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825B1 - 차량용 변속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825B1
KR101755825B1 KR1020150114296A KR20150114296A KR101755825B1 KR 101755825 B1 KR101755825 B1 KR 101755825B1 KR 1020150114296 A KR1020150114296 A KR 1020150114296A KR 20150114296 A KR20150114296 A KR 20150114296A KR 101755825 B1 KR101755825 B1 KR 101755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input
shaft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622A (ko
Inventor
유효정
손충완
김종민
조창연
김현철
서진범
권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8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89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all of the meshing gears being supported by a pair of parallel shafts, one being the input shaft and the other the output shaft, there being no countershaft invol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means for synchronisation not incorporated in the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의 전장을 최소화면서 변속기를 다단화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에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의 기어짝이 치합 결합되고, 동기장치에 의해 주행속도에 맞는 기어짝을 선택하여 구동원의 동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장치부; 및 제1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와, 제2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트랜스퍼동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의 결합시, 트랜스퍼동기장치에 의해 결합된 기어짝의 기어비와 동기장치에 의해 선택된 기어짝의 기어비를 조합하여, 변속장치부에 구비된 기어짝이 갖는 기어비 이외에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차량용 변속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기{TRANSMISSION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기의 전장을 최소화면서 변속기를 다단화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유가 및 CO2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차량의 연비 개선이 더욱 필요한 시점에 놓여 있으며, 이에 전기차량이나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이 유해가스 배출량을 줄이면서도 연비가 개선된 환경차량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전기차량의 경우, 차량의 구동에 필요한 핵심 부품인 배터리나 모터 등의 가격이 매우 고가인 이유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일반 차량들에 비해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환경차량의 보급이 보편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동기치합식의 수동변속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차량의 운전중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동변속기와 유사한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자동변속기보다 우수한 동력 전달 효율로 차량의 연비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DCT는 기어의 변속 중에 두 개의 클러치를 교차 제어하는 핸드오버 제어를 통해 변속을 실시함으로써, 엔진의 동력이 단절되어 발생하는 변속감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DCT의 경우도 차량의 연비 및 상품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변속기를 다단화할 필요가 있고, 또한 다단화한 변속기의 탑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변속기의 전장을 최소화할 필요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8-0033700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변속기의 전장을 최소화면서 변속기를 다단화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에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의 기어짝이 치합 결합되고, 동기장치에 의해 주행속도에 맞는 기어짝을 선택하여 구동원의 동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장치부; 및 제1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와, 제2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트랜스퍼동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의 결합시, 트랜스퍼동기장치에 의해 결합된 기어짝의 기어비와 동기장치에 의해 선택된 기어짝의 기어비를 조합하여, 변속장치부에 구비된 기어짝이 갖는 기어비 이외에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과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에는 홀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력기어 및 출력기어가 각각 치합 결합되고; 상기 제2입력축과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에는 짝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력기어 및 출력기어가 각각 치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과 제1출력축에 3단, 7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고; 상기 제1입력축과 제2출력축에 5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며; 상기 제2입력축과 제1출력축에 2단, 6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축과 제2출력축에 4단, 8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며; 상기 3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5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하고; 상기 6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8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과 제2출력축에 9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고; 상기 7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9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는 5단 형성을 위한 출력기어와 8단 형성을 위한 출력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축 또는 제2출력축에 구비되어 동기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후진출력기어; 상기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후진아이들러축; 상기 후진아이들러축에 구비되고, 제1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 또는 제2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치합 결합되면서 후진출력기어와 치합 결합되는 후진아이들러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출력기어는 제1출력축에 구비되고;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는, 제2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 결합된 제1아이들러기어와 후진아이들러기어와 치합 결합된 제2아이들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변속에 필요한 기어짝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변속기의 다단화를 실현함으로써, 변속기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고, 변속장치부에 구비된 기어짝 중 일부 기어짝의 경우 입력기어를 다른 기어짝과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입력기어 배치에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는바, 변속기의 전장을 축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1속 구현시 동력전달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10속 구현시 동력전달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후진 1속 구현시 동력전달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후진 2속 구현시 동력전달경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는 크게, 제1입력축(INPUT1) 및 제2입력축(INPUT2)과, 제1출력축(OUTPUT1) 및 제2출력축(OUTPUT2)과, 변속장치부(3) 및 트랜스퍼동기장치(ST)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입력축(INPUT1)은 제1클러치(C1)를 매개로 엔진(1)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제2입력축(INPUT2)은 제2클러치(C2)를 매개로 엔진(1)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입력축(INPUT2)은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제1입력축(INPUT1)이 제2입력축(INPUT2)에 동축을 이루어 삽입될 수 있다.
제1출력축(OUTPUT1)은 제1입력축(INPUT1) 및 제2입력축(INPUT2)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출력축(OUTPUT2) 역시 제1입력축(INPUT1) 및 제2입력축(INPUT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변속장치부(3)는 상기 제1입력축(INPUT1) 및 제2입력축(INPUT2)과, 제1출력축(OUTPUT1) 및 제2출력축(OUTPUT2)에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의 기어짝이 치합 결합되고, 동기장치에 의해 주행속도에 맞는 기어짝을 선택하여 구동원의 동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트랜스퍼동기장치(ST)는 상기 제1입력축(INPUT1)에 구비된 입력기어들 중 어느 하나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와, 제2입력축(INPUT2)에 구비된 입력기어들 중 어느 하나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를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ST)의 결합 작동시, 트랜스퍼동기장치(ST)에 의해 결합된 기어짝의 기어비와 동기장치에 의해 선택된 기어짝의 기어비를 조합하여, 변속장치부(3)에 구비된 기어짝이 갖는 기어비 이외에 다른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변속장치부(3)에 2단 내지 8단 기어비를 갖는 기어짝이 구비된 경우, 1단 구현을 위한 기어짝이 없더라도 트랜스퍼동기장치(ST)와 동기장치의 결합을 통해 1속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고, 더불어 도 2와 같이 변속장치부(3)에 2단 내지 9단 기어비를 갖는 기어짝이 구비된 경우, 1단 구현을 위한 기어짝과 10단 구현을 위한 기어짝이 없더라도 트랜스퍼동기장치(ST)와 동기장치의 결합을 통해 1속 및 10속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후진 2단 구현을 위한 기어짝이 없더라도 트랜스퍼동기장치(ST)와 2&R단 동기장치(S2&R)의 결합을 통해 후진 2속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변속에 필요한 기어짝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변속기의 다단화를 실현함으로써, 변속기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입력축(INPUT1) 및 제1출력축(OUTPUT1)과, 제1입력축(INPUT1) 및 제2출력축(OUTPUT2)에 홀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력기어 및 출력기어가 각각 치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축(INPUT2) 및 제1출력축(OUTPUT1)과, 제2입력축(INPUT2) 및 제2출력축(OUTPUT2)에 짝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력기어 및 출력기어가 각각 치합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입력축(INPUT1) 및 제1출력축(OUTPUT1)에 3단, 7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입력축(INPUT1) 및 제2출력축(OUTPUT2)에 5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축(INPUT2) 및 제1출력축(OUTPUT1)에 2단, 6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입력축(INPUT2) 및 제2출력축(OUTPUT2)에 4단, 8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3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5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6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8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3단 및 5단 형성을 위한 3&5단 입력기어(GI3&5)가 3단 출력기어(G3O)와 5단 출력기어(G5O)에 각각 치합 결합되고, 6단 및 8단 형성을 위한 6&8단 입력기어(GI6&8)가 6단 출력기어(GO6)와 8단 출력기어(GO8)에 각각 치합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입력축(INPUT1)과 제2출력축(OUTPUT2)에 9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7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9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7단 및 9단 형성을 위한 7&9단 입력기어(GI7&9)가 7단 출력기어(GO7)와 9단 출력기어(GO9)에 각각 치합 결합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변속장치부(3)에 구비된 기어짝 중 일부 기어짝의 경우 입력기어를 다른 기어짝과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입력기어 배치에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는바, 변속기의 전장을 축소할 수 있고, 결국 변속기의 전장을 축소하면서도 변속기의 다단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ST)는 5단 형성을 위한 출력기어와 8단 형성을 위한 출력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ST)는 8단 출력기어(GO8)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8단 출력기어(GO8)와 5단 출력기어(GO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출력축(OUTPUT1)에는 2단 출력기어(GO2)와 후술하는 후진출력기어(GOR) 사이에 2&R단 동기장치(S2&R)가 배치될 수 있고, 6단 출력기어(GO6) 일측에 6단 동기장치(S6)가 배치될 수 있으며, 3단 출력기어(G3O)와 7단 출력기어(GO7) 사이에 3&7단 동기장치(S3&7)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출력축(OUTPUT2)에는 4단 출력기어(GO4)와 8단 출력기어(GO8) 사이에 4&8단 동기장치(S4&8)가 배치될 수 있고, 5단 출력기어(GO5)와 9단 출력기어(GO9) 사이에 5&9단 동기장치(S5&9)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4단 출력기어(GO4) 측면에 파킹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후진단 형성을 위해 후진출력기어(GOR)와, 후진아이들러축(Idler) 및 후진아이들러기어(GIR)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후진출력기어(GOR)는 상기 제1출력축(OUTPUT1) 또는 제2출력축(OUTPUT2)에 구비되어 동기장치에 의해 해당 출력축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후진출력기어(GOR)는 제1출력축(OUTPUT1)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진출력기어(GOR)를 출력축에 결합하는 동기장치는 2&R단 동기장치(S2&R)일 수 있다.
후진아이들러축(Idler)은, 상기 제1출력축(OUTPUT1) 및 제2출력축(OUTPUT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진아이들러기어(GIR)는 상기 후진아이들러축(Idler)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후진출력기어(GOR)와 치합 결합되면서 제1입력축(INPUT1)에 구비된 입력기어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입력축(INPUT2)에 구비된 입력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GIR)는, 제1아이들러기어(GIR1)와 제2아이들러기어(GIR2)가 일체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이때에 상기 제1아이들러기어(GIR1)는 제2입력축(INPUT2)에 구비된 4단 입력기어(GI4)와 치합 결합될 수 있고, 제2아이들러기어(GIR2)는 후진아이들러기어(GIR)와 치합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속 주행>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스퍼동기장치(ST)에 의해 5단 출력기어(GO5)와 8단 출력기어(GO8)를 결합하고, 2&R단 동기장치(S2&R)에 의해 2단 출력기어(GO2)를 선택한 상태에서 제1클러치(C1)를 결합한다.
그러면, 엔진(1)의 동력이 제1입력축(INPUT1)을 통해 3&5단 입력기어(GI3&5) 및 5단 출력기어(GO5)로 전달되고, 5단 출력기어(GO5)에서 8단 출력기어(GO8) 및 6&8단 입력기어(GI6&8)를 통해 제2입력축(INPUT2)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제2입력축(INPUT2)에서 2단 입력기어(GI2) 및 2단 출력기어(GO2)를 통해 제1출력축(OUTPUT1)으로 전달되는바, 디퍼렌셜 측으로 1속에 해당하는 엔진(1) 동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5단 기어짝의 기어비와, 8단 기어짝의 기어비 및 2단 기어짝의 기어비의 조합을 통해 1속에 해당하는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에는 이미 2단 출력기어(GO2)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트랜스퍼동기장치(ST)를 해제하면서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의 결합 및 해제 상태를 전환하면 2단 변속단을 형성하여 2속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10속 주행>
도 4를 참조하면, 트랜스퍼동기장치(ST)에 의해 5단 출력기어(GO5)와 8단 출력기어(GO8)를 결합하고, 3&7단 동기장치(S3&7)에 의해 7단 출력기어(GO7)를 선택한 상태에서 제2클러치(C2)를 결합한다.
그러면, 엔진(1)의 동력이 제2입력축(INPUT2)을 통해 6&8단 입력기어(GI6&8) 및 8단 출력기어(GO8)로 전달되고, 8단 출력기어(GO8)에서 5단 출력기어(GO5) 및 3&5단 입력기어(GI3&5)를 통해 제1입력축(INPUT1)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제1입력축(INPUT1)에서 7&9단 입력기어(GI7&9) 및 7단 출력기어(GO7)를 통해 제1출력축(OUTPUT1)으로 전달되는바, 디퍼렌셜 측으로 10속에 해당하는 엔진(1) 동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8단 기어짝의 기어비와, 5단 기어짝의 기어비 및 7단 기어짝의 기어비의 조합을 통해 10속에 해당하는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후진 1속>
도 5를 참조하면, 2&R단 동기장치(S2&R)에 의해 후진출력기어(GOR)를 선택한 상태에서 제2클러치(C2)를 결합한다.
그러면, 엔진(1)의 동력이 제2입력축(INPUT2)을 통해 4단 입력기어(GI4)로 전달되고, 4단 입력기어(GI4)에서 제1아이들러기어(GIR1) 및 제2아이들러기어(GIR2)를 통해 후진출력기어(GOR)로 전달된다. 이어서, 후진출력기어(GOR)에서 제1출력축(OUTPUT1)으로 동력이 전달되는바, 디퍼렌셜 측으로 후진 1속에 해당하는 엔진(1) 동력을 출력할 수 있다.
<후진 2속>
도 6을 참조하면, 트랜스퍼동기장치(ST)에 의해 5단 출력기어(GO5)와 8단 출력기어(GO8)를 결합하고, 2&R단 동기장치(S2&R)에 의해 후진출력기어(GOR)를 선택한 상태에서 제1클러치(C1)를 결합한다.
그러면, 엔진(1)의 동력이 제1입력축(INPUT1)을 통해 3&5단 입력기어(GI3&5) 및 5단 출력기어(GO5)로 전달되고, 5단 출력기어(GO5)에서 8단 출력기어(GO8) 및 6&8단 입력기어(GI6&8)를 통해 제2입력축(INPUT2)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제2입력축(INPUT2)에서 4단 입력기어(GI4)로 전달되고, 4단 입력기어(GI4)에서 제1아이들러기어(GIR1) 및 제2아이들러기어(GIR2)를 통해 후진출력기어(GOR)로 전달된다. 그리고, 후진출력기어(GOR)에서 제1출력축(OUTPUT1)으로 동력이 전달되는바, 디퍼렌셜 측으로 후진 2속에 해당하는 엔진(1) 동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5단 기어짝의 기어비와, 8단 기어짝의 기어비와, 4단 입력기어(GI4) 및 제1아이들러기어(GIR1) 간의 기어비와, 제2아이들러기어(GIR2) 및 후진출력기어(GOR) 간의 기어비의 조합을 통해 후진 2속에 해당하는 기어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속에 필요한 기어짝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변속기의 다단화를 실현함으로써, 변속기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게 되고, 또한 변속장치부(3)에 구비된 기어짝 중 일부 기어짝의 경우 입력기어를 다른 기어짝과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입력기어 배치에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는바, 변속기의 전장을 축소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엔진 3 : 변속장치부
INPUT1 : 제1입력축 INPUT2 : 제2입력축
OUTPUT1 : 제1출력축 OUTPUT2 : 제2출력축
C1 : 제1클러치 C2 : 제2클러치
ST : 트랜스퍼동기장치

Claims (7)

  1. 제1클러치 및 제2클러치를 매개로 구동원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는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에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의 기어짝이 치합 결합되고, 동기장치에 의해 주행속도에 맞는 기어짝을 선택하여 구동원의 동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장치부; 및
    제1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와, 제2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짝을 이루는 출력기어 상호 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트랜스퍼동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와 동기장치가 함께 결합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에 의해 결합된 기어짝의 기어비와 동기장치에 의해 선택된 기어짝의 기어비를 조합하여, 변속장치부에 구비된 기어짝이 갖는 기어비 이외에 다른 기어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과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에는 홀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력기어 및 출력기어가 각각 치합 결합되고;
    상기 제2입력축과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에는 짝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력기어 및 출력기어가 각각 치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과 제1출력축에 3단, 7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고;
    상기 제1입력축과 제2출력축에 5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며;
    상기 제2입력축과 제1출력축에 2단, 6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축과 제2출력축에 4단, 8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며;
    상기 3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5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하고;
    상기 6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8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과 제2출력축에 9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이 치합 구비되고;
    상기 7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과, 9단 형성을 위한 기어짝은 입력기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동기장치는 5단 형성을 위한 출력기어와 8단 형성을 위한 출력기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축 또는 제2출력축에 구비되어 동기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후진출력기어;
    상기 제1출력축 및 제2출력축과 나란하게 배치된 후진아이들러축;
    상기 후진아이들러축에 구비되고, 제1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 또는 제2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와 치합 결합되면서 후진출력기어와 치합 결합되는 후진아이들러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후진출력기어는 제1출력축에 구비되고;
    상기 후진아이들러기어는, 제2입력축에 구비된 입력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 결합된 제1아이들러기어와 후진아이들러기어와 치합 결합된 제2아이들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KR1020150114296A 2015-08-13 2015-08-13 차량용 변속기 KR10175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296A KR101755825B1 (ko) 2015-08-13 2015-08-13 차량용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296A KR101755825B1 (ko) 2015-08-13 2015-08-13 차량용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22A KR20170020622A (ko) 2017-02-23
KR101755825B1 true KR101755825B1 (ko) 2017-07-10

Family

ID=5831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296A KR101755825B1 (ko) 2015-08-13 2015-08-13 차량용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8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9332A (ja) 2007-05-14 2008-12-25 Honda Motor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360B1 (ko) 2006-10-13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9332A (ja) 2007-05-14 2008-12-25 Honda Motor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22A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200B1 (ko) 차량용 더블클러치 변속기
KR101755833B1 (ko) 차량용 변속기
KR20170012771A (ko) 차량용 변속기
KR1015510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101704203B1 (ko) 차량용 10단 dct
KR101550984B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101509982B1 (ko) 차량용 dct 구조
KR101769721B1 (ko) 자동차용 듀얼 클러치 변속기
KR101054965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20160150139A (ko) 차량용 변속기
US10100903B2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063654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102651622B1 (ko) 차량용 dct
KR20160044556A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
CN105485269B (zh) 双离合7速变速器设备
KR20210031579A (ko)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417667B1 (ko) 듀얼 클러치 8속 변속기
US10337588B2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755825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755816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724861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063616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 파워트레인
KR101836617B1 (ko) 차량용 다단 dct
KR20210108518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20200103221A (ko) 차량용 d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