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009A -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Google Patents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7009A KR20180027009A KR1020160114066A KR20160114066A KR20180027009A KR 20180027009 A KR20180027009 A KR 20180027009A KR 1020160114066 A KR1020160114066 A KR 1020160114066A KR 20160114066 A KR20160114066 A KR 20160114066A KR 20180027009 A KR20180027009 A KR 20180027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plate
- support
- fixing portion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1282110 Pagrus major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9919 Phaeophy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6607 Porphyra umbilic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6572 Rhod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올려져 위치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갖추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관통형성한 제2고정부를 갖추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본체 ;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에 상부단 일부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올려져 위치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갖추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관통형성한 제2고정부를 갖추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본체 ;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에 상부단 일부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조류를 양식하는데 사용되는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김말과 같은 양식발을 해수면에서 안정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면서 작업자가 양식발을 반복적으로 반전시키는 수작업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경량화할 수 있는 한편, 양식말과 연결된 지지대를 고정하고 보수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조류는 크게 다시마, 미역, 톳, 실말 등의 갈조류와 김, 우뭇가사리 등의 홍조류, 파래 등의 녹조류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500 여종의 해조류 중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50여 종으로서, 주로 김, 미역, 다시마, 파래, 톳, 마자반, 청각 등의 해조류가 식용으로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해조류 중 김은 밀물 때 해수면 아래로 잠기어 침수되고 썰물 때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조간대 상층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부류식 김양식을 업으로 하는 어민들은 날마다 바다에 나가 부상체인 부구를 매단 김발(해태망)을 뒤집어 김이 해수면 위의 햇볕에 노출되거나 해수면에 침수되도록 김발을 뒤집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김발이 해수면 위에서 햇볕에 제대로 노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침수되면 당연히 침수대에서 자라는 잡해조류 및 갯병균이 침수된 김발에 침범하여 김을 폐사시키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김발의 확실한 노출을 위해 김발에 부구를 안정되게 설치하는 것은 김 양식업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반적으로 김이 양식되는 김발을 해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서는, 해수면 위에 부상되는 복수의 부구와와, 상기 부구 사이의 간격과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부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구본체가 통상 스티로폼 등으로 구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내구성이 극히 약하여 조그마한 충격 등에도 쉽게 파손되고, 파손시 발생하는 파편 등이 해양을 심하게 오염시킴은 물론 그 사용수명이 극히 짧아 보수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상기 부구와 김발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대를 부구본체에 로프(rope)로 결속해야만 하는데, 작업자가 해상에서 직선재인 지지대를 구체의 외부면에 로프로서 결속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해상에서 부구와 이에 결속된 지지대와 김발을 수작업으로 뒤집는 작업시 충분한 부력을 갖도록 부피가 큰 부구에 의해서 전체적인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김발의 반전작업시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0849006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김말과 같은 양식발을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면서 작업자가 양식발을 반복적으로 반전시키는 수작업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경량화할 수 있는 한편, 양식말과 연결된 지지대를 고정하고 보수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올려져 위치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갖추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관통형성한 제2고정부를 갖추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본체 ;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에 상부단 일부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좌우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부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제1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제1연장판에 올려진 지지대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좌우양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절곡된 제2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판은 상기 지지대의 외부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제3연장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판에는 상기 제3연장판에 올려진 지지대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 좌우양측으로부터 상향연장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제1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된 지지대가 상기 제1지지판의 내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지지대와 제2고정부사이에 개재되어 기체가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가압용기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하나의 강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지지판은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턱을 하단에 형성한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가 올려져 배치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도록 고정재가 결속되는 연장부를 외측으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된 지지대가 상기 제2지지판의 내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지지대와 융기부사이에 개재되어 기체가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가압용기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하나의 강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턱을 하단에 형성한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고정부는 양측단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좌우한쌍의 보조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판의 수평판 단부에는 상기 제2지지판에서 연결된 하나의 지지대에 지지되는 양식발의 외측로프가 연결되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올려진 지지대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고정구가 복수개 형성된 함몰박스체를 포함하거나 일정깊이 함몰형성되고,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함몰 원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력부는 상기 고정구에 삽입고정되는 상부단에 형성된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를 갖추어 기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용기가 삽입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제2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본체의 제1,2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본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2본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고정구와 부력발생원인 용기의 주입구가 설치되는 제2고정구로 이루어지는 부상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고, 전체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라 양식밭을 반복적으로 180도 반전시켜 양식발을 해수면상으로 노출시키거나 해수면 아래로 침수하는 작업을 작업자의 작업부담없이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작업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 양식발과 연결되는 지지대가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구와, 부력부의 용기가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구간의 높이차를 형성함으로써 반전된 양식발을 따라 이동하면서 양식물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기체가 주입되는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와의 직, 간접적인 충돌 및 충격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개의 개방에 의한 부상 조립체의 부력상실과 같은 치명적인 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양식발과의 접촉 및 간섭을 근복적인 방지하여 양식물 채취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형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a)는 양식발이 해수면에 노출된 상태이다.
(b)는 반전되어 양식발이 해수면 아래에 침수된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형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a)는 양식발이 해수면에 노출된 상태이다.
(b)는 반전되어 양식발이 해수면 아래에 침수된 상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는 도 1 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김과 같은 해조류가 부착되어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양식발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2)와 각각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본체(110)와 부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10)는 상기 지지대(2)가 올려져 위치고정되는 제1고정부(110a)를 갖추고, 상기 부력부(120)의 용기가 위치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111)를 관통형성한 제2고정부(110b)를 포함하여 양식발이 지지되는 지지대(2)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제2고정부(110b)의 고정구(111)에 상부단 일부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부(110a)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부력부(120)는 대략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110b)에 관통형성된 고정구(111)에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상부단에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122)를 갖추어 대략 원통형의 용기(121)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주입구(122)를 밀봉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마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부(120)는 주입구(122)가 나사결합되는 마개에 의해서 용기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기체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입구의 내부로 압입되거나 일방향 체크밸브를 갖추어 압입되는 원통형 압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11)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124)이 탄력적으로 걸림배치되도록 슬릿(111a)을 형성하여 상기 주입구가 걸림고정되는 고정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121)는 일단에 외부로부터 공기와 같은 기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를 구비하고, 수면에서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을 갖도록 기체가 주입구를 통하여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어 플라스틱 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통형 또는 다각형 수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121)는 기체가 주입되는 입구인 주입구의 외경이 작고, 기체가 주입되어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나머지 원통형 몸체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형태를 갖는 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체가 채워져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121)는 1회용으로 버려지는 플라스틱 용기인 PET병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제2고정부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111)에 상부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복수개의 용기(121)를 상기 제2고정부의 직하부에 정렬배치할 수 있도록 제2본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본체(130)는 상기 복수개의 용기(121)가 일대일 대응 삽입배치되어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용기배치공(131)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용기배치공에 삽입배치된 복수개의 용기를 제2고정부의 직하부에 정렬배치하는 지지체(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본체의 직하부에서 상기 부력발생원인 용기를 정렬배치하는 제2본체는 상기 연결부재(133)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본체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부재의 필요없이 제1본체와 제2본체는 서로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3)는 상기 제1본체(110)의 제1,2고정부(110a,110b)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본체(130)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2본체사이를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3)는 상기 제1본체(110)의 제1,2고정부(110a,11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단이 상기 제2본체(130)에 결합되어 연결되거나 상기 제2본체로부터 상향연장되는 상단이 상기 제1본체의 제1,2고정부(110a,110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0a)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11)가 관통형성된 제2고정부의 좌우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좌우한쌍의 지지대(22)의 외부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제1연장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10b)는 상기 용기의 상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를 관통형성한 대략 사각판상의 수평판(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0a)의 제1연장판(112)은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고르게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110b)에는 상기 제1연장판(112)에 올려져 접하는 자지대(2)를 보다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재(F)가 통과하는 관통공(113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재(F)는 상기 제1연장판에 올려지는 지지대(2)를 감아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결속되는 와이어로프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타이와 같은 다른 결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13a)은 상기 제1연장판(112)과 제2고정부(110b)간의 경계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a)는 도 3 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본체(110)와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110a)는 상기 제2고정부의 좌우양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정높이 상향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제2연장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판(114)은 상기 지지대(2)의 외부면과 접하는 제3연장판(115)을 포함하며,이러한 제3연장판(115)은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고르게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판(114)에는 상기 제3연장판(115)에 올려져 접하는 지지대(2)를 보다 확고히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F)가 통과하는 관통공(114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2)의 위치는 상기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 주입구 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2연장판(114)의 높이크기 만큼 높이차를 갖기 때문에 해수면을 향하도록 반전된 양식발을 따라 선박을 이동시키면서 양식발에 부착된 김과 같은 해조류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가 움직이게 되면서 주입구가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b)는 도 5 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본체(110)와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110a)는 상기 제2고정부(110b)의 상부면 좌우양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일정높이 상향연장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개구부(116a)를 갖는 좌우한쌍의 제1지지판(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판(116)은 상기 개구부(116a)에 삽입배치된 지지대(2)가 상기 제1지지판(116)의 상부 내측면에 접하여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대(2)와 더불어 개구부(116a)에 삽입배치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116b)를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판(116)은 상기 제2고정부(110b)의 상부면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의 곡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16b)는 상기 지지대(2)를 상기 제2고정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배치되면서 상기 제1지지판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116a)에 지지대와 더불어 삽입배치되어 기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용기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하나의 강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용기는 상기 부력부와 마찬가지로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이를 밀봉하는 마개를 갖추어 상기 지지대와 제2고정부사이에 개재되는 원통형 용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대와 제2고정부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는 고무소재 또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강체는 상기 지지대와 제2고정부사이에 억지끼움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쐐기형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2)는 상기 제1지지판의 최상부 내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가압부재(116b)에 의해서 상부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111)에 삽입되는 고정되는 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이들사이에 일정크기의 높이차를 갖기 때문에 해수면을 향하도록 반전된 양식발을 따라 선박을 이동시키면서 양식발에 부착된 김과 같은 해조류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가 움직이게 되면서 주입구가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116)은 상기 제2고정부(110b)의 상부면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높이 상향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의 곡면판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판(116)은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으로 상향연장되는 일체형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110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110b)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끼움공(113b)으로 삽입되어 걸림연결되도록 걸림턱(116c)을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배치되는 제1지지판(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판(116)은 상기 걸림턱(116c)을 외측면에 높이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한 한쌍의 수직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의 곡면판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116c)을 갖는 제1지지판(116)은 대략 아래로 개방된 U자형 지지체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걸림턱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를 위치고정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지지대와 제2고정부사이에 개재되도록 개구부에 삽입배치되는 가압부재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의 배치높이를 제2고정부의 상부면으로 이격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로 개방된 U자형 지지체로 이루어진 제1지지판의 좌우한쌍의 수직판을 내측으로 오므려 걸림턱과 걸림공간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제1지지판을 제2고정부로부터 분리해제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c)는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및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본체(110)와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110a)는 상기 제2고정부(110b)의 상부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가 올려지는 융기부(117)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117)에는 상기 지지대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F)가 결속되는 연장부(117b)를 외측으로 연장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재(F)는 상기 융기부(117)의 양측단인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연장부(117b)에서 지지대와 더불어 결속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여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기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과하는 고정재에 의해서 지지대를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가 올려지는 융기부(117)의 상부면은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의 외부면과 고르게 접하여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아래로 볼록한 호형 단면상의 요홈(117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2)는 상기 제2고정부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된 융기부(117)의 상부면에 접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111)에 삽입되는 고정되는 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이들사이에 일정크기의 높이차를 갖기 때문에 해수면을 향하도록 반전된 양식발을 따라 선박을 이동시키면서 양식발에 부착된 김과 같은 해조류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가 움직이게 되면서 주입구가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d)는 도 10 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3 및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본체(110)와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110a)는 상기 제2고정부(110b)의 상부면 중앙영역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는 융기부(117)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117)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연장되고, 상기 지지대(2)가 삽입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개구부(118a)를 갖는 제2지지판(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판(118)은 상기 개구부(118a)에 삽입배치된 지지대(2)가 상기 제2지지판(118)의 상부 내측면에 접하여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대(2)와 더불어 개구부(118a)에 삽입배치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압부재(118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판(118)은 상기 융기부(117)의 상부면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의 곡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18b)는 상기 지지대(2)를 상기 융기부(117)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배치되면서 상기 제2지지판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118a)에 지지대와 더불어 삽입배치되어 기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용기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하나의 강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용기는 상기 부력부와 마찬가지로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이를 밀봉하는 마개를 갖추어 상기 지지대와 융기부사이에 개재되는 원통형 용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대와 융기부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는 고무소재 또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강체는 상기 지지대와 융기부사이에 억지끼움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쐐기형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2)는 상기 제2지지판의 최상부 내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가압부재(118b)에 의해서 상부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111)에 삽입되는 고정되는 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이들사이에 일정크기의 높이차를 갖기 때문에 해수면을 향하도록 반전된 양식발을 따라 선박을 이동시키면서 양식발에 부착된 김과 같은 해조류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가 움직이게 되면서 주입구가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판(118)은 상기 융기부(117)의 상부면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높이 상향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의 곡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상기 제2지지판(118)은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일체형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110a)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융기부(117)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다른 끼움공(113d)으로 삽입되어 걸림연결되도록 걸림턱(118c)을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배치되어 고정되는 제2지지판(1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판(118)은 상기 걸림턱(118c)을 외측면에 높이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한 한쌍의 수직판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면서 대략 원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의 외부면과 밀착되어 접하도록 대략 호형 단면의 곡면판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118c)을 갖는 제2지지판(118)은 대략 아래로 개방된 U자형 지지체로 이루어져 상기 융기부(117)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걸림턱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지지대를 위치고정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지지대와 융기부사이에 개재되도록 개구부에 삽입배치되는 가압부재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의 배치높이를 제2고정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로 개방된 U자형 지지체로 이루어진 제2지지판의 좌우한쌍의 수직판을 내측으로 오므려 걸림턱과 걸림공간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제2지지판을 융기부로부터 분리해제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판(118)이 구비되는 융기부(117)의 상부면은 상기 가압부재의 외부면과 고르게 접하여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아래로 볼록한 호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110b)의 양측단에는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직판(119a)과 수평판(119b)으로 이루어지는 좌우한쌍의 보조지지판(119)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판의 수평판(119b) 일측단부에는 상기 융기부(117)의 제2지지판(118)에서 연결된 하나의 지지대에 지지되는 양식발의 외측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양식발의 외측로프(11)가 연결되는 연결공(119a)을 관통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e)는 도 13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및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본체(110)와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고정부(110a)는 상기 고정구(111)가 관통형성되도록 는 제2고정부의 좌우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좌우한쌍의 지지대(22)의 외부면과 접하여 배치되느 좌우한쌍의 제1연장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10a)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연장판에 올려진 지지대(2)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F)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고정부(110b)는 상기 제1연장판(112)이 연장형성되는 수평판(113)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함몰박스체(125)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박스체(125)의 바닥면에는 상기 용기(121)의 상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111)를 부력부의 용기가 설치되는 갯수에 맞추어 복수개 형성할 수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110b)는 도 15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장판(112)이 연장형성되는 수평판(113)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복수개의 함몰원통체(126)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함몰원통체의 각 바닥면에는 상기 용기(121)의 상단에 형성된 주입구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11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몰박스체(125) 또는 함몰원통체(126)는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깊이이 연장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고정부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에 조립식으로 상단이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11)는 상기 함몰박스체(125) 또는 함몰원통체(126)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함몰박스체 또는 함몰원통체의 내부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의 주입구가 제2고정부로부터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함몰박스체 또는 함몰원통체의 바닥면이나 그 상부에 형성된 고정구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주입구는 양식발을 지지하도록 제1연장판에 배치되어 고정된 지지대(2)보다 낮은 위치를 갖추어 이들사이에 일정크기의 높이차를 갖기 때문에 해수면을 향하도록 반전된 양식발을 따라 선박을 이동시키면서 양식발에 부착된 김과 같은 해조류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가 움직이게 되면서 주입구가 개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7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에 의해서 지지대를 매개로 연결된 양식발이 부상되어 해수면상에서 햇볕에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b 는 상기 양식발이 180도 반전되어 부상조립체가 상부로 향하여 노출되는 반면에 양식발은 해수면에 잠기어 침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양식발을 조수간만 차이에 따라 반전하는 작업시 상기 부상조립체의 전체적인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풀림시 이를 보수하는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부담을 줄일 수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의 제1,2고정구에는 바닷물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를 관통형성함으로써 부상 조립체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임과 동시에 침수된 양식발의 반전작업시 바닷물의 배수통과에 의해서 반전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식발에 양식되는 김과 같은 해조류를 수거하여 채취하는 작업은 도 15b와 같이 해수면에 침수되도록 양식발이 반전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발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선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상조립체의 부력발생원인 부력부의 용기의 주입구가 상기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되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양식발을 따라 이동하면서 양식물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와의 간섭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양식 채취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본체
110a : 제1고정부
110b : 제2고정부
111 : 고정구
111a : 슬릿
111b : 고정공
112 : 제1연장판
113 : 수평판
114 : 제2연장판
115 : 제3연장판
116 : 제1지지판
116a : 개구부
116b : 가압부재
117 : 융기부
118 : 제2지지판
120 : 부력부
121 : 용기
122 : 주입구
123 : 마개
125 : 함몰박스체
126 : 함몰원통체
130 : 제2본체
131 : 용기배치공
132 : 지지체
133 : 연결부재
110a : 제1고정부
110b : 제2고정부
111 : 고정구
111a : 슬릿
111b : 고정공
112 : 제1연장판
113 : 수평판
114 : 제2연장판
115 : 제3연장판
116 : 제1지지판
116a : 개구부
116b : 가압부재
117 : 융기부
118 : 제2지지판
120 : 부력부
121 : 용기
122 : 주입구
123 : 마개
125 : 함몰박스체
126 : 함몰원통체
130 : 제2본체
131 : 용기배치공
132 : 지지체
133 : 연결부재
Claims (15)
-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올려져 위치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갖추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관통형성한 제2고정부를 갖추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본체 ;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에 상부단 일부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좌우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부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제1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제1연장판에 올려진 지지대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좌우양단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절곡된 제2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판은 상기 지지대의 외부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제3연장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판에는 상기 제3연장판에 올려진 지지대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 좌우양측으로부터 상향연장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제1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된 지지대가 상기 제1지지판의 내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지지대와 제2고정부사이에 개재되어 기체가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가압용기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하나의 강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은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턱을 하단에 형성한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가 올려져 배치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도록 고정재가 결속되는 연장부를 외측으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배치되는 개구부를 갖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된 지지대가 상기 제2지지판의 내측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지지대와 융기부사이에 개재되어 기체가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가압용기로 이루어지거나 탄성복원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하나의 강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걸림공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턱을 하단에 형성한 한쌍의 수직판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양측단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좌우한쌍의 보조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판의 수평판 단부에는 상기 제2지지판에서 연결된 하나의 지지대에 지지되는 양식발의 외측로프가 연결되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올려진 지지대를 위치고정하도록 고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고정구가 복수개 형성된 함몰박스체를 포함하거나 일정깊이 함몰형성되고,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함몰 원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고정구에 삽입고정되는 상부단에 형성된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를 갖추어 기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용기가 삽입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제2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제1,2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본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2본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066A KR101895581B1 (ko) | 2016-09-05 | 2016-09-05 |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4066A KR101895581B1 (ko) | 2016-09-05 | 2016-09-05 |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7009A true KR20180027009A (ko) | 2018-03-14 |
KR101895581B1 KR101895581B1 (ko) | 2018-10-18 |
Family
ID=6166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4066A KR101895581B1 (ko) | 2016-09-05 | 2016-09-05 |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558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6596A (ko) * | 2019-11-11 | 2021-05-20 | 강흥묵 |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CN113022788A (zh) * | 2021-03-05 | 2021-06-25 | 董振峰 | 一种基于海洋管理的具有浮力调节功能的拦网浮标 |
KR20210138264A (ko) * | 2020-05-12 | 2021-11-19 | 주식회사 두니 | 해조류 성장 촉진제 공급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847Y1 (ko) * | 2009-01-23 | 2011-08-04 | 김부일 | 무 염산 김 양식장치 |
KR20140015033A (ko) * | 2012-07-27 | 2014-02-06 | 박기태 | 양식장용 부이 |
KR101361280B1 (ko) * | 2012-12-07 | 2014-02-13 | 강흥묵 |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
KR20150061764A (ko) * | 2013-11-28 | 2015-06-05 | 박영현 | 김양식용 부구체 |
-
2016
- 2016-09-05 KR KR1020160114066A patent/KR1018955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847Y1 (ko) * | 2009-01-23 | 2011-08-04 | 김부일 | 무 염산 김 양식장치 |
KR20140015033A (ko) * | 2012-07-27 | 2014-02-06 | 박기태 | 양식장용 부이 |
KR101361280B1 (ko) * | 2012-12-07 | 2014-02-13 | 강흥묵 |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
KR20150061764A (ko) * | 2013-11-28 | 2015-06-05 | 박영현 | 김양식용 부구체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6596A (ko) * | 2019-11-11 | 2021-05-20 | 강흥묵 |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KR20210138264A (ko) * | 2020-05-12 | 2021-11-19 | 주식회사 두니 | 해조류 성장 촉진제 공급 장치 |
CN113022788A (zh) * | 2021-03-05 | 2021-06-25 | 董振峰 | 一种基于海洋管理的具有浮力调节功能的拦网浮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5581B1 (ko) | 2018-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44798A (en) | Floating aquaculture apparatus | |
US5007376A (en) | Spar bouy pen system | |
KR101948670B1 (ko) | 중앙 스파 피쉬 펜 | |
KR101895581B1 (ko) |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 |
WO2006117767A3 (en) | A float and a floatable structure | |
US10051844B2 (en) | Modular submersible aquaculture raft | |
NO20111704A1 (no) | Flyteelement og framgangsmate for a tildanne et oppdriftssystem | |
US7341021B2 (en) | Submersible farm | |
KR102137724B1 (ko) | 김 양식용 부구 | |
JP2022542995A (ja) | 外洋水産養殖用魚囲い | |
KR101712267B1 (ko) | 해상 전복양식용 골쉘터 | |
KR20160094669A (ko) | 홍해삼 해중 양식틀 | |
US12035699B2 (en) | Single-seed shellfish floating aquaculture system | |
JP2012244960A (ja) | 水生生物の飼育装置および飼育容器 | |
KR200484611Y1 (ko) | 전복양식용 가두리 | |
NO20171477A1 (en) | Installation for cultivating marine biomass | |
AU2019202589A1 (en) | Coupling provided with a coupling body for securing an enclosure in a fish pen to a buoyancy body | |
CN109717119B (zh) | 网箱养殖自动投喂装置 | |
CN210432651U (zh) | 单体贝类多袋浮沉式水产养殖架 | |
AU2012101928A4 (en) | Submersible Raft for Growing and Drying Oysters | |
NO20180555A1 (no) | Merdsystem med bølgekompensering | |
NO344247B1 (no) | Merdsystem med ramme for en innhegning | |
KR20180043923A (ko) | 부상 조립체 | |
KR20150121939A (ko) |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 |
KR200495235Y1 (ko) | 양식로프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