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539B1 -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539B1
KR101754539B1 KR1020160153740A KR20160153740A KR101754539B1 KR 101754539 B1 KR101754539 B1 KR 101754539B1 KR 1020160153740 A KR1020160153740 A KR 1020160153740A KR 20160153740 A KR20160153740 A KR 20160153740A KR 101754539 B1 KR101754539 B1 KR 10175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andle
insertion port
horizonta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박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배 filed Critical 박성배
Priority to KR102016015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이 개시되며, 상기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은, 홀드부, 상기 홀드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하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상면이 상기 홀드부의 하면과 대향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하측으로의 상기 수평부의 삽입을 허용하며 삽입된 상기 수평부가 그에 대하여 회전되면 상기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SEPERATABLE AND JOINABLE HANDLE FOR COVER AND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는 조리 도중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을 포함한다. 이러한 뚜껑에는 사용자의 용이한 사용을 위해 중앙 상부에 돌출된 형태의 홀드부가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뚜껑이 탈착이 용이하지 못해 조리 용기의 세척시 뚜껑과 홀드부가 결합된 부분의 세척이 용이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의 청결함 유지가 어려웠다. 특히, 뚜껑과 홀드부 사이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게 될 경우에는 제거가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뚜껑의 상측으로 돌출된 홀드부로 인해 조리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 포장시 포장 박스의 부피가 크고, 보관시 조리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뚜껑에 의하면, 홀드부가 고장날 경우, 뚜껑 및 뚜껑과 한 세트(set)를 이루는 냄비까지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홀드부의 분리가 가능한 뚜껑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개시된 뚜껑에 의하면 그 구조가 복잡해 생산 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의 복잡함에 따라 제작시 소요되는 인건비 및 작업 공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0540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명한 구조를 가지고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뚜껑 및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은, 홀드부, 상기 홀드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하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상면이 상기 홀드부의 하면과 대향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하측으로의 상기 수평부의 삽입을 허용하며 삽입된 상기 수평부가 그에 대하여 회전되면 상기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구는 상기 수평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수평부의 회전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부와 상기 홀드부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좌측 가이드부 및 우측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구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좌측 가이드부 및 상기 우측 가이드부 각각의 하면의 전후 방향으로의 중심 지점에는 상기 함몰구와 맞물림 가능한 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90˚ 회전하면 상기 수평부 전단부의 함몰구와 상기 수평부 후단부의 함몰구 각각은 상기 좌측 가이드부 및 우측 가이드부 각각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림 결합 결합 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의 상기 삽입구의 하측으로의 삽입 배치시 상기 홀드부의 하면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국물 흐름 방지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손잡이를 삽입구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손잡이와 뚜껑부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손잡이를 다시 본래 위치로 회전시키면 손잡이가 삽입구로부터 탈거됨으로써, 손잡이와 뚜껑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뚜껑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와 뚜껑부의 결합 부분의 세척이 용이하고 포장시 박스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손잡이가 고장난 경우 손잡이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에 따르면, 손잡이와 뚜껑부가 복잡한 제조 공정 없이 사출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되어, 다른 부품의 필요 없이 상호 결합 할 수 있으므로 원자재 비용, 인건비, 작업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의 손잡이 및 삽입구를 설명하기 위해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은 손잡이의 단면도와 삽입구가 도시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의 손잡이 및 삽입구를 설명하기 위해 삽입구에 삽입된 손잡이의 단면도가 도시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의 손잡이가 그의 전후 방향이 삽입구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게 삽입된 상태를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였던 손잡이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함몰구 각각과 돌기가 맞물린 상태를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하면, 전방, 전단, 후방, 후단, 좌측, 우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전단,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후단,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이 좌측,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이 우측 등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이하 '본 뚜껑'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뚜껑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뚜껑의 손잡이 및 삽입구를 설명하기 위해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은 손잡이의 단면도와 삽입구가 도시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는 본 뚜껑의 손잡이 및 삽입구를 설명하기 위해 삽입구에 삽입된 손잡이의 단면도가 도시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뚜껑의 손잡이가 그의 전후 방향이 삽입구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게 삽입된 상태를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태였던 손잡이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함몰구 각각과 돌기가 맞물린 상태를 좌우 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뚜껑은 손잡이(11)를 포함한다. 손잡이(11)는 홀드부(111)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홀드부(111)를 홀드(hold)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홀드부(111)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홀드부(!11)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손잡이(11)는 홀드부(11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11)는 중심부(112)의 하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상면이 홀드부(111)의 하면과 대향하는 수평부(113)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부(113)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은 홀드부(111)의 하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홀드부(111)의 하면과 대향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뚜껑은 뚜껑부(1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뚜껑부(12)에는 삽입구(121)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삽입구(121)는 그 하측으로의 수평부(113)의 삽입을 허용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삽입된 수평부(113)가 삽입구(121)에 대하여 회전되면 삽입구(121)는 그 로부터 손잡이(11)의 이탈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삽입구(121)는 수평부(113)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평부(113)는 그의 전후 방향이 삽입구(121)의 전후 방향을 일치시키며 삽입구(1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구(121)의 폭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삽입구(121) 내로의 수평부(113)의 삽입이 가능한 폭 값 범위 중 최소 값일 수 있다. 또한, 삽입구(121)의 길이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삽입구(121) 내로의 수평부(113)의 삽입이 가능한 길이 값 범위 중 최소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부(113)는 삽입구(121) 내로의 삽입이 가능하되, 삽입구(121) 내로의 삽입 후 소정 각도로 회전되면 그의 전후 방향과 삽입구(121)의 전후 방향이 소정 각도로 엇갈리게 되어 삽입구(121)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수평부(113)는 그의 전후 방향을 삽입구(121)의 전후 방향과 일치시키며 삽입구(121) 내로 삽입 및 이탈될 수 있고, 수평부(113)는 그의 전후 방향이 삽입구(121)의 전후 방향과 엇갈리도록 회전되면 삽입구(121) 내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삽입구(121)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좌측 가이드부(122) 및 우측 가이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비교하면, 좌측 가이드부(122) 및 우측 가이드부(123)는 삽입구(121)에 삽입된 수평부(113)의 회전시 적어도 일부가 수평부(113)와 홀드부(111)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며 손잡이(11)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수평부(113)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구(114, 115)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 가이드부(122) 및 우측 가이드부(123) 각각의 하면의 전후 방향으로의 중심 지점에는 함몰구(114, 115)와 맞물림 가능한 돌기(124, 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부(113)가 삽입구(121)에 삽입된 후, 삽입구(121)에 대하여 90˚ 회전하면 수평부(113)의 전단부의 함몰구(114) 및 수평부(113)의 후단부의 함몰구(115) 각각은 좌측 가이드부(122) 및 우측 가이드부(123) 각각에 형성된 돌기(124, 125)와 맞물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부(113)가 삽입구(121)에 삽입된 후 좌측 방향으로 90˚ 회전하면, 수평부(113)의 전단부에 형성된 함몰구(114)는 좌측 가이드부(122)의 돌기(124)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고, 수평부(113)의 후단부에 형성된 함몰구(115)는 우측 가이드부(123)의 돌기(125)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수평부(113)가 삽입구(121)에 삽입된 후 우측 방향으로 90˚ 회전하면, 수평부(113)의 전단부에 형성된 함몰구(114)는 우측 가이드부(123)의 돌기(125)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고, 수평부(113)의 후단부에 형성된 함몰구(115)는 좌측 가이드부(122)의 돌기(124)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돌기(124, 125)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는 3 mm 내지 6 mm일 수 있다. 또한, 함몰구(114, 115)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는 3 mm 내지 6 mm일 수 있다. 다만, 돌기(124, 125)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와 함몰구(114, 115)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124, 125)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와 함몰구(114, 115)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는 다양한 범위 내에서 함몰구(114, 115)와 돌기(124, 125)의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몰구(114, 115)와 돌기(124, 125)의 맞물림에 의해 수평부(113)는 좌측 가이드부(122) 및 우측 가이드부(123)에 고정이 될 수 있고, 손잡이(11)는 흔들림 없이 뚜껑부(12)에 안정적인 상태로 결합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1)는 수평부(113)의 삽입구(121) 내로의 삽입 후 회전시 90˚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11)와 뚜껑부(12)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손잡이(11)를 삽입구(121)에 삽입하여 그의 전후 방향이 삽입구(121)의 전후 방향과 엇갈리게 회전을 하면 손잡이(11)와 뚜껑부(12)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손잡이(11)를 그의 전후 방향이 삽입구(121)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손잡이(11)가 삽입구(121)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11)와 삽입구(121)의 탈착(탈거 및 장착)이 용이하므로, 본 뚜껑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손잡이(11)와 뚜껑부(12) 간의 결합 부위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와 뚜껑부(12)의 탈착(탈거 및 장착)이 용이하므로, 본 뚜껑 또는 본 뚜껑이 적용된 조리 용기의 포장시 박스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와 뚜껑부(12)의 탈착(탈거 및 장착)이 용이하므로, 손잡이(11)가 고장 난 경우, 본 뚜껑 또는 본 뚜껑이 적용된 조리 용기 전체 제품을 버릴 필요 없이 고장 난 손잡이(11)만 교체하여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11)와 뚜껑부(12)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손잡이(11)와 뚜껑부(12)의 구조가 용이해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합통에 손잡이(11)를 이루는 재질(원자재)을 혼합 한 후, 혼합된 재료를 사출 성형기기에 투여하여 손잡이(11)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배합통에 뚜껑부(12)를 이루는 재질을 혼합한 후, 혼합된 재료를 사출 성형기기에 투여하여 뚜껑부(12)를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손잡이(11)와 뚜껑부(12) 각각이 사출로 형성된 후 별도의 다른 구성의 필요 없이 용이하게 상호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본 뚜껑의 생산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자재 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인한 인건비와 작업 공정의 감소를 통해 생산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11)와 뚜껑부(12) 각각을 이루는 재질은 폴리머(polymer), 이를테면 PP(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와 뚜껑부(12) 각각을 이루는 재질은 손잡이(11)와 뚜껑부(12)의 색(color)을 구현하기 위해 착색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뚜껑부(12)의 상면에는 국물 흐름 방지턱(126)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국물 흐름 방지 턱(126)은 뚜껑부(1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수평부(113)의 삽입구(121)의 하측으로의 삽입 배치시 홀드부(111)의 하면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구(121)와 손잡이(11)의 결합 부분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더라도 유체는 국물 흐름 방지턱(126)에 의해 국물 흐름 방지턱(126)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국물 흐름 방지턱(126)은 삽입구(121)에 체결된 홀드부(111)의 하면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됨으로, 홀드부(111)의 흔들림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뚜껑부(12)에는 김 배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2)에는 온수 배출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김 배출구(13) 및 온수 배출구(14)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온수 배출구(14) 등은 금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뚜껑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이하 '본 조리 용기'라 함)를 제공한다.
본 조리 용기는 상술한 본 뚜껑(1)을 포함한다. 또한, 본 조리 용기는 본 뚜껑(1)에 의해 상부 개구부가 개폐되는 용기부(2)를 포함한다. 용기부(2)의 상부 테두리에는 본 뚜껑(1)이 안착되는 뚜껑턱(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2)에는 용기부 손잡이(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부(2)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2)를 이루는 재질은 폴리머(polymer), 이를테면 PP(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2)를 이루는 재질은 손잡이(11)와 뚜껑부(12)의 색(color)을 구현하기 위해 착색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조리 용기는 채반(3)을 포함할 수 있다. 채반(3)은 본 조리 용기가 찜 요리를 만드는 과정에 사용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본 뚜껑(1), 용기부(2) 및 채반(3)은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뚜껑(1), 용기부(2) 및 채반(3)을 이루는 재질이 상술한 재질 외에,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되더라도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11: 손잡이
111: 홀드부
112: 중심부
113: 수평부
114: 함몰구
115: 함몰구
12: 뚜껑부
121: 삽입구
122: 좌측 가이드부
123: 우측 가이드부
124: 돌기
125: 돌기
126: 국물 흐름 방지턱
13: 김 배출구
14: 온수 배출구
2: 용기부
21: 뚜껑턱
22: 용기부 손잡이
3: 채반

Claims (5)

  1. 삭제
  2.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으로서,
    홀드부, 상기 홀드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하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상면이 상기 홀드부의 하면과 대향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하측으로의 상기 수평부의 삽입을 허용하며 삽입된 상기 수평부가 그에 대하여 회전되면 상기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구가 형성된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구는 상기 수평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수평부의 회전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부와 상기 홀드부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좌측 가이드부 및 우측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구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좌측 가이드부 및 상기 우측 가이드부 각각의 하면의 전후 방향으로의 중심 지점에는 상기 함몰구와 맞물림 가능한 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90˚ 회전하면 상기 수평부 전단부의 함몰구와 상기 수평부 후단부의 함몰구 각각은 상기 좌측 가이드부 및 우측 가이드부 각각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림 결합 되도록 되는 것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의 상기 삽입구의 하측으로의 삽입 배치시 상기 홀드부의 하면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국물 흐름 방지턱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인,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5. 삭제
KR1020160153740A 2016-11-18 2016-11-18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 KR10175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40A KR101754539B1 (ko) 2016-11-18 2016-11-18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740A KR101754539B1 (ko) 2016-11-18 2016-11-18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539B1 true KR101754539B1 (ko) 2017-07-06

Family

ID=5935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740A KR101754539B1 (ko) 2016-11-18 2016-11-18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55Y1 (ko) * 2003-05-09 2003-08-19 김종현 전자렌지용 증숙조리기
KR101499112B1 (ko) * 2014-02-24 2015-03-11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55Y1 (ko) * 2003-05-09 2003-08-19 김종현 전자렌지용 증숙조리기
KR101499112B1 (ko) * 2014-02-24 2015-03-11 양원준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2409B2 (ja) カム蓋アセンブリ
JP6817304B2 (ja) ピペットチップ収容容器及びそれを提供する方法
CN102933128A (zh) 用于关闭烹饪制备家电设备的工作容器的关闭盖
KR200406266Y1 (ko) 도시락 용기
AU2015320294B2 (en) Coffee maker
KR101499112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101754539B1 (ko) 손잡이의 탈착이 용이한 뚜껑 및 조리 용기
CN214258963U (zh) 盖板结构、盖体组件及烹饪器具
JP5786039B2 (ja) 密閉容器の取っ手組立体
JP2019509158A (ja) コーヒーマシンのための二重壁フィルタ
KR101949516B1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KR20140013559A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JP6868767B2 (ja) 食器洗い機
KR102038134B1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JP2017148225A (ja) 炊飯器
KR200485902Y1 (ko) 휴대용 수저세트 케이스
KR102129171B1 (ko) 크린볼
JP2017122347A (ja) シンクの排水口用蓋体
KR20090065593A (ko)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JP6645255B2 (ja) 飲料供給装置
KR200310045Y1 (ko)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CN217365431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329141B1 (ko) 전기 가열조리기의 뚜껑열림 버튼 어셈블리
KR20100003761U (ko) 탈부착의 냄비용 국물배출기
KR200327542Y1 (ko) 양면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