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581B1 -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581B1
KR101755581B1 KR1020150097996A KR20150097996A KR101755581B1 KR 101755581 B1 KR101755581 B1 KR 101755581B1 KR 1020150097996 A KR1020150097996 A KR 1020150097996A KR 20150097996 A KR20150097996 A KR 20150097996A KR 101755581 B1 KR101755581 B1 KR 10175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ion frequency
ignition coil
switching unit
battery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802A (ko
Inventor
유성운
Original Assignee
(주)위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위너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9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581B1/ko
Priority to PCT/KR2016/007491 priority patent/WO2017007289A1/ko
Publication of KR2017000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1/00Safety means for electric spark ign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5Layout of circuits for control of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 the ignition coil
    • G01R31/02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로부터 점화코일로 인가되는 전압을 부스팅(boosting)하는 승압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switching) 동작하여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FAIL SAFE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 VOLTAGE BOOSTING DEVICE FOR IGNITION COIL}
본 발명은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압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페일 세이프 기능을 수행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점화장치는 점화코일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점화 플러그의 전극 사이에 인가하여 방전시킴으로써, 엔진 내부로 흡입된 혼합기를 폭발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점화코일은 혼합기를 폭발시키기 위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승압시켜 점화 플러그에 공급하며, 일반적으로 입력전압을 2000배 정도로 승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화코일의 출력전압이 높을수록 혼합기의 폭발이 강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의 파워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점화장치의 내압능력 안에서 가능한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점화코일의 승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점화코일의 입력전압을 상승시키는 방식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점화코일의 입력전압 즉, 배터리의 출력전압은 그 규격이 정해져 있어(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 12V), 이를 변경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전압을 입력받아 승압시킨 뒤 점화코일에 공급하는 승압장치가 애프터마켓 등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승압장치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엔진이 멈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44229호(2006.11.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승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압장치의 이상 발생 시 페일 세이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는: 소스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소스전원을 인가받아 단속하여 발생하는 발진 주파수에 따라 승압된 점화전원을 생성하여 점화코일로 출력하는 승압장치를 포함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압장치의 발진 주파수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승압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switching)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과 상기 점화코일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발진주파수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일단을 풀-다운(pull-down) 시키거나 플로팅(floating)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발진주파수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일단을 풀-다운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일단의 상태가 풀-다운에서 플로팅으로 변할 때 턴온(turn-on) 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다이오드의 턴온 동작에 응답하여 폐쇄(close)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과 상기 점화코일의 입력단 사이를 연결하는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은: 감시부가 승압장치의 발진주파수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승압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과정; 및 스위칭부가 상기 감시부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switching) 동작하여 배터리의 출력단과 점화코일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페일 세이프 실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 과정은, 증폭기가 승압장치에서 발생하는 발진주파수의 존재 시 상기 발진주파수를 증폭하여 발진주파수 증폭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단계; 및 제1스위칭부가 상기 발진주파수 증폭신호의 입력 시 풀다운되어 발진주파수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진주파수 증폭신호의 미입력 시 플로팅되어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주파수 감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일 세이프 실행 과정은, 다이오드가 상기 제1스위칭부의 플로팅 시 턴-온 되어 상기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 전달 단계; 및 제2스위칭부가 상기 다이오드의 턴-온에 따른 상기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턴-온 되어 상기 배터리의 출력을 상기 점화코일에 연결하여 배터리의 출력전압을 직접 점화코일로 공급하는 페일 세이프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은 승압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배터리와 점화코일이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승압장치 고장에 따른 엔진 정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100)는 감시부(110) 및 스위칭부(120)를 포함한다.
감시부(110)는 승압장치(2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승압장치(200)는 배터리(300)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부스팅(boosting)한 뒤, 점화코일(4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압장치(200)는 12V의 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16~18V로 승압하여 점화코일(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승압을 위해 승압장치(200)의 내부에는 인덕터(inductor)나 커패시터(capacitor)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승압장치(200)의 승압동작 시, 그 내부회로에는 발진주파수가 존재하게 된다.
즉 승압장치(200)에서 승압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그 내부회로에는 이러한 승압동작에 따른 발진주파수가 존재하게 되며, 승압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해당 발진주파수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감시부(110)는 이러한 발진주파수를 감시하여 승압장치(2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스위칭부(120)는 감시부(110)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switching) 동작하여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시부(110)는 승압장치(200)의 내부회로의 발진주파수의 존부에 따라 구동되어 스위칭부(120)를 제어하게 되며, 스위칭부(120)는 이러한 감시부(110)의 동작에 따라 페일 세이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120)는 페일 세이프 기능 수행 시, 배터리(300)의 출력단과 점화코일(400)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승압장치(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점화코일(400)에 순정상태의 전압(배터리(300)의 출력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여 엔진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감시부(110)와 스위칭부(120)의 동작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감시부(110)는 증폭기(Q3) 및 제1스위칭부(Q4)를 포함한다.
감시부(110)는 발진주파수의 존부에 따라 스위칭부(120)의 일단(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collector)단)을 풀-다운(pull-down) 시키거나 플로팅(floating) 시킬 수 있다. 즉 감시부(110)는 스위칭부(120)의 일단을 풀-다운 구동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인 트랜지스터(Q4)를 포함하여 스위칭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이러한 트랜지스터(Q4)의 동작(온-오프)은 증폭기(Q3)의 출력에 따라 결정되며, 증폭기(Q3)의 출력은 승압장치(200)로부터 발진주파수가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즉 트랜지스터(Q4)의 동작은 발진주파수의 존부에 따라 결정되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트랜지스터(Q4)는 발진주파수에 응답하여(즉 발진주파수가 존재하면) 턴온(turn-on)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위칭부(120)의 일단은 풀-다운 상태가 된다.
스위칭부(120)는 다이오드(D1) 및 제2스위칭부(Q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120)의 일단이 풀-다운 상태이면, 스위칭부(120)에 포함된 다이오드(D1)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스위칭부인 트랜지스터(Q1) 또한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승압장치(200)의 내부회로에 발진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치 개방(open) 역할로 인해 배터리(300)의 출력단과 점화코일(400)의 입력단은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점화코일(400)은 승압장치(2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한편 승압장치(200)의 내부회로에서 발진주파수가 출력되지 않으면, 증폭기(Q3) 출력의 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Q4)는 턴오프(turn-off) 된다. 따라서 스위칭부(120)의 일단은 플로팅 상태가 된다.
이렇게 스위칭부(120)의 일단의 상태가 풀-다운에서 플로팅으로 변하면, 인덕터(Q2)의 영향으로 인해 다이오드(D1)가 턴온 되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 또한 턴온 된다. 즉 승압장치(200)에 이상이 있는 경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치 폐쇄(close) 역할로 인해 배터리(300)의 출력단과 점화코일(400)의 입력단은 직접 연결되며, 점화코일(400)은 배터리(3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는 승압장치(200)의 고장 시, 시동이 꺼지지 않을 만큼 빠른 속도로 배터리(300)와 점화코일(400)을 직접 연결시켜줌으로써, 엔진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다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페일 세이프 장치(100)는 먼저 승압장치(200)의 발진주파수를 감시한다(S10). 승압장치(200)는 배터리(300)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이를 부스팅(boosting)한 뒤, 점화코일(4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승압을 위해 승압장치(200)의 내부에는 인덕터(inductor)나 커패시터(capacitor) 등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승압장치(200)의 승압동작 시, 그 내부회로에는 발진주파수가 존재하게 된다.
즉 승압장치(200)에서 승압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그 내부회로에는 이러한 승압동작에 따른 발진주파수가 존재하게 되며, 승압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해당 발진주파수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페일 세이프 장치(100)는 승압장치(200)의 발진주파수를 감시하여 승압장치(200)의 정상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0)의 감시결과, 발진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S20), 페일 세이프 장치(100)는 배터리(300)와 점화코일(400)이 직접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S30). 즉 발진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아 승압장치(20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페일 세이프 장치(100)는 배터리(300)의 출력단과 점화코일(400)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점화코일(400)이 배터리(3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은 승압장치의 발진주파수를 감시하여 이에 이상이 있는 경우 배터리와 점화코일이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칭함으로써, 승압장치 고장에 따른 엔진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페일 세이프 장치
110: 감시부
120: 스위칭부
200: 승압장치
300: 배터리
400: 점화코일

Claims (10)

  1. 소스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소스전원을 인가받아 단속하여 발생하는 발진 주파수에 따라 승압된 점화전원을 생성하여 점화코일로 출력하는 승압장치를 포함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압장치의 발진 주파수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승압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switching)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과 상기 점화코일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발진주파수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일단을 풀-다운(pull-down) 시키거나 플로팅(floating)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발진주파수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일단을 풀-다운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일단의 상태가 풀-다운에서 플로팅으로 변할 때 턴온(turn-on) 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다이오드의 턴온 동작에 응답하여 폐쇄(close)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배터리의 출력단과 상기 점화코일의 입력단 사이를 연결하는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9. 감시부가 승압장치의 발진주파수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승압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과정; 및
    스위칭부가 상기 감시부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switching) 동작하여 배터리의 출력단과 점화코일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페일 세이프 실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과정은,
    증폭기가 승압장치에서 발생하는 발진주파수의 존재 시 상기 발진주파수를 증폭하여 발진주파수 증폭신호를 출력하는 증폭단계; 및
    제1스위칭부가 상기 발진주파수 증폭신호의 입력 시 풀다운되어 발진주파수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진주파수 증폭신호의 미입력 시 플로팅되어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주파수 감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일 세이프 실행 과정은,
    다이오드가 상기 제1스위칭부의 플로팅 시 턴-온 되어 상기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 전달 단계; 및
    제2스위칭부가 상기 다이오드의 턴-온에 따른 상기 발진주파수 미감지 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턴-온 되어 상기 배터리의 출력을 상기 점화코일에 연결하여 배터리의 출력전압을 직접 점화코일로 공급하는 페일 세이프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방법.
KR1020150097996A 2015-07-09 2015-07-09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KR10175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96A KR101755581B1 (ko) 2015-07-09 2015-07-09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PCT/KR2016/007491 WO2017007289A1 (ko) 2015-07-09 2016-07-11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96A KR101755581B1 (ko) 2015-07-09 2015-07-09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02A KR20170006802A (ko) 2017-01-18
KR101755581B1 true KR101755581B1 (ko) 2017-07-10

Family

ID=5768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96A KR101755581B1 (ko) 2015-07-09 2015-07-09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5581B1 (ko)
WO (1) WO201700728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264A (ja) * 2001-02-23 2002-09-06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200411142Y1 (ko) * 2005-12-10 2006-03-10 김재홍 자동차 점화회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399B1 (ko) * 2001-11-05 2004-07-14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점화 코일의 고장 감지 장치
KR100644229B1 (ko) * 2005-09-16 2006-11-10 박만식 엔진용 전압 상승 부스터
JP4871245B2 (ja) * 2007-10-26 2012-02-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264A (ja) * 2001-02-23 2002-09-06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200411142Y1 (ko) * 2005-12-10 2006-03-10 김재홍 자동차 점화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289A1 (ko) 2017-01-12
KR20170006802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8272B2 (en) Charge pump 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US7677224B2 (en) Fluid pump control apparatus
EP3220524B1 (en)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having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mounted therein
US20030179524A1 (en) Control apparatus for master/slave outlets
JP2007236013A5 (ko)
KR101755581B1 (ko)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방법
JP2014225780A (ja) 負荷駆動装置
JP5880494B2 (ja)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JP5099041B2 (ja) 燃料ポンプ制御装置
KR101952098B1 (ko) 전동식 부스터 시스템의 전원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JP4352886B2 (ja) 昇圧回路
US7173350B2 (en) Load drive control apparatus having minimized power consumption when functioning in waiting status
JP2015035937A (ja) Dc−dcコンバータ
KR101847799B1 (ko) 전원 제어 장치
KR20150011283A (ko) 페일 안전 기능을 갖춘 mcu 전원 제어장치
KR20150062291A (ko) 모터 구동 장치
KR101490197B1 (ko) 건설장비 전원 제어시스템
KR101876734B1 (ko) 차량용 제어기기 및 그의 ig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KR101619277B1 (ko) 전동식 워터펌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209729B2 (ja) 車載用電源装置
US20090121555A1 (en) Vehicle audio system power supply
US20240079867A1 (en) Multi-function control circuit and pre-circuit configuration
KR20180105422A (ko)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US202002674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hutoff of aviation headsets
KR100417849B1 (ko) 차량의 전원 고장 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