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728B1 -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728B1
KR101758728B1 KR1020150128833A KR20150128833A KR101758728B1 KR 101758728 B1 KR101758728 B1 KR 101758728B1 KR 1020150128833 A KR1020150128833 A KR 1020150128833A KR 20150128833 A KR20150128833 A KR 20150128833A KR 101758728 B1 KR101758728 B1 KR 10175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obic silica
oil
self
mix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817A (ko
Inventor
홍은영
이화영
이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온
Priority to KR102015012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728B1/ko
Priority to PCT/KR2016/008773 priority patent/WO2017043774A1/ko
Publication of KR2017003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수성 실리카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면서 자가 탄성 복원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큰 힘을 가해도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모양으로 다시 복원되며, 작은 힘을 가할 때에는 탱탱한 질감을 가져 제품 사용에 흥미를 가지도록 하며, 소수성 실리카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분산된 색소 및 마이카 성분을 반복적인 유동성 분산 공정으로 진행함으로써, 에스터 오일에 소수성 실리카 포집력을 향상시키면서 제형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형을 안정화하였으며, 색소의 분산력을 높이면서 색상 발현이 우수하고,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는 소수성 실리카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향상시켜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부드럽고 지속성이 우수한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소수성 실리카 5 내지 40 중량%, 오일 30 내지 94.85 중량%, 색소 및 마이카 0.05 내지 15 중량%, 필름형성제 0.05 내지 5 중량%, 보습제 0.0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자가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하면서 동시에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실리카, 폴리메칠셀세스퀴옥산과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 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카 디메칠 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일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집하는 것으로,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스터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디헵타노에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70 내지 95 ℃로 유지하면서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1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오일 베이스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40 내지 8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 및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3 혼합물에 보습제 및 필름형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Makeup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self elastic restoring containing hydrophobic silica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수성 실리카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면서 자가 탄성 복원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큰 힘을 가해도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모양으로 다시 복원되며, 작은 힘을 가할 때에는 탱탱한 질감을 가져 제품 사용에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성 실리카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분산된 색소 및 마이카 성분을 반복적인 유동성 분산 공정으로 진행함으로써, 에스터 오일에 소수성 실리카 포집력을 향상시키면서 제형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형을 안정화하였으며, 색소의 분산력을 높이면서 색상 발현이 우수한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는 소수성 실리카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향상시켜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부드럽고 지속성이 우수한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연출시키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얼굴 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된다. 베이스 메이크업에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입술용 화장품,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이 갖추어야 할 조건들은 피부에 도포되기 때문에 눈에 대한 자극이 없어야 하며, 건조 속도가 빨라 도포 직후에 묻어남이 없어야 하고,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가루 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리며, 사용시 부담감이 없고, 미생물에 대한 오염가능성이 적으며, 세안 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일 예로, 화장품에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77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분함유 피부유연화 중합체 0.1 내지 50 중량부, 수용성 성분 1 내지 70 중량부, 및 오일 성분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수용성 성분들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피부에 도포 시 촉촉하고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수용성 성분의 친수성 성질과 색소의 소수성의 성질로 인해 수용성 성분과 색소의 분산력이 낮아져 선명한 색상이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수용성 성분의 증발속도가 빨라져 피부에서 쉽게 건조감을 느끼게 하며, 색상유지 및 지속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953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수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분과, 분산안정제를 가지며 유화제나 보습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분산형 첨가제와, 입도가 1 내지 200 ㎛인 저차산화티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산안정제는 잔탄검이나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중 어느 하나이며, 유화제는 솔비탄모놀레이트이며,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수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친수성 수분산 폴리머인 잔탄검 또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수분산 제형을 겔(gel) 상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수용성 성분과의 분산성이나 제형 안정성의 문제를 최소화시키고, 점도 변화가 적으며, 수용성 성분의 증발속도를 느리게 하여 피부에서 건조감을 쉽게 느끼지 못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친수성 수분산 폴리머가 포함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겔(gel) 상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소비자가 손가락이나 주걱을 사용하여 상기 제형을 떠내서 사용하면 화장품을 떠낸 자국이 그대로 남아있게 되는데 소비자는 화장품을 떠낸 자국이 없어져 항상 새로운 화장품을 사용하는 듯한 느낌을 받기를 기대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불만이 팽배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화장품을 떠낸 자국이 없어지는 것과 같은 자가 탄성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얻지 못하여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친수성 수분산 폴리머는 염의 농도나 pH에 의해 겔화력의 차이를 보이거나, 중화단계를 거쳐야 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친수성 수분산 폴리머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때밀림 현상의 발생과 사용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잔탄검은 양배추의 엽소병 원인균인 잔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균을 사용하여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폴리머로서 균질한 원료를 얻기가 힘들며, 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잔탄검을 수화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 pH가 낮아질수록 수화에 방해를 받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카르복시비닐폴리머는 겔화를 시키기 위해 중화 과정을 거쳐야만 하며, 염의 농도가 증가할 때 겔화력이 약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수성 실리카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면서 자가 탄성 복원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큰 힘을 가해도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모양으로 다시 복원되며, 작은 힘을 가할 때에는 탱탱한 질감을 가져 제품 사용에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성 실리카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분산된 색소 및 마이카 성분을 반복적인 유동성 분산 공정으로 진행함으로써, 에스터 오일에 소수성 실리카 포집력을 향상시키면서 제형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형을 안정화하였으며, 색소의 분산력을 높이면서 색상 발현이 우수한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는 소수성 실리카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향상시켜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부드럽고 지속성이 우수한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소수성 실리카 5 내지 40 중량%, 오일 30 내지 94.85 중량%, 색소 및 마이카 0.05 내지 15 중량%, 필름형성제 0.05 내지 5 중량%, 보습제 0.0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자가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하면서 동시에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실리카, 폴리메칠셀세스퀴옥산과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 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 폴리머 및 실리카 디메칠 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집하는 것으로,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스터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디헵타노에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70 내지 95 ℃로 유지하면서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1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오일 베이스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40 내지 8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 및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3 혼합물에 보습제 및 필름형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소수성 실리카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면서 자가 탄성 복원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큰 힘을 가해도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모양으로 다시 복원되며, 작은 힘을 가할 때에는 탱탱한 질감을 가져 제품 사용에 흥미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소수성 실리카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분산된 색소 및 마이카 성분을 반복적인 유동성 분산 공정으로 진행함으로써, 에스터 오일에 소수성 실리카 포집력을 향상시키면서 제형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형을 안정화하였으며, 색소의 분산력을 높이면서 색상 발현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는 소수성 실리카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향상시켜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부드럽고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자가 탄성 복원력 현상을 관측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자가 탄성 복원력 현상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소수성 실리카가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포집되면서 자가 탄성 복원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큰 힘을 가해도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모양으로 다시 복원되며, 작은 힘을 가할 때에는 탱탱한 질감을 가져 제품 사용에 흥미를 가질 수 있으며, 제형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형을 안정화하였고, 색소의 분산력을 높이면서 색상 발현이 우수하며,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향상시켜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부드럽고 지속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자가 탄성 복원력 현상을 관측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자가 탄성 복원력 현상을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소수성 실리카 5 내지 40 중량%, 오일 30 내지 94.85 중량%, 색소 및 마이카 0.05 내지 15 중량%, 필름형성제 0.05 내지 5 중량%, 보습제 0.0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자가 탄성 복원이 이루어지게 하는 원료로, 상기 자가 탄성 복원은 도 1 내지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제형이 변형되지만 빠른 시간 안에 스스로 처음 상태로 복원되는 가역적인 반응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반응을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손가락, 화장주걱, 퍼프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떠내서 피부에 펴바르면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서 변형이 되다가 스스로 처음 상태로 복원되는 탄력이 발생되어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실리카, 폴리메칠셀세스퀴옥산과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 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 폴리머 및 실리카 디메칠 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 폴리머는 단량체인 비닐디메치콘, 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가 중합하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상기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 폴리머는 단량체인 디페닐디메치콘, 비닐디페닐디메치콘, 실세스퀴옥산크로스가 중합하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5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를 함유한다.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자가 탄성 복원력이 감소되어 빠른 시간 안에 자가 복원을 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탱탱한 질감을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40 중량% 초과이면 오일과의 분산력이 감소되어 제형의 뭉침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오일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집하는 것으로, 에스터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스터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디헵타노에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30 내지 94.85 중량%를 함유한다. 오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소수성 실리카의 포집력이 낮아져 자가 탄성 복원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94.85 중량 초과이면 소수성 실리카, 색소 및 마이카의 분산력이 떨어져 제형의 안정화를 이룰 수 없고,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색소 및 마이카는 피부에 다양한 색상으로 색조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색소 및 마이카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5 내지 15 중량%를 함유한다. 색소 및 마이카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선명한 색상이 발현이 되지 않아 색상을 발현하기 위해 피부에 여러 번 도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15 중량% 초과이면 오일과의 분산력이 낮아져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가 층 분리 현상이 나타나면서 제형의 불안정화가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필름형성제는 피부에 얇은 필름막을 형성하게 하여 묻어남을 방지하고,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클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단량체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가 중합하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상기 필름형성제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5 내지 5 중량%를 함유한다. 필름형성제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피부에 얇은 필름막을 형성하지 못해 화장료 조성물이 쉽게 묻어나고 지속성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고, 5 중량% 초과이면 점도가 증가하여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쉐어버터, 무르무르버터,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5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다. 보습제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피부에 충분한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없어 쉽게 건조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 초과이면 유상 성분이 증가되어 피부에 번들거림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입술용 화장품 또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70 내지 95 ℃로 유지하면서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1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오일 베이스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40 내지 8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 및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3 혼합물에 보습제 및 필름형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70 내지 95 ℃로 유지하면서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0)은 선명한 색상의 발현을 위해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를 혼합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한다. 색소 및 마이카를 오일과 먼저 혼합을 하는 것은 색소 및 마이카의 분산력을 향상시키면서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는 3,000 내지 5,000 rpm으로 10 내지 20 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것으로, 3,000 rpm과 10 분 미만이면 분산력이 낮아져 제형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5,000 rpm과 20 분 초과이면 기포가 발생되어 점도를 낮추고 메이크업 화장품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단계(S20) 내지 (S40)은 유동층 분산 공정으로 소수성 실리카를 세 번으로 나누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된 오일 베이스와 소수성 실리카를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것이다.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오일 베이스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40 내지 8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0) 내지 (40)은 소수성 실리카를 세 번으로 나누어서 단계(S10)에서 제조된 오일 베이스와 혼합함으로써, 오일 베이스에 소수성 실리카가 충분하게 포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S20) 내지 (S40)은 200 내지 500 rpm으로 10 내지 30 분 동안 오일 베이스와 소수성 실리카를 교반한다. 교반속도가 200 rpm 미만이고, 교반시간이 10 분 미만이면, 오일 베이스에 소수성 실리카가 충분하게 포집되지 않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자가 탄성 복원 성질을 가질 수 없으며, 교반속도가 500 rpm 초과이고, 교반시간이 30 분 초과이면, 일부의 소수성 실리카가 오일 베이스에 포집되지 않은 채 부유층을 형성하게 되어 제형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S40)까지 진행을 하게 되면 자가 탄성 복원을 가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데, 화장료 조성물에 큰 힘을 가해도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모양으로 다시 복원되며, 작은 힘을 가할 때에는 탱탱한 질감을 가져 제품 사용에 흥미를 가지게 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의 팽창력과 탄성력을 향상시켜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부드럽고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3 혼합물에 보습제 및 필름형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40)에 제조된 제 3 혼합물에 보습제 및 필름형성제를 첨가하여 300 내지 800 rpm으로 5 내지 10 분 동안 교반한다.
교반속도가 300 rpm 미만이고, 교반시간이 5 분 미만이면 보습제와 필름형성제가 단계(S30)에서 제조된 제 3 혼합물과 고르게 교반되지 못하여 제형이 뭉쳐지는 문제가 있으며, 800 rpm 초과이고, 10 분 초과이면, 보습제와 필름형성제의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필름형성제는 피부에 얇은 필름막을 형성하지 못해 화장료가 묻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의 실시예 1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의 실시예 1은 표 1에 기재된 조성물의 함량으로 아래와 같은 제조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S10) : 80 ℃로 유지하면서 오일(②, ③)과, 색소 및 마이카(⑧)를 혼합한 후 3,000 rpm으로 10 분 동안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S20) : 5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오일 베이스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①)의 함량 중 30 중량%를 첨가한 후 400 rpm으로 10 분 동안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30) : 5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①)의 함량 중 30 중량%를 첨가한 후 400 rpm으로 20 분 동안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 5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①)의 함량 중 40 중량%를 첨가한 후 400 rpm으로 30 분 동안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50) : 4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3 혼합물에 보습제(⑥) 및 필름형성제(⑦)를 첨가한 후 500 rpm으로 10 분 동안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의 비교예 1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의 비교예 1은 잔탄검(④)을 함유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표 1에 기재된 조성물의 함량으로 아래와 같은 제조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오일(②, ③) 대신에 잔탄검(④)을 함유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비교예 2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의 비교예 2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⑤)를 함유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표 1에 기재된 조성물의 함량으로 아래와 같은 제조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오일(②, ③) 대신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⑤)를 함유시키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번호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1 SILICA POWDER 16 16 16
2 DICAPRYLYL CARBONATE 30 X X
3 CETYL ETHYLHEXANOATE to 100 X X
4 Xanthan Gum X to 100 X
5 Carboxyvinylpolymer X X to 100
6 MURUMURU BUTTER 2 2 2
7 ACRYLATES-STEAR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1 1 1
8 COLOR & MICA 7 7 7
< 시험예 1 > 오일 성분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평가
시험예 1은 오일 성분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평가하는 것으로,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물에 대하여 20, 30대 여성 50명에게 7 내지 10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사용결과를 비교 평가 하였다.
제형의 자가 탄성 복원력, 안정도, 피부 주름 개선, 색상, 부드러움, 지속성을 관능 평가하였으며, 평가기준은 1(매우 불만족) ~ 10(매우 만족)으로 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형의 자가
탄성 복원력
제형의
안정도
피부 주름
개선
색상 부드러움 지속성
실시예 1 9.8 9.4 9.5 9.3 9.4 9.6
비교예 1 4.6 4.2 4.8 4.1 4.9 4.0
비교예 2 4.1 4.3 3.8 4.2 4.6 3.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잔탄검을 함유한 메이크업 조성물인 비교예 1과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함유한 메이크업 조성물인 비교예 2는 제형의 자가 탄성 복원력이 실시예 1보다 낮았으며, 이로 인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도 실시예 1보다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잔탄검과 카르복시비닐폴리머가 소수성 실리카를 충분하게 포집을 하지 못하여 자가 탄성 복원력이 낮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잔탄검과 카르복시비닐폴리머가 색소 및 마이카, 보습제와 필름형성제와 고르게 분산이 되지 않아 제형의 안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선명한 색상 발현도가 낮아지면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거친 느낌을 받게 하였다.
하지만, 실시예 1은 제형의 자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여 비교예 1 내지 2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월등하게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얇은 필름막이 피부에 코팅되어 지속력을 높여주며, 피부에 도포 시 부드러운 사용감과 선명한 컬러를 유지하고, 장시간 동안 피부의 색상이 묻어나거나 지워짐 없이 깨끗한 화장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2 > 소수성 실리카 함량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평가
시험예 2는 소수성 실리카 함량에 따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2 내지 7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은 표 3에 기재된 함량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는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을 1 중량%로 맞추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은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을 5 중량%로 맞추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는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을 15 중량%로 맞추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는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을 25 중량%로 맞추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은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을 40 중량%로 맞추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은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을 45 중량%로 맞추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번호 성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 SILICA POWDER 1 5 15 25 40 45
2 DICAPRYLYL CARBONATE 30 30 30 30 30 30
3 CETYL ETHYLHEXANOATE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4 MURUMURU BUTTER 2 2 2 2 2 2
5 ACRYLATES-STEAR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1 1 1 1 1 1
6 COLOR & MICA 7 7 7 7 7 7
시험예 2는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에 따라서 자가 탄성 복원력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자가 탄성 복원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 내지 7의 조성물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시험을 하였다.
지름 10 cm, 높이 1 cm인 샬레에 실시예 2 내지 7의 조성물을 반 정도 넣고 스패츌러로 조성물을 떠낸 다음 다시 처음 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시예 2 내지 7의 조성물에 대하여 20, 30대 여성 50명에게 7 내지 10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피부 주름 개선과 탄력도을 관능 평가하였으며, 평가기준은 1(매우 불만족) ~ 10(매우 만족)으로 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시간 측정불가 20 초 28 초 30 초 34 초 100 초
피부
주름 개선
5.6 5.9 9.4 9.6 8.5 7.4
탄력도 5.5 5.7 9.5 9.4 8.9 7.9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와 5에서 복원 시간이 빠르며, 탄력도 평가에서 탱탱한 질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피부 주름 개선 효과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이 15 내지 25 중량%일 때 오일에 충분하게 포집되어 자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시예 4 내지 5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떠내서 피부에 펴바르면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서 변형이 되다가 스스로 처음 상태로 복원되는 탄력이 발생되어 실시예 2, 3, 6, 7보다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가 월등하게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실시예 2의 조성물은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이 낮아 묽은 겔상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스패츌러로 조성물을 떠내면 바로 처음 상태로 복원이 되어 복원 시간을 측정할 수 없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처럼 탄성 복원력을 가진 제형으로 구현되지 않았다.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복원 시간이 제일 빨랐지만, 탄성을 가진 제형으로 구현되지만 질감이 매우 말랑말랑하여 피부에 도포 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크게 받지 못하였다.
실시예 6의 조성물은 복원 시간,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탄력도가 실시예 4 내지 5의 조성물만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7의 조성물은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면서 복원 시간이 길어졌고, 탱탱한 질감보다는 단단한 질감을 느끼게 되었지만, 약간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험예 2를 통해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5 내지 40 중량%일 때 자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15 내지 25 중량%일 때가 본 발명에서 최적의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의 범위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1)

  1. 소수성 실리카 5 내지 40 중량%, 오일 30 내지 94.85 중량%, 색소 및 마이카 0.05 내지 15 중량%, 필름형성제 0.05 내지 5 중량% 및 보습제 0.0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오일은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포함하고,
    상기 필름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이고,
    상기 보습제는 무르무르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70 내지 95 ℃로 유지하면서 오일과, 색소 및 마이카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10);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오일 베이스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10 내지 3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최초 소수성 실리카의 함량 중 40 내지 80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제 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40); 및
    4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3 혼합물에 보습제 및 필름형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S10)는 3,000 내지 5,000 rpm으로 10 내지 20 분 동안 교반하고,
    상기 단계(S20) 내지 (S40)은 소수성 실리카가 오일에 충분하게 포집되도록 200 내지 500 rpm으로 10 내지 30 분 동안 교반하며,
    상기 단계(S50)은 300 내지 800 rpm으로 5 내지 10 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28833A 2015-09-11 2015-09-11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33A KR101758728B1 (ko) 2015-09-11 2015-09-11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CT/KR2016/008773 WO2017043774A1 (ko) 2015-09-11 2016-08-10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33A KR101758728B1 (ko) 2015-09-11 2015-09-11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817A KR20170031817A (ko) 2017-03-22
KR101758728B1 true KR101758728B1 (ko) 2017-08-01

Family

ID=5824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833A KR101758728B1 (ko) 2015-09-11 2015-09-11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8728B1 (ko)
WO (1) WO2017043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40B1 (ko) * 2020-03-27 2020-08-06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천연 무기분체 유래의 탄성을 가지는 화장용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449970A (zh) * 2020-04-23 2020-07-28 浙江美雪化妆品有限公司 一种棉花糖丝绒q弹粉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3867A1 (en) * 2010-03-31 2011-10-06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propylsilsesquioxane, a volatile solvent, boron nitride, and silica
KR101269405B1 (ko) 2011-03-11 2013-05-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1769B1 (ko) * 2012-02-07 2014-05-07 한국콜마주식회사 실리콘 겔 및 에스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40004861A (ko) * 2012-07-03 2014-01-14 한국콜마주식회사 휘발성 오일 및 실리콘 레진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6818A (ko) * 2012-08-23 2014-03-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겔 및 비휘발성 분산매를 함유하는 습식성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3867A1 (en) * 2010-03-31 2011-10-06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propylsilsesquioxane, a volatile solvent, boron nitride, and silica
KR101269405B1 (ko) 2011-03-11 2013-05-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817A (ko) 2017-03-22
WO2017043774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446735A (zh) 聚氨酯凝胶组合物及其应用
KR101605813B1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9125116A (zh) 一种透明变色的美颜果冻口红及其制备方法
US20070243151A1 (en) Nonaqueous Gel Compositions
JP6026237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180091370A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58728B1 (ko)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99002A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N105228579A (zh) 化妆品组合物
KR20130001586A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함유한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1421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5052664A (zh) 超持久化妆粉底
CN112006941A (zh) 一种硅油包水的弹性高光眼影及其制备方法
KR20200073760A (ko)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4415B1 (ko) 리포좀화된 헥사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78118A (ja) 粉末化粧料
KR101727028B1 (ko) 무정형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파우더형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65097B1 (ko) 크리즈 생성 방지 및 지속력이 개선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24083A (ko) 섬유상 파이버를 포함하는 분말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7589A (ko)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9320B1 (ko) 탄성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87385A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102557833B1 (ko) 베이스 메이크업 기능을 갖는 캡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91413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