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73B1 - 쉴드 도전체 - Google Patents

쉴드 도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873B1
KR101754873B1 KR1020150061853A KR20150061853A KR101754873B1 KR 101754873 B1 KR101754873 B1 KR 101754873B1 KR 1020150061853 A KR1020150061853 A KR 1020150061853A KR 20150061853 A KR20150061853 A KR 20150061853A KR 101754873 B1 KR101754873 B1 KR 10175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tube
shielding
electric wire
fixing clip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547A (ko
Inventor
김세권
주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6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25Screen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13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by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6Bending and adhesively bonding of a metallic scre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선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선을 감싸며, 상기 전선을 차폐하도록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어 형성된 차폐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도전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쉴드 도전체{SHIELD CONDUCTOR}
본 발명은 쉴드 도전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전압 와이어 하네스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도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고전압을 공급하는 와이어 하네스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하네스는 금속제 파이프나 쉴드 전선을 사용하여 고전압을 차폐한다.
이때, 각각의 와이어에 차폐수단을 설치하는 개별 차폐 또는 와이어 하네스 전체를 일괄로 차폐하는 일괄 차폐를 통해 고전압에 의해 발생한 전자파나 노이즈를 차폐한다.
한편, 와이어 하네스를 차폐한 뒤, 외력에 의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하네스 둘레로 충격 완화 부재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전압이 공급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차폐하기 위한 차폐 수단과,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충격 완화 부재가 각각 설치되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 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제조 후 와이어 하네스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참조]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436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폐 가능한 차폐튜브 내에 전선이 설치된 쉴드 도전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쉴드 도전체는, 복수의 전선과, 외력에 의해 상기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차폐하는 차폐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선을 감싸는 차폐튜브를 차폐 수지로 성형함으로써, 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차폐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차폐튜브로 전선을 차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튜브가 측면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튜브의 일 단에 고정클립을 설치하여, 차폐튜브에 전선을 설치한 후 차폐튜브가 절개부를 따라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차폐튜브 내에 전선을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쉴드 도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쉴드 도전체에 설치된 고정클립의 체결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쉴드 도전체에 설치된 고정클립의 개방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쉴드 도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쉴드 도전체에 설치된 고정클립의 체결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쉴드 도전체에 설치된 고정클립의 개방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도전체(10)는 복수의 전선(100) 및 외력에 의해 전선(100)의 파손을 방지하며, 전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220)와 요입부(240)가 반복되어 형성되고, 전선(100)을 차폐하는 차폐튜브(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쉴드 도전체(10)는 차량 내의 배터리, 인버터, 모터 등의 전장품을 연결하며, 전선(10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쉴드 도전체(10)가 전도성 첨가재가 포함되어 형성된 차폐튜브(200)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차폐 수단 없이 전선(100)을 차폐함과 동시에 전선(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전선(100)은 차폐튜브(200) 내에 설치되며, 일 단에 설치되며, 고전압을 연결하는 대전류 단자 또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는 고전압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선(100)은 일반 라운드 와이어 하네스이며, 상기 전선(100)의 일 단에 대전류 단자 또는 고전압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전압 전선이 설치되는 구간에서도 일반 전선을 이용하여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쉴드 도전체(10)의 중량 및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고전압 전선은 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에 금속제 파이프 등이 설치되어 쉴드 도전체 무게 및 생산 비용이 일반 전선에 비하여 높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차폐 수지로 성형된 차폐튜브(200) 내에 일반 전선을 설치하기 때문에 무게가 감소될 뿐 아니라, 별도의 차폐 수단이 요구지 않으므로 쉴드 도전체(10)의 중량 및 생산 원가가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폐튜브(200)는 외면에 복수의 요입부(240)와 돌출부(220)를 포함하는 콜케이트 튜브로 구현되는 예를 들지만, 콜케이트 튜브 이외에 전선을 일체로 차폐할 수 있는 부재라면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폐튜브(200)는 복수의 전선(10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폐튜브(200)의 너비 및 형상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폐튜브(200)는 전선(100)을 차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폐튜브(200)는 일반적인 차폐튜브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소재에 전도성 첨가재를 혼합하여 성형한다. 이로 인하여 차폐튜브(200) 자체가 차폐성을 가지기 때문에 차폐튜브(200) 내에 고전압에 의해 전자파가 발생하는 전선(100)이 설치되어도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폐튜브(200)를 성형하는 전도성 첨가재는 주로 금속 계열이나 카본 소재의 분말을 이용하지만, 전선(100)을 차폐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도 차폐튜브(200)를 성형하는 재료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차폐튜브(200)는 전선(100)이 수납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20)와 요입부(240)를 포함한다. 즉, 차폐튜브(200)는 플랙시블(flexible)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쉴드 도전체(10)의 설치 길이 및 전선(100)의 설치되는 형상에 관계없이 쉴드 도전체(1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튜브(200)는 차폐튜브(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폐튜브(200)를 절개하는 절개부(260)와, 상기 차폐튜브(200)의 일 단에 설치되고, 전선(100) 감싼 체결위치(도 3 참고)와 절개부(260)에 의해 절개되어 차폐튜브(200)의 내부가 개방된 개방위치(도 4 참고) 사이에서 회동하며, 체결위치 시, 차폐튜브(200)의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클립(250)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튜브(2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차폐튜브(200)는 내부에 전선(100)을 삽입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폐튜브(200)는, 차폐튜브(200)의 의 일 면을 절개하는 절개부(260)를 형성하여, 절개부(260)를 따라 차폐튜브(200)를 측면으로 벌려, 차폐튜브(200) 내부에 전선(100)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절개부(260)는 차폐튜브(200)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절개부(260)는 차폐튜브(200)의 일 단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클립(250)은 절개부(260)가 형성된 차폐튜브(200)의 일 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50)은 차폐튜브(200)가 체결위치일 때, 절개부(260)가 차폐튜브(200)의 측면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클립(250)은 개방위치 시, 고정클립(250)을 절개하는 락킹부(252)와, 상기 체결위치 시, 락킹부(252)가 체결되는 체결부(254)와, 상기 락킹부(252)와 대향되며, 체결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회동부(256)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고정클립(250)은 절개부(260)에 의하여 제1 고정클립(250a)과 제2 고정클립(250b)으로 절개되며, 상기 제1 고정클립(250a)과 제2 고정클립(250b) 사이에는 회동부(256)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256)는 제1 고정클립(250a)과 제2 고정클립(250b) 사이에 브릿지 수단으로 개방위치 시 고정클립(2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동부(256)는 제1 및 제2 고정클립(250a, 250b)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제1 및 제2 고정클립(250a, 250b)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회동부(256)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여 고정클립(250)이 탄성적으로 개방위치와 체결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252)는 고정클립(250)이 체결위치 상태를 락킹시킨다. 즉, 고정클립(250)이 체결위치일 때, 절개부(260)를 따라 차폐튜브(20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254)는 락킹부(252)가 체결되는 부재이며, 체결부(254) 내에는 홈 또는 홀(H)이 형성되어 체결위치 시, 체결부(254)가 락킹부(252)의 홈 또는 홀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클립(250)은 차폐튜브(200)의 일 단에서 탈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차폐튜브(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차폐튜브(200)가 체결위치일 때,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차폐튜브(20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락킹부(252)가 제1 고정클립(250a)에 형성되며, 체결부(254)가 제2 고정클립(250b)에 형성된 예를 들지만, 상기 락킹부(252)와 체결부(254)가 형성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에 의해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전선(100)을 감싸는 차폐튜브(200)를 차폐 수지로 성형함으로써, 전선(10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차폐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차폐튜브(200)로 전선(100)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폐튜브(200)가 측면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절개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튜브(200)의 일 단에 고정클립(250)을 설치하여, 차폐튜브(200)에 전선(100)을 설치한 후 차폐튜브(200)가 절개부(260)를 따라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차폐튜브(200) 내에 전선(1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쉴드 도전체 100: 전선
200: 차폐 튜브 220: 돌출부
240: 요입부 250: 고정클립
260: 절개부

Claims (4)

  1. 복수의 전선;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전선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을 차폐하도록도 전도성 수지로 형성된 차폐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튜브는,
    상기 차폐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차폐튜브를 절개하는 절개부와,
    상기 차폐튜브의 일 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을 감싼 체결위치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되어 상기 차폐튜브의 내부가 개방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며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차폐튜브의 상태를 고정하며,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고정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제1 고정클립과, 제2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클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상기 고정클립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도전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개방위치 시, 상기 고정클립을 절개하는 락킹부와,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락킹부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차폐튜브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도전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개방위치 시, 상기 락킹부와 상기 체결부가 마주하도록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 고정클립이 나란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쉴드 도전체.

KR1020150061853A 2015-04-30 2015-04-30 쉴드 도전체 KR10175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53A KR101754873B1 (ko) 2015-04-30 2015-04-30 쉴드 도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53A KR101754873B1 (ko) 2015-04-30 2015-04-30 쉴드 도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47A KR20160129547A (ko) 2016-11-09
KR101754873B1 true KR101754873B1 (ko) 2017-07-06

Family

ID=5752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853A KR101754873B1 (ko) 2015-04-30 2015-04-30 쉴드 도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736Y1 (ko) * 2006-01-23 2006-05-23 송석화 전선 보호용 콜게이트 튜브 조립체
JP2007221897A (ja) 2006-02-15 2007-08-30 Yazaki Corp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固定構造
JP2012110100A (ja) 2010-11-16 201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736Y1 (ko) * 2006-01-23 2006-05-23 송석화 전선 보호용 콜게이트 튜브 조립체
JP2007221897A (ja) 2006-02-15 2007-08-30 Yazaki Corp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固定構造
JP2012110100A (ja) 2010-11-16 201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47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43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KR101645114B1 (ko) 와이어 하네스
JP2013046564A (ja) 自動車のシールド導電体
KR101473486B1 (ko) 충전용 커넥터
JP63343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CN105814742A (zh) 具有屏蔽接触件的电连接器
US9722340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structure
KR101754873B1 (ko) 쉴드 도전체
US11400875B2 (en) Holder and wire harness
JP2019003728A (ja) シールドシェル、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10340639B2 (en) Shield shell and shielded connector
KR200479351Y1 (ko) 커넥터
KR102008527B1 (ko)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101692812B1 (ko) 고전압 커넥터
US11338745B2 (en) Holder and wire harness with pair of hinged split bodies
JP6907038B2 (ja) コネクタ
KR101783853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160002379U (ko) 고전압 커넥터용 접지장치
KR101692815B1 (ko) 커넥터 리어커버
KR101902296B1 (ko) 차폐수지 전선용 조인트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차폐수지 적용 전선
KR101379395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0481121Y1 (ko) 단자 캡
KR20220051722A (ko) 고전압 쉴드 커넥터
KR101692813B1 (ko) 고전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