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307B1 -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307B1
KR101754307B1 KR1020150092323A KR20150092323A KR101754307B1 KR 101754307 B1 KR101754307 B1 KR 101754307B1 KR 1020150092323 A KR1020150092323 A KR 1020150092323A KR 20150092323 A KR20150092323 A KR 20150092323A KR 101754307 B1 KR101754307 B1 KR 10175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ontrol signal
sound output
chair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181A (ko
Inventor
구본희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5009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3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제어 장치;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 및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을 형성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3D SOUND}
본 발명은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특히 3차원 사운드를 생성하는 구성 요소인 라우드 스피커와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를 컨트롤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화관에서 영화를 상영할 때, 좀 더 실감나는 영화 상영을 위하여 3차원 영상을 상영하고 있다. 좀 더 실감나는 영화 상영을 위해서는 사운드 역시 3차원 사운드를 출력해야 한다. 3차원 사운드란 단순히 스피커에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넘어서서 사운드의 세기, 방향 등을 영상과 상응하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실제 영상에 위치하는 느낌을 받도록 한다. 이러한 3차원 사운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영화관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이 맺히도록 하는 음상 외재화(Externalization) 기술이 필요하다.
음상 외재화 기술은 '머리주변의 각각의 위치에서 들리는 소리에 대한 임펄스(Impulse) 응답을 구한 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머리전달함수)'를 구하고, 사운드 신호와 HRTF의 컨볼루션 수행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음상 외재화 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 모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이 맺히도록 해야 하지만, 기존의 극장에 존재하는 라우드 스피커만을 이용하면, 모든 사용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이 맺히도록 하기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라우드 스피커는 기존의 극장의 중앙을 기준으로하여 음상 외재화를 구현하고 있어, 중앙이 아닌 다른 곳에 앉은 사용자에게는 음상 외재화를 구현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좀 더 생동감 있는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음상 외재화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극장에 착석한 모든 사용자에게 음상 외재화 기술을 구현하는 기술과 함께, 라우드 스피커 및 사용자들 각각에 상응하는 스피커를 컨트롤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및 라우드 스피커를 컨트롤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제어 장치;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 및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을 형성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와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위상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음상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상기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이고, 상기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상기 사운드를 생성하는 사운드 발생부; 상기 사운드들 각각을 기설정된 개수의 에어 파이프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에어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들을 좌/우 2개의 출력 채널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을 형성하는 음상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어파이프들은 상기 사운드 발생부에 상응하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음상 형성부에 상응하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와 상기 3차원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위상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음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상기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이고, 상기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를 이용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여 생성된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및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서 사운드의 위상에 상응하는 컨트롤 변수를 이용하여 음상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3차원 사운드 생성 의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5의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실시예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은 제어 장치(110), 라우드 스피커(120) 및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130)로 구성된다.
제어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는 사용자가 라우드 스피커(120) 또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130)에서 출력하는 사운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 때, 제어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 신호 수신부와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 신호 분리부로 나눌 수 있다.
이 때, 제어 장치(110)는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를 고려하여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이용하여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와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모두 조절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운드의 크기, 사운드의 위상이 변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에 해당하는 경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와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의 비율을 고려하여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상응하는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고자 할 때,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3차원 사운드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한다.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가 3차원 사운드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에 비해 매우 큰 경우, 3차원 사운드 의자가 생성하는 사운드를 사용자가 제대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가 3차원 사운드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에 비해 매우 작은 경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를 사용자가 제대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 변수가 사운드의 위상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도 있다.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출력되는 사운드에 의해서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음상 외재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이 계속 형성되도록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생성된 음상이 불편한 경우, 음상의 위치를 변화시키고자, 특정 수단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는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이 계속 형성되도록 하면서, 생성된 음상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사운드 컨트롤 신호는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컨트롤 신호에 의해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위상 및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 장치(110)는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사운드의 크기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사운드의 크기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가 3차원 사운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보다 작게 느껴진다는 가정에 기반하여 기술한 것으로, 만약 사용자가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가 3차원 사운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보다 크게 느껴지는 경우, 반대로 컨트롤 신호를 분리, 생성할 수도 있다.
라우드 스피커(120)는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때, 라우드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전달할 때, 전체의 사용자에게 한 번에 전달하는 스피커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극장에서 영화관람시 극장용 5.1 채널 스피커가 라우드 스피커가 될 수 있다.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130)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을 형성한다.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에서 서술한다.
도 2는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서 음상을 형성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머리(210) 및 음상(220, 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상 외재화란, 사용자의 머리 외부로 음상이 맺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상 외재화를 통해서 좀 더 실감나는 사운드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음상 외재화를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HRTF(Head-Related Transfer Funct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HRTF를 입력 받고, 입력된 HRTF 및 에어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들과 컨볼루션을 수행하여, 사용자 머리 외부에 음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HRTF는 본 발명의 3차원 사운드 출력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음상을 형성할 때, 에어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뿐 만 아니라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이용해서 음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라우드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전달할 때, 전체의 사용자에게 한 번에 전달하는 스피커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극장에서 영화관람시 극장용 5.1 채널 스피커가 라우드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즉, 3차원 사운드 생성 장치에서 생성한 사운드들 및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한 사운드를 모두 고려하여 음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머리(210)의 외부에 음상(220, 23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좌측의 출력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의 위상 및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우측의 출력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의 위상을 제어하고, 위상 제어를 통해 음상이 형성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사용자의 머리(310) 및 음상(320, 330)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는 모두 다양하고, 이에 따라 음상의 위치도 변화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취향 또는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3차원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는 음상의 위치가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 음상의 위치는 좌측 채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와 우측 채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위상 차이에 따라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사용자의 머리(310)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의 머리(210)보다 작기 때문에, 음상(320, 330)의 위치가 사용자의 귀에 상응하도록 조절될 필요가 있고, 제어부(140)가 좌측 채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와 우측 채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위상을 제어하여 음상의 위치(320, 3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사용자의 머리(410)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의 머리(210)보다 크기 때문에, 음상(420, 430)의 위치가 사용자의 귀에 상응하도록 조절될 필요가 있고, 제어부(140)가 좌측 채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와 우측 채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위상을 제어하여 음상의 위치(420, 4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사운드 생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운드 발생부(510)는 의자 뒤쪽에 부착되어 있다.
사운드 발생부(510)는 의자 뒤쪽에 부착될 수 있고, 탈착이 될 수 있다. 이 때, 의자 뒤쪽에 사운드 발생부(510)가 부착되는 모양 및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도 5에서는 사운드 발생부(510)가 의자 외부에 있으나, 이는 탈착 또는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지 반드시 외부에 있을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3차원 사운드 생성 의자 내부에 사운드 발생부(51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에어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귀의 옆에 사운드 발생부(560)를 위치 시킬 수도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사운드 발생부(510)와 음상 형성부(560) 사이에 에어 파이프(520, 530, 540, 550)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에어파이프는 사운드들이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이 때, 에어파이프의 소재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고무 소재의 에어파이프가 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소재의 에어 파이프가 된다.
이 때, 에어 파이프들의 위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도 4에는 에어 파이프가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외부에 도시 되었지만, 3차원 사운드 생성 의자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의자의 등받이 뒤편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 파이프들은 사운드 발생부(510)에 상응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으로부터 음상 형성부(560)에 상응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때, 도면에서 에어 파이프는 4개로 도시되었으나, 에어 파이프에 대한 갯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음상 외재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에어 파이프의 갯수를 증가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에어 파이프의 길이, 두께에 대한 제한 역시 없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음상 형성부(560)는 에어 파이프들(520, 530, 540, 55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음상 형성부(560)는 에어 파이프들(520, 530, 540, 550)을 통해 전송된 사운드들을 좌/우 2개의 출력 채널을 통해 출력하여 음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음상 형성부(560)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장착되어 에어 파이플들(520, 530, 540, 550)을 통해서 분리된 주파수를 가진 음상을 출력할 수 있거나, 저음 보강을 목적으로 하는 채널 또는 오브젝트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한 채널 등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음상 형성부(560)는 사용자의 머리에 상응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 머리 받이의 뒷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머리 받이 내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부분의 뒷부분에 설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출력 제어부(570)는 3차원 사운드 생성 의자의 팔 받침대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출력 제어부(570)는 음상 형성부(560)에서 출력하는 사운드들의 출력 레벨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개인적인 취향에 맞춰 조절이 가능한 음색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운드들의 출력 레벨이란 사운드들의 크기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출력 제어부(570)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출력 레벨을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좀 더 시끄러운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 출력 레벨을 높일 수도 있고, 조용한 분위기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 출력 레벨을 낮출 수도 있다.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인 EQ, 딜레이, 룸 보정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사운드 생성부(610), 에어파이프들(620, 630, 640, 650), 사용자의 머리(670) 및 음상 형성부(660, 6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방향으로 도시된 도면임을 알 수 있다.
에어 파이프(620) 및 에어 파이프(630)는 사용자의 머리(670)의 좌측에 사운드를 전송할 수 있다.
에어 파이프(620) 및 에어 파이프(630)는 사용자 머리(670)의 좌측에 상응하는 음상 형성부(660)의 일부분에 사운드를 전송한다.
에어 파이프(640) 및 에어 파이프(650)는 사용자 머리(670)의 우측에 상응하는 음상 형성부(680)의 일부분에 사운드를 전송한다.
도 6에서는 에어 파이프(620, 630, 640, 650)의 개수를 4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에어 파이프들의 개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더 많은 에어 파이프들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운드 발생부(710) 및 에어 파이프(720, 730, 740, 750)으로 구성 되어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3차원 사운드 생성 장치를 뒤에서 앞으로 바라본 방향으로 도시된 도면임을 알 수 있다.
도 7에서는 에어 파이프(720, 730, 740, 750)의 개수를 4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에어 파이프들의 개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더 많은 에어 파이프들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13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130)는 사운드 발생부(810), 전송부(820) 및 음상 형성부(830)로 구성되어 있다.
사운드 발생부(810)는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을 형성하기 위해 기설정된 채널의 사운드들을 발생 시킨다.
이 때, 사운드들의 채널 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예를들면, 2채널 혹은 5채널 사운드들이 사운드 발생부(810)에서 발생될 수도 있다.
이 때, 전달부(820)는 발생한 사운드들 각각을 기설정된 개수의 에어파이프들 중 하나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에어파이프는 사운드들이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이 때, 에어파이프의 소재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고무 소재의 에어파이프가 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소재의 에어 파이프가 된다.
이 때, 에어 파이프들의 위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3차원 사운드 생성 의자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의자의 등받이 뒤편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 파이프들은 사운드 발생부(810)에 상응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으로부터 음상 형성부(830)에 상응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
이 때, 에어 파이프들은 도 2에서 후술하는 저음들의 이동 경로가 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이 때, 음상 형성부(830)는 에어 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들을 좌/우 2개의 출력 채널을 통해 출력하여 음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좌/우 2개의 출력 채널은 사용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각각 상응하는 출력 채널이 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운드 발생부(810)에서 생성된 사운드는 에어 파이프를 통하여 전달되지 않고, 직접 사용자의 귀에 전달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운드 발생부(810)가 의자 특정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에 상응하는 의자의 부분에 사운드 발생부(81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운드 발생부(810)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WIFI, Bluetooth, RF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 때, 음상 형성부(830)는 좌/우 2개의 출력 채널이 아니라 다수 개의 출력 채널을 이용하여 음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음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제한이 없다. HRTF(Head-Related Transfer Funct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HRTF를 입력 받고, 입력된 HRTF 및 에어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들과 컨볼루션을 수행하여, 사용자 머리 외부에 음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HRTF는 본 발명의 3차원 사운드 출력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음상을 형성할 때, 에어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뿐 만 아니라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이용해서 음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라우드 스피커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사운드를 전달할 때, 전체의 사용자에게 한 번에 전달하는 스피커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극장에서 영화관람시 극장용 5.1 채널 스피커가 라우드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즉, 3차원 사운드 생성 장치에서 생성한 사운드들 및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한 사운드를 모두 고려하여 음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음상 형성부(830)는 사용자의 머리에 상응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 머리 받이의 뒷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머리 받이 내부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저음 보강부(미도시)는 사운드 발생부(810)에서 발생시킨 사운드들에 상응하는 각각의 저음들을 전달부(820)를 이용하여 음상 형성부(830)에 전달한다.
저음 보강부(미도시)는 에어 파이프를 통하여 사운드들을 전송하는 경우 지향성이 낮은 저음은 도달하기 전에 손실이 많이 일어나서 저음의 크기가 작아지는 단점이 있어, 별개로 저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 장치(110)가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한다(S910).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는 사용자가 라우드 스피커(120) 또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130)에서 출력하는 사운드를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 장치(110)가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한다(S920).
이 때, 제어 장치(110)는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를 고려하여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이용하여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와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모두 조절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운드의 크기, 사운드의 위상이 변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에 해당하는 경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고려하여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와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의 비율을 고려하여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상응하는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고자 할 때,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3차원 사운드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한다.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가 3차원 사운드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에 비해 매우 큰 경우, 3차원 사운드 의자가 생성하는 사운드를 사용자가 제대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가 3차원 사운드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에 비해 매우 작은 경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를 사용자가 제대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 변수가 사운드의 위상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도 있다.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출력되는 사운드에 의해서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음상 외재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이 계속 형성되도록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생성된 음상이 불편한 경우, 음상의 위치를 변화시키고자, 특정 수단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운드 컨트롤 신호는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이 계속 형성되도록 하면서, 생성된 음상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사운드 컨트롤 신호는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컨트롤 신호에 의해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위상 및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 장치(110)는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컨트롤 신호를 분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사운드의 크기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사운드의 크기의 변화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가 3차원 사운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보다 작게 느껴진다는 가정에 기반하여 기술한 것으로, 만약 사용자가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가 3차원 사운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세기 변화보다 크게 느껴지는 경우, 반대로 컨트롤 신호를 분리, 생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410: 사용자의 머리
420. 430: 음상
510, 610, 710: 사운드 발생부
520, 530, 540, 550, 620, 630, 640, 650, 720, 730, 740, 750: 에어 파이프
560: 음상 형성부
570: 출력 제어부

Claims (19)

  1.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제어 장치;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 및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을 형성하는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를 포함하며,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상기 사운드를 생성하는 사운드 발생부;
    상기 사운드들 각각을 기설정된 개수의 에어 파이프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에어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들을 좌/우 2개의 출력 채널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외부에 음상을 형성하는 음상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파이프들은,
    상기 사운드 발생부에 상응하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음상 형성부에 상응하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의 일부분까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와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위상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음상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상기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이고, 상기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은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 및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외부에 음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12.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이고, 상기 변수의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변화량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조절되는 변수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 및 상기 라우드 스피커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크기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상기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와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서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가 사운드의 위상에 상응하는 변수인 경우,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에 의해 형성된 음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운드 컨트롤 신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는
    상기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음상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사운드 컨트롤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92323A 2015-06-29 2015-06-29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23A KR101754307B1 (ko) 2015-06-29 2015-06-29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23A KR101754307B1 (ko) 2015-06-29 2015-06-29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81A KR20170002181A (ko) 2017-01-06
KR101754307B1 true KR101754307B1 (ko) 2017-07-06

Family

ID=5783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323A KR101754307B1 (ko) 2015-06-29 2015-06-29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3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569A (ja) * 2006-01-06 2007-07-19 Sega Corp ゲーム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512898A (ja) * 2004-09-03 2008-04-24 パーカー ツハコ 録音音響による擬似三次元音響空間生成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2898A (ja) * 2004-09-03 2008-04-24 パーカー ツハコ 録音音響による擬似三次元音響空間生成方法及び装置
JP2007181569A (ja) * 2006-01-06 2007-07-19 Sega Corp ゲーム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81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4801T3 (es) Procesador de audio, sistema, procedimiento y programa informático para renderización de audio
CN103053180B (zh) 用于声音再现的系统和方法
JP6092151B2 (ja) 空間的に信号を強調する補聴器
US20200366990A1 (en) Multi-channel sound implementation device using open-ear headphones and method therefor
CN109587601B (zh) 使用虚拟声学系统将声音移入和移出听者头部的系统
US20210127841A1 (en)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JP6193844B2 (ja) 選択可能な知覚空間的な音源の位置決めを備える聴覚装置
US10681484B2 (en) Phantom center image control
CN111602413B (zh) 音响设备
US20230276188A1 (en) Surround Sound Location Virtualization
US9226091B2 (en) Acoustic surround immer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CN212850974U (zh) 具有多声道音响系统的椅子用部件及包括此的椅子
KR101754307B1 (ko) 3차원 사운드 컨트롤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306B1 (ko) 에어 파이프들을 이용한 3차원 사운드 출력 의자 및 방법
JP2021036661A (ja) 座席ヘッドレスト用の自律型オーディオシステム、座席ヘッドレスト、及び関連する車両
US6983054B2 (en) Means for compensating rear sound effect
KR101786916B1 (ko) 스피커 사운드 분배 장치 및 방법
KR101723296B1 (ko) 3차원 사운드의 소스를 분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284195B2 (en) System to move sound into and out of a listener's head using a virtual acoustic system
TW519849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r channel speaker of quasi-head wearing type earphone
JP2000253498A (ja) 聴覚補助装置
JP2008011099A (ja) ヘッドフォン音響再生システム、ヘッドフォン装置
AU2016100957A4 (en) Improvements to footbeds and footwear
WO2023239838A1 (en) Audio system with mixed rendering audio enh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