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990B1 -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990B1
KR101753990B1 KR1020150151675A KR20150151675A KR101753990B1 KR 101753990 B1 KR101753990 B1 KR 101753990B1 KR 1020150151675 A KR1020150151675 A KR 1020150151675A KR 20150151675 A KR20150151675 A KR 20150151675A KR 101753990 B1 KR101753990 B1 KR 10175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over
vehicle
data
telematics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302A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9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4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related to roll-over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Abstract

전복 센서(RS; Rollover sensor)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내비게이션의 3축 측정 데이터와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복 여부를 감지하고, 전복감지 시 전복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계된 내비게이션에 장착된 DR(Deduce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하여 전복 판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격 감지 시 벡터 값을 측정하며, 연계된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이상신호와 상기 측정한 벡터 값을 기초로 전복사고 여부를 판단하며, 전복사고 판단 시 자동으로 전복 감지 신호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연동하여 3축 센서를 통해 차량 데이터를 운전습관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운전습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전 운전습관과 상이하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이상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Rollover sensing / data acquisition devic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복(rollover)감지와 데이터 수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복 센서(RS; Rollover sensor)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내비게이션의 3축 측정 데이터와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복 여부를 감지하고, 전복감지 시 전복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슬립에 의한 브레이크의 잠김을 방지하고 제동 중 운전자에 의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ABS(Anti-lock Brake System)가 마련된다. 또한, 미끄러운 노면에서 차량이 출발하거나 급발진 시 차량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TCS(Traction Control System)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차량 안정 시스템)가 차량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다수의 센서가 차량에 마련된다. 예컨대, 각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스피드 센서, 조향각을 체크하는 조향각 센서, 차량의 횡 방향 가속도를 감지하는 횡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마련된다.
한편, 최근 SUV차량의 증가로 차량의 전복(rollover)사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SUV차량이 차 폭에 비해 차고가 높아 차량의 무게중심이 노면으로부터 다른 차량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차량의 전복에 의한 사고는 전체 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지만 사망자의 비율은 매우 높아 치명적인 인명사고를 일으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국은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전복 사고를 신속하게 관제센터에서 감지하여, 신속한 후속 조치를 통해 귀중한 인명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복 사고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전복 사고 감지용 전용 센서(Rollover sensor)를 장착하고, 전복 사고를 감지하는 차량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차량의 전복사고를 감지하고, 전복사고 감지 시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의 횡 가속도를 측정하는 횡 가속도 센서; 상기 측정된 횡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롤각과 롤레이트를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된 롤각과 롤레이트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차량의 전복상황을 판단하는 롤오버 판단부를 포함하고, 차량의 ESP 센서를 이용하여 롤각과 롤레이트를 추정하여 차량의 전복 여부(rollover)를 판단한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에 장착된 센서(RH S1, LH S1, FR S1, RR S1)의 코드화 단계; 상기 각 센서의 입력 값을 각 센서의 기준치와 비교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센서 값을 차량의 동적 상태 판단모듈을 통해 각 센서의 방향 및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전방, 후방 충돌 또는 전복상황(RollOver) 또는 기타 충돌과 같은 동적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의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및 롤오버(RollOver) 등의 동적 상태를 판단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81195호(2007.08.16. 공개)(발명의 명칭: 차량의 롤오버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22827호(2005.03.08. 공개)(발명의 명칭: 차량의 동적 상태 판단을 위한 센서의 장착구조 및 판단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의 전복 감지 방법은 전복을 감지하기 고가의 전용 센서(Rollover sensor)를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의 전복 감지를 위한 장치의 구현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대중적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차량 전복 감지를 위해 스마트폰과 연동하지 않으며, 차량의 로그 데이터를 일정시간마다 별도로 저장하거나 기록하는 것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전복 센서(RS; Rollover sensor)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내비게이션의 3축 측정 데이터와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복 여부를 감지하고, 전복감지 시 전복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로그데이터를 일정시간마다 수집하여 저장 및 기록하고, 연계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는 내비게이션에 장착된 DR(Deduce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하여 전복 판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격 감지 시 벡터 값을 측정하며, 연계된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이상신호와 상기 측정한 벡터 값을 기초로 전복사고 여부를 판단하며, 전복사고 판단 시 자동으로 전복 감지 신호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연동하여 3축 센서를 통해 차량 데이터를 운전습관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운전습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전 운전습관과 상이하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이상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DR센서를 통해 하중 값, 속도 값을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벡터 값을 측정하는 데이터 획득부;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 발생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상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폰 신호 수신부; 상기 스마트폰 신호 수신부에서 획득한 이상신호와 상기 벡터 값 분석을 통해 전복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전복 판단부; 상기 전복 판단부에 의해 전복 사고로 판단이 되면 전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복신호 생성부; 상기 전복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복 감지 신호를 원격에 위치한 관제 센터로 자동 전송하는 전복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는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복수의 차량 로그데이터를 캔 통신을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데이터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차량 데이터 발생기에서 전송된 차량 운행 로그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로그데이터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전복 감지 시 전복 감지 신호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전복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정보와 미리 등록된 차량 정보를 등록된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연락처에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복 센서(RS; Rollover sensor)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내비게이션의 3축 측정데이터와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전복 여부를 감지하고, 전복감지 시 전복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로그데이터를 일정시간마다 수집하여 저장 및 기록하고, 연계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추후 전복 사고 규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DR 센서의 3축 측정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는 내비게이션(10), 충격 감지 센서(20), 차량 데이터 발생기(30), 텔레매틱스 단말기(40), 스마트폰(50) 및 관제센터(60)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10)은 차량에 통상적으로 장착되어 길 안내를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내비게이션(10)과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통신을 통해 연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내비게이션(10)에는 위치 측정을 위한 DR(Deduced Reckoning) 센서가 장착된다. 이러한 DR 센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 값(x), 속도 값(y)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3축 데이터를 위해 내비게이션과 연동하고, 내비게이션에 장착된 DR 센서를 이용하여 3축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에 통상적으로 장착된 3축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신호처리회로에 자가진단기능을 내장한 SMD 실장 가능한 초소형 타입의 가속도 센서인 Airbag용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에어백 장치의 충돌가속도를 검출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신호처리, 조정회로를 내장한 고강도/고정밀도의 가속도 센서인 차량제어용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ABS, 차량안전제어, 서스펜션 제어에서 차량의 동적 상태를 검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회전 각속도를 검출하여 차량 안전 제어에 사용되는 차량제어용 각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각속도 센서에 가속도 센서(2축)를 내장한 일체형 타입의 센서인 통합형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비게이션의 DR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충격 감지 센서(20)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데이터 발생기(30)는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복수의 차량 로그데이터를 캔(can) 통신을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상기 내비게이션(10)을 이용하여 전복 판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격 감지 시 벡터 값을 측정하며, 연계된 스마트폰(50)에서 전송된 이상신호와 상기 측정한 벡터 값을 기초로 전복사고 여부를 판단하며, 전복사고 판단 시 자동으로 전복 감지 신호를 관제센터(6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10)과 연동하여 DR센서를 통해 하중 값(x), 속도 값(y)을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벡터 값(Θ)을 측정하는 데이터 획득부(41); 충격 감지 센서(20)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 발생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42); 상기 스마트폰(50)으로부터 전송된 이상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폰 신호 수신부(44); 상기 스마트폰 신호 수신부(44)에서 획득한 이상신호와 상기 데이터 획득부(41)에서 획득한 벡터 값 분석을 통해 전복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전복 판단부(45); 상기 전복 판단부(45)에 의해 전복 사고로 판단이 되면 전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복신호 생성부(46); 상기 전복신호 생성부(46)에서 생성된 전복 감지 신호를 원격에 위치한 관제 센터(60)로 자동 전송하는 전복신호 송신부(4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상기 차량 데이터 발생기(30)에서 전송된 차량 운행 중 발생한 로그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43)에 저장된 로그데이터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50)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와 연동하여 3축 센서를 통해 차량 데이터를 운전습관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운전습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전 운전습관과 상이하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에 이상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전복 감지 시 전복 감지 신호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50)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50)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로부터 전복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정보와 미리 등록된 차량 정보를 등록된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연락처에 자동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비게이션(10)과 스마트폰(50)과 텔레매틱스 단말기(40)가 상호 연동하는 상태에서, 차량에 통상적으로 장착되어 길 안내를 하는 시스템인 내비게이션(10)에서 차량 운행이 시작되면(전원이 투입되면) 내부의 DR센서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하중 값(x)과 속도 값(y)을 측정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에 전송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상기 내비게이션(10)을 이용하여 전복 판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저장하며, 충격 감지부(42)를 통해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
아울러 스마트폰(50)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와 연동을 시작하면, 자체적으로 내부의 3축 센서를 이용하여 3축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운전습관 정보로 저장한다. 그리고 현재 측정한 운전습관 정보와 바로 이전에 저장한 운전습관 정보를 지속적으로 대비하여, 운전습관 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측정한 운전습관 정보와 바로 이전에 측정한 운전습관 정보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측정한 운전습관 정보와 이전에 측정하여 저장해 놓은 운전습관 정보가 상이할 경우에는 운전습관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에 전달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전복 판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저장하는 도중에 충격 감지부(42)를 통해 차량의 충격이 감지되면, 전복 판단부(45)는 상기 하중 값 및 속도 값을 기초로 벡터 값(Θ)을 측정한다. 아울러 측정한 벡터 값과 전복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벡터값을 실시간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측정한 벡터 값이 상기 설정된 기준 벡터값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미리 설정된 시간 유지), 스마트폰(50)으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전복 사고라고 판단을 한다.
전복 사고로 판단이 되면, 전복 신호 생성부(46)에서 전복 사고 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전복신호 송신부(47)는 상기 전복 신호 생성부(46)에서 생성한 전복 사고 신호를 자동으로 연계된 관제 센터(60)에 전송한다. 이때 전복 사고 신호에 차량 정보와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관제 센터(60)에서는 용이하게 차량 전복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관제 센터(60)에서는 차량 전복 사고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에 포함된 위치 및 라야 정보로 어는 차량이 어느 위치에 전복되었는지를 인지하게 되며, 이후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함으로써 차량 전복 사고로 인한 귀중한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차량 정보와 차량 전복 신호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50)에서는 차량 전복 신호와 차량 정보가 전달되면 즉시 메모리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기관, 지인, 기타)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연락처에 차량 위치, 차량 전복 사고신호, 차량 정보를 전송하여 기관 및/또는 지인도 차량 전복 사고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이후, 기관 및/또는 지인은 전복 사고에 따른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 전복 사고 시 귀중한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실시간으로 차량 운행 중 발생한 로그데이터를 저장 및 기록하고, 이를 연계된 스마트폰(50)에 전송하여, 스마트폰(50)에도 저장 및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차량 데이터 발생기(30)는 차량 운행중 발생하는 복수의 차량 로그데이터를 캔(can)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에 전송한다. 텔래매틱스 단말기(40)의 로그데이터 저장부(43)는 상기 차량 데이터 발생기(30)에서 전송된 차량 운행 중 발생한 로그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되는 차량 운행 로그데이터는 추후 전복사고 규명에 활용하거나 차량 개발시에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운전 습관 데이터로 활용하여 안전 운전을 하는 데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40)는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43)에 저장된 로그데이터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50)으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되는 차량 운행 로그데이터는 추후 전복사고 규명에 활용하거나 차량 개발 시에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운전 습관 데이터로 활용하여 안전 운전을 하는 데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내비게이션 20: 충격 감지 센서
30: 차량 데이터 발생기 40: 텔레매틱스 단말기
50: 스마트폰 60: 관제 센터

Claims (5)

  1. 차량에서 전복 사고를 감지하고, 차량 운행 중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연계된 내비게이션에 장착된 DR(Deduce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하여 전복 판단을 위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충격 감지 시 벡터 값을 측정하며, 연계된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이상신호와 상기 측정한 벡터 값을 기초로 전복사고 여부를 판단하며, 전복사고 판단 시 자동으로 전복 감지 신호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연동하여 3축 센서를 통해 차량 데이터를 운전습관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운전습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전 운전습관과 상이하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이상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DR센서를 통해 하중 값, 속도 값을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벡터 값을 측정하는 데이터 획득부; 충격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 발생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이상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폰 신호 수신부; 상기 스마트폰 신호 수신부에서 획득한 이상신호와 상기 벡터 값 분석을 통해 전복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전복 판단부; 상기 전복 판단부에 의해 전복 사고로 판단이 되면 전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전복신호 생성부; 상기 전복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복 감지 신호를 원격에 위치한 관제 센터로 자동 전송하는 전복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3. 청구항 1에서,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복수의 차량 로그데이터를 캔 통신을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데이터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차량 데이터 발생기에서 전송된 차량 운행 로그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로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로그데이터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전복 감지 시 전복 감지 신호를 상기 연계된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전복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정보와 미리 등록된 차량 정보를 등록된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연락처에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KR1020150151675A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KR10175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75A KR101753990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675A KR101753990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02A KR20170050302A (ko) 2017-05-11
KR101753990B1 true KR101753990B1 (ko) 2017-07-04

Family

ID=5874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675A KR101753990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67B1 (ko) 2018-01-31 2019-12-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랙터의 전복 경고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87B1 (ko) 2006-07-26 2008-03-27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를 통보하는 방법, 휴대단말기 및 서버
KR101255013B1 (ko) 2012-11-27 2013-04-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성측정장치와 gnss를 이용한 연결식 차량의 사고 검출 및 예측방법
KR101353047B1 (ko) 2013-01-24 2014-01-17 주식회사 자이언트스타 차량 감시용 vsdt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87B1 (ko) 2006-07-26 2008-03-27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를 통보하는 방법, 휴대단말기 및 서버
KR101255013B1 (ko) 2012-11-27 2013-04-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성측정장치와 gnss를 이용한 연결식 차량의 사고 검출 및 예측방법
KR101353047B1 (ko) 2013-01-24 2014-01-17 주식회사 자이언트스타 차량 감시용 vsdt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302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1037B1 (en)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 vehicle accident
US74220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ehicle rollover events
US20170236340A1 (en) Potential chassis damage identification, validation, and notification
EP1263627B1 (en) Distributed electronic acceleration sensing for crash severity recognition
KR101857035B1 (ko) 주행 정보 최적화를 통한 차량 전복 감지 시스템
EP3221664B1 (en) Gps based learned control event prediction
EP2151359A1 (en) Collision determination system for vehicle
US20190147746A1 (en) Device for identifying an accident situation of an open road vehicle
US9656689B2 (en)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eering angle of a vehicle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vehicle
US8838288B2 (en) Rollover de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US201901849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ular active seatbelt
CN103826930A (zh) 车辆安全系统
US20130124053A1 (en)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with split active/passive processing
KR101157864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KR20140061180A (ko) 차량간 통신을 통한 차로 위치 결정 장치
US1078085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ized two-wheeled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cycle, and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117897319A (zh) 用于确定和表征路面不平坦的方法和设备
KR101753990B1 (ko) 차량의 전복감지/데이터 수집장치
US20060015237A1 (en) Device for recognizing a vehicle overturn
KR101555051B1 (ko) 후방차량 충돌사고 방지장치
US80735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vehicle rollover during a trip-over event
CN109963753B (zh) 用于识别车辆碰撞的方法和设备
WO2017014081A1 (ja) 傷害判定装置
US20160163134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detachment of a sensor device mounted in a wheel of a vehicle
US9581610B2 (en) Position-identifiable tire pressure monit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