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460B1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7460B1 KR101757460B1 KR1020100064390A KR20100064390A KR101757460B1 KR 101757460 B1 KR101757460 B1 KR 101757460B1 KR 1020100064390 A KR1020100064390 A KR 1020100064390A KR 20100064390 A KR20100064390 A KR 20100064390A KR 101757460 B1 KR101757460 B1 KR 1017574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power supply
- switching unit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전원공급장치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직류 전압을 전원공급장치의 제1 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전압 출력부,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전원공급장치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전원공급장치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가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변환하여, 전자 제품을 동작 가능하게 하는 정전압을 출력한다. 전자 제품이 일정 시간 동안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 전자 제품은 전원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에 진입하게 된다. 전원절약 모드에서 전자 제품의 일부 기능은 동작이 보장되어야 하기에,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는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에, 전원절약 모드에서 전원공급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에서 돌입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1 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전압 출력부; 및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전압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전압 출력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cover)가 오픈(open)된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보다 상기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출력전압 및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제1 출력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시스템; 및 상기 제2 출력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고,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보다 상기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출력전압 및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출력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보다 상기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상기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르면, 전원공급장치에서 돌입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에서 대기전력을 감소시키고,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출력전압 출력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출력전압 출력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변환부(110), 제1 출력전압 출력부(120) 및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로 구성되고,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는 제1 스위칭부(131), 제2 스위칭부(132), 지연부(133) 및 방향성 소자(134)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100)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공급장치(100)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독취장치,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 PC(Personal Computer), 팩시밀리, TV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변환부(110)는 전원공급장치(100)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즉, 변환부(110)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고, 정류된 전압은 스위칭된 후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통과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변환부(110)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기 위하여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 소자(미도시)와 정류된 전압을 평활 하는 평활 소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정류 소자는 다이오드(diode)를 사용한 브리지(bridge) 회로를 채용할 수 있으며, 평활 소자는 커패시터(capacitor)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변환부(110)는 정류된 전압을 트랜스포머에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제어부는 PWM(Pulse-Width Modulation) IC(Integrated Circuit)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변환부(110)는 스위칭된 전압을 전원공급장치(100)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랜스포머는 코일의 유도작용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한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10)는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스위칭된 전압을 전원공급장치(100)의 제1 출력전압 및 제2 출력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환부(110)에 대하여 알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출력전압 출력부(120)는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을 전원공급장치(100)의 제1 출력전압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1 출력전압은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마이컴)을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약 5 Volt 또는 약 3.3 Volt의 직류 전압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는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을 전원공급장치(100)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2 출력전압은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약 24 Volt의 직류 전압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부는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단계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2 출력전압 출력부(130)는 제1 스위칭부(131), 제2 스위칭부(132), 지연부(133) 및 방향성 소자(13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131)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cover)가 오픈(open)된 경우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전원공급장치(100)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스위칭부(131)는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스위칭부(131)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클로즈(open/close)됨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메커니컬 스위치(mechanical switch)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커니컬 스위치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또는 릴레이(relay)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고 본체의 내부를 보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부재(member)를 의미한다.
이처럼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제1 스위칭부(131)가 오프(off)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지 않게 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모터, 현상유닛, 고압전원장치(HVPS: High Voltage Power Supply) 등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고압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인 경우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전원공급장치(100)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절약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원절약 모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전원절약모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전원공급장치(100)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제2 스위칭부(132)는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transistor) 또는 모스펫(MOSFET)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절약 모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오프(off)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의 출력이 차단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대기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출력전압 출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마이컴)의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위칭부(132)는 제1 스위칭부(131)보다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원절약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칭부(132)가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폐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칭부(131)의 후단에 위치한다. 즉, 직류 전압이 출력되는 변환부(110) 측에 제1 스위칭부(131)가 위치하고,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단자 측에 제2 스위칭부(13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단자 측은 화상형성장치의 부하 측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1311)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에서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가 되면 오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부(131)는 메커니컬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기에, 제2 스위칭부(132)의 온/오프 동작과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132)가 오프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제1 스위칭부(131)가 오프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은 제1 스위칭부(131)와 제2 스위칭부(132) 사이의 지점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1311)를 입력받아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131)가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단자 측에 위치하고, 제2 스위칭부(132)가 직류 전압이 출력되는 변환부(110) 측에 위치하게 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전원절약 모드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폐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위칭부(132)가 제1 스위칭부(131)보다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절약 모드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상기 커버가 클로즈 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레디(ready) 상태로 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디 상태라 함은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연부(133)는 제2 스위칭부(132)의 턴-온(turn on) 시간을 지연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연부(133)는 전하를 충전하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온되면,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에 의하여 제2 스위칭부(132)에 인가되는 전압이 완만하게 변화하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는 제2 스위칭부(132)가 급격하게 턴-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방향성 소자(134)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방향성 소자(134)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전하를 통과시키는 다이오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방향으로만 전하를 통과시키는 사이리스터(thyristor) 또는 트라이악(Triode AC Switch: TRIAC)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리스터 또는 트라이악은 게이트(gate) 단자에 온(on)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방향성 소자(134)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소자(134)의 일 예인 다이오드는 쇼트키다이오드(Schottky Diode),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제너다이오드(Zener Diode), TVS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 등을 모두 포함함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이 제2 스위칭부(132)에 인가되지 않기에, 제2 스위칭부(132)도 턴-오프된다. 이때, 제2 스위칭부(132)는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오프된 후,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른 시간 이후에 턴-오프된다.
다만,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은 제2 스위칭부(1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스위칭부(132)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턴-온/턴-오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히 방전되지 않은 시점에서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온되면, 즉,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히 방전되지 않은 시점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클로즈되면, 제2 스위칭부(132)가 급격하게 턴-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inrush current)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돌입전류라 함은 스위치가 온 되는 순간 또는 과도적으로 정상 상태보다 크게 흐르는 전류를 의미한다.
즉, 제1 스위칭부(131) 및 제2 스위칭부(132)가 모두 턴-오프된 후, 제1 스위칭부(131)가 소정의 시간 이내에 턴-온되는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inrush current)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은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가 출력될 경우, 제1 출력전압 출력부(120)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전압의 전압 강하를 유발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리셋(reset)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0)에서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오프되면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는 방향성 소자(134)에 의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빠른 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 경우에도,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돌입전류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향성 소자(134)에 의하여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빠른 시간 내에 방전됨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는 제1 스위칭부(131), 제2 스위칭부(132), 지연부(133), 방향성 소자(134)로 구성되고, 제2 스위칭부(132)는 트랜지스터(transistor)(1321) 및 모스펫(MOSFET)(1322)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는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1301) 및 전원절약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1302) 및 저항(1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칭부(132)는 제1 스위칭부(131)보다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1301)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1311)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커버의 개폐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이기에 제2 스위칭부(132)가 오프상태인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1311)을 이용하여 커버의 개폐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에도 커버의 개폐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 동작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칭부(131)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턴-오프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제1 스위칭부(131)의 일 실시예인 메커니컬 스위치의 접점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제1 스위칭부(131)는 전원공급장치(100)의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132)는 제1 스위칭부(131)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턴-온/턴-오프되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턴-온/턴-오프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는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칭부(132)는 트랜지스터(1321) 및 모스펫(1322)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1321)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온/오프되고, 모스펫(1322)은 트랜지스터(132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온/오프된다. 또는, 제1 스위칭부(131)를 통하여 모스펫(1322)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모스펫(1322)은 온/오프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원절약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1302)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원절약 모드임을 나타내는 신호(예를 들어, 로우(low) 신호)를 입력 받는다. 단자(1302)로 전원절약 모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1321)는 턴-오프되고, 이에 따라, 모스펫(1322)이 턴-오프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화상형성장치는 트랜지스터(1321)를 턴-오프시키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로우(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1321)는 이러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턴-오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스펫(1322)이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를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제1 스위칭부(131)가 오프된다. 이에 따라,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는 시간, 또는 모스펫(1322)의 소스 전압(1323)가 게이트 전압(1324)의 차가 임계전압 이하로 되는 시간 이후에 모스펫(1322)이 오프된다. 이때, 트랜지스터(1321)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으나, 사용환경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트랜지스터(1321)를 턴-오프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온되는 경우, 갑작스럽게 모스펫(1322)이 턴-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위칭부(132)는 전원공급장치(100)의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클로즈되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트랜지스터(1321)를 턴-온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스펫(1322)이 턴-온되기에,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를 레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00)의 제1 스위칭부(131) 및 제2 스위칭부(132)가 모두 온 상태인 경우, 지연부(133)에는 전하가 충전된다. 이때,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오프되면,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는 저항(1303) 및 방향성 소자(134)에 의하여 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오프되면, 제2 스위칭부(132)의 모스펫(1322)의 게이트 전압(1324)은 지연부(133)의 AC 커플링 현상에 의하여 급격하게 전압이 강하된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오프되면, 모스펫(1322)의 게이트 전압(1324)은 기준 그라운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유지될 수 있다. 모스펫(1322)의 게이트 전압(1324)이 기준 그라운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유지되기에, 방향성 소자(134)에 의하여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는 빨리 방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급격하게 클로즈됨에 따라, 제1 스위칭부(131)도 급격하게 턴-오프/턴-온된다. 즉, 제1 스위칭부(131)가 턴-온되면, 모스펫(1322)의 소스 전압(1323)에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은 제2 출력전압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제1 스위칭부(131)의 턴-온작용에 따라, 모스펫(1322)의 소스 전압(1323)에 24 Volt가 인가된다. 이때, 게이트 전압(1324)에 기준 그라운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유지되기에, 방향성 소자(134)의 에노드(anode)에서 캐소드(cathode)를 통하여 그라운드에서 게이트 전압(1324)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모스펫(1322)의 게이트 전압(1324)의 전압 레벨이 방향성 소자(134)의 순방향 전압강하(예를 들면, -0.7 Volt)까지만 떨어진 후 그라운드 레벨로 빠르게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향성 소자(134)에 의하여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빠른 시간 내에 방전될 수 있고, 이는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돌입전류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리셋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전압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이 안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1325)를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스위칭부(132)의 모스펫(1322)의 소스 전압(1323) 단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가 클로즈된 후 제2 시간 이후에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 경우, 모스펫(1322)은 상기 커버가 클로즈된 후 제2 시간 이후에 턴-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간은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의 합은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상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은 모스펫(1322)의 소스 전압(1323)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인지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 되었다가 제1 시간 후에 클로즈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시스템은 트랜지스터(132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에 제2 시간만큼 딜레이(delay)를 줄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 되었다가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기 전에 클로즈 되는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지연부(133)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된 이후에 제2 스위칭부(132)가 턴-온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돌입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2에 도시된 제2 출력전압 출력부(130)에 대하여 알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100)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2에 기재된 설명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 원리에 관하여 알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0)는 하나의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출력을 구현한다. 이처럼 하나의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의 소형화가 보장되고, 또한,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나,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가 발생함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전압 출력부(120)는 피드백(Feedback) 제어부(121)를 이용하여 변환부(110)의 PWM IC(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원절약 모드에서도 제1 출력전압 출력부(120)는 정상동작하기에, 전원절약 모드에서 변환부(110)의 PWM IC(111)는 피드백 제어부(121)를 통하여 스위칭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피드백 제어부(121)는 PWM IC(111)의 듀티 비(Duty Ratio)를 늘려야 한다. 즉, 피드백 제어부(121)는 PWM IC(111)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이 온(on) 상태가 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듀티 비가 증가하도록 PWM IC(11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하지만, 돌입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피드백 제어부(121)에 의한 제어가 수행되기 이전에, 제1 출력전압의 전압 강하가 발생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시스템 리셋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0)는 방향성 소자(134)를 통하여 전원공급장치(100)에서 돌입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시스템 리셋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화상형성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전원공급장치(100), 메인 시스템(21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저장부(240), 화상 형성부(250), 팩스부(260), 전송기능 수행부(27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전원공급장치(1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에, 도 1 내지 도 3에서 기재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100)는 제1 출력전압 및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즉,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제2 출력전압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100)의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키고,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전원공급장치(100)의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킨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를 방향성 소자를 이용하여 방전시킨다.
메인 시스템(210)은 전원공급장치(100)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제1 출력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200)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0)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메인 시스템(210)은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클로즈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를 레디(ready) 모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0)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200)커버의 개폐여부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클로즈되면 화상형성장치(200)가 레디 모드로 전환되게 할 수 있기에,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스템(210)은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의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상기 커버가 클로즈된 후 제2 시간 이후에 턴-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내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의 합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0)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 전원공급장치(100)는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지 않기에 화상형성장치(200)의 대기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00)에 마련된 방향성 소자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된 후 급격하게 클로즈되더라도 화상형성장치(200)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시스템(210)은 화상형성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에 따라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이동식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외부장치는 화상형성장치(200)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장치로서 팩시밀리, 컴퓨터 시스템, 모바일,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서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터치 화면, 모니터,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부(24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인쇄데이터, 스캔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화상 형성부(250)는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출력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고, 작업대상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팩스부(260)는 작업대상 팩스데이터의 팩스 전송 작업을 수행하고, 전송기능 수행부(270)는 작업대상 문서를 서버, 이동식저장매체, 컴퓨터 시스템 등의 외부 장치로의 전송 작업을 수행한다.
도 5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기재된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100) 및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100) 및 화상형성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기재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5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제2 출력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131)를 오프시킨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제2 스위칭부(132)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를 방향성 소자(134)를 이용하여 방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칭부(132)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한 전하는 지연부(133)에 충전될 수 있다.
다만, 제2 스위칭부(132)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를 방향성 소자(134)를 이용하여 방전시키는 단계는 501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501 단계 이후 503 단계 이전 중에 수행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502 단계에서 제2 스위칭부(132)는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시스템(21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제어신호는 화상형성장치(200)가 전원절약 모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한다.
503 단계에서 전원공급장치(100)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칭부(132)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100)는 돌입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의 안정성이 보장되고, 또한, 화상형성장치(200)의 대기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0)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전원공급장치(100)는 제1 스위칭부(131)로부터 제2 스위칭부(132)에 인가되는 전압을 참조하여,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되면 제2 스위칭부(132)에는 약 0 Volt의 전압이 인가될 것이고,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클로즈되면 제2 스위칭부(132)에는 제2 출력전압(예를 들면, 약 24 Volt)이 인가될 것이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100)는 제2 스위칭부(132)에 인가되는 전압을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200)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오픈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상기 커버가 오픈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화상형성장치(200)의 커버가 클로즈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상기 커버가 클로즈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상기 커버가 클로즈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면, 화상형성장치(200)의 메인 시스템(210)은 화상형성장치(200)를 레디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0)가 전원절약 모드인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200) 커버 개폐여부를 인지할 수 있음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 효율성이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원공급장치
110 ... 변환부
120 ... 제1 출력전압 출력부
130 ... 제2 출력전압 출력부
131 ... 제1 스위칭부
132 ... 제2 스위칭부
133 ... 지연부
134 ... 방향성 소자
110 ... 변환부
120 ... 제1 출력전압 출력부
130 ... 제2 출력전압 출력부
131 ... 제1 스위칭부
132 ... 제2 스위칭부
133 ... 지연부
134 ... 방향성 소자
Claims (20)
- 화상형성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1 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제1 출력전압 출력부; 및
상기 변환된 직류 전압을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출력전압으로 출력하는 제2 출력전압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전압 출력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cover)가 오픈(open)된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인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보다 상기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turn on)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상기 지연부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향성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클로즈(open/close)됨에 따라 오프/온(off/on)되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또는 릴레이(relay)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가 클로즈된 후 제2 시간 이후에 턴-온되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turn on)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부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모스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펫의 소스 전압 단자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펫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 경우, 상기 커버가 클로즈된 후 제2 시간 이후에 턴-온되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turn on)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부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의 합은 상기 지연부에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 제1 출력전압 및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제2 출력전압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제1 출력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시스템; 및
상기 제2 출력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고, 인쇄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보다 상기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메인 시스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를 방향성 소자를 이용하여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클로즈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레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클로즈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상기 커버가 클로즈된 후 제2 시간 이후에 턴-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의 합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가 완전 방전되는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 출력전압 및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출력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보다 상기 제2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단자에 더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약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 커버의 개폐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오픈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제2 스위칭부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충전된 전하를 방향성 소자를 이용하여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8 항 내지 제 19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390A KR101757460B1 (ko) | 2010-07-05 | 2010-07-05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
US13/080,971 US8923722B2 (en) | 2010-07-05 | 2011-04-06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according to state of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the same |
EP11171131.3A EP2405304B1 (en) | 2010-07-05 | 2011-06-23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using the same |
CN201110185956.XA CN102315771B (zh) | 2010-07-05 | 2011-07-05 | 开关模式电源和使用其提供电力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390A KR101757460B1 (ko) | 2010-07-05 | 2010-07-05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661A KR20120003661A (ko) | 2012-01-11 |
KR101757460B1 true KR101757460B1 (ko) | 2017-07-12 |
Family
ID=4454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4390A KR101757460B1 (ko) | 2010-07-05 | 2010-07-05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923722B2 (ko) |
EP (1) | EP2405304B1 (ko) |
KR (1) | KR101757460B1 (ko) |
CN (1) | CN10231577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040B1 (ko) | 2019-03-29 | 2020-03-06 | 공명국 | 교류 전원 직접 구동 led 조명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9469B1 (ko) * | 2010-11-02 | 2017-08-18 |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US8934796B2 (en) * | 2012-02-15 | 2015-01-13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lective utilization of AC voltage source |
KR102086596B1 (ko) * | 2013-07-03 | 2020-04-14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
JP5932738B2 (ja) * | 2013-09-02 | 2016-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部への電力制御方法 |
TWI571137B (zh) * | 2013-09-05 | 2017-02-11 | 南臺科技大學 | 壓電式平面揚聲器及其製造方法 |
JP6332962B2 (ja) * | 2013-12-25 | 2018-05-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 |
US20180113496A1 (en) * | 2015-05-15 | 2018-04-26 |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 Dynamically changing a power supply voltage to a system |
KR102586012B1 (ko) * | 2016-01-27 | 2023-10-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
KR102446708B1 (ko) | 2016-02-29 | 2022-09-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파 흡수율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KR102519510B1 (ko) | 2016-03-15 | 2023-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율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TWI682272B (zh) * | 2018-06-20 | 2020-01-11 |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 冗餘式電源供應裝置的控制方法 |
KR102110656B1 (ko) | 2018-06-21 | 2020-05-14 |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 마이닝 시스템을 위한 컴퓨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58055B2 (ja) * | 1995-10-12 | 2005-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の電源制御装置 |
JP2006184329A (ja) * | 2004-12-24 | 2006-07-13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KR101248910B1 (ko) * | 2006-08-04 | 2013-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
CN200976549Y (zh) * | 2006-09-22 | 2007-11-14 | 何曙光 | 一种超低功耗待机电路 |
KR101354215B1 (ko) | 2007-02-15 | 2014-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CN101946380A (zh) | 2008-02-14 | 2011-01-12 | 三菱电机株式会社 | 控制中心 |
KR20100058895A (ko) * | 2008-11-25 | 2010-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채널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
CN201383758Y (zh) * | 2009-04-15 | 2010-01-13 | 钱和革 | 间歇式耗电的准零功耗待机控制电路 |
JP5522589B2 (ja) * | 2010-01-21 | 2014-06-18 | 株式会社リコー | 電源装置、電気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
KR101887108B1 (ko) * | 2011-11-21 | 2018-08-10 |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 과전압 차단 기능을 구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과전압 차단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
2010
- 2010-07-05 KR KR1020100064390A patent/KR1017574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4-06 US US13/080,971 patent/US8923722B2/en active Active
- 2011-06-23 EP EP11171131.3A patent/EP240530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1-07-05 CN CN201110185956.XA patent/CN10231577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040B1 (ko) | 2019-03-29 | 2020-03-06 | 공명국 | 교류 전원 직접 구동 led 조명 장치 |
US11856666B2 (en) | 2019-03-29 | 2023-12-26 | Islt Co., Ltd. | Alternating current source direct driving LED ligh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05304A3 (en) | 2016-04-06 |
CN102315771B (zh) | 2016-04-27 |
EP2405304A2 (en) | 2012-01-11 |
CN102315771A (zh) | 2012-01-11 |
US20120002995A1 (en) | 2012-01-05 |
US8923722B2 (en) | 2014-12-30 |
KR20120003661A (ko) | 2012-01-11 |
EP2405304B1 (en) | 2021-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7460B1 (ko)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 |
KR101769130B1 (ko) | 전력 공급 장치, 링크 전압 제어 스위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853350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display, and display with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 |
US20160118900A1 (en) | Power supply adaptor | |
US9083185B2 (en) | Power source device, electronic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source control method | |
KR101653619B1 (ko) |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 |
KR101739053B1 (ko)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
US9172309B2 (en)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usabl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using the same | |
US882418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switch mode power supply configured to reduce standby power consumption | |
US20130129367A1 (en) | Switching-mode power supply (smps) having overvoltage cutoff function, and method of cutting off overvolt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mps | |
KR20070069178A (ko) | 초저전력 대기 전원 | |
KR101649271B1 (ko)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 |
US20110140519A1 (en) | Power supply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computer having such power supply | |
KR101864836B1 (ko) | 화상 형성 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
TW201109908A (en) |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and power management method | |
TW201203818A (en) |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over current protection method thereof | |
KR102086596B1 (ko)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 |
US7667990B2 (en) | Architecture for switching on and off power | |
KR100817104B1 (ko) | Pwm ic 전원제어를 이용한 smps 대기전력절감장치 | |
JP2009291049A (ja) | 電源装置、および電源装置の制御方法 | |
KR102159091B1 (ko) |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의 소프트 스타트 제어 방법 | |
JP5909894B2 (ja) | 電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