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332B1 -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332B1
KR101755332B1 KR1020160106260A KR20160106260A KR101755332B1 KR 101755332 B1 KR101755332 B1 KR 101755332B1 KR 1020160106260 A KR1020160106260 A KR 1020160106260A KR 20160106260 A KR20160106260 A KR 20160106260A KR 101755332 B1 KR101755332 B1 KR 10175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weight
parts
container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숙
Original Assignee
김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숙 filed Critical 김양숙
Priority to KR1020160106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2Making preform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e.g. sheet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식품, 약품, 화장품 용기가 사출성형, 사출블로우, 압출블로우 성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에 용기의 캡의 경우 결합되면서 나사산에서의 원재료의 갈림으로 소재의 가루가 내용물과 섞여 불순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소재로 제조되는 용기에 갈림이 일어나지 않는 스크류 캡의 제조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하였다. 이들 용기의 소재는 대체로 PP, ABS, SAN, ASA, PMMA, copolyester(PETG, TCTG, PCTA)이고 이에 결합되는 캡의 소재는 PP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 스크류캡의 소재를 갈림방지 특성을 부여해 주기 위한 소재로 개발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Plastic material for protecting grinding of screw thread for plastic container or screw cap}
화장품 용기를 비롯한 식품, 의약품 플라스틱 용기 소재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코폴리에스터(PETG, PCTG, PCT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크류 캡 소재인 폴리프로필렌과 위의 소재로 성형된 용기가 형합될 때 나사산에서의 마찰에 의한 플라스틱 소재의 갈림이 발생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의 갈림이 발생되면 식품, 약품, 화장품의 내용물에 유입되어 이물질로 오인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식품이나 약품은 인체 내로 섭취하게 되고, 화장품의 경우는 내용물의 이물질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어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쾌감을 유발하게 한다.
또한, 일부 이러한 스크류 캡과 용기의 나사산에서의 갈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화장품의 스크류 캡 소재로 슬립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POM)을 사용하여 사용하는 예가 있다.
그러나, 이들 POM 소재는 성형가공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을 이루는 단량체인 포름알데히드가 유출되어 취기를 유발하여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용기나 스크류 캡들은 디자인에 맞는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플라스틱 자체를 착색하거나 도료를 사용하여 코팅 또는 진공증착을 통해 데코레이션을 하는데 있어서 POM은 부착성이 없으므로 코팅이나 진공증착 특성을 부여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용의 예는 립스틱의 부품 중에서 레일도 저마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나 취기로 인한 거부감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스크류 캡과 용기의 나사산 사이에서 형합시에 나사산이 갈리는 현상과 립스틱 부품의 저마찰 특성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립성 보유 폴리프로필렌의 발명으로서 주로 나사산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스크류 캡의 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성능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식품이나 화장품의 내용물과의 접촉에도 위해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현재까지의 플라스틱 중에서 비중이 가장 작은 수지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한 식품, 약품이나 화장품과 직접 닿아도 무해한 소재로 잘 알려져 있다.
식품, 약품, 화장품의 플라스틱 용기는 사출성형, 사출블로우, 압출블로우 성형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용기를 이루는 소재는 PP, SAN, ABS, PMMA, Copolyester(PETG, TCTG, PCTA)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되는 스크류 캡은 주로 PP로 이루어져 있고, 일부 캡의 경우 ABS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상기 용기와 스크류 캡을 성형할 때 용기와 스크류 캡이 형합되면서 나사산끼리의 마찰에 의한 용기 또는 스크류 캡 소재의 나사산에서 갈림(Grinding)이 발생되고, 이러한 갈림에 의해 생긴 분말이 식품, 약품, 화장품의 내용물에 혼입되어 식품, 약품, 화장품의 불순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색조 화장품 중에서 립스틱이나 스틱형태의 파운데이션 내용물은 오르내리게 하는 부품인 레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POM을 사용하는 예가 있으나 이 역시 폴리아세탈의 취기를 감수하고 사용한다.
이들 부품의 슬립성을 부여하여 립스틱 내용물의 오르내리는 역할을 하는 레일의 소재로의 사용을 위해 취기가 없는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의 발명이 요구되어 왔다.
이들 슬립성 보유 폴리프로필렌의 발명으로 나사산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스크류 캡의 슬립성 플라스틱 소재를 발명한다.
식품, 약품,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닿았을 때 무해한 플라스틱으로는 대표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위의 폴리프로필렌의 유형은 PP 단중합체와 PP 공중합체 즉, 랜덤공중합체,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용기 및 캡을 제조한다.
또한, 이들 화장품 용기의 경우 대체로 안료를 착색하여 용기의 컬러 구현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후가공인 도장이나 진공증착으로 용기 데코레이션을 한다. PP의 경우는 이들 코팅 및 진공증착층이 PP의 스킨층과 박리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처리로 화염처리나 프라이머 도료 처리 후 코팅이나 증착공정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식품용기의 경우도 캡핑시에 원재료의 갈림이 발생되어 식품에 유입되는 경우가 다량 발생되고 있다.
이들 용기와 캡 사이의 나사산에서의 갈림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화장품은 스크류 캡용 소재로 폴리아세탈(POM)을 사용하여 성형, 적용된 사례가 있으나 이들 폴리아세탈은 사출성형공정으로부터 이들 고분자를 이루는 단량체인 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어 취기를 유발, 내용물의 취기로 오인되는 예가 있다. 물론 저취성 폴리아세탈을 원료제조사가 출시는 하고 있으나 정도가 줄었을 뿐 취기는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이들 플라스틱 용기와 스크류 캡사이에서 형합시에 나사산에서의 갈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산에 실리콘오일을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어 이들 실리콘 오일이 내용물로의 유입을 유발하고 있는 상황이며, 작업공정도 추가되어야 하는 실정에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36367호(2006.10.12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276839호(2000.10.04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1999-0065707호(1999.08.0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립성 보유 폴리프로필렌의 발명으로 나사산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식품, 약품 스크류 캡의 플라스틱 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 캡의 원소재인 폴리프로필렌의 슬립성을 부여하는 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식품, 약품, 화장품 용기와 스크류 캡을 체결하면서 발생되는 용기 및 스크류 캡에서의 체결되면서 플라스틱 원료가 갈려 식품, 약품, 화장품 내용물로의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이들 플라스틱 용기와 스크류 캡의 나사산에서의 갈림이 일어나지 않는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발명하는데 있다.
이들 식품, 약품, 화장품 내용물을 담는 용기는 내용물과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코폴리에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용기 중에서 화장품 용기는 주로 단용기, 이중용기, 3중 용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물과 접촉되는 용기의 플라스틱 소재는 내용물과의 반응성이 없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코폴리에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나사산을 이루는 부분은 외용기로 이들 외용기를 이루는 플라스틱 원료는 PP, SAN, ABS, PMMA, PS, Copolyester(PETG, PCTG, PCTA)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위의 화장품 용기 플라스틱 원료와 스크류 캡과의 갈림이 발생되지 않는 스크류 캡 원료인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을 발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을 발명하는 구성은 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고슬립성 플라스틱; 과분산제; 복합 금속 스테아린산염; 탈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슬립성 복합 폴리프로필렌 재료가 제공된다.
상기 고슬립성 복합 폴리프로필렌 재료는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플라스틱 재료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40∼99 중량부,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 0.2∼20 중량부, 상기 과분산제 0.5∼7 중량부, 복합 금속 스테아린산염 0.5∼7 중량부, 탈크 0.5∼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립성 플라스틱 블렌드를 활용하여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와 캡의 체결시 플라스틱 소재의 갈림이 없도록 하는 응용 전반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존에는 용기와 스크류 캡을 성형할 때 용기와 스크류 캡이 형합되면서 나사산끼리의 마찰에 의한 용기 또는 스크류 캡 플라스틱 소재의 나사산에서 갈림(Grinding)이 발생되고, 이러한 갈림에 의해 생긴 분말이 식품, 약품, 화장품의 내용물에 혼입되어 식품, 약품, 화장품의 불순물 역할을 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용기 및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의 스크류 캡을 성형하면, 용기 또는 스크류 캡 소재의 나사산에서 갈림(Grinding)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나사산의 갈림에 의한 분말이 식품, 약품, 화장품의 내용물에 혼입되어 식품, 약품, 화장품의 불순물 역할을 하는 경우는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을 발명하는 구성은 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고슬립성 플라스틱; 과분산제; 복합 금속스테아린산염 및 탈크를 혼합하여 구성되며, 이를 고슬립성 복합 폴리프로필렌 재료라 할 수 있다. 즉, 고슬립성 복합 폴리프로필렌 재료는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과분산제 0.5∼7 중량부, 복합 금속 스테아린산염 0.5∼7 중량부,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 0.2∼20 중량부, 탈크 0.5∼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40∼99 중량부 혼합한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중합체로서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을 40 중량부 미만으로 할 경우에는 원하는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제대로 나오지 않게 되고 본 발명에서 원하는 주요 핵심 사항인 갈림 방지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게 된다. 폴리프로필렌을 9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술하는 다른 성분들의 특성을 감쇄시켜서 갈림 방지 기능에 오히려 방해가 되고 재료비가 쓸데없이 더 들어가는 경우가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을 40~99 중량부 범위로 맞추어 준다.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0.2∼20 중량부를 혼합한다. 고슬립성 플라스틱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10)의 스크류 캡(16)을 성형할 때에 기포를 없애는 기능을 하고 스크류 캡(16) 자체에 발수성을 주며, 화장품 용기(10)나 식품 용기(10) 등의 스크류 캡(16) 성형용 플라스틱 재료로서 무해한 특성을 가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고슬립성 플라스틱은 나일론(Nylon 6, Nylon 66),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케톤(POK),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실록산공중합체(copolysiloxane), 실리콘계 엘라스토머(TPSiV), 폴리페닐렌에테르(m-PP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은 0.2∼20 중량부를 혼합한다. 이때, 고슬립성 플라스틱이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갈림방지 성능이 나오지 않고 발수성도 가지지 못하게 되므로, 고슬립성 플라스틱를 0.2 중량부 이상으로 하고, 고슬립성 플라스틱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재료와의 화학적 결합력이 약화되고 본 발명의 플라스틱 재료의 점성을 너무 높이게 되어서 용기의 스크류 캡 성형시에 좋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서 고슬립성 플라스틱을 20 중량부 이하로 맞춘다.
상기 과분산제는 0.5∼7 중량부를 혼합한다. 과분산제는 고체 미립자를 액 중에 분산시키고 가능한 한 안정한 현탁액을 만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과분산제는 큰 입자와 응집한 입자를 분쇄하여 보다 작은 입자와 콜로이드 입자로 만들 때 생성된 미소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가하는 물질이다. 즉, 과분산제는 분산제 및 반발유도를 통한 무기 충진재의 엉김 방지를 통해 기계적 특성의 향상기능이 주 목적이다. 과분산제가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미소 입자의 응집 방지 기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으며 과분산제가 7 중량부 초과시에는 본 발명의 다른 성분들 사이이의 화학적 결합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과분제가 0.5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복합 금속 스테아린산염(Metal stearate)은 연화제로 기능하여, 본 발명의 플라스틱 재료의 유연성을 부여하고 경도를 저하시켜 플라스틱 재료의 가소성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용기의 스크류 캡의 성형 및 가공이 보다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한다. 이때, 복합 금속스테아린산염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플라스틱 재료의 유연성을 부여하고 가소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능이 미흡하게 되어 용기의 스크류 캡의 성형과 가공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없으며, 복합 금속스테아린산염이 7 중량부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재료가 지나치게 유연성을 가지게 되어서 용기의 스크류 캡이 원하는 강도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복합 금속스테라인산염을 0.5∼7 중량부로 맞춘다.
상기 탈크는 무기 충진재로서, 탈크를 0.5∼20 중량부로 맞춘다. 상기 탈크는 물이나 유기질 용액에 의한 팽창성이 없고 이온교환도 거의 없으며 내산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분말화 할 경우 점도가 증가하며 스크류 캡 성형시 광택 조절, 내구력 향상, 산화억제 및 내 부식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탈크가 0.5 중량부 미만이면 내산성 특징이 나오지 않고 점도가 너무 낮아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스크류 캡 성형시 광택 조절, 내구력 향상, 산화 억제 및 내 부식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탈크를 20 중량부가 초과하도록 첨가하면 오히려 용기의 스크류 캡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내산성 내부식성이 떨어지게 되어 좋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 40∼99 중량부, 상기 과분산제 0.5∼7 중량부, 복합 금속스테아린산염 0.5∼7 중량부,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 0.2∼20 중량부, 탈크 0.5∼20 중량부를 혼합한 슬립성 복합 원료(즉,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성형공정에 의해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 원료로 제공한다.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 원료는 화장품 용기나 식품 용기 등의 스크류 캡을 만들기 위한 재료이다.
상기 압출성형공정에 사용된 압출성형기는 2축 동방향 압출기로 스크류는 엘리멘트 타입; 스크류 지름 대비 유효길이 비율, L/D는 28∼52, 믹싱존은 2개 영역으로 구성하고, 가스벤트라인은 진공가스빼기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2축 동방향 압출기라 함은 스크류축이 압출기 본체에 나란하게 배열된 것을 의미하며, 두 개의 나란한 스크류축 사이에 상기 슬립성 복합 원료를 투입하여 압출하게 된다. 슬립성 복합 원료를 압출하여 상기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형성한다.
상기 압출기의 압출 가공온도 영역은 200∼230℃로 제공하고 온도제어능력은 ±5℃로 구성하고, 다이스 ; 스트랜드 다이를 채용하고, 스크린 메쉬는 150 메쉬로 구성된다.
상기 압출 가공 온도 영역이 최저 195℃ 미만인 경우(즉, 200℃ - 5℃ 미만인 경우)에는 슬립성 복합 원료가 제대로 멜팅되지 못하여 압출시 차질이 빗어지며, 압출 가공 온도 영역이 235℃를 초과할 경우(즉, 230℃ + 5℃ 초과일 경우)에는 슬립성 복합 원료가 과열로 타버리게 되므로, 최대 임계 온도인 235℃를 초과하지 않도록 압출 가공 온도를 맞춘다.
또한, 압출성형과정에서 성형되는 스트랜드는 수냉방식의 핫커팅 방식이나 언더워터 커팅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고슬립성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펠릿 형태나 입자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재료는 단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고슬립성 플라스틱, 과분산제, 복합 금속 스테아린산염, 탈크를 배합하였다.
이들 조성의 배합을 통해 동방향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블렌딩, 압출을 통해 슬립성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였다.
이에 사용된 동방향 2축 압출기의 L/D는 28∼52, 상기 압출기의 믹싱존은 2 영역에 설치하였으며, 가스빼기 장치는 진공설비를 갖춘 장비로 사용하였다.
믹싱존은 2개 영역으로 함으로써 1차 예비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차 마무리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 재료 압출시에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플라스틱 재료의 균일한 특성이 나오고 압출 블렌딩 과정이 보다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빼기 장치는 진공 설비를 갖춘 장비로 활용하면 외부 공기의 영향이 배제되어 고슬립 폴리프로필렌 재료(즉, 압출 공정에 의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재료)에 외부 공기에 의한 기포 발생이 방지되므로, 고슬립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동방향 2축 압출기를 통해 만들어진 슬립성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진 스크류 캡을 사출성형 플라스틱 화장품 및 식품 용기, 사출 블로우 및 압출 블로우로 만들어진 용기와 체결시 제품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고, 이들 용기와 스크류 캡을 여닫을 때 나사산에서의 갈림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를 얻었다.
이때의 슬립성 폴리프로필렌 캡과 만나는 용기의 소재로는 PP, SAN, ABS, PMMA, 코폴리에스터류(PETG, PCTG, PCTA), 폴리케톤(POK)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용기의 소재에 관계없이 나사산에서의 소재 갈림으로 인한 이물현상이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립성 플라스틱 블렌드를 활용하여 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와 캡의 체결시 플라스틱 소재의 갈림이 없도록 하는 응용 전반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존의 일부 화장품 및 식품의 스크류 캡에 나사산 갈림이 없도록 자기 윤활성 수지인 폴리아세탈을 사용하여 스크류 캡을 성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들 폴리아세탈 캡은 성형공정을 거치면서 폴리아세탈의 구성 단량체인 포름알데히드 영향으로 취기가 발생하여 내용물의 취기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품인 슬립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한 경우는 화장품 내용물과의 안정성 및 무취성으로 내용물의 취기로 오인하는 요인이 없다.
본 발명은 립스틱의 구성품 중에서 레일을 이루는 부품의 슬립성 특성을 갖는 부품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현재까지는 이들 슬립성을 부여해 주기 위해 폴리아세탈 소재로 부품을 사출성형하여 사용하는 부품을 대체할 수 있다.
발명은 다이렉트 블로우 용기를 이루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코폴리에스터와의 슬립성이 확보되어 펌프의 캡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약품 용기를 이루는 폴리프로필렌 사출 및 압출블로우 용기에 슬립성을 부여하는 캡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
    고슬립성 플라스틱;
    과분산제;
    복합 금속 스테아린산염; 및
    탈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40∼99 중량부,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 0.2∼20 중량부, 상기 과분산제 0.5∼7 중량부, 복합 금속스테아린산염 0.5∼7 중량부, 탈크 0.5∼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은 나일론,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케톤,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실록산공중합체,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2. 폴리프로필렌;
    고슬립성 플라스틱;
    과분산제;
    복합 금속 스테아린산염; 및
    탈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40∼99 중량부,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 0.2∼20 중량부, 상기 과분산제 0.5∼7 중량부, 복합 금속스테아린산염 0.5∼7 중량부, 탈크 0.5∼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슬립성 플라스틱은 나일론,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케톤,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실록산공중합체,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06260A 2016-08-22 2016-08-22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KR101755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60A KR101755332B1 (ko) 2016-08-22 2016-08-22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60A KR101755332B1 (ko) 2016-08-22 2016-08-22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332B1 true KR101755332B1 (ko) 2017-07-07

Family

ID=5935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60A KR101755332B1 (ko) 2016-08-22 2016-08-22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31A (ko) * 2021-04-22 2022-10-31 김양숙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수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782A (ja) 2006-06-21 2008-01-10 Aron Kasei Co Ltd 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したキャップライナー並びにキャップ
JP4960086B2 (ja) * 2003-05-05 2012-06-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耐スクラッチ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5563823B2 (ja) * 2007-09-07 2014-07-30 株式会社フレッシュ ボトルキャップ
EP2886291A1 (en) * 2013-12-23 2015-06-24 Omya International AG Polymer composition by continuous filler slurry extru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0086B2 (ja) * 2003-05-05 2012-06-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耐スクラッチ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2008001782A (ja) 2006-06-21 2008-01-10 Aron Kasei Co Ltd 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したキャップライナー並びにキャップ
JP5563823B2 (ja) * 2007-09-07 2014-07-30 株式会社フレッシュ ボトルキャップ
EP2886291A1 (en) * 2013-12-23 2015-06-24 Omya International AG Polymer composition by continuous filler slurry extru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31A (ko) * 2021-04-22 2022-10-31 김양숙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수지 조성물
KR102498031B1 (ko) * 2021-04-22 2023-02-08 김양숙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8112B1 (en) A pearlescent container
RU2636709C2 (ru) Однослойный контейнер с защитой от свет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Li et al. Morphology-tensile behavior relationship in injection mold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polyethylene and polycarbonate/polyethylene blends (I) Part I Skin-core Structure
JP5382162B2 (ja) 加飾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容器
EP2047967B1 (en) Heat-resistant poly(l-lactic acid) preform
KR101755332B1 (ko)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고슬립성 플라스틱 재료
CN105073888A (zh) 低toc排放的聚酯模塑组合物
Lin et al. Morphology of fluid assisted injection molded polycarbonate/polyethylene blends
KR101639743B1 (ko) 금속색의 외관을 갖는 연신 발포 플라스틱 성형체
WO201318618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verbundformkörpern
CN107974065A (zh) 聚碳酸酯-聚酯组合物及其应用
EP2094466B1 (de) Formulierung, daraus hergestellter prefor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treckgeblasener opaker kunststoffbehälter
WO1992008596A1 (en) One step preparation and fabrication of partially grafted flexi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EP2988932B1 (en) A glossy container
US20100207071A1 (en) Method of selectively controlling surface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mer articles
US201300692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lor Swirls In Plastic Containers
KR20170049540A (ko) 고분자 재료
CN110741044B (zh) 聚缩醛树脂组合物、成型品及聚缩醛树脂组合物的制造方法
KR102498031B1 (ko) 플라스틱 용기 또는 스크류 캡 나사산 갈림 방지용 수지 조성물
CN1864971A (zh) 一种珠光树脂的制备方法
CN110423438B (zh) 一种高光泽高韧性pbt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Rezanova et al. Morphology and rheology of nanofilled PP/PVA blends
KR20160144613A (ko) 전도성이 향상된 전도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Leong et al. Filler treatment effects on the weathering of talc-, CaCO3-and kaolin-filled polypropylene hybrid composites
WO2017154849A1 (ja) 延伸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