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450B1 -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450B1
KR101757450B1 KR1020150156549A KR20150156549A KR101757450B1 KR 101757450 B1 KR101757450 B1 KR 101757450B1 KR 1020150156549 A KR1020150156549 A KR 1020150156549A KR 20150156549 A KR20150156549 A KR 20150156549A KR 101757450 B1 KR101757450 B1 KR 10175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af spring
width
body portion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963A (ko
Inventor
유태호
정수연
이종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이.엔.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이.엔.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에이.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4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 G01G19/1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의 판스프링(60) 상부에 접하며, 상기 판스프링(6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판상몸체부(10)와,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을 검출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를 기준으로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양단측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밴드(70)에 감겨 상기 판스프링(60)에 고정되는 제1고정몸체부(30) 및 제2고정몸체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Loading weight detective apparatus in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판스프링의 형상변화를 검출하여 적재물의 중량을 검출하되, 주행 중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과적운행은 도로 및 교량의 손상의 주요 요인이며,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적재된 화물의 낙하 등의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과적차량의 단속을 위하여 주요 도로의 일부에 과적차량 단속장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이 도로면의 바닥면에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고정식 축중 측정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공사현장이나 물류창고, 항만에도 사설 계근대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식의 시스템은 모든 화물차량을 검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차량 자체에서 화물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들이 제안되었다. 그러한 제안들 중 대부분은 차량의 판스프링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용접하여 부착 고정하는 방법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판스프링에 결합하는 방법들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 중 대표적인 예로서 등록특허 10-1017274호(차량의 하중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2011년 2월 17일 등록)가 있다.
위의 등록특허에는 판스프링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여 화물의 하중에 따라 변형되는 판스프링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화물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하중을 검출하는 방법은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는 정확한 하중의 검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외에 별도로 차량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부가하여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재산출을 해야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지며, 산출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스프링에 기울기 센서를 고정하는 것에 대하여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통상의 접합 또는 결합방법인 용접이나 볼트를 사용하는 고정방법은 판스프링 자체에 열을 가하거나, 체결공을 가공해야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판스프링의 구조변경에 해당되어 위법사항이 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의 복원력을 열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562182호(2015년 10월 20일 등록,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에는 쉽게 부착되며 탄성판의 변형정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판스프링의 곡률을 측정하는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에서는 화물차의 판스프링을 가공하지 않고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법규의 위반에 대한 염려가 없다는 점, 그리고 쉽게 장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판스프링의 상부에 설치하였을 때 자체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화물차의 주행 중에 돌이나 기타 이물이 튀어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주행중 돌이나 이물에 적재중량 검출장치가 충돌하는 경우 센서 자체가 손상되거나, 충격이 심한 경우에는 적재중량 검출장치가 판스프링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가 용이하며, 정확한 적재중량을 검출할 수 있고, 나아가 화물차의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는, 화물차의 판스프링(60) 상부에 접하며, 상기 판스프링(6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판상몸체부(10)와,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을 검출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를 기준으로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양단측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밴드(70)에 감겨 상기 판스프링(60)에 고정되는 제1고정몸체부(30) 및 제2고정몸체부(40)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판상몸체부(10)와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 각각의 폭은, 상기 판스프링(60)의 폭에 비해 더 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판상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스프링(60)의 중앙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치돌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상몸체부(10)의 폭은 상기 판스프링(60)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와 상기 제2고정몸체부(40) 각각의 폭은 상기 판스프링(60)의 폭과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밴드(7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1,4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에는 상기 센서부(20)의 케이블이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는, 화물차의 판스프링에 밀착되며, 박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화물차의 주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과의 충돌 확률을 줄여 파손이나 분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화물차의 주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과의 충돌 확률을 줄여 파손이나 분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는, 박형의 판 구조물이며 화물차의 판스프링 상부에 접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변형되는 판상몸체부(10)와,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상부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을 측정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를 중앙에 두고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상부 양단측에 마련된 제1 및 제2고정몸체부(30,40)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몸체부(30,40) 하부측의 상기 판상몸체부(10)에서 폭방향 측면으로 돌출되어 설치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배치돌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판상몸체부(10)는 화물차의 판스프링에 부착되어 그 판스프링의 휨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휘어지며, 탄성에 의해 복원력을 가져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 재질로 한다.
상기 판상몸체부(10)가 판스프링에 부착된다고 하는 것은, 다층의 판스프링 중 바람직하게 최상층의 판스프링 상부에 접하며, 밴드(도면 미도시)를 상기 제1 및 제2고정몸체부(30,40)와 판스프링에 감아서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을 뜻한다.
판상몸체부(10)는 평면에서 볼 때 폭이 길이 보다 좁은 직사각형이며, 길이 방향이 판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판상몸체부(10)의 폭은 판스프링의 폭보다 좁게 하며, 판상몸체부(10)의 폭방향 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배치돌출부(50)에 의해 본 발명을 판스프링 상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배치돌출부(50)중 상기 판상몸체부(1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두 배치돌출부(50)의 끝과 끝 사이의 거리는 상기 판스프링의 폭과 동일한 것으로 하며, 본 발명을 설치할 때 판스프링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배치돌출부(50)의 끝을 맞춰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치돌출부(50)와 판상몸체부(10)는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판상몸체부(10)는 판스프링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 화물차가 운행할 때 도로의 바닥면에서 튀어 오르는 이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손상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상부 중앙에는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을 측정하는 센서부(20)가 위치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곡률은 화물차에 적재된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변경되는 값이며, 곡률에 따라 적재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부(20)는 실리콘 등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방수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상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측의 상부에는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는 각각 6면체의 형상이며, 각각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밴드가 삽입되는 삽입홈(31,4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31,41)은 밴드를 설치할 위치를 지정할 뿐만 아니라 밴드를 감았을 때 본 발명이 진동 등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에는 상기 판상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두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센서부(20)의 케이블이 관통공(3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이 관통공(32)을 통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주행중 이물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으며, 주행 중 케이블이 진동되어 센서부(20)와의 연결 상태가 끊어질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이며, 각각 화물차에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먼저, 도 4에서는 판스프링(60)의 상부에 본 발명의 판상몸체부(10)가 접하며, 상기 판스프링(60)에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를 각각 밴드(70)로 고정한 상태이며,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여서 판스프링(60)에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곡률이 가장 큰 상태가 된다.
상기 판스프링(60)의 곡률은 그대로 판상몸체부(10)의 곡률로 나타나며,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을 검출하는 센서부(20)의 검출신호를 해석하여 하중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적재물이 최대로 적재된 경우에는 적재물의 하중에 의하여 판스프링(60)의 곡률이 최소가 되며, 그 판스프링(60)의 곡률이 그대로 반영되는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은 센서부(20)에서 검출되고, 상기 센서부(20)의 검출된 곡률을 해석하여 적재물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센서부(20)의 위치가 박형의 판상몸체부(10) 상에 위치하며, 이는 종래에 비하여 센서부(20)의 위치를 대폭 낮추어 화물차의 운행 중에 이물과 충돌할 확률을 매우 희박하게 함으로써, 센서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가 상부에 위치하는 판상몸체부(10)의 폭을 판스프링(60)의 폭보다 좁게 함으로써, 역시 이물과 충돌할 확률을 매우 희박하게 하며, 충돌에 의한 손상이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배치돌출부(50)가 없으며,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의 폭을 판스프링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가 판스프링 상에서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과 작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판상몸체부 20:센서부
30:제1고정몸체부 31:삽입홈
32:관통공 40:제2고정몸체부
41:삽입홈 50:배치돌출부
60:판스프링 70:밴드

Claims (5)

  1. 화물차의 판스프링(60) 상부에 접하며, 상기 판스프링(6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60)의 폭과 동일 또는 더 작은 폭을 가지는 판상몸체부(10)와,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판상몸체부(10)의 곡률을 검출하는 센서부(20)와,
    상기 센서부(20)를 기준으로 상기 판상몸체부(10)의 양단측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밴드(70)에 감겨 상기 판스프링(60)에 고정되는 육면체 형상의 제1고정몸체부(30) 및 제2고정몸체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밴드(70)가 삽입되는 삽입홈(3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몸체부(10)와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와 제2고정몸체부(40) 각각의 폭은, 상기 판스프링(60)의 폭에 비해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몸체부(10)의 폭방향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스프링(60)의 중앙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치돌출부(50)를 더 포함하는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몸체부(10)의 폭은 상기 판스프링(60)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와 상기 제2고정몸체부(40) 각각의 폭은 상기 판스프링(60)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몸체부(30)에는 상기 센서부(20)의 케이블이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KR1020150156549A 2015-11-09 2015-11-09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KR101757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549A KR101757450B1 (ko) 2015-11-09 2015-11-09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549A KR101757450B1 (ko) 2015-11-09 2015-11-09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963A KR20170053963A (ko) 2017-05-17
KR101757450B1 true KR101757450B1 (ko) 2017-07-14

Family

ID=5904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549A KR101757450B1 (ko) 2015-11-09 2015-11-09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87B1 (ko) 2020-02-27 2020-04-14 에코필드 유한회사 전복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로드러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963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9307B2 (en) Safety inspection apparatus for bridge using expansion joint with load cell and method for the same
US7415771B2 (en) Apparatus onboard a vehicle for instructing axle alignment
KR102140365B1 (ko) 지상 차량 작동 탐지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231791B1 (ko) 강교량 수직보강재의 응답특성을 이용한 차량중량 계측 시스템
US20170322117A1 (en) System for evaluating the condition of a tire,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travel
KR100860394B1 (ko) 고속, 저속겸용 축중기 및 차량정보, 교통량검출장치
JP6253466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の残燃料量検出装置
KR101757450B1 (ko)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CN110319912B (zh) 传感器组件
KR102108320B1 (ko) 축중기 시스템에서 축하중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 산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축중기 중량 보정 시스템
US20200249285A1 (en) Near magnetic field variation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JP6859073B2 (ja) 異常検出装置
CN105973993B (zh) 用于确定在玻璃体处的损伤的空间上的位置的方法和装置
JP5203638B2 (ja) 路面性状検知装置における路面性状検知方法
KR101562182B1 (ko)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CN100592058C (zh) 行驶轮胎的撞击力测定装置
KR101950343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US20220032974A1 (e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temporary rail connection of two rail portions of a rail and rail connection system having such a monitoring device
US20070143064A1 (en) Detached remote sensor detection
KR20200044331A (ko) 과적 단속 시스템에서의 회피 차량 검지 장치
KR101950344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
KR101306851B1 (ko) 차량 중량 측정 장치
KR101950345B1 (ko)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US20140002257A1 (en) Tire location distinction device and tire location distinc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21210251A1 (ja) 道路状況特定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