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19B1 - 치실이 부착된 티백 - Google Patents

치실이 부착된 티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19B1
KR101759119B1 KR1020150126131A KR20150126131A KR101759119B1 KR 101759119 B1 KR101759119 B1 KR 101759119B1 KR 1020150126131 A KR1020150126131 A KR 1020150126131A KR 20150126131 A KR20150126131 A KR 20150126131A KR 101759119 B1 KR101759119 B1 KR 10175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ss
tag
wound
tea ba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160A (ko
Inventor
원상원
Original Assignee
원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상원 filed Critical 원상원
Priority to KR102015012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이 부착된 티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티백의 주머니가 치실로 연결된 치실이 부착된 티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가 담긴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일단이 연결되며,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실과, 상기 치실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는 태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치실이 부착된 티백{Tea bag attached floss}
본 발명은 치실이 부착된 티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티백의 주머니가 치실로 연결된 티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백은 커피믹스와 더불어 여러 종류의 음료를 마련하는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 사무실, 관공서, 병원 등에 비치되어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티백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3989호에 개시된 티백 패키지는 차가 저장되는 티백과, 상기 티백을 수용하는 티백 포장봉투를 포함하는 티백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티백 포장봉투는 봉투본체와, 상기 봉투본체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티백의 일반적인 사용방법은 차가 담긴 주머니를 물에 담근 상태에서 차를 우려내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티백을 물에서 제거하여 우려낸 차를 마시는 데 한정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39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티백의 주머니가 치실로 연결된 치실이 부착된 티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실이 부착된 티백은 차가 담긴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일단이 연결되며,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실과; 상기 치실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는 태그;를 구비한다.
상기 태그는 상기 치실이 일 측에 결합된 몸체와;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감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감김유닛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김유닛은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에 상기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축소부와; 상기 축소부에 감긴 상기 치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축소부의 단부에 상기 축소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인접한 태그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의 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부에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실이 부착된 티백은 주머니를 치실로 연결하여 티백의 사용 후에 별도로 치실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치실을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여분의 치실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사용상태도로서, 태그간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사용상태도로서, 태그에 치실이 감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사용상태도로서, 태그간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제 1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가 담긴 주머니(10)와, 주머니(10)에 일단이 연결된 치실(20)과, 치실(20)의 타단이 연결된 태그(30)를 구비한다.
주머니(10)는 흡수성이 좋은 면포 또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고, 주머니(10)의 내부에는 녹차, 홍차, 메밀차와 같은 차가 저장된다. 여기서 차는 녹차, 홍차, 메밀차, 둥굴레차와 같은 차의 원료를 말한다. 주머니(10)의 일 측에는 후술할 치실(20)이 결합되어 태그(30)와 연결된다.
종래의 티백에서는 주머니와 태그가 실 또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로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은 주머니(10)와 태그(30)가 치실(20)로 연결된다.
치실(20)은 가는 실을 치아 사이에 넣어 칫솔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 치석, 세균막을 없애는 데 사용된다.
치실(20)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필라멘트, 테플론, 면, 마, 모시, 견섬유, 아크릴,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금속극세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극세사는 금, 은,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레스, 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치실(20)은 재질, 직경의 크기, 왁스의 유무,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치실(20)은 치아 사이가 좁은 경우 직경이 작은 치실(20)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치아 사이가 넓은 경우 직경이 큰 치실(2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치실(20)의 직경은 치실(20)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나일론 소재의 일반 치실(20)의 직경은 0.1mm내외이며, 금속극세사의 직경은 0.02~0.04mm이다.
치실(20)은 일단이 제 1부착부재(21)에 의해 주머니(10)에 부착되고, 타단이 제 2부착부재(22)에 의해 태그(30)에 부착된다.
제 1부착부재(21)와 제 2부착부재(22)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치실(20)이 주머니(10)와 태그(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치실(20)의 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제 1부착부재(21)와 제 2부착부재(22)는 주머니(10)와 태그(30)에 열 가압을 통해 고정되거나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그(30)는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라스틱 및 종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태그(30)는 치실(20)의 타 단이 일 측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로 형성된 몸체(31)와, 치실(20)이 감길 수 있도록 몸체(31)에 형성된 감김유닛(40)을 구비한다.
감김유닛(4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31)에 삼각형상으로 랜싱(lancing) 가공되어 몸체(31)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게 이루어진 다수의 걸림돌기부(42)들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부(42)의 모양과 크기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몸체(31)에 형성된 걸림돌기부(42)를 몸체(31)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굽혀서 걸림돌기부(42)가 몸체(31)에 돌출되게 한 다음 돌출된 걸림돌기부(42)에 치실(20)을 감아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되는 태그를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태그(80)는 몸체(81)와, 감김유닛(40), 결합수단(60)을 구비한다.
몸체(81)와 감김유닛(40)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결합수단(60)의 일 예는 접착층(61)이다. 접착층(61)은 몸체(8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제습 접착제를 칠한 다음 건조시켜 형성하게 된다. 접착층(61)의 모양과 크기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습 접착제는 아라비아고무를 물에 녹인 수용액과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형성되며, 건조한 접착면을 물로 적시거나 침을 묻혀 접착성을 회복시킨 후 사용하게 된다. 결합수단(60)은 접착층(61)외에도 양면테이프 등과 같이 다양한 접착부재나 접착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61)에 의해 다수의 태그(80)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어서 치실(20)이 감긴 태그(80)의 보관시에 매우 유용하다. 차를 마실 때마다 하나씩 발생되는 태그(80)를 각각 따로 보관하게 되면 관리가 어렵고 분실의 위험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차를 마실 때마다 하나씩 발생되는 태그(80)를 미리 보관하고 있던 태그의 후면에 부착하여 다수를 겹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접착층(61)은 다수의 태그(80)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 외에도 단일의 태그(80)를 욕실의 벽면이나 거울 등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61)이 몸체(81)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81)의 후면에 설치된 접착층(61)의 건조된 접착면에 물이나 침을 묻혀 접착성을 회복시킨 후 몸체(81)의 후면을 욕실의 벽면이나 거울 등에 가압하여 태그(80)를 부착시킨다. 태그(80)를 욕실의 벽면이나 거울 등에 부착시킨 후 사용자는 감김유닛(40)에 감긴 치실(20)을 풀어 적당한 길이로 잘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제 3실시예에 적용된 태그를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3을 참조하면, 태그(90)는 몸체(91)와, 감김유닛(50)과, 결합수단(60)을 구비한다.
몸체(91)와 결합수단(60)은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감김유닛(50)은 치실(20)이 감길 수 있도록 몸체(91)의 단부에 몸체(9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축소부(51)와, 축소부(51)에 감긴 치실(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축소부(51)의 단부에 축소부(5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확장부(52)가 형성된다.
즉, 감김유닛(50)은 축소부(51)에 감긴 치실(20)의 양 측면이 축소부(5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치실(20)의 양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치실(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제 4실시예에 적용된 태그를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 4를 참조하면, 태그(100)는 몸체(101)와, 감김유닛(40)과, 결합수단(70)을 구비한다.
몸체(101)와 감김유닛(40)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결합수단(7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몸체(101)의 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연결부(71)와, 연결부(71)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몸체(101)에 형성된 삽입홈부(73)에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72)가 형성된다.
결합수단(70)은 삽입부(72)가 삽입홈부(7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태그(100)들의 삽입홈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수단(70)은 몸체(101)와 다수의 태그의 몸체가 감김유닛(40)의 두께에 의해 하방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수단(70)에 의해 다수의 태그(100)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어서 치실(20)이 감긴 태그(100)의 보관시에 매우 유용하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실이 부착된 티백의 작용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치실이 부착된 티백은 차가 담긴 주머니(10)에서 차를 다 우려내면, 주머니(10)와 치실(20)을 분리하여 주머니(10)를 버린다. 이때, 주머니(10)와 치실(20)은 가볍게 힘을 주어 당기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치아에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 치실(20)을 사용하거나 치실(20)을 감김유닛(40)에 감아서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서 그때 그때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실이 부착된 티백은 주머니(10)를 치실(20)로 연결하여 티백의 사용 후에 별도로 치실(20)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치실(20)을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여분의 치실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주머니
20: 치실
30: 태그
40: 감김유닛
60: 결합수단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차가 담긴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일단이 연결되며,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실과;
    상기 치실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는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치실이 일 측에 결합된 몸체와;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감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김유닛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이 부착된 티백.
  4. 차가 담긴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일단이 연결되며,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실과;
    상기 치실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는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치실이 일 측에 결합된 몸체와;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감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김유닛은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에 상기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축소부와;
    상기 축소부에 감긴 상기 치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축소부의 단부에 상기 축소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이 부착된 티백.
  5. 삭제
  6. 차가 담긴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에 일단이 연결되며,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실과;
    상기 치실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는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치실이 일 측에 결합된 몸체와;
    상기 치실이 감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감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인접한 태그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이 부착된 티백.
  7. 삭제
KR1020150126131A 2015-09-07 2015-09-07 치실이 부착된 티백 KR10175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31A KR101759119B1 (ko) 2015-09-07 2015-09-07 치실이 부착된 티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31A KR101759119B1 (ko) 2015-09-07 2015-09-07 치실이 부착된 티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60A KR20170029160A (ko) 2017-03-15
KR101759119B1 true KR101759119B1 (ko) 2017-07-18

Family

ID=5840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131A KR101759119B1 (ko) 2015-09-07 2015-09-07 치실이 부착된 티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2Y1 (ko)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265B1 (ko) 2006-04-21 2007-12-12 나동훈 티백 패키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2Y1 (ko) 2005-09-26 2005-12-14 김종대 치실 겸용 이쑤시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60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051A (en) Flossing kit
US6062233A (en) Disposable toothbrush system
TWM334697U (en) Clean supply having cleaner and frame body
KR20200076673A (ko) 구강 세정용 세정 슬리브
US20190183617A1 (en) Interdental cleaner
JP2004511295A (ja) デンタルフロスホルダ
KR101759119B1 (ko) 치실이 부착된 티백
TW200819113A (en) Interproximal space cleaning tape
JP6524140B2 (ja) 歯間清掃具
CN212879648U (zh) 牙线器
US1439076A (en) Floss carrier
JP2012152329A (ja) 綿棒
EP1132021A1 (en) Finger toothbrush
JP6537555B2 (ja) 歯磨き具
JP3128400U (ja) 歯間磨き具
KR101821278B1 (ko) 복수의 치실을 가지는 치간 세정도구
US20180279764A1 (en) Combination toothbrush and dental floss dispenser
JPH0856966A (ja) 携帯用歯の清掃具
KR101020097B1 (ko) 일회용 치아 세정도구
JP6133058B2 (ja) タンポン包装構造
KR200467022Y1 (ko) 골무형 칫솔
JP3164816U (ja) ラップフィルム引出具
KR101369986B1 (ko) 치약걸이 장치
KR20170066972A (ko) 일회용 치실장치
JP3195980U (ja) たわし及びたわし連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