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845B1 -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845B1
KR101753845B1 KR1020150031382A KR20150031382A KR101753845B1 KR 101753845 B1 KR101753845 B1 KR 101753845B1 KR 1020150031382 A KR1020150031382 A KR 1020150031382A KR 20150031382 A KR20150031382 A KR 20150031382A KR 101753845 B1 KR101753845 B1 KR 101753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e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material
pdms
polydimethylsil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879A (ko
Inventor
이상훈
황지영
이중훈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845B1/ko
Priority to PCT/KR2016/002140 priority patent/WO2016144043A1/ko
Publication of KR2016010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A)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B) 혼합된 혼합물에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C)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이 첨가된 혼합물에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D) 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의 용매를 증발시킨 후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E)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전도성, 신축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Method for preparing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an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전도성, 신축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폴리머 중의 하나인 PDMS(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는 생체의 공기에 대한 투과성이 우수하고, 생체조직과 유사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진 중합체이며, 투명하고 소프트 리소그라피(soft lithography) 공정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여 생체의 세포와 직접 연결되는 전극을 PDMS에 형성하여 신호를 추출하는 미세 전자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을 구현함으로써, 생체의 반응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기술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64536호(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75711호(이하 '인용발명 2'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상기 인용발명 1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의 프리폴리머와 경화제를 20:1 내지 5:1의 질량비로 혼합한 블렌드를 실리콘 웨이퍼 상에 스핀 코팅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 기판을 표면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표면 전처리된 폴리디메폴틸실록산 기판의 상부에 티타늄 레이어 및 금 레이어를 순차적으로 증착한 후 미세전극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미세전극의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형성되지 않은 폴리디메틸실록산 기판의 상부에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스핀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 된 미세전극의 상부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패터닝된 금 레이어의 상부에 금 전기도금을 수행하여 미세전극을 패키징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용발명1에 의하면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및 전극 부분의 도금을 통한 폴리디메틸실록산 미세전극의 패키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시키고, 실패율을 감소시키며, 폴리디메틸실록산 기판의 전처리 및 증착 조건을 최적화시킴으로써 금속 미세패턴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인용발명 2는 심전도 작성이나 신체의 상태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극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 무자극인 PDMS(polydimethylsiloxane)를 활용한 PDMS 레이어를 이용한 심전도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 2는 신체의 해당 부위 피부가 돌출된 전극에 의하여 밀착되어 접촉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일체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도전 젤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심전도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전극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부의 가려움증이나 염증 반응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민감성 피부를 가진 환자나 전극을 장시간 착용하여야 하는 중환자를 포함한 각종 환자들에게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전극 착용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활동을 하면서 장시간 모니터링 하는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 1, 2는 PDMS 레이어에 전극이 형성된 후 PDMS에 접착되도록 되어 있어, 이들 모두 PDMS 위에 전극이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PDMS의 전극이 생체 조직에 접촉되었을 때 생체의 공기가 PDMS를 투과하게 되므로, 금속인 전극과 PDMS간의 분자 결합이 약화되어 얼마간 사용하다 보면 쉽게 유리되어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52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2042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874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57736호 미국 공개특허 제2012/003785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12-1022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신축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응용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A)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이 첨가된 혼합물에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함유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증발시킨 후 경화 촉매인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 (B)단계 및 (C)단계에서 초음파 처리 시 혼합물의 온도는 10 내지 23 ℃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전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금속 섬유 및 그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 30 내지 6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의 점도는 70 내지 200 cSt일 수 있으며,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은 농도가 5 내지 20%인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 용액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의 점도는 4000 내지 7000 cSt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증발시키는 온도는 50 내지 70 ℃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에 함유된 금속 화합물의 금속은 백금일 수 있다.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과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이 혼합된 혼합물에 함유된 전도성 필러의 함량은 3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도성은 6 Ω/sq 이하이며, 인장강도는 1 내지 3 Mpa이고, 접촉각은 90 내지 99°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높은 전도성, 유연성 및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통하여 피부에 접촉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장치의 전기 회로내의 금속기판의 역할을 대신하는 도전체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소나노튜브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 전 반응물(회색선)과 초음파 처리 후 반응물(검정선)을 열중량분석기(TGA), 시차주사열량계분석기(DSC),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및 분산안정성 변화 측정기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까지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 전 반응물(회색선)과 초음파 처리 후 반응물(검정선)을 열중량분석기(TGA), 시차주사열량계분석기(DSC),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및 분산안정성 변화 측정기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라만 분광법 및 X선 회절분석법(XRD)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고해상도 주사형 전자현미경(HR-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시트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사이클링 테스트(cycling tes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LED 전극으로 활용한 사진이다.
도 7b는 전극에 불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밴딩 테스트(bending test)를 실시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전도성, 신축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분산도가 높으며,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이 첨가된 혼합물에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의 용매를 증발시킨 후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하여 초음파로 10 내지 40분 동안 처리한다(도 1a 및 도 1b).
상기 전도성 필러로는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금속 섬유 및 그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들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전도성 필러는 강하게 응집하려고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반 데르 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해 전도성 필러가 다발을 형성하고, 응집되어 용매에 계면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표면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작용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응집된 전도성 필러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응집된 전도성 필러를 이소프로필알코올과 혼합한 후 이를 초음파 처리하여 전도성 필러를 분산시킨다.
상기 전도성 필러와 혼합되는 용매는 추후 용매를 증발 시 우수한 전도성을 위하여 공기를 남기지 말고 증발되어야 하므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은 3개의 탄소와 1개의 산소로 구성된 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소수성 파트가 전도성 필러의 표면에 접촉하기에 용이하며, 친수성 파트는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 등이 있는 친수성 파트의 PDMS와 접촉하기에도 용이하다. 또한, 부분적으로 이소프로필알코올에 용해된 전도성 필러 및 PDMS는 초음파를 통해 완전하게 혼합된다.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 대신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끓는점이 낮고 휘발성이 높아 많은 양의 공기를 고분자에 남기면서 증발하므로 전도성 필러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전도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메틸알코올 또는 에틸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수성 파트를 적게 가지고 있어서 전도성 필러,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디메틸 실리콘 오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초음파 처리를 하더라도 완전하게 혼합되지 못한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짐으로써 응집되어 있는 전도성 필러 뭉치(bundle)의 서로 간 표면 사이의 반 데르 발스 힘을 파괴하고 전도성 필러를 단일 전도성 필러로 분리한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 처리 방법은 욕조 초음파 법으로 10 내지 40분의 시간 내에 실온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3 ℃를 유지하면서 초음파 처리를 수행해야 전도성 필러의 손상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분산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는 주파수 약 40 ~ 5,000 kHz 범위에서 강도(spatial peak pulse average intensity: ISPPA)가 약 50 ~ 1,000 mW/ 사이를 변하는 초음파를 사용함으로써 전도성 필러가 고루 분산된 안정한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물리적인 방법으로 초음파 방법이 아닌 다른 용매 및 다른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도성 필러를 완전히 분리하여 용매에 안정하게 분산시킬 수 없으므로,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초음파 처리를 함께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 30 내지 6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4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전도성 필러를 기준으로 이소프로필알코올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응집된 전도성 필러가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전도성 필러도 이소프로필알코올에 안정하게 분산되지 못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A)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저점도의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을 첨가한 후 초음파 처리한다(도 1c).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은 이소프로필알코올의 소수성 부분과 접촉하게 되고, 초음파 처리에 의해 상기 분산된 전도성 필러를 감싼다.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의 점도는 70 내지 200 cSt,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cSt로서, 점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전도성 필러를 감쌀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이후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과의 접촉에 의해 전도성 필러를 용액 내에 분산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은 농도가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인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 용액이다.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 용액의 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전도성 필러를 감쌀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더욱 안정된 분산액을 얻을 수 없다.
상기 (B)단계에서 수행되는 초음파 처리는 상기 (A)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되 5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분 동안 수행한다. 초음파 처리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이 전도성 필러를 감쌀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오히려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이 전도성 필러를 감싸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한다(도 1d).
상기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초음파 처리로 인하여 전도성 필러를 감싸고 있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과 접촉하여 전도성 필러를 용액에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더욱 안정한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도성 필러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전도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의 점도는 4000 내지 7000 cSt,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6000 cSt이다. 점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과 접촉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전도성 필러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농도가 7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인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용액이다.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용액의 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과 접촉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더욱 안정된 분산액을 얻을 수 없다.
상기 (C)단계에서 수행되는 초음파 처리는 상기 (A)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되 5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분 동안 수행한다. 초음파 처리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과 접촉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전도성 필러를 손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함유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증발시킨 후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혼합한다(도 1e 및 도 1f).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증발시키는 온도는 전도성 필러와 고분자(PDMS 및 MEP)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50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이며, 상기 온도 하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된다. 상기 온도하에서 증발을 수행해야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증발하면서 그 자리에 고분자가 채워질 수 있다.
증발온도 및 증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완전하게 증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전도성 필러와 고분자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여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증발되면 플렉서블해지는데, 이때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혼합하면 강도가 우수해지면서 더욱 플렉서블한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의 금속은 백금일 수 있는데, 금 또는 은과 같은 다른 금속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화용 촉매로 사용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에 SiH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더 첨가할 수 있는데, 이때 비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과 Si-H결합을 갖는 폴리실록산을 부가 반응시킴에 따라 실록산을 가교 시키는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촉매로 사용되는 백금화합물에 의하여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금속 화합물만 함유되어 있다면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농도가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인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용액이다.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용액의 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재료를 경화시켜 플렉서블하게 제조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복합재료가 단단하게 굳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한 후 70 내지 90 ℃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경화시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과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가 혼합된 혼합물에 함유된 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3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중량%이다. 예컨대, MEP와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의 총 함량은 90 내지 99 중량%이고, 전도성 필러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내에 함유된 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도성은 6 Ω/sq 이하이며, 인장강도는 1 내지 3 Mpa이고, 접촉각은 90 내지 99°로서, 우수한 전도성, 인장강도 및 접촉각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CNT 약 1 중량%
0.1 g의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20 g의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과 혼합하여 균질용액이 될 때까지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디메틸 실리콘 오일 용액(MEP, 100 cst, 10% 농도의 MEP 용액 in 이소프로필알코올) 1 g을 혼합한 다음 10분간 초음파 처리한다. 그 후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Sylgard 184 A, Dow Corning 사, 90% PDMS-A 용액 in 이소프로필알코올) 9 g의 혼합물을 첨가한 다음 반응혼합물이 균질용액이 될 때까지 약 10분 정도 반응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의 용매를 약 60 ℃에서 4시간 동안 증발시킨다. 그 후 1 g의 백금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Sylgard 184 B, 10% PDMS-B 용액 in 이소프로필알코올, 5000 cst)을 상기 반응혼합물에 추가하고 고루 섞어준 다음 준비된 몰드에 채워넣고 80 ℃에서 2시간 동안 열경화시켜 성형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상온에서 사용 전까지 깨끗한 플라스틱 페트리 디시(Petri dish)에 보관한다.
실시예 2. CNT 약 2 중량%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소나노튜브를 0.2 g으로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CNT 약 4 중량%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소나노튜브를 0.4 g으로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CNT 약 8 중량%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소나노튜브를 0.8 g으로 사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지 않고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PDMS 만 사용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Sylgard 184 A, Dow Corning 사, 90% PDMS-A 용액 in 이소프로필알코올) 10 g 을 균질용액이 될 때까지 약 10분 정도 반응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하고 상기 반응혼합물의 용매를 약 60 ℃에서 4시간 동안 증발시킨다. 그 후 1 g의 백금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Sylgard 184 B, 10% PDMS-B 용액 in 이소프로필알코올, 5000 cst)을 상기 반응혼합물에 추가하고 고루 섞어준 다음 준비된 몰드에 채워넣고 80 ℃에서 2시간 동안 열경화시켜 성형하여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디메틸 실리콘 오일 용액(MEP)을 사용하지 않고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
상기 비교예 3은 CNT와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섞이지 않아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지 못하여 하기 시험예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시험예 1. 접촉각 , 인장강도 및 전도성 측정
1-1. 접촉각(°) 측정: 물과 같은 액체방울을 샘플 표면위에 떨어뜨린 후, 정지된 액체방울과 표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한 값을 말한다(정적 접촉각). 통상적으로 물방울을 떨어뜨려 시험을 하며 고체 표면의 표면장력이 높을수록 물에 대한 젖음성(Wettability)이 좋아지고 접촉각은 작아지며, 접촉각이 작다는 것은 친수성이 크고 젖음성이 좋고 접착성이 좋아짐을 의미한다(ASTM D 5946).
1-2. 인장강도(MPa) 측정: 시험 재료를 규정에 맞는 시험편으로 절삭한 다음 시험편의 양끝을 시험기에 고정시키고, 시험편의 축 방향으로 천천히 잡아당겨 끊어질 때까지의 변형과 이에 대응하는 하중을 측정하여 시험 재료의 변형에 대한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ASTM D 638-4호).
1-3. 전도성(Ω/sq) 측정: 전기전도도 측정기(Electric Conductivity Tester)는 Current source에서 시료에 전류를 인가하고 발생하는 전위차를 Nanovolt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4-탐침법으로 두개의 탐침은 전류를 흘려주기 위하여 사용되며 다른 두개의 탐침은 전위차를 재는데 사용된다. 인가해준 전류와 측정되어진 전압의 값으로 V(전압)/I(전류) = ohm 값을 구하고, 표면저항 단위인 ohm/sq로 계산하기 위해 보정계수(Correctioin Factor)를 적용한다. Ohm X C.F = ohm/sq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접촉각(°) 86.72±6.45 84.14±3.37 94.62±4.02 91.12±6.02 92.98±3.04 87.49±4.92
인장강도
(MPa)
0.81±0.22 2.85±0.11 2.32±0.36 1.55±0.08 3.34±1.55 6.00±3.06
전도성(Ω/sq) 165.51±14.99 25.47±3.67 5.14±0.47 2.23±0.17 >1012 >1014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 접촉각, 인장강도 및 전도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3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실시예 1, 2 및 4에 비해서도 접촉각, 인장강도 및 전도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실시예 3에서 탄소나노튜브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 전 반응물(회색선)과 초음파 처리 후 반응물(검정선)을 열중량분석기(TGA, 도 2a), 시차주사열량계분석기(DSC, 도 2b),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도 2c) 및 분산안정성 변화 측정기(도 2d)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전 반응물(회색선)과 초음파 처리 후 반응물(검정선)은 완전히 다른 상태의 분산액이며, 초음파 처리 이후에 분산액이 안정해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실시예 3에서 중점도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까지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 전 반응물(회색선)과 초음파 처리 후 반응물(검정선)을 열중량분석기(TGA, 도 3a), 시차주사열량계분석기(DSC, 도 3b),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도 3c) 및 분산안정성 변화 측정기(도 3d)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전 반응물(회색선)과 초음파 처리 후 반응물(검정선)은 완전히 다른 상태의 분산액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음파 처리 후 반응물은 더욱 안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도 4a), 라만 분광법(도 4b) 및 X선 회절분석법(XRD, 도 4c)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복합재료는 특성이 전혀 다른 고분자 복합재료인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표면 특성 측정
도 5a는 실시예 3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고해상도 주사형 전자현미경(HR-SEM)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5b는 실시예 3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에 고르게 잘 분산되어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탄소나노튜브들이 서로 잘 접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에 단일가닥으로 분산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우수한 전도성을 갖는 재료인 것을 다시 확인하였다.
시험예 6. 전도성 및 신축성 측정
도 6a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시트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6b는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사이클링 테스트(cycling tes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 특히 실시예 3이 우수한 전도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4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가 높은 전기적, 기계적 및 탄성을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
< 플렉시블 회로 제조>
실시예 5. 플렉서블 회로
순수 PDMS를 원하는 회로 형태의 네거티브 몰드를 제작한 후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몰드의 홈 사이에 골고루 채워 넣고 약 80 ℃에서 2시간 동안 열경화시킴으로 회로를 제작한다.
시험예 7.
도 7a는 실시예 3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LED 전극으로 활용한 사진이며, 도 7b는 전극에 불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밴딩 테스트(bending test)를 실시한 사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0부터 8까지의 숫자를 변형시키며 LED(light emitting diode) 전극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플렉서블하여 다양한 회로로 제작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1. (A)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및 금속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농도가 5 내지 20%이며 점도가 70 내지 200 cSt인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 용액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 용액이 첨가된 혼합물에, 농도가 70 내지 95%이며 점도가 4000 내지 7000 cSt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용액을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함유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증발시킨 후 금속 화합물이 함유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B)단계 및 (C)단계에서 초음파 처리 시 혼합물의 온도는 10 내지 23 ℃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전도성 필러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 30 내지 6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증발시키는 온도는 50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에 함유된 금속 화합물의 금속은 백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틸 실리콘 오일(MEP)과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이 혼합된 혼합물에 함유된 전도성 필러의 함량은 3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11. 제1항, 제2항, 제4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도성은 6 Ω/sq 이하이며, 인장강도는 1 내지 3 Mpa이고, 접촉각은 90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KR1020150031382A 2015-03-06 2015-03-06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KR10175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382A KR101753845B1 (ko) 2015-03-06 2015-03-06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PCT/KR2016/002140 WO2016144043A1 (ko) 2015-03-06 2016-03-03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382A KR101753845B1 (ko) 2015-03-06 2015-03-06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879A KR20160107879A (ko) 2016-09-19
KR101753845B1 true KR101753845B1 (ko) 2017-07-04

Family

ID=5710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382A KR101753845B1 (ko) 2015-03-06 2015-03-06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3664A1 (en) 2020-02-25 2021-09-02 Cabot Corporation Silicone-based compositions containing carbon nanostructures for conductive and emi shielding applications
US11114774B2 (en) 2018-12-12 2021-09-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00618A (ko) * 2020-06-26 2022-01-04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자가치유성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자가치유성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186B1 (ko) * 2017-12-05 2020-05-13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드롭캐스팅을 이용한 전도성 폴리머 전극 제작 방법
CN108102358A (zh) * 2017-12-27 2018-06-01 上海统慧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碳纳米管及石墨烯复配体系的聚酰胺基导电母粒及其制备方法
KR102073319B1 (ko) * 2018-11-02 2020-02-03 한국화학연구원 스트레쳐블 전도성 필름
KR102690391B1 (ko) * 2021-12-29 2024-07-31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생체신호 측정 전극용 점착성 pdms 복합체와 제조 공정
KR20230133810A (ko) * 2022-03-11 2023-09-19 김경범 Ems 패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06B1 (ko) * 2013-03-19 2014-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406085B1 (ko) * 2013-07-11 2014-06-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pdms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pdms 복합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4698A1 (en) 2009-04-24 2011-02-03 Worsley Marcus A Mechanically Stiff,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s of Polymers and Carbon Nanotubes
KR101157451B1 (ko) 2010-01-26 2012-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이 향상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방법
JP5550075B2 (ja) 2010-11-09 2014-07-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分散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84373B1 (ko) 2011-08-19 2013-07-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전극용 전도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복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3718B1 (ko) 2012-11-02 2014-07-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압력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215B1 (ko) 2014-03-04 2014-1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투명 신축성 광학터치센서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06B1 (ko) * 2013-03-19 2014-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406085B1 (ko) * 2013-07-11 2014-06-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pdms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pdms 복합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4774B2 (en) 2018-12-12 2021-09-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1173664A1 (en) 2020-02-25 2021-09-02 Cabot Corporation Silicone-based compositions containing carbon nanostructures for conductive and emi shielding applications
KR20220000618A (ko) * 2020-06-26 2022-01-04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자가치유성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자가치유성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KR102395004B1 (ko) * 2020-06-26 2022-05-09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자가치유성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자가치유성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879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845B1 (ko)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Zhang et al. Highly flexible strain sensors based on polydimethylsiloxane/carbon nanotubes (CNTs) prepared by a swelling/permeating method and enhanced sensitivity by CNTs surface modification
You et al. Block copolymer elastomer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Mai et al. Ultra-stretchable MWCNT–Ecoflex piezoresistive sensors for human motion detection applications
Kim et al. Highly conformable, transparent electrodes for epidermal electronics
Rahimi et al. Highly stretchable potentiometric pH sensor fabricated via laser carbonization and machining of Carbon− Polyaniline composite
Gogurla et al. Multifunctional and ultrathin electronic tattoo for on‐skin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KR101768153B1 (ko)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Llerena Zambrano et al. Soft electronics based on stretchable and conductive nanocomposit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Matsumoto et al. Electrospun composite nanofiber yarns containing oriented graphene nanoribbons
Zhang et al. Self-healing and stretchable PDMS-based bifunctional sensor enabled by synergistic dynamic interactions
Min et al. Tough Carbon Nanotube‐Implanted Bioinspired Three‐Dimensional Electrical Adhesive for Isotropically Stretchable Water‐Repellent Bioelectronics
Wang et al. Miniaturized flexible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s: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 copolymers blended with graphene oxide for biomedical applications
CN108917582A (zh) 应变传感器及其制造方法
CN111253751B (zh) 一种碳纳米管聚二甲基硅氧烷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har et al. 3D Printable One‐Part Carbon Nanotube‐Elastomer Ink for Health Monitoring Applications
Hwang et al. Stretchable carbon nanotube conductors and their applications
Lou et al. Highly stretchable and self-adhesive elastomers based on polymer chain rearrangement for high-performance strain sensors
Viannie et 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lexible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 (dimethylsiloxane) based nanocomposite sheets
KR20190079025A (ko) 도파민을 이용한 기계적으로 강화된 산화 그래핀 섬유 및 환원된 산화 그래핀 섬유
Xiao et al. Nanoimprinted conducting nanopillar arrays made of MWCNT/polymer nanocomposites: A study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WO2016144043A1 (ko) 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Vural et al. Spray-processed composites with high conductivity and elasticity
CN108891108B (zh) 一种高驱动应变的电致驱动弹性体及其制备方法
da Silva et al. Effects of organic additives on film characteristics of flexible PEDOT: PSS/lat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