The wire (not shown) via the first sheave roller 3134 is moved to the second sheave roller 3135. The second pulley roller 3135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3110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as spring main body 3133a. The second sheave roller 3135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ave roller 3134 and the lifting / lowering portion 3120 by a wire (not show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승강구동부(3130)는 가스스프링부재(3133)를 작동시켜 와이어(미도시)가 제 1 도르래롤러(3134)와 제 2 도르래롤러(3135)를 경유하여 승강이동부(3120)를 잡아당기도록 하여 승강이동부(3120)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The elevation drive portion 31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structure operates the gas spring member 3133 so that a wire (not shown) is passed through the first sheave roller 3134 and the second sheave roller 3135, The elevating moving part 312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pulling the elevating moving part 3120.

승강이동부(3120)는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홈부(3115a)에 연결된다. 승강이동부(3120)는 승강이동프레임(3121)과 승강이동연결블럭(3124)을 포함한다. 승강이동프레임(3121)은 홈부(3115a)에 안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승강이동프레임(3121)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승강이동연결블럭(3124)이 설치된다. 여기서, 승강이동연결블럭(3124)은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레일홈(3116)에 연결된다. 승강이동연결블럭(3124)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된다. 승강이동연결블럭(3124)은 승강구동부(3130)의 작동시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레일홈(3116)을 따라 이동되면서, 승강이동프레임(3121)이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승강이동프레임(3121)의 상면에는 조작스위치(3125)가 설치된다. 여기서, 조작스위치(3125)는 가스스프링부재(3133)에 연결된다. 여기서, 조작스위치(3125)의 온(3on)상태에서 가스스프링부재(3133)는 와이어(미도시)가 승강이동부(3120)를 잡아당기도록 작동되고, 오프(3off)상태에서 가스스프링부재(3133)는 와이어(미도시)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되도록 작동된다. 조작스위치(3125)의 오프(3off)상태에서 승강이동부(3120)는 가스스프링부재(3133)에 의해 와이어(미도시)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어, 레일홈(3116)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서 홈부(3115a)에 안착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3120 is connected to the groove part 3115a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3120 includes a lifting moving frame 3121 and a lifting and moving connecting block 3124. [ The lifting and moving frame 3121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eated in the groove 3115a. A plurality of elevating and moving connecting blocks 3124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moving frame 3121. Here, the lifting / lowering connection block 3124 is connected to the rail groove 3116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A wir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link 3124. The elevating movement link block 3124 is moved along the rail groove 3116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section 3130 so that the elevating moving frame 3121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 An operation switch 312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frame 3121. Here, the operation switch 3125 is connected to the gas spring member 3133. When the operation switch 3125 is turned on, the gas spring member 3133 is operated so that a wire (not shown) pulls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3120, and in the off state 3off, the gas spring member 3133 Is actuated to remove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not shown). In the off state (3off) of the operation switch 3125, the lift moving part 3120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not shown) by the gas spring member 3133 and moves downward along the rail groove 3116 And is seated in the groove 3115a.

승강이동프레임(3121)의 전면에는 상부접이부(3140)가 설치된다. 상부접이부(3140)는 일측이 승강이동부(3120)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베이스판(212)이 연결되고, 승강이동부(3120)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상부접이부(3140)는 승강이동프레임(31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접이부(3140)는 상부 접이프레임(3141), 제 1 상부접이몸체(3142a), 제 2 상부접이몸체(3143)와 상부지지부재(3144)를 포함한다. 제 1 상부접이몸체(3142a)는 승강이동프레임(3121)의 전면에 결합된다. 제 1 상부접이몸체(3142a)에는 상부회전축(3142)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접이프레임(3141)은 일측이 상부회전축(3142)에 의해 제 1 상부접이몸체(3142a)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접이프레임(3141)의 타단에는 촬영지지부재(3146)가 연결된다. 상부접이프레임(3141)의 상면에는 상부접이손잡이(3145)가 마련된다. 상부접이손잡이(3145)는 상부접이프레임(3141)의 펼침조작 및 접힘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부접이프레임(3141)의 하면에는 상부지지부재(3144)가 설치된다. 상부지지부재(3144)는 제 2 상부접이몸체(3143)와 상부접이프레임(3141)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상부접이몸체(3143)는 제 1 상부접이몸체(3142a)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부지지부재(3144)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An upper folding section 314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moving frame 3121. The upper folding portion 314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ortion 312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ase plate 21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ortion 3120. The upper folding part 314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moving frame 3121. The upper folding unit 3140 includes an upper folding frame 3141, a first upper folding body 3142a, a second upper folding body 3143 and an upper supporting member 3144. [ The first upper folding body 3142a is engag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moving frame 3121. An upper rotary shaft 31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folding body 3142a. One side of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folding body 3142a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n upper rotating shaft 3142. [ An image supporting member 314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An upper folding handle 314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The upper folding handle 3145 is a member for facilitating the unfolding operation and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An upper support member 314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The upper support member 3144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upper folding body 3143 and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Here, the second upper folding body 3143 is a member for supporting the upper supporting member 3144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folding body 3142a.

상부지지부재(3144)는 상부접이프레임(3141)의 펼침상태에서 상부접이프레임(3141)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부지지부재(3144)는 상부지지몸체(3144a)와 상부작동가이드봉(3144b)이 구비된다. 상부지지부재(3144)로는 가스숏업 쇼버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지지몸체(3144a)는 일단이 제 2 상부접이몸체(3143)에 연결된다. 상부지지몸체(3144a)의 타단에는 상부작동가이드봉(3144b)이 연결된다. 상부작동가이드봉(3144b)은 일단이 상부지지몸체(3144a)의 내부공간에서 전후로 이동가 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작동가이드봉(3144b)의 타단은 상부접이프레임(3141)에 고정된다. 상부작동가이드봉(3144b)은 상부접이프레임(3141)이 승강이동부(3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펼침상태에서 상부지지몸체(3144a)에서 연장되어 상부접이프레임(3141)을 지지하고, 상부접이프레임(3141)이 승강이동부(3120)와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접혀진 접힘상태에서 상부지지몸체(3144a)로 삽입되도록 작동된다. 상부접이부(31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이식 구조를 통해 펼침상태에서 베이스판(212)이 승강이동부(3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베이스판(212))을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베이스판(212)이 승강이동부(3120)에 맞닿게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The upper support member 3144 is a member for supporting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The upper support member 3144 is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body 3144a and an upper operation guide rod 3144b. As the upper support member 3144, a gas shot-up shovel may be used. One end of the upper supporting body 3144a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folding body 3143. [ An upper operation guide rod 3144b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pport body 3144a. One end of the upper operation guide rod 3144b is movably connected back and forth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support body 3144a. The other end of the upper operation guide rod 3144b is fixed to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 The upper operation guide rods 3144b extend from the upper support body 3144a in the extended state in which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ortion 3120 to support the upper folding frame 3141, The folding frame 3141 is ope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pporting body 3144a in a folded state in which the folding frame 3141 is folded so as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ortion 3120. [ The upper folding portion 3140 supports the base plate 212 so that the base plate 212 is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3120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unfolded state through the fold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212 is operated to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3120. [

하부접이부(3150a, 150b)는 이동지지부(3160a, 160b)와 더불어 바닥면에 대해 본체부(3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하부접이부(3150a, 150b)는 지지하우징(3111)의 양측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실시예에 따른 하부접이부(3150a, 150b)는 펼침상태에서 본체부(3110)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본체부(3110)의 전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진다. 제 1 하부접이부(3150a)는 하부접이프레임(3151a, 3151b),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과 기어유닛(3155a, 155b)으로 이루어지고, 기어유닛(3155a, 155b)은 지지판(3156a), 제 1 기어(3159a), 제 2 기어(3158a) 및 제 3 기어(3157a)로 이루어진다.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은 일단이 지지하우징(31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하부이동바퀴(3152a, 152b)가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이동바퀴(3152a, 152b)는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의 펼침상태에서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을 지지하는부재로서,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3100)의 이동시 이동지지부(3160a, 160b)와 더불어 접이식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이동을 보조한다.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are members for stab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3110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o the moving supporting portions 3160a and 160b.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housing 3111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folding structure that supports the main body portion 3110 in an unfolded state and operates to be positioned to abut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110 in a folded state. The first lower folding section 3150a is constituted by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3151b and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and the gear units 3155a and 155b. The gear units 3155a and 155b are formed by the support plates 3156a, A first gear 3159a, a second gear 3158a, and a third gear 3157a. One of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ing housing 3111 and the lower moving wheels 3152a and 152b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 The lower moving wheels 3152a and 152b are members that support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by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s of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in the extended state, Together with the movable supporting portions 3160a and 160b, assists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ity measuring module of the folding vehicle body.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은 일단에 보조바퀴(3154a, 154b)가 연결되고, 타단이 기어유닛(3155a, 155b)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에 기어연결된다.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은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이 본체부(3110)에 인접하게 이동되어 접힘상태가 되면, 기어유닛(3155a, 155b)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과 연동되어 바닥면을 향해 이동되어 바닥면에 지지된다.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은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이 접힘상태에서 펼침상태로 변환되면 기어유닛(3155a, 155b)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과 연동되어 바닥면으로 멀어지도록 작동된다. 기어유닛(3155a, 155b)은 지지하우징(3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과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에 기어연결된다. 기어유닛(3155a, 155b)은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의 접힘작동 또는 펼침작동에 연동되어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기어유닛(3155a, 155b)은 지지판(3156a), 제 1 기어(3159a), 제 2 기어(3158a) 및 제 3 기어(3157a)를 포함한다. 지지판(3156a)은 지지하우징(3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지지판(3156a)에는 제 1 기어(3159a), 제 2 기어(3158a)와 제 3 기어(3157a)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기어(3159a)는 지지판에 기어결합된다. 제 1 기어(3159a)는 제 2 기어(3158a)와 제 3 기어(3157a)의 중심점 역할을 한다. 제 1 기어(3159a)에는 제 2 기어(3158a)와 제 3 기어(3157a)가 맞물려 기어 연결된다.Auxiliary wheels 3154a and 154b a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and the other end is gear connected to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by gear units 3155a and 155b. When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re moved adjacent to the main body 3110 and are folded,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are folded by the gear units 3155a and 155b to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nd is moved toward the bottom surface to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re chang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are interlocked with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by the gear units 3155a and 155b, . The gear units 3155a and 155b ar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housing 3111 and are gear connected to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nd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The gear units 3155a and 155b interlock with the folding operation or the unfolding operation of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The gear units 3155a and 155b include a support plate 3156a, a first gear 3159a, a second gear 3158a, and a third gear 3157a. The support plate 3156a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housing 3111. Fig. The first gear 3159a, the second gear 3158a, and the third gear 3157a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3156a. The first gear 3159a is gear-engaged with the support plate. The first gear 3159a serves as a center point of the second gear 3158a and the third gear 3157a. The first gear 3159a is meshed with the second gear 3158a and the third gear 3157a.

제 2 기어(3158a)는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 3 기어(3157a)는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때, 제 2 기어(3158a)와 제 3 기어(3157a)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전면과 인접하게 접혀지면, 제 2 기어(3158a)는 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기어(3159a)는 제 2 기어(3158a)와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3 기어(3157a)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 3 기어(3157a)는 제 1 기어(3159a)와 맞물려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의 보조바퀴(3154a, 154b)는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전면과 가깝게 위치되도록 접혀지면, 바닥면을 지지토록 위치된다.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전면과 거의 수직인 상태로 펼져지면, 제 2 기어(3158a)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기어(3159a)는 제 2 기어(3158a)와 맞물려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3 기어(3157a)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 3 기어(3157a)는 제 1 기어(3159a)와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보조접이프레임(3153a, 153b)의 보조바퀴(3154a, 154b)는 바닥면과 이격되어 지지하우징(3111)의 후면에 위치된다.The second gear 3158a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The third gear 3157a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3158a and the third gear 3157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re fold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the second gear 3158a is mov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rst gear 3159a is moved in the second gear 3158a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hird gear 3157a while the third gear 3157a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3159a and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auxiliary wheels 3154a and 154b of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are positioned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when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re folded so as to be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 The second gear 3158a is mov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re extend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The first gear 3159a is mov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third gear 3157a meshes with the first gear 3159a and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being meshed with the first gear 3158a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hird gear 3157a while being mov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auxiliary wheels 3154a and 154b of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153b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and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3111.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하부접이부(3150a, 150b)는 펼침상태에서 상기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이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3110)를 지지하고, 접힘상태가 되면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3115)의 전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여기서, 이동지지부(3160a, 160b)는 이동지지몸체(3161a, 161b), 베어링하우징(3163a)과 이동바퀴(3162a, 162b)가 구비된다. 이동지지몸체(3161a, 161b)는 지지하우징(31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지지몸체(3161a, 161b)에는 베어링하우징(3163a)이 연결된다. 베어링하우징(3163a)은 지지하우징(3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베어링하우징(3163a)은 이동지지몸체(3161a, 161b)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동바퀴(3162a, 162b)는 이동지지몸체(3161a, 161b)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바퀴(3162a, 162b)는 바닥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접이식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이동바퀴(3162a, 162b)는 하부접이부(3150a, 150b)의 하부이동바퀴(3152a, 152b)와 보조바퀴(3154a, 154b)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지지몸체(3161a, 161b)는 상부접이부(3140)와 하부접이부(3150a, 150b)의 펼침상태에서 이동바퀴(3162a, 162b)가 본체부(3110)의 후면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이동지지몸체(3161a, 161b)는 상부접이부(3140)와 하부접이부(3150a, 150b)의 접힘상태에서 이동바퀴(3162a, 162b)가 본체부(3110)의 전면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접이식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보관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in the unfolded state to support the main body portion 3110,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151b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housing 3115. [ Here, the movable supporting portions 3160a and 160b are provided with movable supporting bodies 3161a and 161b, a bearing housing 3163a, and moving wheels 3162a and 162b. The movable support bodies 3161a and 161b are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housing 3111. [ The bearing housings 3163a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supporting bodies 3161a and 161b. The bearing housing 3163a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housing 3111. The bearing housing 3163a is a member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movable support bodies 3161a and 161b. The moving wheels 3162a and 162b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paces of the movable supporting bodies 3161a and 161b. The moving wheels 3162a and 162b are members that support the bottom surface and provide a moving force to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folding vehicl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wheels 3162a and 162b have diameters larger than the lower moving wheels 3152a and 152b and the auxiliary wheels 3154a and 154b of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The movable supporting bodies 3161a and 161b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moving wheels 3162a and 162b are dir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3110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upper folding unit 3140 and the lower folding units 3150a and 150b. The movable supporting bodies 3161a and 161b are positioned so that the moving wheels 3162a and 162b are direc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3110 in the folded state of the upper folding unit 3140 and the lower folding units 3150a and 150b , The storage volume of the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the folding vehicle body can be reduced.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또 다른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20 to 2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of a vehicle body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still another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판(212)에 결속되어, 상기 가변 모듈(2100)을 유동시키기 위한 거치 모듈(4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 모듈(4100)은, 내부에 승강구동부(3130)가 설치된 본체부(3110)와, 상기 본체부(3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3110)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이동지지부와. 상기 승강구동부(313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3110)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승강이동부(3120)와, 일측이 상기 승강이동부(3120)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베이스판(212)에 결속되고, 상기 승강이동부(3120)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상부접이부(3140)와, 일단이 상기 본체부(3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하부이동바퀴(3152a, 3152b)가 마련된 하부접이프레임(3151a, 151b)과, 일단에 보조바퀴(3154a, 3154b)가 연결되고 타단이 기어유닛(3155a, 3155b)에 의해 상기 하부접이프레임(3151a, 3151b)에 기어연결된 보조접이프레임(3153a, 3153b)과, 상기 본체부(3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접이프레임(3151a, 3151b)과 상기 보조접이프레임(3153a, 3153b)을 연결하는 상기 기어유닛(3155a, 3155b)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3110)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하부접이부(3150a, 3150b)를 포함한다.20 to 23, the fixing module 4100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odule 4100 coupled to the base plate 212 to flow the variable module 2100, A moving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10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portion 3110 against the floor surface; A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3120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part 3130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31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one side of the lifting and moving part 3120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3120 at a predetermined angle, An upper folding part 3140 having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212 at the other side and folded with respect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art 3120; The lower wheels 3151a and 3151b having lower wheels 3152a and 3152b and the auxiliary wheels 3154a and 3154b ar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s are coupled to the lower frames 3151a and 3151b by gear units 3155a and 3155b, 3151b and 3153b which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110 and connect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3151b to the auxiliary folding frames 3153a and 3153b, Units 3155a and 3155b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3110 Includes a lower folding portion (3150a, 3150b) having the structure.

상기 상부접이부(3140)는 펼침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212)이 상기 승강이동부(3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212)을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212)이 상기 승강이동부(3120)에 맞닿게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고, 상기 하부접이부(3150a, 3150b)는 펼침상태에서 상기 본체부(3110)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상기 본체부(3110)의 전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고, 상기 보조접이프레임(3153a, 3153b)은, 상기 하부접이프레임(3151a, 3151b)이 상기 본체부(3110)에 인접하게 이동되어 접힘상태가 되면 상기 기어유닛(3155a, 3155b)에 의해 상기 하부접이 프레임(3151a, 3151b)과 연동되어 상기 바닥면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하부접이프레임(3151a, 3151b)이 접힘상태에서 펼침상태로 변환되면 상기 기어유닛(3155a, 3155b)에 의해 상기 하부접이프레임(3151a, 3151b)과 연동되어 상기 바닥면으로 멀어지도록 작동되며, 상기 승강이동부(3120)는 하방의 제1이동부(3121)와, 상기 제1이동부(3121)로부터 후면부를 향하여 일정 범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제2이동부(3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부(3121) 및 상기 제2이동부(3122)의 후면부에는 소정 깊이의 삽입홈(H1)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며, 개방된 일방과, 타방이 폐쇄된 반폐쇄형의 ㄷ자형 구조물로서, 상기 본체부(3110)의 후면부로부터 상기 개방된 일방의 양측 단부가 상기 본체부(3110)의 상단부에 결속되며, 회동에 기반하여 폐쇄된 상기 타방이 상기 삽입홈(H1)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The upper folding portion 3140 supports the base plate 212 such that the base plate 212 is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portion 3120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n unfolded state,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3150b support the main body portion 3110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folded portions of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3150b are moved in the folded state, And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3151b are moved adjacent to the main body 3110 so that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3151b are moved adjacent to the main body 3110 The lower frames 3151a and 3151b are moved by the gear units 3155a and 3151b to move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supported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gear units 3151a and 3151b, ) Is folded The gear unit 3155a and the gear unit 3155b are operated to move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by interlocking with the lower folding frames 3151a and 3151b, And a second moving part 3122 coupl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first moving part 3121 toward the rear part of the first moving part 3121,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H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3110 and are opened in one side and closed in the other side, The other end of the one opened side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3110 and the other closed based on the rotation is inserted into one of the insertion grooves H1.

상기 본체부(3110), 즉 가이드레일하우징(3115) 하방의 제1관절부(31151)와, 상기 제1관절부(31151)로부터 후면부를 향하여 일정 범위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제2관절부(3115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3122)는 측면부 상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H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부(3121)로부터 후면부를 향하여 회동될 경우, 상기 제2이동부(3122)의 무게중심이 후면부를 향하도록 상기 삽입홈(H1)상에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삽입부재(3I)가 삽입된다. 상기 하부접이부(3150a, 150b)는 일단부 상에는 캐스터(C)가 구비되되, 상기 캐스터(C)와 인접하는 저면부 일영역 상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캐스터(C)는 틸트(tilt) 동작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 상으로 수용되도록 구비된다.A first joint 31151 below the main body 3110 or the guide rail housing 3115 and a second joint 31152 coupled to be rotatable in a certain range from the first joint 31151 toward the rear, The second moving part 3122 includes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H1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moving part 3122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H1 on the side of the second moving part 3122 when the second moving part 3122 is rotated from the first moving part 3121 toward the rear part. An insertion member 3I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H1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thereof faces the rear portion. The lower folding portions 3150a and 150b are each provided with a caster C on one end thereof and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on a region of the bottom portion adjacent to the caster C, 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rough a tilt operation.

상기 본체부(3110)는 상기 본체부(3110)의 후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모듈(41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모듈(4100)은 상기 본체부(3110)의 후면부에 결속되어, 상기 본체부(3110)를 지지하기 위한 접면부재(4110)와, 상기 접면부재(4110)의 후면부에 결속되는 전면지지부재(4210)와, 베이스면에 지지되며 결합되는 베이스측지지부재(4220)와, 상기 전면지지부재(4210)의 상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4220)의 상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측연결부재(4230)와, 상기 전면지지부재(4210)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측지지부재(4220)의 하부를 연결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측연결부재(4240)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3110 further includes a support module 4100 for supporting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3110. The support module 4100 is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3110, A front side support member 4210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ontact member 4110, a base side support member 4220 supported and connected to the base side, An upper connecting member 4230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support member 4210 and an upper side of the base side support member 4220; And a lower connecting member 424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ember 4220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접면부재(4110)는 상기 전면지지부재(4210) 결속되는 제1접면부(4111)와, 탄성수단(S)을 매개로 상기 제1접면부(4111)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접면부(4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면부(4111)와 상기 제2접면부(4112)는 각각의 중앙부로 힌지부재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접면부(4111)는 상기 제2접면부(4112)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며, 상기 제1접면부(4111)와 상기 제2접면부(4112)는 상기 중앙부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S)을 매개로 상호간에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The contact member 4110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4111 coupled to the front support member 4210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4111 provided to face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via the elastic means S,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are hinged to the respectiv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by a hinge member,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are elastically restored to each other via elastic means 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

상기 제1접면부(4111)의 상기 중앙부에는 일정깊이로 함입된 제1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재는 외측을 향하는 상기 제1접면부(4111)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제1함입홈 상에 구비되는 탄성수단(S)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1-1힌지체(4111a)와,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2접면부(4112)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1힌지체(4111a)와 힌지결합되는 제1-2힌지체(41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1힌지체(4111a)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T1)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T1)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P)로 형성되며, 상기 제1-1힌지체(4111a)의 상기 플랜지부(P)가 상기 제1함입홈에 수용되되, 상기 제1함입홈 상에서 상기 제1접면부(4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일정하게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P)의 상부와 마주 접합으로써 상기 제1-1힌지체(4111a)가 상기 제1함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A first recessed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The hinge member is disposed on the first recessed groov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A first hinge body 4111a provided so as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upward and downward through an elastic means S provided therein and a second hinge body 4111b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facing inward, And a 1-2 hinge body 4112b hinged to the 1-1 hinge body 4111a. The first hinge body 4111a has a protrusion T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of a flange portion P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protrusion T1, -1 The flange portion P of the hinge body 4111a is received in the first recessed groove and an extension extending constant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111 toward the center on the first recessed groove So that the first 1-1 hinge body 4111a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ssed groove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P.

상기 접면부재(4110)는 탄성수단(S)을 매개로 상기 제2접면부(4112)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3접면부(411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면부(4112)와 상기 제3접면부(4113)는 각각의 제2중앙부로 제2힌지부재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3접면부(4113)는 상기 제2접면부(4112)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며, 상기 제2접면부(4112)와 상기 제3접면부(4113)는 상기 제2중앙부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S)을 매개로 상호간에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The contact member 4110 includes a third contact portion 4113 disposed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via the elastic means S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The third contact portion 4113 is hinged to the second central portion by a second hinge member so that the third contact portion 4113 flows constantly 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The contact portion 4112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4113 are elastically restored to each other via elastic means 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상기 제2접면부(4112)의 상기 중앙부에는 일정깊이로 함입된 중공형의 제2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재는 외측을 향하는 상기 제2접면부(4112)의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제2함입홈 상에 구비되는 탄성수단(S)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2-1힌지체(4112a)와, 내측을 향하는 상기 제2접면부(4112)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1힌지체(4112a)와 힌지결합되는 제2-2힌지체(4113b)를 포함한다. 상기 제2-1힌지체(4112a)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돌출부(T2)를 가지며, 상기 제2돌출부(T2)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P2)로 형성되며, 상기 제2-1힌지체(4112a)의 상기 제2플랜지부(P2)가 상기 제2함입홈에 수용된다. 상기 제2함입홈 상에서 상기 제2접면부(4112)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일정하게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플랜지부(P2)의 상부와 마주 접합으로써 상기 제2-1힌지체(4112a)가 상기 제2함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cond hinge member may b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such that the second hinge member has a hollow second recessed groov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112, The second-1 hinge body 4112a provided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upward and downward via the elastic means S provided on the second recessed groove, and the second-first hinge body 4112a provided on the second recessed groove 4112 And a second 2-2 hinge body 4113b provided at the center and hinged to the 2-1 hinge body 4112a. The second-1 hinge body 4112a has a second protrusion T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ange P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T2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P2 of the second-first hinge body 4112a is received in the second recessed groove. And an extension extending constant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portion 4112 toward the center portion on the second recessed groove is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recess 4112 so as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lange portion P2, (4112a) from separating from the second recessed groo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 몸체유닛 111 : 고정파츠
H1 : 제1중공부 H2 : 제2중공부
H3 : 제3중공부 H4 : 제1통공
H5 : 제1함입부 H6 : 제2함입부
S : 탄성부재 120 : 접촉유닛
121 : 제1접촉부 121a : 절곡부
122 : 제2접촉부 125 : 고정돌기부
130 : 거치유닛 131 : 제1거치부
132 : 제2거치부 133 : 제3거치부
134 : 제4거치부 140 : 측정유닛
2100 : 가변 모듈 210 : 링크조립체
210a : 제1 링크부 210b : 제2 링크부
210c : 제3 링크부 210d : 제4 링크부
2101 : 상부 링크 2102 : 관절축
2103 : 축부재 211 : 링크케이지
2111 : 가이드브래킷 212 : 베이스판
213 : 가이드판 2131 : 경사면
2132 : 함몰턱 220 : 연결플레이트
221 : 엘엠 가이드 222 : 장홀
230 : 이동플레이트 231 : 구름볼부재
232 : 접촉부재 2321 : 브래킷
2322 : 롤러 240 : 가동플레이트
241 : 안내롤러 250 : 브릿지부
251 : 제1마디부 253 : 제2마디부
253 : 플랜지
110: body unit 111: stationary parts
H1: first hollow portion H2: second hollow portion
H3: third hollow portion H4: first through hole
H5: first depression H6: second depression
S: elastic member 120: contact unit
121: first contact portion 121a:
122: second contact portion 125: fixing protrusion
130: mounting unit 131: first mounting part
132: second mounting part 133: third mounting part
134: fourth mounting part 140: measuring unit
2100: variable module 210: link assembly
210a: first link portion 210b: second link portion
210c: third link portion 210d: fourth link portion
2101: upper link 2102: joint shaft
2103: shaft member 211: link cage
2111: guide bracket 212: base plate
213: guide plate 2131: inclined surface
2132: depression chin 220: connecting plate
221: LM Guide 222:
230: moving plate 231: rolling ball member
232: contact member 2321: bracket
2322: roller 240: movable plate
241: guide roller 250:
251: first nodal portion 253: second nodal portion
253: Flange

Claims (17)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로서,
소정의 중공형 구조체인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 상에서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측정부에 접촉되는 접촉유닛; 상기 몸체유닛 상에서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로의 접촉에 따른 상기 접촉유닛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부의 수평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유닛은 내부 일방으로 상기 접촉유닛이 수용하기 위한 제1중공부가 형성되며, 내부 타방으로 상기 측정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제2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중공부와 상기 제2중공부 사이의 제3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제1중공부로부터 상기 몸체유닛의 외측 일방으로 출몰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와 결속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몸체유닛 타방으로 장착되어, 일단부가 상기 접촉유닛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접촉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몸체유닛은 상방으로부터 상기 제1중공부를 향하여 제1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유닛의 상기 제2접촉부는 길이방향 일부 영역 상에 일정 깊이의 제1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제2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바(bar) 형상의 고정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통공 내에서 상기 고정돌기부의 제한된 유동에 기반하여 출몰 동작이 일정하게 제한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1. A horizontality measurement module for a vehicle body part,
A body unit which is a predetermined hollow structure; A contact unit provided to be able to protrude / retract outward from the body unit, the contact unit contacting the measurement unit;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unit for measuring the horizontality of the measuring unit based on the flow of the contact unit in contact with the measuring unit,
Wherein the body unit is formed with a first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tact unit i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unit in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second hollow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llow portion and the second hollow portion, A third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portion is formed,
Wherein the contact unit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that projects from the first hollow portion to one side of the body unit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directly contacts the measurement portion to be measured,
Wherein the measuring unit is mounted to the other of the body units, one end of the measuring unit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low of the contacting unit,
Wherein the body unit has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ward the first hollow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unit has a first depth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n a partial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ontact unit includes a bar-shaped fix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rough the first hole, wherein th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in a predetermined The horizontal dimension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body part being limited to the horizontal dimension measurement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소정 길이로 형성된 바 형상체이며, 일단부에 길이“‡항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측정부에 접촉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A horizontality measuring module of a vehicle body part having a bar-shaped bod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bent part bent at an end thereof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contacting the measuring par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유닛은,
길이방향 일방으로부터 상기 제1중공부와 이웃하는 소정영역 내부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대향하는 제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함입부상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유닛과 상기 제1접촉부 간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접촉유닛이 상기 몸체유닛으로부터 출몰방향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unit includes:
A second hollow portion fac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o the predetermined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hollow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second recessed portion to apply elastic restoring force between the body unit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unit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projecting and retracting from the body unit, modu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상면부 상에서 상기 제1통공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돌기부를 상기 제1통공 상에서 상기 몸체유닛의 일방을 향하여 전진되지 않도록 하거나, 전진되도록 선택적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파츠가 구비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The body unit includes:
Wherein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through-hole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unit, is prevented from advancing toward one side of the body unit on the first through hole, Level measurement module for the body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부 삽입되며 상기 측정유닛을 상기 몸체유닛 상에서 일정높이로 거치되도록 하는 중공형의 거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유닛은,
소정 길이의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유닛의 상기 제2중공부에 삽입되는 제1거치부와,
상기 제1거치부의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확관 형성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타방 둘레부에 안착되는 제2거치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hollow mounting unit for inserting the second hollow part and mounting the measuring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dy unit,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hollow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portion of the body unit,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that is formed to be stepped above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is seated on the oth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ody uni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제2거치부에 삽입되며 상기 측정유닛을 상기 제2거치부 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거치되도록 하기위한 중공형의 제3거치부와,
상기 제3거치부의 상방으로 단차지도록 확관 형성되어, 상기 제2거치부의 상면부에 안착되는 제4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hollow third moun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measurement unit to be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comprising a fourth mounting portion formed so as to be stepped above the third mounting portion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거치유닛을 매개로 상기 몸체유닛에 거치됨으로써, 일단부로 상기 제3중공부를 경유하여 접촉유닛의 상기 제2접촉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되, 수평도 측정을 위한 상기 제1접촉부의 측정부 접촉에 기반하여, 상기 제2접촉부가 후퇴되는 경우, 후퇴되는 상기 제2접촉부와 접촉하여 가압힘을 측정하는 차량 차체부의 수평도 측정 모듈.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asur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unit via the third hollow portion by being mounted on the body unit via the mounting unit so as to fa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unit, And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retracte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tracted second contact portion to measure the pressing fo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31919A 2016-10-12 2016-10-12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KR101759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19A KR101759655B1 (en) 2016-10-12 2016-10-12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19A KR101759655B1 (en) 2016-10-12 2016-10-12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655B1 true KR101759655B1 (en) 2017-07-20

Family

ID=5944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19A KR101759655B1 (en) 2016-10-12 2016-10-12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65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82Y1 (en) 2000-11-15 2001-05-15 안병극 A Shape Memory Mission Jack For Vehicle Equipment
JP4215474B2 (en) 2002-09-24 2009-01-28 株式会社ゴーウェル Carrying cart
KR100932699B1 (en) * 2008-02-05 2009-12-21 형제테크(주)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82Y1 (en) 2000-11-15 2001-05-15 안병극 A Shape Memory Mission Jack For Vehicle Equipment
JP4215474B2 (en) 2002-09-24 2009-01-28 株式会社ゴーウェル Carrying cart
KR100932699B1 (en) * 2008-02-05 2009-12-21 형제테크(주)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01128B (en) For the equipment close to lifting vehicle
JP4590028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suspension
US11834311B2 (en) Conveying device and battery swap station
KR101759655B1 (en) Horizontal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KR101510681B1 (en) Scissors-type lift
KR101749928B1 (en) Perpendicularity measuring module for vehicle body
KR101750227B1 (en) Car headlamp provisional fixing module
EP2784221B1 (en) Travelling device for guard rail systems
CN208646812U (en) New energy car battery Quick change robot
JP2013112096A (en) Wheel base variable vehicle
JP2005187115A (en) Truck with elevating function
CN212529485U (en) Pedal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CN110507347B (en) Vehicle-mounted medical diagnosis equipment
CN112349344B (en) Fully-decoupled two-dimensional nano flexible motion platform
JP3536271B2 (en) Vehicle lifting device
KR101015941B1 (en) Semi Scissor Type Lift For Vehicle Maintenance With Locking Device
JP6187171B2 (en) Sunroof device
CN113635837A (en) Pedal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EP2617621B1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JP2014172722A (en) On-vehicle working platform
CN217560595U (en) Automobile four-wheel positioner
CN216894237U (en) Top drive type geothermal drilling machine walking device
JP4943253B2 (en) Movable floor for vehicle test apparatus and vehicle test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20130117605A (en) An automatic moving type of trailer with variable structure forward and backward
CN217195289U (en) Auxiliary tool for chassis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