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816B1 -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 Google Patents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816B1
KR101754816B1 KR1020160098904A KR20160098904A KR101754816B1 KR 101754816 B1 KR101754816 B1 KR 101754816B1 KR 1020160098904 A KR1020160098904 A KR 1020160098904A KR 20160098904 A KR20160098904 A KR 20160098904A KR 101754816 B1 KR101754816 B1 KR 10175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itation
seaweed
spore
spore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준
안윤근
김선진
Original Assignee
안윤근
조영준
김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윤근, 조영준, 김선진 filed Critical 안윤근
Priority to KR102016009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확산용 모조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서, 포자 생성이 가능한 성숙한 해조류인 모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용공간을 갖되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모조로부터 생성된 포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복수의 입출공을 갖는 망체부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모조 수용통과, 모조 수용통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조가 수용공간에 구속되도록 모조 수용통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부 마개와, 모조 수용통에 구속되게 수용되며 포자가 부착될 수 있는 씨줄이 감긴 씨줄틀을 구비한다. 이러한 해조류 포자확산용 모조주머니에 의하면, 포자의 착생여부를 씨줄틀의 씨줄을 통해 예측할 수 있고, 씨줄에 착생된 해조류를 유실영역에 식재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Algae spore spread apparatus for analysing attachment state of algae spore}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용된 모조의 포자가 확산되어 착생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씨줄틀을 갖는 해조류 포자확산용 모조주머니를 활용하여 해조류의 포자 확산 분석이 가능한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연안에는 지구온난화, 연안환경의 오염, 대구모 항만 건설 등에 의하여 연안어장의 생산성이 대기온난화, 환경오염과, 방파제 공사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기존 연안 해역에 서식하던 해조류인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등 토착 해조류들이 사라지고, 시멘트와 같은 석회질로 된 딱딱한 홍조류인 무절석회조류가 대량으로 번식하여 암반을 뒤덮는 백화현상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백화현상을 일으키는 무절석회조류는 홍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발생 초기에는 붉은색 또는 핑크색을 띠나 시간이 경과되어 사멸된 후에는 백색을 띠게 되며, 이는 무절석회조류가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사멸된 후에는 석회석만 남게 되기 때문이다.
수중의 사막화를 개선하기 위해 해조류 포자를 인공적으로 수중 자연암반 또는 인공구조물에 착생하기 위한 방법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050296호, 등록특허 제10-1025559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한편, 해중림 조성방법의 또 다른 방안으로 망형태로 된 주머니 내에 포자를 갖고 있는 성숙한 해조류인 모조를 삽입하여 인공어초 또는 수중 저연승 시설에 매달리게 설치하는 모조주머니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모조주머니는 단순히 성숙된 해조류인 모조를 삽입만 해놓기 때문에 모조주머니로부터 포자가 확산된 후 정상적으로 착생이 되는지를 확인할 수 없고, 착생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인공구조물에 해조류 종묘를 이식한 로프를 고정시켜 해저에 투입하는 방법과 이와 함께 수중저연승 시설을 설치하고 모조주머니를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식한 로프에서 자라는 해조류가 완전히 정착 및 성장하여 성체(모조)로 자란 후 포자를 방출하여 재가입되는 것을 활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로프를 이용한 설치한 해조류들의 태풍 및 기타 어업활동, 조식동물 등에 의해 유실 및 훼손되는 확률이 매우 높으며, 모조주머니를 설치하여 포자 방출을 통한 재가입되는 어린개체들에 의한 가입율 또한 그 효과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조를 수용하는 모조주머니를 현장에 설치 후, 포자 확산하여 착생효과를 규명하며, 착생된 해조류 씨줄을 활용하여, 포자 확산 및 착생효과를 바탕으로 해당 어장에 대한 향후 적정한 모조주머니 설치 위치 및 수심을 제시함으로써 예산절감 효과와 이를 통하여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는 포자 생성이 가능한 해조류인 모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모조주머니와; 상기 모조주머니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조주머니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와; 상기 모조주머니를 수중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조주머니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해저 바닥에 안착될 수 있게 하중을 갖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소정길이 연장되며 타 단은 상기 모조주머니에 연결되어 상기 모조주머니를 상기 프레임부에 구속시키는 복수의 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속부재는 복수의 모조주머니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일 면에 내측으로 인입되되 입구 측이 좁고 내부 측이 넓게 형성된 안내홈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일 측이 상기 안내홈에 구속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구속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판부재와, 하부에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여 상기 판부재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로드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체결로드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재를 체결할 수 있게 고리가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조주머니는 상기 모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모조로부터 생성된 포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복수의 입출공이 형성된 망체가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모조 수용통과, 상기 모조 수용통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조가 상기 수용공간에 구속되도록 상기 모조 수용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마개와, 상기 모조 수용통에 구속되게 수용되고, 상기 포자가 부착될 수 있는 씨줄이 감긴 씨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조 수용통은 상기 바닥면 중앙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씨줄틀의 일 측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게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구속돌기 및 제2구속돌기와, 상기 제1구속돌기 및 제2구속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씨줄틀의 타 측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게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3구속돌기 및 제4구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에 의하면, 포자의 착생 여부를 씨줄틀의 씨줄을 통해 예측할 수 있고, 씨줄에 착생된 해조류를 유실영역에 식재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는 다기능 모조주머니를 사용하여 특수제작한 사각 프레임에 설치하여, 이에 수심별, 위치별(방위별)부착한 모조주머니를 통해 포자가 확산되어 포자가 착생하는 적정수심과 위치를 판단할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착생된 씨줄틀을 활용해 수중 자연암반 및 인공구조물의 적정위치에 자연착생한 씨줄틀을 가지고 이식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의 모조주머니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조 수용통에 모조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조주머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의 프레임부 및 체결고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의 프레임부 및 체결고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발췌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는 포자 생성이 가능한 해조류인 모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모조주머니(100)와; 상기 모조주머니(10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조주머니(100)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200)와; 상기 모조주머니(100)를 수중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조주머니(1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모조주머니(100)는 모조 수용통(110), 상부 마개(130) 및 씨줄틀(150)을 구비한다.
상기 모조 수용통(110)은 포자를 갖는 성숙한 해조류인 모자(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117)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용공간(115)을 갖되, 수용공간(115)과 연통되어 포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복수의 입출공을 갖는 망체부분(119)을 가지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모조 수용통(110)은 원형의 바닥면(117)이 폐쇄되고, 바닥면(117)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바 형태로 연장된 수직지지살(118)과, 수직지지살(118)의 상단에서 수직지지살(118)을 상호 연결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1나사선부분(116)을 구비한다.
또한, 모조 수용통(110)은 수직지지살(118) 사이 영역이 앞서 설명된 망체부분(119)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망체부분(119)의 입출공의 크기는 수용하고자 하는 모조(10)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면 된다. 모조 수용통(110)의 바닥면(117)도 앞서 설명된 망체부분(119)에 형성된 입출공과 같이 입출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모조 수용통(110)의 내측면에는 씨줄틀(150)을 슬라이딩에 의해 삽입하여 구속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제1구속돌기 내지 제4구속돌기(111 내지 114)가 형성된다. 제1구속돌기(111) 및 제2구속돌기(112)는 바닥면(117) 중앙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씨줄틀(150)의 일 측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게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구속돌기(113) 및 제4구속돌기(113)는 제1구속돌기(111) 및 제2구속돌기(11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씨줄틀(150)의 타 측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게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호 대향되는 제1구속돌기(111)와 제3구속돌기(113) 사이의 이격거리 및 제2구속돌기(112)와 제4구속돌기(114) 사이의 이격거리는 씨줄틀(150)의 폭보다 약간 짧게 형성하고, 제1구속돌기(111)와 제2구속돌기(112) 사이의 간격 및 제3구속돌기(113)와 제4구속돌기(114) 사이의 간격은 씨줄틀(15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다.
상기 씨줄틀(150)은 모조 수용통(110)의 제1구속돌기 내지 제4구속돌기(111 내지 114) 사이에 구속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빈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씨줄틀(150)은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정도를 줄이면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각틀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보강된 보강살을 갖는 구조가 적용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보강살이 생략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씨줄툴(150)에는 포자가 부착될 수 있는 씨줄(160)이 다수 회 감겨 있다.
여기서, 씨줄(160)은 포자의 부착을 유도하여 포자 착생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착 포자에 의해 성장한 해조류를 그대로 해조류 유실영역에 식재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자원도 된다.
상기 상부 마개(130)는 모조 수용통(110)의 수용공간(115)에 수용된 해조류 즉 모조(10)가 수용공간(115) 내에 구속상태로 수용되도록 모조 수용통(1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나사선부분(116)과 나사결합방식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마개(130)의 내주면에는 모조 수용통(1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나사선부분(116)과 나사결합될 수 있게 제2나사선부분(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마개(130)의 상면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시된 예와 다르게 앞서 설명된 망체부분(119)과 같이 입출공을 갖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마개(130)의 상면과 모조 수용통(110)의 저면에는 수중에 모조주머니(100)가 매달린 상태로 부유할 수 있도록 인공어초등과 줄을 통해 연결고리(134)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해조류 포자확산용 모조주머니(100)에 의하면, 포자의 착생여부를 씨줄틀(150)의 씨줄(160)을 통해 예측할 수 있고, 씨줄(160)에 착생된 해조류를 유실영역에 식재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부구(200)는 각 모조주머니(100)에 연결되어 모조주머니(100)가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게 모조주머니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구(200)는 통상적으로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내부에 공기가 차 있는 부이, 발포체로 구성된 부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해저 바닥에 안착될 수 있게 하중을 갖는 프레임부(310)와, 프레임부(310)에 일 단이 연결되고 소정길이 연장되며 타 단은 모조주머니(100)에 연결되어 모조주머니(100)를 프레임부(310)에 구속시키는 복수의 구속부재(3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310)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고, 해저에 안착될 수 있게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310)의 상부에는 구속부재(350)의 일 단에 연결을 위한 체결고리(320)가 프레임부(310)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사각 틀 형상뿐만 아니라, 삼각, 육각, 원형 틀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에는 프레임부(310)에 체결고리(330)를 설치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부는 프레임부(310)의 하방으로 인입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설치구멍(311a, 311b)으로 형성되며, 일 측의 설치구멍(311a)에는 체결고리(330)의 일 측 단부(331)가 삽입되고, 타 측의 설치구멍(311b)에는 체결고리(330)의 타 측 단부(332)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고리(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구멍(311a, 311b)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체결고리(330)를 설치부에 장착 설치시, 양측 단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근접시켜 양측 단부를 설치구멍(311a, 311b)에 각각 삽입한다. 이때, 체결고리(330)는 탄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설치구멍(311a, 311b)에 삽입된 후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설치구멍(311a, 311b)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설치구멍(311a, 311b)의 간격은 체결고리(320)의 양측 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체결고리(330)를 설치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체결고리(330)의 양측 단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설치구멍(311a, 311b)으로부터 양측 단부를 빼내면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350)는 복수가 구비되고, 복수의 모조주머니(100)에 각각 결합되며, 모조주머니(100)들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도 6에는 프레임부(310)에 대해 체결고리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310)의 상면에는 프레임부(3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폭을 갖고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는 인입홈(313)이 형성되고, 프레임부(310)의 내부에는 인입홈(313)과 연통되게 인입홈(313)으로부터 프레임부(310)의 폭 방향을 따라 확장된 확장홈(315)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313) 및 확장홈(315)은 프레임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확장홈(315)에는 인입홈(313)의 폭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평판부재(316)가 개재되며, 상기 평판부재(316)의 중앙에는 체결고리(340)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나사홀(316a)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310)에 체결되는 체결고리(340)는 인입홈(313)으로 진입되어 평판부재(316)의 나사홀(316a)에 나사체결되는 로드(343)와, 로드(343)의 상부에 형성되어 구속부재(350)를 연결할 수 있게 형성된 고리(344) 및 로드(343)와 고리(344) 사이에 형성되어 고리(344)가 인입홈(313)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345)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고리(340)는 로드(343)가 평판부재(316)에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프레임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로드(343)를 평판부재(316)에 강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랜지(345)와 평판부재(316)가 프레임부(310)의 외주면과 확장홈(315)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 가압되면서 프레임부(310)를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체결고리(340)를 프레임부(310)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모조주머니(1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는 모조주머니를 지지하는 구속부재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는 내측에 모조주머니(100) 및 구속부재(350)가 수용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며, 외주면에는 해수가 통과할 수 있게 다수의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하단이 프레임부(310)에 고정된다. 상기 통과구멍의 크기는 모조주머니(100)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만 형성되도 된다.
상기 스크린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프레임부(310)로부터 연장된 구속부재(350)의 길보다 길게 형성되어 일 측의 모조주머니(100)를 지지하는 구속부재(350)가 인접하는 모조주머니(100)를 지지하는 구속부재(350)에 엉키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모조주머니
110: 모조 수용통
130: 상부 마개
150: 씨줄틀
160: 씨줄
200 : 부구
300 : 지지부
310 : 프레임부
320, 330, 340 : 체결고리
350 : 구속부재

Claims (5)

  1. 포자 생성이 가능한 해조류인 모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모조주머니와;
    상기 모조주머니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조주머니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와;
    상기 모조주머니를 각각 수중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조주머니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조주머니는
    상기 모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모조로부터 생성된 포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복수의 입출공이 형성된 망체가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모조 수용통과,
    상기 모조 수용통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모조가 상기 수용공간에 구속되도록 상기 모조 수용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마개와,
    상기 모조 수용통에 구속되게 수용되고, 상기 포자가 부착될 수 있는 씨줄이 감긴 씨줄틀을 포함하며,
    상기 모조 수용통은
    상기 바닥면 중앙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씨줄틀의 일 측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게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1구속돌기 및 제2구속돌기와,
    상기 제1구속돌기 및 제2구속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씨줄틀의 타 측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게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제3구속돌기 및 제4구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해저 바닥에 안착될 수 있게 하중을 갖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소정길이 연장되며 타 단은 상기 모조주머니에 연결되어 상기 모조주머니를 상기 프레임부에 구속시키는 복수의 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속부재는
    복수의 모조주머니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일 면에 내측으로 인입되되 입구 측이 좁고 내부 측이 넓게 형성된 안내홈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일 측이 상기 안내홈에 구속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구속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판부재와, 하부에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여 상기 판부재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로드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체결로드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부재를 체결할 수 있게 고리가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포자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60098904A 2016-08-03 2016-08-03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KR101754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904A KR101754816B1 (ko) 2016-08-03 2016-08-03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904A KR101754816B1 (ko) 2016-08-03 2016-08-03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816B1 true KR101754816B1 (ko) 2017-07-06

Family

ID=5935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904A KR101754816B1 (ko) 2016-08-03 2016-08-03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8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289B1 (ko) * 2017-11-22 2018-06-28 제주해양연구소 주식회사 이동식 채묘 상자와 이를 이용한 자연형 해조류 양식 방법
KR102077278B1 (ko) 2019-02-13 2020-02-13 최지섭 친환경 모조 주머니
KR102241451B1 (ko) 2020-08-05 2021-04-15 최지섭 친환경 바다 숲 조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329441B1 (ko) 2021-06-24 2021-11-22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재활용 천로프를 이용한 모자반 양식 시스템 및 해조류 군락 복원방법
KR102478983B1 (ko)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바다숲 조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KR102478987B1 (ko)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바다숲 조성을 위한 혼합벌크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KR102478985B1 (ko)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볏짚매트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장치, 이를 이용한 볏짚매트 및 바다숲 조성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29A (ja) * 2000-11-27 2002-06-04 Tokyo Jimu Service Kk 海藻・藻場の造成方法および装置
CN101743899A (zh) * 2008-12-11 2010-06-23 财团法人石材暨资源产业研究发展中心 可供海洋性植物附着的固定装置
KR101514616B1 (ko) * 2014-12-17 2015-04-23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수중 저연승 설치용 자연암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29A (ja) * 2000-11-27 2002-06-04 Tokyo Jimu Service Kk 海藻・藻場の造成方法および装置
CN101743899A (zh) * 2008-12-11 2010-06-23 财团法人石材暨资源产业研究发展中心 可供海洋性植物附着的固定装置
KR101514616B1 (ko) * 2014-12-17 2015-04-23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수중 저연승 설치용 자연암반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289B1 (ko) * 2017-11-22 2018-06-28 제주해양연구소 주식회사 이동식 채묘 상자와 이를 이용한 자연형 해조류 양식 방법
KR102077278B1 (ko) 2019-02-13 2020-02-13 최지섭 친환경 모조 주머니
KR102241451B1 (ko) 2020-08-05 2021-04-15 최지섭 친환경 바다 숲 조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329441B1 (ko) 2021-06-24 2021-11-22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재활용 천로프를 이용한 모자반 양식 시스템 및 해조류 군락 복원방법
KR102478983B1 (ko)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바다숲 조성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KR102478987B1 (ko)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바다숲 조성을 위한 혼합벌크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KR102478985B1 (ko) 2021-10-27 2022-12-19 김석주 볏짚매트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장치, 이를 이용한 볏짚매트 및 바다숲 조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16B1 (ko) 해조류 포자의 착생 상태 분석을 위한 해조류 포자확산장치
CN108901965A (zh) 一种大型网箱养殖鱼类分级采捕装置及其大型网箱和方法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KR101701341B1 (ko) 해조류 이식용 바
KR100891455B1 (ko) 종묘부착판 및 그 부착방법
KR101657439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CN104137813A (zh) 一种鱼苗采集装置及适合长江下游感潮段的鱼苗采集方法
KR100889031B1 (ko) 종사로프 고정용 구조물을 결합한 해조초
KR20120126750A (ko) 해조류 이식용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해조류 이식 방법
KR20140014460A (ko) 연승수하식 어패류 양식장치용 양식부
CN106359240B (zh) 一种鱼类自适应式渐进放流装置
KR101974404B1 (ko) 천연 해조장 조성 및 확대를 위한 해조류 이식방법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KR101716266B1 (ko) 어류 산란장치
KR20180027009A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KR101652053B1 (ko) 해조류 포자확산용 모조 주머니
KR200417710Y1 (ko) 방사형 조림초
KR101174904B1 (ko) 굴 양식용 구조물
KR101182591B1 (ko)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장치
KR101514616B1 (ko) 수중 저연승 설치용 자연암반 고정장치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CN103621438B (zh) 一种紫海胆增殖放流研究装置
KR20100011230U (ko)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0582935B1 (ko)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KR100720124B1 (ko) 해중림조성용 계단식 조림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