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91B1 -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91B1
KR101758091B1 KR1020160082253A KR20160082253A KR101758091B1 KR 101758091 B1 KR101758091 B1 KR 101758091B1 KR 1020160082253 A KR1020160082253 A KR 1020160082253A KR 20160082253 A KR20160082253 A KR 20160082253A KR 101758091 B1 KR101758091 B1 KR 10175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resonator
microstrip
oscillator
resonator
match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웅세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싸이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싸이트론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86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dielectric resonator
    • H03B5/18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dielectric resonator the active element in the amplifier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 H01P7/082Microstriplin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유전체 공진기 및 마이크로스트립을 포함하는 공진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입력 정합 회로; 및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출력 정합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스트립의 종단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형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OSCILLATOR USING DIELECTRIC RESONATOR}
아래 설명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1)한국공개특허 제2009-0028226호
2)한국공개특허 제2006-0090189호
일반적으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통신 분야에 있어 국부 발진기에 많이 사용된다. 유전체 공진기는 통상 유전율을 크게 한 유전체를 전자계의 내부와 그 근방에 밀폐 되게 집어 넣어 공진기로서 동작시킨 것을 의미한다. 통신 시스템에서 국부 발진기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향(up) 및 하향(down) 변환시킬 때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장치에서 믹서(mixer)의 주파수 변환용 주파수로 이용되는 기준 주파수를 공급하기 위한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 및 위상잡음 특성은 통신 시스템의 전송 품질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변화에 따른 공진주파수 변화가 적고 가격이 저렴하여 안정화를 요구하는 국부발진기의 주파수 결정소자로 많이 사용되는 유전체 공진기와 마이크로스트립을 이용한 12GHz 주파수 발진기의 공진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안정도를 높이는 한편 위상잡음 특성도 우수하게 한 12GHz 대역의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에 있어서, 발진기는, 유전체 공진기 및 마이크로스트립을 포함하는 공진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입력 정합 회로; 및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출력 정합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스트립의 종단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형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진부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제2 마이크로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상기 제2 마이크로스트립 각각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호 형태의 곡선부; 및 서로 평행하고 상기 곡선부와 연결된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기는, 상기 곡선부와 상기 유전 공진기 간의 거리 및 상기 곡선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입력 반사 계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 및 상기 제2 마이크로스트립 각각의 종단은 그라운드 전압 및 저항에 연결되지 않으며, 오픈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 정합 회로는, 상기 입력 정합 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감쇠기; 상기 제1 감쇠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저역 통과 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감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안정도를 높이는 한편 위상잡음 특성도 우수하게 한 12GHz 대역의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선택도가 높고 온도특성 및 잡음특성이 우수한 유전체 공진기를 병렬궤환용으로 구성하여 발진기를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와 공진 회로의 패턴을 변경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발진기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일 실시예로서, 발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서, 유전체 공진기와 마이크로스트립을 이용한 12GHz 주파수 발진기의 회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공진 회로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일 실시예로서, 발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100)는 특정 주파수(예를 들어, 12GHz)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발진기(100)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조정될 수 있다. 발진기(100)는 입력 정합 회로(110), 공진부(120) 및 출력 정합 회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정합 회로(110), 공진부(120) 및 출력 정합 회로(130)는 전자 회로, 전기 회로, 집적 회로, 전자 소자, 자기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정합 회로(110)는 유전체 공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공진부(120)는 유전체 공진기 및 마이크로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는 디스크 형태의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마이크로스트립의 옆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와 마이크로스트립 간의 자기적 결합에 의해 특정 주파수의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의 종단은 유전체 공진기의 형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휘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은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제2 마이크로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제2 마이크로스트립은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근접한 부분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제2 마이크로스트립 각각은, 곡선부와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곡선부는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직선부는 서로 평행하고 곡선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스트립의 직선부와 제2 마이크로스트립의 직선부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마이크로스트립 및 제2 마이크로스트립 각각의 종단은 그라운드 전압 및 저항에 연결되지 않으며, 오픈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곡선부와 유전체 공진기 간의 거리 및 해당 곡선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발진기(100)의 입력 반사 계수가 결정될 수 있다.
출력 정합 회로(130)는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 정합 회로(130)는 제1 감쇠기, 저역 통과 필터(LPF, low pass filter), 제2 감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쇠기는 입력 정합 회로(110)의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쇠기는 종단부의 50Ω 라인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저역 통과 필터는 제1 감쇠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출력되는 주파수의 하모닉(harmonic)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감쇠기는 저역 통과 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발진기(100)의 출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서, 유전체 공진기와 마이크로스트립을 이용한 12GHz 주파수 발진기의 회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공진부와 발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공진부는, Q 값이 크고 온도 안정성 및 주파수 안정성이 뛰어난 유전체 공진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발진부는, 낮은 위상 잡음과 높은 효율을 갖기 위해 트랜지스터(210)의 부성저항을 갖게 하여 궤환시킬 수 있다. 이때, 트랜지스터(210)는 필트로닉(Filtronic)사의 FPD6836-P70 pHEMT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정합 회로는 발진이 시작되기 위해 부성 저항 조건이 되도록 하여 공진기에 의한 발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 정합 회로는 출력 주파수 신호가 잘 출력되도록 임피던스 매칭을 하여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공진부는 마이크로스트립과 유전체 공진기(220)를 포함하여 발진기의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유전체 공진기의 상부에 배치된 튜닝 스크류(tuning screw)를 이용하여 공진 포인트를 조정하여 출력 주파수를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정전압 레귤레이터(230)를 사용하여 +12V를 +5V로 변환하여 트랜지스터(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정전압 레귤레이터의 기능에 Enable 기능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로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220)는 디스크 형태의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220)는 마이크로스트립 옆의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전체 공진기(220)는 선로와 함께 12GHz 주파수의 공진을 유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공진기(220)가 마이크로스트립의 근처에 위치한 경우 유전체 공진기(220)와 라인 사이에 자기적 결합이 일어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은 제1 마이크로스트립, 제2 마이크로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전체 공진기(220)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 제2 마이크로스트립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지스터(210)의 다음단에 감쇠기(240)로서 Pi PAD(Pi type)가 배치될 수 있다. 감쇠기(240)는 임피던스 매칭용으로 종단부의 50Ω 라인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저역 통과 필터(250)를 사용하여 출력되는 주파수의 하모닉을 억제시킬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종단의 감쇠기(260)로서 Pi PAD를 이용하여 원하는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공진 회로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공진부를 나타내는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공진 회로 구성을 알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공진부는 유전체 공진기(310), 스터브(320), 그라운드(ground, 330, 340), 마이크로스트립(350, 3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공진 회로가 설계되어 있는 기판면에 원형의 유전체 공진기(310)가 배치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부채꼴 형태의 스터브(320), 직사각형의 GND(330, 340)와 유전체 공진기(310) 및 GND(330, 340)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제 1 마이크로스트립(350)과 제 2 마이크로스트립(360)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은 50Ω의 λ/2 길이일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기판은 유전율이 3.38이고, 기판의 두께가 0.508mm인 테프론(Teflon)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마이크로스트립(350. 360) 라인 옆에 유전체 공진기(310)를 배치하여 병렬 궤환 발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트랜지스터(transistor)의 게이트(gate)와 드레인(drain) 사이에 유전체 공진기(310)를 두어 궤환 요소로 이용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2개의 마이크로스트립(350, 360) 라인의 종단은 그라운드(330, 340)와 연결되지 않으며, 50Ω 저항이 그 종단에 연결되어 있지도 않으며 오픈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트랜지스터는 그라운드(330, 3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는 2개의 마이크로스트립(350, 360) 라인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마이크로스트립(350, 360) 라인의 종단은 원통형의 유전체 공진기(210)의 모양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원형 모양으로 휘어져 있을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350, 360)과 유전체 공진기(310) 사이의 간격과 길이는 입력 반사 계수, 삽입 손실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는 간격과 길이의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입력 반사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에서 마이크로스트립(350, 360)과 유전체 공진기(310) 사이의 간격은 1.0mm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에서 마이크로스트립(350, 360)과 유전체 공진기(310) 사이에서 마주 보는 부분의 길이 또는 마이크로스트립(350, 360)의 곡선부는 7.615mm 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의 유전체 공진기(310)는 디스크 형태의 공진기일 수 있다. 이때, 유전율은 35.5이고, 지름은 4.826mm이고, 두께는 2.286mm이고, 공진 주파수는 12GHz이고, Q 값은 4000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발진기
110: 입력 정합 회로
120: 공진부
130: 출력 정합 회로

Claims (5)

  1.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에 있어서,
    유전체 공진기 및 마이크로스트립을 포함하는 공진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입력 정합 회로;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출력 정합 회로; 및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진 포인트를 조정하여 출력 주파수를 미세 조정하는 튜닝 스크류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스트립의 종단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형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진부는,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제2 마이크로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상기 제2 마이크로스트립 각각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호 형태의 곡선부; 및
    서로 평행하고 상기 곡선부와 연결된 직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과 상기 제2 마이크로스트립은 그라운드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곡선부와 상기 유전체 공진기 간의 거리 및 상기 곡선부의 길이에 기초하여 입력 반사 계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스트립 및 상기 제2 마이크로스트립 각각의 종단은 그라운드 전압 및 저항에 연결되지 않으며, 오픈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합 회로는,
    상기 입력 정합 회로의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감쇠기;
    상기 제1 감쇠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저역 통과 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감쇠기
    를 포함하는 발진기.
  4. 삭제
  5. 삭제
KR1020160082253A 2016-06-30 2016-06-30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 KR10175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53A KR101758091B1 (ko) 2016-06-30 2016-06-30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53A KR101758091B1 (ko) 2016-06-30 2016-06-30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091B1 true KR101758091B1 (ko) 2017-07-17

Family

ID=5944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253A KR101758091B1 (ko) 2016-06-30 2016-06-30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648A (ja) * 2000-02-03 2001-08-10 Sharp Corp 誘電体共振発振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648A (ja) * 2000-02-03 2001-08-10 Sharp Corp 誘電体共振発振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833B2 (en) Integrated solid state microwave power generation modules
Guo et al. A miniaturized eighth-mode substrate-integrated waveguide filter with both tunable center frequency and bandwidth
JP4242287B2 (ja) 高電力可変スライドrf同調
US20100188169A1 (en) Reactance Varying Device
KR20130118826A (ko) 마이크로웨이브 어댑터 및 관련된 발진기 시스템
US9705170B2 (en) Switchable band-pass filter
US6798319B2 (en) High-frequency filter
US20060170514A1 (en) Monolithically integrated switchable circuits with MEMS
KR101758091B1 (ko)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
US20180152154A1 (e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6614329B1 (en) Radio frequency/microwave/millimeterwave filter
RU2670216C1 (ru) Планарный поляризационный селектор
KR20070075936A (ko) Sir형 밴드패스필터
JP2007142977A (ja) チューナブルアンテナ及びその制御方法
JP4533987B2 (ja) 周波数変換方法及び周波数変換器
WO2006085470A9 (ja) 負性抵抗入力増幅回路及び発振回路
JP3833261B2 (ja) 差動回路の分布素子
CN110661491B (zh) 电压控制振荡器、带通滤波器、以及信号产生方法
JP4936389B2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線路共振器およびマイクロ波発振器
JP4772617B2 (ja) 高周波発振器
JP2001217648A (ja) 誘電体共振発振回路
JP2007135007A (ja) 発振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通信装置
Ali et al. Design of a 1 GHz power amplifier with high output gain for antenna measurement trainer system
JP2007006063A (ja) 平衡信号処理装置
Pang A self-oscillating active filtering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