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876B1 - 차량의 엔진블록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876B1
KR101755876B1 KR1020150151871A KR20150151871A KR101755876B1 KR 101755876 B1 KR101755876 B1 KR 101755876B1 KR 1020150151871 A KR1020150151871 A KR 1020150151871A KR 20150151871 A KR20150151871 A KR 20150151871A KR 101755876 B1 KR101755876 B1 KR 10175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insert panel
water jacket
cylind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678A (ko
Inventor
조승완
김성식
이병현
김한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8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02F1/14Cylinders with means for directing, guiding or distributing liquid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02F2001/104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using an open deck, i.e. the water jacket is open at the block top 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블록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된 홈으로서 냉각수유입구 및 복수의 냉각수유출구가 마련된 워터자켓; 상기 워터자켓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배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1인서트패널; 상기 워터자켓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흡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2인서트패널; 및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제2인서트패널에 구비되며 실린더벽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로서, 상기 실린더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제2인서트패널이 삽입된 상기 워터자켓 부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리막;을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블록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블록{A ENGINE BLOCK OF VEHICLE}
본 발명은 실린더블록 주변을 흐르는 냉각수의 유동흐름을 개선하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실린더블록의 상부측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엔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블록이란, 실린더가 보어(BORE)를 가지고 있는 기본 본체를 말하며, 실린더 헤드 아래로부터 크랭크케이스 상부까지의 블록 전체를 지칭한다.
엔진의 실린더에서는 차량이 구동되기 위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연료가 산소와 혼합되어 폭발하는데, 이 때 연료의 폭발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는 크랭크축으로 전달되어 차량의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환되지만, 일부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실린더측에 잔존하게 되어 실린더의 과열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린더의 과열이 심해지면 실린더 및 기타 엔진에 구비된 장치들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연료의 점화시기가 변동되어 엔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린더가 형성된 엔진블록 또는 실린더블록은 실린더벽 주변을 감싸도록 마련된 홈 형상의 워터자켓이 구비되는데, 워터자켓 내부로 냉각수가 유동하면서 실린더를 냉각시켜 실린더의 과열을 방지한다.
한편, 실린더는 연소전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포트측과 연소후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포트측이 있는데, 연소에 의한 고열상태의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배기측이 흡기측에 비하여 더 쉽게 과열되며, 특히 배기측에서도 배기포트가 마련된 실린더헤드에 가까운 상부가 가장 과열현상이 심하다.
그러나, 워터자켓을 통하여 실린더 주변을 흐르는 냉각수는 실린더의 흡기측과 배기측을 흐르는 유량상의 차이가 없어 냉각상의 효율이 떨어지며, 실린더의 헤드측과 가까운 실린더 상부와 실린더 하부에 대한 유동흐름에 차이가 없어 과열의 정도가 더 심한 실린더 상부측에 대한 냉각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아 냉각효율이 떨어 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8-0027479 A1
본 발명은 실린더블록 주변을 흐르는 냉각수의 유동흐름을 개선하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실린더블록의 상부측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엔진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은 실린더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된 홈으로서 냉각수유입구 및 복수의 냉각수유출구가 마련된 워터자켓; 상기 워터자켓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배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1인서트패널; 상기 워터자켓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흡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2인서트패널; 및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제2인서트패널에 구비되며 실린더벽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로서, 상기 실린더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제2인서트패널이 삽입된 상기 워터자켓 부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리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인서트패널은 상기 격리막에 의해 구획된 상기 상부공간측에 관통홀이 마련되되, 상기 워터자켓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워터자켓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관통홀과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격리막은 상기 냉각수유입구측에 형성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상단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상부공간을 유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격리막의 상기 타단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서트패널의 일단부와 상기 냉각수유입구는 상기 워터자켓내에서 상호간 이루는 거리가 상단집중거리 이하가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인서트패널의 타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자켓은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상기 제2인서트패널이 삽입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픈구간에는 상기 냉각수유입구 또는 상기 복수의 냉각수유출구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픈구간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입구는 상기 워터자켓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픈구간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출구는 상기 워터자켓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엔진블록에 따르면, 실린더블록 주변을 흐르는 냉각수의 유동흐름을 개선하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실린더블록의 상부측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엔진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워터자켓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리막이 형성된 제1인서트패널 또는 제2인서트패널이 워터자켓내에 삽입됨으로써, 냉각의 요구수준이 높은 실린더 상부 및 실린더 배기측의 냉각수 유동을 증가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인서트패널의 일단부가 워터자켓에 마련된 냉각수 유입구와 소정의 상단집중거리내에 위치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냉각수유입구를 통해 워터자켓 내로 유입된 냉각수를 실린더의 상부공간으로 흐르도록 집중시킬 수 있어, 실린더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에서 제1인서트패널 및 제2인서트패널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은, 실린더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된 홈으로서 냉각수유입구(130) 및 복수의 냉각수유출구(140,150)가 마련된 워터자켓(120); 상기 워터자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배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1인서트패널(200); 상기 워터자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흡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2인서트패널(300); 및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 또는 제2인서트패널(300)에 구비되며 실린더벽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로서, 상기 실린더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 또는 제2인서트패널(300)이 삽입된 상기 워터자켓(120) 부분을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으로 구획하는 격리막(250);을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워터자켓(120)은 실린더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된 홈으로서 냉각수유입구(130) 및 복수의 냉각수유출구(140.150)가 마련된다.
도 1에는 복수의 실린더가 배열된 주변으로 워터자켓(120)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워터자켓(120)은 두께가 얇은 홈이 실린더의 주변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서 내부에 냉각수가 흐른다.
냉각수유입구(130) 및 냉각수유출구(140.150)는 워터자켓(120)측에 마련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경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수유출구(140.150)는 복수로 마련되어 실린더의 상부 및 하부의 유동량을 달리하기 위하여 워터자켓(1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냉각수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인서트패널(200)은 상기 워터자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배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되며, 제2인서트패널(300)은 상기 워터자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흡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다.
실린더의 흡기측이란 실린더 헤드에 마련된 흡기포트측 외면을 말하며, 실린더의 배기측이란 실린더 헤드에 마련된 배기포트측 외면을 말한다.
또한, 격리막(250)은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 또는 제2인서트패널(300)에 구비되며 실린더벽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로서, 상기 실린더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 또는 제2인서트패널(300)이 삽입된 상기 워터자켓(120) 부분을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으로 구획한다.
도 1은 워터자켓(120)에 제1인서트패널(200) 및 제2인서트패널(30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는 격리막(250)이 형성된 제1인서트패널(200) 및 제2인서트패널(300)을 나타낸다.
제1인서트패널(200)은 바람직하게는 워터자켓(1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패널로서, 그 두께가 워터자켓(120)의 두께보다 얇아 워터자켓(120)에 삽입되면 워터자켓(120)의 일면과 제1인서트패널(2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인서트패널(200)은 실린더의 배기측에 마련되어 실린더 배기측의 냉각수유동에 관여할 수 있다.
제1인서트패널(200)에는 격리막(2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인서트패널(200)의 실린더를 바라보는 면을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듯 실린더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된다.격리막(250)에 의해 제1인서트패널(200)이 삽입된 워터자켓(120)의 일구간은 상부공간(270)과 하부공간(280)으로 구획되어 상호간의 냉각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이다. 도 2는 제1인서트패널(200)에 형성된 격리막(250)과 그에 따라 구획된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격리막(250)이 마련된 제1인서트패널(200)이 워터자켓(120)에서 실린더 배기측에 삽입되어, 실린더 배기측의 워터공간 일구간을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으로 구획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워터자켓(120)의 하부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50)를 차단하고 워터자켓(120)의 상부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40)만을 개방시키는 경우 실린더상부측의 냉각수유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워터자켓(120)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실린더배기측에서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으로 나뉘어 흐르게 되는데, 냉각수유출구(150)가 차단되어 냉각수의 유동이 정체되는 워터자켓(120) 하부와는 달리, 냉각수유출구(140)가 개방된 워터자켓(120)의 상부는 하부에 비하여 냉각수의 배출량이 증가하여 결국 냉각수유동량이 증가하는 것이다.
결국, 격리막(250)이 형성된 제1인서트패널(200)이 실린더배기측의 워터자켓(120) 일구간에 삽입됨으로써, 과열의 정도가 심한 실린더의 배기측에서 특히 헤드측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집중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실린더의 냉각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열량이 비교적 낮은 차량의 중저속단계와 달리 실린더의 과열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차량의 고속주행 등의 경우, 실린더의 상부측 뿐만 아니라 하부측에서도 과열방지를 위한 냉각활동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워터자켓(120) 하부측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50)를 개방하여 워터자켓(120) 하부의 냉각수 유동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데, 제1인서트패널(200) 삽입에 따라 유동저항이 증가한 배기측과는 달리, 흡기측의 워터자켓(120) 구간은 배기측에 비하여 유동저항이 작아 워터자켓(120) 하부를 흐르는 대부분의 냉각수가 흡기측을 유동하여 배출되는바, 실린더배기측의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터자켓(120)의 흡기측 일구간에 제2인서트패널(300)을 삽입하여 워터자켓(120)의 흡기측에 대한 냉각수 유동저항을 발생시켜 상대적으로 배기측의 워터자켓(120) 하부공간(280)을 유동하는 냉각수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제2인서트패널(300)을 흡기측의 워터자켓(120) 일구간에 삽입함으로써 흡기측과 배기측의 유동저항이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흡기측의 워터자켓(120) 하부공간(280)에서 냉각수의 유동정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은 상기 격리막(250)에 의해 구획된 상기 상부공간(270)측에 관통홀(220)이 마련되되, 상기 워터자켓(120)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출구(140.15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워터자켓(120)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관통홀(220)과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터자켓(120)의 배기측 구간에 형성된 상부공간(270)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증가효과가 감소되고, 반대로 하부공간(280)의 냉각수는 유동정체효과가 반감되어 일정수준의 유동현상이 일어나 결국 실린더 상부에 대한 냉각집중 효과가 반감되는 것이다.
따라서, 격리막(250)에 의해 구획된 제1인서트패널(200)의 상부공간(270)에 직접 관통홀(220)을 마련하고 워터자켓(120) 상부의 냉각수유출구(140)는 관통홀(220)과 직접 연통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부공간(270)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워터자켓(120)내의 공간이 구획된 구간이 끝나기전에 배출되어 실린더 상부측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증가 효과가 상승하고, 실린더 하부측의 냉각수에 대한 유동정체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격리막(250)은 상기 냉각수유입구(130)측에 형성된 일단부(252)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타단부(255)는 상기 실린더의 상단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상부공간(270)을 유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관통홀(220)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20)이 상부공간(270)측의 제1인서트패널(200)에 직접 마련된다 하더라도 격리막(250)의 끝단은 상부 및 하부공간(280)의 구분이 사라지므로 일정수준의 냉각수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리막(250)은 냉각수유입구(130)측의 일단부(252)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어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으로 나뉘어 냉각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타단부(255)가 상단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공간(280)과의 냉각수 교환을 차단함으로써, 상부공간(270)으로 유입되어 흐르는 냉각수가 온전히 상부공간(270)측의 관통홀(2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부공간(280)측의 냉각수가 상부공간(270)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관통홀(220)은 상기 격리막(250)의 상기 타단부(255)측에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220)이 상부공간(27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간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공간(270)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대부분이 상부공간(270)을 유동하는 도중에 관통홀(22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바, 관통홀(220) 이후의 실린더 상부측의 냉각수 유동량이 현저히 감소되어 냉각효율이 감소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의 상부측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부공간(270)의 일단부터 끝단까지 유동하면서 실린더 상부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통홀(220)은 격리막(250)의 절곡된 타단부(255)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의 일단부(210)와 상기 냉각수유입구(130)는 상기 워터자켓(120)내에서 상호간 이루는 거리가 상단집중거리 이하가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의 타단부(215)에는 관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격리막(250)이 형성된 제1인서트패널(200)은 워터자켓(120)의 일구간을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으로 구획함에 따라, 냉각수가 유입되는 일단부(210)가 바람직하게는 워터자켓(120)의 상단측에 마련된 냉각수유입구(130)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부공간(270)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증가하여 실린더 상부 냉각효율이 상승한다.
여기서 상단집중거리란, 바람직하게는 워터자켓(120)측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40.150) 중 제1인서트패널(200) 타단부(215)의 상부측에 형성된 관통홀(220)과 연통된 냉각수유출구(140) 이외의 냉각수유출구(150)를 차단시켜 실린더블록 하부의 냉각수 유동을 정체시킴으로써 실린더 상단측의 냉각량을 증가시킨 경우에, 워터자켓(120)내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 중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이 제1인서트패널(200)의 상부공간(270)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제1인서트패널(200)의 일단부(210)와 냉각수유입구(130) 사이에 요구되는 이격거리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인서트패널(200)의 일단부(210)에서 상부공간(270)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은 격리막(250)이 상부 및 하부를 구획하는 높이, 냉각수유입구(130)의 높이, 냉각수의 유입압력 및 제1인서트패널(200)의 일단부(210)와 냉각수유입구(130)와의 거리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변수 중 비교적 영향도가 높고 넓은 범위가 형성될 수 있는 제1인서트패널(200) 일단부(210)와 냉각수유입구(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기준으로 냉각수의 상단공간 유입량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상단집중거리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냉각수유입구(130)는 제1인서트패널(200) 일단부(210)의 내측으로 포함되도록 위치될 수는 없다. 실린더 하단부의 냉각이 필요하여 워터자켓(120) 하단부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50)가 개방된 경우에는 냉각수가 워터자켓(120)의 하부공간(280)으로도 유입되어야 하는데, 냉각수유입구(130)가 제1인서트패널(200)의 상부공간(270)측으로 내입된 경우에는 하부공간(280)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동량이 희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1인서트패널(200) 일단부(210)와 냉각수유입구(130)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인서트패널(200)의 일단부(210)측으로 냉각수유입구(130)의 일부라도 포함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보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제1인서트패널(200)의 일단부(210)와 냉각수유입구(130)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의 이격거리가 보장된 상태에서 상단집중거리 이하가 되도록 위치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 상부 냉각 집중상태에서 워터자켓(120)내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대부분이 워터자켓(120)내의 상부공간(270)으로 유입되어 실린더 상단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워터자켓(120)은 상기 제1인서트패널(200) 또는 상기 제2인서트패널(300)이 삽입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구간(160,170)이 마련될 수 있다.
실린더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흡기측보다 배기측에서 요구되는 냉각율이 높고, 특히 하부측보다 상부측이 요구되는 냉각율이 높다. 다만, 엔진이 고속주행상태 등에 의해 실린더 전 범위에서 냉각율이 증가될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워터자켓(120)의 상부 및 하부공간(280)으로도 냉각수가 유입되어야 하는 것이다.
만일, 격리막(250)이 형성된 제1인서트패널(200) 또는 제2인서트패널(300)이 워터자켓(120)의 전 구간에 삽입된다면 냉각수유입구(130)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는 격리막(250)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270) 또는 하부공간(280) 중 어느 일측으로만 냉각수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바, 상기한 다양한 냉각상황을 모두 충족시키기에 비효율적인 것이다.
따라서, 상부공간(270)과 하부공간(280)이 구획되지 않아 각각의 공간이 연통된 오픈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냉각상황을 충족시키는 데 유리한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오픈구간(160,170)에는 상기 냉각수유입구(130) 또는 상기 복수의 냉각수유출구(140.150)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오픈구간(160,170)에서는 격리막(250)에 의해 구획된 워터자켓(120)의 상부공간(270)과 하부공간(280)을 유동하던 냉각수가 그러한 구분없이 혼합된 상태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오픈구간(160,170)에 냉각수유입구(130) 또는 냉각수유출구(150)를 마련함으로써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별로 별개의 냉각수유입구(130) 또는 냉각수유출구(150)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냉각수의 유입 및 유출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오픈구간(160,170)에 냉각수유입구(130) 또는 냉각수유출구(150)를 마련함으로써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을 유동하는 냉각수 전체에 대한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어 엔진블록(100)측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고, 간단하게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오픈구간(160)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입구(130)는 상기 워터자켓(1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픈구간(160)에 마련될 수 있는 냉각수유입구(130)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는 격리막(250)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냉각수유입구(130)가 워터자켓(120)의 하부에 위치한다면 중력작용에 의해 상부공간(270)에는 냉각수가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오픈구간(160)에 마련된 냉각수유입구(130)는 워터자켓(120)의 상부에 마련되어 워터자켓(120)의 상부공간(270)뿐만 아니라 하부공간(280)에도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워터자켓(120)내의 모든 공간에 냉각수를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블록(100)에서, 상기 오픈구간(170)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출구(150)는 상기 워터자켓(1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워터자켓(120)의 상부공간(270)과 하부공간(280)으로 나뉘어 유동하는 냉각수는 오픈구간(170)에서 구분없이 혼합되면서, 오픈구간(170)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50)를 통하여 상부공간(270) 및 하부공간(280)을 유동하던 냉각수가 구분없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냉각수유출구(150)가 워터자켓(120)의 상부에 마련된다면, 유동특성상 하부공간(280)을 유동하다 오픈구간(170)의 하부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냉각수는 오픈구간(170)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50)를 통하여 워타자켓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각수유출구(150)가 워터자켓(120)의 상부에 마련되면 워터자켓(120)의 하부에서 유동하는 냉각수는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비효율적이게 된다.
즉, 오픈구간(170)에 마련된 냉각수유출구(150)는 워터자켓(1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워터자켓(120)의 하부공간(280)을 유동하던 냉각수는 물론, 워터자켓(120)의 상부공간(270)을 유동하다 중력작용 등에 따라 오픈구간(170)에서 결국 하부를 향하여 혼합되는 냉각수 또한 모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차량의 엔진블록 120 : 워터자켓
200 : 제1인서트패널 300 : 제2인서트패널

Claims (9)

  1. 실린더의 외주면을 두르도록 마련된 홈으로서 냉각수유입구 및 복수의 냉각수유출구가 마련된 워터자켓;
    상기 워터자켓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배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1인서트패널;
    상기 워터자켓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의 흡기측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두르도록 마련된 제2인서트패널; 및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제2인서트패널에 구비되며 실린더벽을 향하여 돌출된 리브로서, 상기 실린더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제2인서트패널이 삽입된 상기 워터자켓 부분을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인서트패널은 상기 격리막에 의해 구획된 상기 상부공간측에 관통홀이 마련되되, 상기 워터자켓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출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워터자켓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관통홀과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막은 상기 냉각수유입구측에 형성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상단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상부공간을 유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격리막의 상기 타단부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패널의 일단부와 상기 냉각수유입구는 상기 워터자켓내에서 상호간 이루는 거리가 상단집중거리 이하가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인서트패널의 타단부에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켓은 상기 제1인서트패널 또는 상기 제2인서트패널이 삽입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구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픈구간에는 상기 냉각수유입구 또는 상기 복수의 냉각수유출구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픈구간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입구는 상기 워터자켓의 상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픈구간에 마련된 상기 냉각수유출구는 상기 워터자켓의 하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블록.
KR1020150151871A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엔진블록 KR10175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71A KR101755876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엔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871A KR101755876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엔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678A KR20170051678A (ko) 2017-05-12
KR101755876B1 true KR101755876B1 (ko) 2017-07-10

Family

ID=5874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871A KR101755876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엔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459B1 (ko) 2016-06-22 2019-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측 블럭인서트, 이를 포함하는 실린더블럭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 열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352A (ja) * 2003-12-25 2005-07-14 Honda Motor Co Ltd 排気マニホールド一体型エンジンの冷却構造
JP2011106398A (ja) * 2009-11-19 2011-06-02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冷却構造
JP2013113124A (ja) 2011-11-25 2013-06-10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冷却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352A (ja) * 2003-12-25 2005-07-14 Honda Motor Co Ltd 排気マニホールド一体型エンジンの冷却構造
JP2011106398A (ja) * 2009-11-19 2011-06-02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冷却構造
JP2013113124A (ja) 2011-11-25 2013-06-10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冷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678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702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irect cooling of cylinder components
JP4788236B2 (ja) シリンダヘッドの冷却構造
JP6299737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冷却構造
US20160146150A1 (en) Exhaust manifold-integrated cylinder head with water jacket
EP3470654B1 (en) Cooling structure of engine
KR101905947B1 (ko) 실린더헤드의 워터재킷 구조 및 그 작동방법
CN103597194A (zh) 液体冷却的内燃机
JP6384492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冷却構造
US10408162B2 (en) Cylinder hea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70240670A1 (en) Engine cylinder head
KR20110126511A (ko) 실린더 헤드 및 그 형성 방법
CN110469419A (zh) 水套结构
US10190531B2 (en) Water jacket for a cylinder head
JP6314966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冷却構造
KR101755876B1 (ko) 차량의 엔진블록
JP2010203245A (ja) 内燃機関の冷却構造
US10655558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014025A (ja) 内燃機関の冷却構造
JP2009216029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CN104727966A (zh) 汽缸盖结构
US9890738B2 (en) Cylinder hea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WI515360B (zh) Water - cooled Engine 's Cylinder Head Waterway Cooling Structure
JP2008240609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
JP2015190351A (ja) 多気筒内燃機関
CN218235281U (zh) 气缸盖底板分区冷却水套及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