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994B1 -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994B1
KR101753994B1 KR1020150163571A KR20150163571A KR101753994B1 KR 101753994 B1 KR101753994 B1 KR 101753994B1 KR 1020150163571 A KR1020150163571 A KR 1020150163571A KR 20150163571 A KR20150163571 A KR 20150163571A KR 101753994 B1 KR101753994 B1 KR 101753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trand
vertical
horizontal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324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15016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9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로밴드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세로밴드의 중심부를 접는 1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접힘부에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접힘부를 걸어주는 2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뒤로 넘기는 3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3가닥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1 세로밴드 제 4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4단계, 제 2 세로밴드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에 걸어주는 5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상기 제 2가닥의 뒤로 접는 6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 뒤로 접는 7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 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7가닥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8단계, 제 2 가로밴드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에 걸어주는 9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의 후방으로 넘기고, 상기 제 1 세로밴드 제 4가닥의 전방으로 넘기는 10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후방으로 넘기는 11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5가닥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12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의 뒤로 넘기는 13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후방으로 접는 14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뒤로 넘기는 15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5가닥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6가닥 후방으로 끼우는 16단계 및 상기 가로밴드와 세로밴드로 형성되는 매듭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매듭을 확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세로밴드 또는 가로밴드를 추가하여 상기 9단계부터 16단계를 반복하는 17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Craft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cross-knot method}
본 발명은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가로밴드와 세로밴드를 이용한 교차매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이나 밴드 등을 교직 시켜 옷이나 가방 등을 만들어 왔다. 하지만 매듭방법이 다양하지 못하여 획일화되고 단조로워 금방 질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핸드백이나 손가방 등과 같은 가방은 그 기능적인 면도 중요한 것이지만 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빗물 등에 의한 방수효과를 나타내야 하며 특히 우수한 미감을 가져야 한다.
또, 가방에 있어서 위에 언급한 사항은 가방의 상품적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항이며 이러한 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방의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외피에 어떠한 미감 및 감촉과 기능을 부여하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종래 가방의 외피는 시트 형상으로 된 동물이나 인조가족 또는 합성수지시트를 제조하고자 하는 가방의 형상을 고려하여 절단한 것이 대부분이고 이와 같이 절단한 여러 개의 외피조각을 제봉 하여 가방의 외부 구성을 완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가방의 외피는 그 촉감이나 방수성 등의 기능은 우수한 것이나 그 표면이 평평한 시트 형상을 갖는 것이므로 단순한 미감을 나타내는 것이고 또 어느 것이든 이러한 획일적인 구성이어서 독창성이 결여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05112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기능은 우수하나 획일적인 구성의 문제점이 있어 효과적인 대안은 되지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0511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로밴드와 세로밴드로 교차하는 교차 매듭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옷이나 가방을 만들었을 때 참신한 외형을 구현할 수 있는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로밴드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세로밴드의 중심부를 접는 1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접힘부에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접힘부를 걸어주는 2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뒤로 넘기는 3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3가닥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1 세로밴드 제 4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4단계, 제 2 세로밴드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에 걸어주는 5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상기 제 2가닥의 뒤로 접는 6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 뒤로 접는 7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 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7가닥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8단계, 제 2 가로밴드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에 걸어주는 9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의 후방으로 넘기고, 상기 제 1 세로밴드 제 4가닥의 전방으로 넘기는 10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후방으로 넘기는 11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5가닥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12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의 뒤로 넘기는 13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후방으로 접는 14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뒤로 넘기는 15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5가닥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6가닥 후방으로 끼우는 16단계 및 상기 가로밴드와 세로밴드로 형성되는 매듭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매듭을 확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세로밴드 또는 가로밴드를 추가하여 상기 9단계부터 16단계를 반복하는 17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예품을 만들었을 때 참신한 외형 구현 가능하다.
둘째, 종래의 것과 구별되는 독창적인 미감을 나타내고, 제조방법이 간단하므로 저가에 공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6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3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4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5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6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7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8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9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0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1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2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3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4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5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대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 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4,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6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3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4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5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6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7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8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9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0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1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2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3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4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의 15단계를 도시화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4,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1단계에서는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로밴드(10)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세로밴드(20)의 중심부를 접는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가로밴드와 세로밴드는 보색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공예품을 만들었을 때, 참신한 외형 구현이 가능하고, 종래의 것과 구별되는 독창적인 미감을 나타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2단계에서는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접힘부에 상기 제 1 세로밴드(20)의 접힘부를 걸어준다.
구체적으로, 접힘부는 상기 제 1 세로밴드(20)를 중심에서 반으로 접어 즉, 상기 제 3가닥(21)과 제 4가닥(22)이 포개진 상태로 접고, 상기 제 3가닥(21)과 제 4가닥(22)을 공간을 띄워 중간부에 접혀진 면을 접힘부라고 정의한다.
다음으로, 3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세로밴드(20)의 제 4가닥(22)을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뒤로 넘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뒤로 넘길 때 뒤로 넘기는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때 정면으로 보이는 부분이 아니라 가려져서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말한다.
또, 1단계에서 17단계에서의 뒤로 넘기는 방향은 마찬가지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때 정면으로 보이는 부분이 아니라 가려져서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라고 정의한다.
다음으로, 4단계에서는 상기 1 가로밴드(10)의 제 2가닥(12)을 상기 제 1 세로밴드(20)의 제 3가닥(21)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1 세로밴드(20) 제 4가닥(22)의 후방으로 끼운다.
마찬가지로, 후방이라는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때 정면으로 보이는 부분이 아니라 가려져서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라고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로밴드(10)와 상기 제 1 세로밴드(20)를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당겨주며 형태를 정리하여 4단계를 마무리한다.
다음으로, 5단계에서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세로밴드(40)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제 2가닥(12)에 걸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세로밴드(40)를 중심부에서 반으로 접어 접힘부를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제 2 가닥(12)에 걸치는 거라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6단계에서는 상기 제 2 세로밴드(40)의 제 8가닥(42)을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상기 제 2가닥(12)의 뒤로 접는다.
다음으로, 7단계에서는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제 2가닥(12)을 상기 제 2 세로밴드(40)의 제 8가닥(42) 뒤로 접는다.
다음으로, 8단계에서는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제 2가닥(12)을 상기 제 2 세로밴드(40)의 제 7가닥(41)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세로밴드(40) 제 8가닥(42)의 후방으로 끼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로밴드(10)의 제 2가닥(12)과 상기 제 2 세로밴드(40)의 제 7가닥(41) 및 제 8가닥(42)을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당겨주며 형태를 정리하여 8단계를 마무리한다.
다음으로, 9단계에서는 상기 제 2 가로밴드(30)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2 세로밴드(40) 제 8가닥(42)에 걸어준다.
다음으로, 10단계에서는 상기 제 2 가로밴드(30)의 제 6가닥(32)을 상기 2번째 세로밴드(40) 제 8가닥(42)의 후반으로 넘기고, 상기 제 1 세로밴드(20) 제 4가닥(22)의 전방으로 넘긴다.
구체적으로 전방으로 넘길 때, 전방의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볼 때 정면에서 가려지지 않고 보이는 부분을 말한다.
다음으로, 11단계에서는 상기 제 2 세로밴드(40) 제 8가닥(42)을 상기 2 가로밴드(30)의 후방으로 넘긴다.
다음으로, 12단계에서는 상기 2 세로밴드(40)의 제 8가닥(42)을 상기 2번째 가로밴드(30) 제 5가닥(31) 전방으로 넘겨 상기 2 가로밴드(30)의 제 6가닥(32)의 후방으로 끼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가로밴드(30)의 제 6가닥(32)을 상기 제 1 세로밴드(20)의 제 4가닥(22)의 뒤로 넘긴다.
다음으로, 14단계에서는 상기 제 2 가로밴드(30)의 제 6가닥(32)을 상기 1 세로밴드(20)의 후방으로 접는다.
다음으로, 15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세로밴드(20)의 제 4가닥(22)을 상기 2 가로밴드(30)의 뒤로 넘긴다.
다음으로, 16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세로밴드(20)의 상기 제 4가닥(22)을 상기 2 가로밴드(30) 제 5가닥(31) 전방으로 넘겨 상기 2 가로밴드(30) 제 6가닥(32) 후방으로 끼운다.
다음으로, 17단계에서는 상기 가로밴드와 세로밴드로 형성되는 매듭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매듭을 확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세로밴드 또는 가로밴드를 추가하여 상기 9단계부터 16단계를 반복함으로써, 공예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가로밴드와 세로밴드의 중심부에는 철심이 마련되고, 상기 철심 외면은 종이, 비닐, 직물,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은 공예품을 만들었을 때, 참신한 외형 구현 가능하고, 종래의 것과 구별되는 독창적인 미감을 나타내고, 제조방법이 간단하므로 저가에 공급할 수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 1 가로밴드
11 : 제 1가닥
12 : 제 2가닥
20 : 제 1 세로밴드
21 : 제 3가닥
22 : 제 4가닥
30 : 제 2 가로밴드
31 : 제 5가닥
32 : 제 6가닥
40 : 제 2 세로밴드
41 : 제 7가닥
42 : 제 8가닥

Claims (3)

  1.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로밴드와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세로밴드의 중심부를 접는 1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접힘부에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접힘부를 걸어주는 2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뒤로 넘기는 3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3가닥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1 세로밴드 제 4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4단계;
    제 2 세로밴드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에 걸어주는 5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상기 제 2가닥의 뒤로 접는 6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 뒤로 접는 7단계;
    상기 제 1 가로밴드의 제 2 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7가닥의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8단계;
    제 2 가로밴드의 중심부를 접어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에 걸어주는 9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의 후방으로 넘기고, 상기 제 1 세로밴드 제 4가닥의 전방으로 넘기는 10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 제 8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후방으로 넘기는 11단계;
    상기 제 2 세로밴드의 제 8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5가닥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의 후방으로 끼우는 12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의 뒤로 넘기는 13단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제 6가닥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후방으로 접는 14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의 뒤로 넘기는 15단계;
    상기 제 1 세로밴드의 제 4가닥을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5가닥 전방으로 넘겨 상기 제 2 가로밴드 제 6가닥 후방으로 끼우는 16단계; 및
    상기 가로밴드와 세로밴드로 형성되는 매듭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매듭을 확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세로밴드 또는 가로밴드를 추가하여 상기 9단계부터 16단계를 반복하는 17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로밴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밴드는 보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밴드와 세로밴드의 중심부에는 철심이 마련되고, 상기 철심 외면은 종이, 비닐, 직물,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KR1020150163571A 2015-11-20 2015-11-20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KR101753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71A KR101753994B1 (ko) 2015-11-20 2015-11-20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71A KR101753994B1 (ko) 2015-11-20 2015-11-20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24A KR20170059324A (ko) 2017-05-30
KR101753994B1 true KR101753994B1 (ko) 2017-07-06

Family

ID=5905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71A KR101753994B1 (ko) 2015-11-20 2015-11-20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40A (ko) 2022-06-07 2023-12-14 박정숙 평매듭 줄걸기방식을 이용한 마크라메 마감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515B2 (ja) 1990-03-16 2001-06-2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2−クロロチアゾール類の製造方法
JP4203088B2 (ja) 2006-08-11 2008-12-24 貴代美 杉野 帯結び方法
JP2012050500A (ja) 2010-08-31 2012-03-15 Kyoko Kawai 革工芸品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385436B1 (ko) 2012-10-25 2014-04-14 이상선 도검 자루용 매듭과 그 결속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515B2 (ja) 1990-03-16 2001-06-2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2−クロロチアゾール類の製造方法
JP4203088B2 (ja) 2006-08-11 2008-12-24 貴代美 杉野 帯結び方法
JP2012050500A (ja) 2010-08-31 2012-03-15 Kyoko Kawai 革工芸品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385436B1 (ko) 2012-10-25 2014-04-14 이상선 도검 자루용 매듭과 그 결속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40A (ko) 2022-06-07 2023-12-14 박정숙 평매듭 줄걸기방식을 이용한 마크라메 마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324A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994B1 (ko) 교차매듭 방법을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CN201648634U (zh) 一种带有锯齿边的织带
CN206062194U (zh) 一种带有云肩的服饰
CN102795038B (zh) 一种蒲草绳、蒲草编织篮及其编织方法
JP4057028B2 (ja) ポンポ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6112363A (en) Bath belt
US20160219954A1 (en) Curved pleat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pleated product
KR20180001730U (ko) 우산살 구조
CN210643512U (zh) 一种拼接被套
KR101504874B1 (ko) 입체밴드가 추가된 고기능성 덧버선
US20160324239A1 (en) Hair attachment
US9278293B1 (en) Assembling plush items
CN218960104U (zh) 抽绳式拼接连衣裙
RU2782820C2 (ru) Способ плетения звездочек с их соединением
JP3206666U (ja)
CN208510216U (zh) 一种线栅型莫尔纹箱包
CN205275883U (zh) 绳芯无张力输送装置
KR200489047Y1 (ko) 양모로 형성된 모루
JP3111911U (ja) 人形用衣装
CN210226949U (zh) 镂空花纹连衣裙
CN201567408U (zh) 纱线结构
CN206822148U (zh) 一种手链
CN202999411U (zh) 可滑动中式领结
US1912315A (en) Decorative device
CN205907427U (zh) 羊绒蝴蝶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