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045Y1 -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045Y1
KR200310045Y1 KR20-2003-0002114U KR20030002114U KR200310045Y1 KR 200310045 Y1 KR200310045 Y1 KR 200310045Y1 KR 20030002114 U KR20030002114 U KR 20030002114U KR 200310045 Y1 KR200310045 Y1 KR 200310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andle
protrusion
contain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원
신영진
Original Assignee
박동원
신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원, 신영진 filed Critical 박동원
Priority to KR20-2003-0002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용기와 손잡이를 가진 조리기구에서, 상기 용기는 손잡이가 삽입되는 홈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는 용기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홈부에 삽입하고,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서 고정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용기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가 직선으로 삽입되는 입구홈과;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출홈과; 회전한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improved divisible type cooker}
본 고안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조리기구의 분리형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리형 손잡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분리형 손잡이가 장착되는 조리용기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고안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02-27025호에 출원된 바 있다.
종래의 분리형 손잡이는 조리용기(30)에 삽입되는 삽입부(10)와; 사용자가 움켜쥐는 손잡이부(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삽입부(10)는 삽입부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래치(12)와; 손잡이(20)를 조리용기(30)에서 분리시킬 때 래치(12)를 눌러서 해제시키는 버튼(14)과; 상기 버튼(14)에 의해 이동된 래치(12)를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미도시)을 가지고 있다.
상기 조리용기(30)는 삽입부(10)가 들어가는 삽입홈(34)과; 래치가 삽입되는 래치홈(32)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손잡이를 분리하는에 있어 간단한 원리를 이용한 장점이 있으나, 손잡이부(20)에 래치(12)와 스프링(미도시)을 장착시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래치(12)와, 스프링(미도시)과, 버튼(14)을 각각 제작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비용과 제작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분리형 손잡이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분리형 조리용기를 제작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타 다른 목적이나 효과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리형 조리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중 조리기구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 중 손잡이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3 중 홈부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 중 손잡이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7 중 홈부의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50 : 용기 60 : 홈부
70 : 손잡이 80 : 삽입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와 손잡이를 가진 조리기구에서, 상기 용기는 손잡이가 삽입되는 홈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는 용기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홈부에 삽입하고,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서 고정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용기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가 직선으로 삽입되는 입구홈과;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출홈과; 회전한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용기(50)에 고정되어 있는 홈부(60)와, 상기 홈부(60)에 탈착이 가능한 손잡이(70)를 가지고 있다.
상기 손잡이(70)는 상기 홈부(도 3의 60)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홈부(60)에 손잡이(7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홈부(도 3의 60)에 삽입되는 삽입부(80)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삽입부(80)는 후술하는 걸림턱(미도시)에 지지되어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82)를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부(82)는 후술하는 걸림턱(도 4의 64)의 형상과 대응한다.
도 4는 도 3 중 절단선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상기 홈부(60)는 삽입부(도 3의 80)의 정단면과 같은 형태의 입구홈(62)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입구홈(62)을 통과한 돌출부(도 3의 8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출홈(68)과, 돌출부(82)를 지지하는 걸림턱(64)을 가지고 있다.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용기(110)에 고정되어 있는 홈부(90)와, 상기 홈부(90)에 탈착이 가능한 손잡이(100)를 가지고 있다.
제 2 실시예 역시 제 1 실시예와 같이 삽입부(120)를 가지고 있고, 상기 삽입부(120)는 후술하는 걸림턱(미도시)에 지지되어 고정되기 위한 돌출부(122)를 가지고 있다.
도 6은 도 5 중 절단선 Ⅵ-Ⅵ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홈부(90)는 상기 돌출부(도 5의 122)가 소통하기 위한 입구홈(92)과, 입구홈(92)을 통과한 삽입부(도 5의 120)의 돌출부(도 5의 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출홈(96)과, 회전한 상기 돌출부(122)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94)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는 도 3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손잡이(70)를 용기(5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삽입부(80) 돌출부(82)의 위치를 홈부(60) 입구홈(62)에 맞추어 삽입한다. 그리고 삽입부(80)의 끝단(84)이 홈부(60)의 내측면(66)에 닿을 때까지 전진시키면, 상기 돌출부(82)는 돌출홈(68)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회전된 돌출부(82)는 걸림턱(64)에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고 홈부(60)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손잡이(70)의 분리 과정은, 돌출부(82)를 회전시켜 상기 입구홈(62)과 일치시킨 후 삽입했던 방향과 반대로 빼내면 손잡이(70)와 용기(50)는 분리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역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순서에 의해 결합과 분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변화와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조리용기는 종래의 래치와 스프링에 의한 분리형 조리기구의 구조를, 돌출부와 홈에 의한 구조로 단순화하여, 제작의 편의성을 도모하였으며,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용기와 손잡이를 가진 분리형 조리기구에서,
    상기 용기는 손잡이가 삽입되는 홈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손잡이는 용기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홈부에 삽입하고,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서 고정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분리형 조리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용기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가 직선으로 삽입되는 입구홈과;
    삽입된 상기 돌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출홈과;
    회전한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걸림턱
    을 가지는 분리형 조리기구
KR20-2003-0002114U 2003-01-23 2003-01-23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KR200310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14U KR200310045Y1 (ko) 2003-01-23 2003-01-23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14U KR200310045Y1 (ko) 2003-01-23 2003-01-23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045Y1 true KR200310045Y1 (ko) 2003-04-16

Family

ID=4940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114U KR200310045Y1 (ko) 2003-01-23 2003-01-23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0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64B1 (ko) * 2010-12-08 2013-07-09 김명임 조리용기용 자동 부착 손잡이
KR20220089984A (ko) * 2020-12-22 2022-06-29 최혁수 뒤꽂이 결속 구성이 개선된 낚시 받침뭉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64B1 (ko) * 2010-12-08 2013-07-09 김명임 조리용기용 자동 부착 손잡이
KR20220089984A (ko) * 2020-12-22 2022-06-29 최혁수 뒤꽂이 결속 구성이 개선된 낚시 받침뭉치
KR102544371B1 (ko) 2020-12-22 2023-06-15 최혁수 뒤꽂이 결속 구성이 개선된 낚시 받침뭉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56669S1 (en) Handle knob for a lid of a cooking vessel
KR101509482B1 (ko) 주방용기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
ATE469590T1 (de) Griff für stapelbares küchengerät und satz derartiger griffe und küchengeräte
KR200310045Y1 (ko) 개선된 분리형 조리기구
JP2006296868A (ja) 手動器具
US20100024663A1 (en) Handle for a grill pan
KR200323762Y1 (ko)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0310046Y1 (ko) 분리형 손잡이를 가진 조리기구
KR200348530Y1 (ko)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
KR100465210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EP0855166B1 (en) Pull-out basket for dishwashing machine
TW201230996A (en) Removable device for holding a cooking utensil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CN216454709U (zh) 一种拼接式手柄
KR200399447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200300274Y1 (ko)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KR200259159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CN112890639B (zh) 可拆式锅手柄组件及锅具
KR200297012Y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CN215348423U (zh) 电饭煲
KR920002408Y1 (ko) 프라이 오븐용 손잡이
KR200469180Y1 (ko) 편수형 손잡이 냄비용 파지장치
CN217243896U (zh) 一种空气炸和空气烤两用的烹饪器具
KR20230002192U (ko) 두껑 및 조리기구
KR200148897Y1 (ko) 부착 및 이탈이 되는 솥의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