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245B1 - 중량물 받침대 - Google Patents

중량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245B1
KR101754245B1 KR1020150093038A KR20150093038A KR101754245B1 KR 101754245 B1 KR101754245 B1 KR 101754245B1 KR 1020150093038 A KR1020150093038 A KR 1020150093038A KR 20150093038 A KR20150093038 A KR 20150093038A KR 101754245 B1 KR101754245 B1 KR 10175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support
heavy object
ca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998A (ko
Inventor
유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2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는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받침대{A SUPPORT DEVICE STRUCTURE FOR HEAVY WEIGHT}
본 발명은 선박의 자재 또는 선박의 조립 블록을 거치할 수 있는 중량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선, 컨테이너선, 액화천연가스 수송선 등의 상선은 보통 300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대형선이다. 이러한 선박을 건조할 경우, 전체의 선형을 한 번에 제작할 수 없어, 선박의 블록(block)을 제작한 후, 제작된 블록을 도크(dock)에서 조립하게 된다.
종래에는 100개의 블록을 조립하여 선박 한 척을 건조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메가블록 공법, 기가블록 공법, 테라블록 공법 등 다양한 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메가블록의 경우 블록 10개를 조립하여 선박 한척을 건조할 수 있다.
선박의 블록은 일반적으로 1차조립을 거친 중조립 블록과 그 중조립 블록을 뒤집어서(Turn Over) 조립 작업을 한번 더 거친 대조립 블록이 있다. 크레인이 들어 올릴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범위까지 대조립 된 블록을 2 ~ 3개의 더 큰 블록으로 조립하기도 한다.
이러한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자재나 조립된 중조립 블록 또는 대조립 블록과 같이 대형 중량물을 장시간 작업장에 보관할 때,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받침대를 받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중량물 보관시 바닥의 수평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한 지점에 중량이 집중되면, 중량물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일정시간 보관 후 다시 조립을 실시하게 되면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의 수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중량물을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는 중량물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는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봉,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회전봉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지지핀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핀의 이탈을 방지하며, 내측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핀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핀을 일정한 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홀에 끼워지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 사이를 연결하고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핀을 고정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는 상기 지지핀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핀과 연결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의 상부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는, 바닥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중량물을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물의 변형을 방지하여 조립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중량물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해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중량물 받침대의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중량물 받침대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부플레이트(10)와 이를 지지하는 회전부(20) 및 지지부(40)가 개시된다. 지지부(40)는 회전부(20)하부에 연결되어, 회전부(20)를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한다. 지지부(40)는 회전부(2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지지부(4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회전부(20)는 내부에 회전봉(26, 도2 참조)이 수용되며, 이를 감싸는 케이스(22, 도2 참조)와 케이스(22)의 측면에 설치되고 회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진 가이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0)는 상부플레이트(10)와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20)는 상부플레이트(10)와 지지부(40)사이에 설치되며 회전봉(26)은 케이스(22) 내에서 일정각도의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회전부(20)는 중량물(200, 도4 참조)이 수평이 유지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10)를 일정 각도로 기울이게 되며 상부플레이트(10)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0)는 직사각형의 철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길이는 10m 내지 100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물(200)은 보통 철판과 같은 자재일 수 있으나, 중조립 또는 대조립된 블록일 수도 있다. 따라서, 중량물(200)은 여러 장비 또는 자재들이 결합된 조립체로써 수평을 유지하면서 용접 작업되거나, 다음 조립 공정까지 대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이지 않은 곳에서 중량물(200)을 거치하게 될 경우 자중에 의해 중량물(200)이 거치대에서 떨어질 수 있고, 특히, 중량물(200)에 조립된 자재 등에 변형이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중량물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부(20)의 회전봉(26)과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22) 및 케이스(22)에 형성된 윤활유 유입구(27)와 배출구(28)가 개시된다.
회전부(20)의 회전봉(26)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22)에 수용된다. 케이스(22)는 회전봉(26)이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내측은 회전봉(26)의 표면을 따라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2)는 회전봉(26)이 회전시에 케이스(22)와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유 유입구(27) 및 배출구(28)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 내측(22a)과 회전봉(26) 사이에는 윤활유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내측(22a)과 회전봉(26)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또한, 원활한 회전봉(26)의 회전을 위해서 윤활유 유입구(27) 및 배출구(28)를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22) 내부로 투입된 윤활유가 회전봉(26)의 회전을 따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케이스 내측(22a)은 윤활유 배출구(28)까지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윤활유 유입구(27) 및 배출구(28)가 형성된 경우 구역을 정해 복수개의 구배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2)는 일측이 개방되고 회전봉(26)의 지름보다 높이가 짧게 형성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플레이트(10)와 회전봉(26)이 연결되고 회전봉(26)은 상부플레이트(10)를 일정 기울기로 기울일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회전봉(26)의 표면에 맞도록 만곡진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10)에 형성된 만곡진면에 회전봉(26)이 삽입되고, 회전봉(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22)의 측면에는 가이드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회전부(2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0)는 가이드부(30)로 지지 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0)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30)와 연결되는 끼움부(10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10)는 회전봉(26)과 회전봉(26) 좌우로 형성된 가이드부(30)와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부플레이트(10) 및 상부플레이트(10) 상부에 안착되는 중량물(200, 도4 참조)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가이드부(30)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0)와 케이스(22)의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 중량물(200)이 상부플레이트(10)에 안착되어 지지되므로 상부플레이트(10)에는 부식방지층(10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회전부(2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동일하게 좌우로 기울어진 기둥(42)과 같이 형성되며 중간에 보강바(44)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를 확대해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플레이트(10)와 가이드부(30)의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가이드부(30)는 상부플레이트(10)와 연결되어 상부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핀(32)과 상기 지지핀(32)과 연결되어 지지핀(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대(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핀(32)은 상부플레이트(10)가 기울어질 때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도 있다. 지지핀(32)은 상부플레이트(10)에 형성된 끼움부(10a)에 끼움 결합되는 헤드부(32a) 및 헤드부(32a)에 연결되고 돌출부(32c)가 형성되는 포스트(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32a) 상부에는 만곡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플레이트(10)가 기울어질 때 마찰을 줄이고 상부플레이트(10)를 끼움부(10a)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10)의 끼움부(10a)도 내부에 둔각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32a)와 끼움 결합된다.
포스트(32b)는 헤드부(32a)와 연결되어 지지핀(32)의 길이를 정하게 된다. 상부플레이트(10)를 크게 기울여야 할 경우, 포스트(32b)의 길이가 긴 지지핀(32)을 이용하여 상부플레이트(10)의 기울기를 조절 할 수 있다. 포스트(32b)에는 지지핀(32)이 지지대(3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부(32c)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c)는 포스트(32b)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 될 수 있고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대(34)는 케이스(22)의 측면에 설치되고, 케이스(2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34)의 내부는 지지핀(32)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핀(32)과 지지대(34)는 지지핀(32)이 일측에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지핀(32)의 포스트(32b) 하부에는 탄성부재(36)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6)는 지지대(34)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6)는 지지대(34)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36)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36)는 중량물(200, 도4 참조)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0)가 기울어져 지지핀(32)이 눌렸을 경우에 지지핀(32)을 지지하고, 중량물(200)이 제거 될 경우, 상부플레이트(10)를 정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물(200)이 상부플레이트(10)에 안착되었을 때, 상부플레이트(10)가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보조적으로 지지핀(32)에 고정부(38)를 결합하여 지지핀(32)의 삽입길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38)는 두개의 고정핀(38a)과 상기 고정핀(38a) 사이에 연결되고, 손잡이를 구비한 샤프트(38b)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대(34) 측면에 상기 고정부(38)의 고정핀(38a)을 삽입시키고, 손잡이를 회전시켜 샤프트(38b)를 돌려, 상기 고정핀(38a) 사이의 거리를 좁혀 고정핀(38a)이 지지핀(32)과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핀(32)이 탄성부재(36)에 의해 삽입길이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부(38)는 보조적으로 지지핀(32)의 길이를 고정하는 것이므로 바이스 등과 같은 공구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지지대(34)의 너비는 케이스(22)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다만, 지지대(34)와 케이스(22)의 용접결합으로 충분한 용접비드를 생성하기 위해 지지대(34)의 너비는 케이스(22)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중량물 받침대의 하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중량물 받침대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량물 받침대(100)는 단수 또는 복수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중량물(200)의 크기가 중량물 받침대(100)에 비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중량물 받침대(100)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이 구배진 경우뿐 아니라 도 4에 나타낸 수평인 경우에도 중량물 받침대(100)는 중량물(200)의 수평을 유지하며 지지할 수 있다. 바닥이 수평인 경우 중량물 받침대(100)의 가이드부(30)의 지지핀(32, 도2 참조)의 높이는 동일하며, 회전봉(26, 도2 참조)의 양측에서 상부플레이트(1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닥에 구배가 진 경우라면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지지부(40)와 회전부(20)는 바닥면에 수직되게 위치되고, 상부플레이트(10)가 기울어져 중량물(200)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고정부(38)로 가이드부(30)의 지지핀(32)을 고정시켜, 상부플레이트(1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량물(200)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에 중량물 받침대(100)는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두개의 중량물 받침대(100)가 사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조선소의 작업장은 매우 넓다. 따라서, 작업장 바닥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량물 받침대(100)의 길이는 100m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작업장 바닥에 구배가 형성된 경우는 매우 흔하다. 중량물 받침대(100)는 작업장 바닥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는 구배를 고려하여 상부플레이트(10)가 기울어질 것을 예측하여 중량물 받침대(100)을 위치 시킨다. 이후, 복수의 중량물 받침대(100)에 중량물(200)이 안착된다. 우상향으로 구배진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 중량물 받침대(100)의 상부플레이트(10)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반대로 좌상향으로 구배진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 중량물 받침대(100)의 상부플레이트(10)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중량물 받침대(100)에 안착시킨 중량물(200)은 용접 작업 또는 기타 다른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중량물(200)이 수평으로 유지되어야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용접 등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100)는 바닥에 수직되게 지지부(40) 및 회전부(20)가 고정되고, 상부플레이트(10)만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져 중량물(200)을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중량물(200)에 의해 중량물 받침대(100)가 기울어져 작업장 바닥과 수직되지 못할 경우에 지지부(40)에 하중이 집중되어 지지부(40)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지지부(40) 및 상부플레이트(10)가 회전이 되지 않아 작업장 바닥과 수직으로 유지될 경우, 중량물(200)과 상부플레이트(10)는 제대로 안착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중량물(200)과 상부플레이트(10)의 접촉면에 하중이 집중하여 중량물(200) 또는 상부플레이트(10)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접 작업시 중량물(200)이 제대로 안착되지 않아 흔들릴 수 있는 위험과 이에 따른 중량물(200)이 중량물 받침대(100)에서 이탈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10)가 기울어져 중량물(200)의 수평이 유지되는 것은, 중량물(200) 또는 중량물 받침대(1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중량물(200)이 중량물 받침대(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작업효율 및 조립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부플레이트(10)가 분절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조선소에서 조립되는 중량물(200, 도4 참조)은 철판과 같이 단면형상이 일정한 것도 있지만, 중조립 블록, 대조립 블록과 같이 그 단면형상이 다양한 중량물(200)도 존재한다. 따라서, 단면형상이 다양한 중량물(200)을 수평을 유지하면서 지지하기 위해 중량물 받침대(100)의 상부플레이트(10)는 분절되어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의 상부플레이트(10)는 정사각형 일 수도 있다. 상부플레이트(10)에 연결되는 회전봉(26)은 상부플레이트(10)의 길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봉(26)을 삽입하는 케이스(22)는 회전봉(26)의 크기에 상관없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22)가 중량물 받침대(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이루어 하중을 지지부(40)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200: 중량물 100: 중량물 받침대
10: 상부플레이트 10a: 끼움부
10b: 부식방지층 20: 회전부
22: 케이스 22a: 케이스 내측
26: 회전봉 27: 유입구
28: 배출구 30: 가이드부
32: 지지핀 32a: 헤드부
32b: 포스트 32c: 돌출부
34: 지지대 36: 탄성부재
38: 고정부 38a: 고정핀
38b: 샤프트 40: 지지부
42: 기둥 44: 보강바

Claims (9)

  1.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핀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 하부에는,
    상기 지지핀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지지핀과 연결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핀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핀의 이탈을 방지하며, 내측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핀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정위치로 복원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핀을 일정한 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핀 양측에서 상기 지지대에 끼워지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 사이를 연결하고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핀을 고정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중량물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의 상부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는 중량물 받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회전봉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중량물 받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봉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이격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중량물 받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윤활유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배가 형성되는 중량물 받침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분절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상부플레이트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봉을 포함하는 중량물 받침대.
KR1020150093038A 2015-06-30 2015-06-30 중량물 받침대 KR10175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38A KR101754245B1 (ko) 2015-06-30 2015-06-30 중량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38A KR101754245B1 (ko) 2015-06-30 2015-06-30 중량물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98A KR20170002998A (ko) 2017-01-09
KR101754245B1 true KR101754245B1 (ko) 2017-07-06

Family

ID=5781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038A KR101754245B1 (ko) 2015-06-30 2015-06-30 중량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675B1 (ko) * 2022-07-13 2024-05-23 한국도로공사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응력집중 방지 자동형 받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28B1 (ko) 2006-01-13 2007-05-11 성백섭 평면 구조물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28B1 (ko) 2006-01-13 2007-05-11 성백섭 평면 구조물의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98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9723U (ja) 転倒防止浮遊装置
CN101687534B (zh) 支撑结构
US4564166A (en) Rotary tilt base for video terminal
US5299656A (en) Jaw horse assembly and method
CA2521790A1 (en) Support for flat monitors
JP4398240B2 (ja) ウェハキャリア
KR101754245B1 (ko) 중량물 받침대
CA2503996A1 (en) Stand
CN107109854A (zh) 实用支承件
JP2008206924A (ja) イーゼル
US20020011196A1 (en) Tray for use with a tripod or similar structure
KR101853917B1 (ko) 탑사이드 모듈이 설치된 선박
KR101246075B1 (ko) 선박 고정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테스트 방법
US6540183B1 (en) Versatile material cart system
JP4157113B2 (ja) 物品支持スタンド又は回転椅子等の安定支持脚部構造
JP6893661B2 (ja) 台車
KR101540734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대형 호스 유지보수 보조 장치
KR20160002817U (ko) 독립형 카고 탱크의 수직 지지구조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CA11578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or support
JP4604166B2 (ja) 移動用装置
KR20150001000U (ko) 선박 블록 받침 기구
JP6550825B2 (ja) フレキシブルホース用の可搬式架台及びフレキシブルホースシステム
JP3225674U (ja) 工具収納装置
KR101910752B1 (ko) 가이드 기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지장치
CN217669311U (zh) 手工具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