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818B1 -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 Google Patents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818B1
KR101753818B1 KR1020160050259A KR20160050259A KR101753818B1 KR 101753818 B1 KR101753818 B1 KR 101753818B1 KR 1020160050259 A KR1020160050259 A KR 1020160050259A KR 20160050259 A KR20160050259 A KR 20160050259A KR 101753818 B1 KR101753818 B1 KR 10175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diaphragm
heater
stora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봉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6005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818B1/ko
Priority to US15/372,706 priority patent/US201703072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저수부를 구비한 온수통(10); 상기 온수통(10)에 내장되어 상기 저수부를 하측 저수부(14)와 상측 저수부(12)로 구획하는 격판(20); 상기 하측 저수부(14)에 온수로 만들어지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30); 상기 온수통(10)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저수부(14)에 들어온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주는 히터(40); 상기 온수통(10)의 상기 상측 저수부(12)에 구비된 온수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Hot water barrel structure for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계속 사용하더라도 도중에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내부에 히터 및 냉각시스템이 내장되어 있고, 상부에는 원통형의 생수통을 뒤집어서 안착시킬 수 있는 생수통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앞에 달려 있는 코크를 열어서 냉수나 온수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냉온수기의 바디 앞에 레버를 누르면 열릴 수 있는 냉수용 코크와 온수용 코크를 달아놓아서 냉수용 코크의 레버를 사용자가 누르면 냉수용 코크에서 냉수가 나와서 쓸 수 있도록 하고, 온수용 코크의 레버를 사용자가 누르면 온수용 코크에서 뜨거운 물이 나와서 쓸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기존의 냉온수기는 온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온수용 코크에서 온수를 일정량 따르게 되면, 얼마 못가서 뜨거운 물이 나오지 못하고 미지근한 물이 나오게 되어서 원하는 데로 뜨거운 물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커피잔 세 잔 정도가 되는 양의 뜨거운 물을 쓰게 되면 그 다음부터는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못하고 미지근한 물이 나오게 되어 커피가 제대로 녹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처럼 기존에는 뜨거운 물을 얼마 쓰지 못하고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나아가 소비자로부터 컴플레인이 들어오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57515호(2004.07.19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00754호(2005.11.02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41276호(2011.06.07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9856호(2012.04.09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온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계속 사용하더라도 내부에서 뜨거운 물은 계속해서 채워놓을 수 있는 특수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저수부를 구비한 온수통; 상기 온수통에 내장되어 상기 저수부를 하측 저수부와 상측 저수부로 구획하는 격판; 상기 하측 저수부에 온수로 만들어지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 상기 온수통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저수부에 들어온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주는 히터; 상기 온수통의 상기 상측 저수부에 구비되어 온수 사용처로 온수가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온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복합형 온수통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온수통의 내부 저수조를 상기 하측 저수부와 상기 상측 저수부로 구획하는 상기 격판의 둘레부는 상기 온수통의 내주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측 저수부에서 상기 상측 저수부로 온수가 올라오는 유통홀이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판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관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온수통의 내부 저수조에 들어와서 상하로 연장된 리니어 관부와, 상기 리니어 관부에 이어진 코일형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측 저수부에 상기 코일형 관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는 냉온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계속 사용하더라도 내부에서 뜨거운 물은 계속해서 채워놓을 수 있는 특수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비자로부터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클레임이 들어오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입관이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하측 공간부에 내장되는 코일형 관부를 구비한 경우, 유입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원수가 코일형 관부를 지나가면서 긴 시간 동안 돌아서 나가고, 이처럼 긴 시간동안 원수가 돌아서 나가는 과정에서 히터에서 발열되는 열과의 사이에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여주게 되므로, 온수통의 하측 저수부에서 원수가 뜨거운 온수로 형성되는 효율을 한층 높여주며, 이러한 높은 열교환 효율에 의해 뜨꺼워진 온수가 상측 저수부로 공급되므로, 냉온수기에서 미지근한 물이 배출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차단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는 내부에 저수부를 구비한 온수통(10)과, 이 온수통(10)에 내장되어 저수부를 하측 저수부(14)와 상측 저수부(12)로 구획하는 격판(20)과,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온수로 만들어지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30)과, 상기 온수통(10)에 구비되어 하측 저수부(14)에 들어온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주는 히터(40)와, 온수통(10)의 상측 저수부(12)에 구비된 온수관(50)을 포함한다.
상기 온수통(10)은 내부에 저수부를 구비한 원형 통으로 이루어진다. 온수통(10)은 원형 통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온수통(10)의 바텀부에는 드레인홀이 구비되고, 온수통(10)의 상면부에는 유입관 통과홀과 온수관 연결홀이 구비된다.
상기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드레인관(14)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를 구성하는 바텀부에 드레인관(14)이 연결된다. 바텀부의 드레인관 연결홀에 드레인관(1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격판(20)은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에 내장된다. 본 발명에서 온수통(10)은 원형 통 형상이어서 격판(20)은 원형판 형상이다. 격판(20)에 의해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가 상측 저수부(12)와 하측 저수부(14)로 구획된다. 또한, 격판(20)은 둘레부와 인접된 부분에 양면으로 연통된 유통홀(22)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유통홀(22)이 격판(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격판(20)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관결합홀(24)이 구비된다.
상기 격판(20)의 둘레부는 온수통(10)의 내주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측 저수부(14)에서 상측 저수부(12)로 온수가 올라오는 외곽 유통홀(24)가 확보된다. 격판(20)의 유통홀(22)을 통해서도 하측 저수부(14)에서 상측 저수부(12) 쪽으로 온수가 올라올 수 있다.
상기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에는 유입관(30)이 내장된다. 유입관(30)은 급수 연결 관부(32)와, 이 급수 연결 관부(32)에 상단부가 연결된 리니어 관부(34)를 포함한다. 급수 연결 관부(32)는 온수통(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리니어 관부(34)는 온수통(10)의 상면부에 구비된 유입관 통과홀을 관통하여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에 내장된다. 리니어 관부(34)는 온수통(10)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유입관(30)의 리니어 관부(34)에 격판(20)의 관결합홀(24)이 결합된다. 즉, 유입관(30)의 리니어 관부(34)가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격판(20)의 관결합홀(24)을 통과하여 결합된다. 유입관(30)의 리니어 관부(34)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격판(20)의 관결합홀(24)에 고정되어, 격판(20)이 유입관(30)에 지지되어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격판(20)에 의해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가 위쪽의 상측 저수부(12)와 아래 쪽의 하측 저수부(14)로 구획된다.
상기 유입관(30)의 리니어 관부(34)의 하단부는 격판(20)에 의해 구획된 하측 저수부(14)에 내장된다. 즉, 유입관(30)의 물유입 시작단은 미도시된 물공급부(차가운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유입관(30)의 물유입 종단은 격판(20)에 의해 구획된 하측 저수부(14)에 배치된다. 유입관(30)의 물유입 종단은 하측 저수부(14)를 구성하는 온수관(50)의 바텀부와 거의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다. 유입관(30)을 구성하는 리니어 관부(34)의 하단부가 물유입 종단이 되므로, 유입관(30)의 하단부가 격판(20)에 의해 구획된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내장된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30)으로 들어온 원수(즉, 온수로 만들어지기 위한 차가운 물)이 온수통(10)의 상측 저수부(12)를 지나서 격판(20) 아래의 하측 저수부(14)로 공급된다. 이때, 유입관(30)의 하단부(즉, 물유입 종단)이 온수통(10)의 바텀부에 거의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원수가 하측 저수부(14)의 거의 맨 아래에서부터 하측 저수부(14)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온수통(10)의 내부 저수조를 하측 저수부(14)와 상측 저수부(12)로 구획하는 상기 격판(20)의 둘레부는 상기 온수통(10)의 내주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측 저수부(14)에서 상측 저수부(12)로 온수가 올라오는 유통홀(22)이 확보된다. 상기 격판(20)의 직경이 온수통(10)의 직경보다 더 작게 구성되어, 격판(20)이 온수통(10)에 내장된 유입관(30)에 지지되어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유통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유통홀(22)은 외곽 유통홀(24)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 내주면 사이의 유통홀(22)은 온수통(10)의 위에서 볼 때에는 환형의 홀로 이루어진다. 물론, 온수통(10)이 원형 통이 아닌 다른 형상이고, 이에 대응하여 격판(20)도 다른 형상이라면,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 내주면 사이의 외곽 유통홀(24)의 형상도 환형 홀이 아닌 다른 형상의 홀이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에는 하측 저수부(14)와 상측 저수부(12) 중에서 적어도 상기 하측 저수부(14) 방향으로 연장된 리니어 격판부(21)가 더 구비된다. 리니어 격판(20)과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통홀(22)(즉, 상기 외곽 유통홀(24))이 확보된다.
상기 격판(20) 둘레부의 리니어 격판부(21)에 의해 격판(20)과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의 유통홀(22)이 상하 폭이 더 넓어진 밴드 유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니어 격판부(21)가 하측 저수부(14)와 상측 저수부(12) 두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리니어 격판부(21)가 상하 두 배의 폭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수통(10)에 구비된 히터(40)를 포함한다. 히터(40)는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들어온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주는 가열원이 된다. 상기 히터(40)는 격판(20)에 의해 구획된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내장된다. 이때, 히터(40)는 코일형 히터로 구성되어, 상기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들어온 물(원수)과의 열교환 표면적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물론, 히터(40)는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내장되지 않고 하측 저수부(14)의 둘레부에 배치되도록 온수통(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히터(40)는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내장되고 동시에 온수통(10)의 외주면에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하측 저수부(14)의 둘레부에 구비되도록 온수통(10)의 외주면에 아웃터 히터(4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아웃터 히터(40)는 밴드형 히터로 구성된다. 아웃터 히터(40)가 온수통(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형성된 밴드형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통(10)의 상측 저수부(12)에는 온수관(50)이 구비된다. 온수통(10)의 상면부에 구비된 온수관 연결홀에 온수관(5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온수관(50)의 타단부는 미도시된 온수용 코크(밸브)에 연결된다. 상기 온수관(50)의 일단부가 온수 배출 시작단이고 온수관(50)의 타단부가 온수 배출 종단이라 할 수 있는데, 온수관(50)의 온수 배출 시작단은 온수통(10)의 상측 저수부(12)에 연통되고 온수 배출 종단은 미도시된 온수용 코크에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아웃터 히터(40)는 미도시된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온수통(1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입관(30)으로부터 들어오는 원수(뜨거운 물로 데워지기 위한 차가운 물)가 온수통(10) 내부의 격판(20)에 의해 구획된 아래쪽의 하측 저수부(14)로 들어와서 히터(40)의 열에 의해 온수(뜨거운 물)로 만들어지고, 상기 하측 저수부(14)에서 만들어진 온수는 격판(20)의 양면으로 연통된 유통홀(22)을 통해서 위쪽의 상측 저수부(12)로 올라오고,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외곽 유통홀(24)을 통해서도 하측 저수부(14)에서 뜨거운 온수가 상측 저수부(12)로 올라오므로, 온수통(10)의 격판(20) 위쪽의 상측 저수부(12)가 뜨거운 온수로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온수통(10)의 상측 저수부(12)에 뜨거운 물이 채워지고 동시에 격판(20) 아래의 하측 저수부(14)에도 히터(40)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온수로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온수기의 온수용 코크가 개방되면, 상기 상측 저수부(12)에 채워져 있던 온수부터 온수용 코크를 통해 배출되어 뜨거운 온수를 사용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하측 저수부(14)에서는 뜨거운 온수가 계속 올라와서 상측 저수부(12)에서 배출된 양만큼의 온수를 다시 상측 저수부(12)에 채우게 되고, 상기 하측 저수부(14)에서 온수가 상측 저수부(12)로 올라가면, 하측 저수부(14)에서 상측 저수부(12)로 올라간 양만큼의 원수(즉, 차가운 물)이 상기 유입관(30)을 통하여 하측 저수부(14)의 밑에서부터 들어오는데, 온수의 비중이 차가운 물의 비중보다 더 낮아서 하측 저수부(14)에서 상대적으로 더 위쪽의 층에는 온수가 올라와서 격판(20) 위의 상측 저수부(12)로 공급되고, 하측 저수부(14)에서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 층으로 들어온 차가운 물은 히터(40)에 의해 데워져서 더 위쪽 층으로 올라가는 온수 순환 공급 구조가 구현되므로, 냉온수기에서 온수용 코크를 열어서 계속해서 온수를 사용하더라도 도중에 미지근한 물이 배출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를 격판(20)에 의해 상측 저수부(12)와 하측 저수부(14)로 구획하고 온수를 상측 저수부(12)에서 계속해서 따라서 사용하더라도 하측 저수부(14)에서 뜨겁게 데워진 온수가 계속해서 사용자가 따라서 사용하는 양만큼의 온수가 상측 저수부(12)로 올라오는 구조가 구현됨으로써, 너무 급속하게 차가운 물이 뜨거운 물과 섞여서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냉온수기에서 온수를 계속해서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온도의 온수가 나오지 못하고 너무 온도가 낮은 미지근한 물이 나오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격판(20)이 없다면, 유입관(30)으로 들어온 차가운 물이 너무 빨리 뜨거운 온도로 데워진 온수와 섞이게 되어서, 충분한 온도의 온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고 미지근한 물이 공급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를 격판(20)에 의해 상측 저수부(12)와 하측 저수부(14)로 구획하여 하측 저수부(14)에서는 계속해서 신속하게 차가운 물을 뜨거운 온수로 데워주고 상측 저수부(12)에서 배출된 양만큼의 온수가 상측 저수부(12)에 채워지는 구조를 구현하기 때문에, 냉온수기를 계속해서 사용함으로 인하여 미지근한 물이 공급되는 경우를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다.
부언하면, 유입관(30)에서 원수(차가운 물)가 하측 저수부(14)로 신속하게 들어와서 계속해서 히터(40)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뜨거운 물)로 만들어지고 있으므로, 냉온수기의 온수용 코크를 통해서 온수를 계속 받아서 사용하더라도 미지근한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계속해서 충분한 온도의 온수(뜨거운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냉온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계속 사용하더라도 내부에서 뜨거운 물은 계속해서 채워놓을 수 있는 특수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비자로부터 뜨거운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컴플레인이 들어오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격판(20) 자체의 유통홀(22)뿐만 아니라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외곽 유통홀(24)을 통해서도 하측 저수부(14)로부터 상측 저수부(12)로 온수가 올라오므로, 냉온수기에서 온수를 사용하는 동안 하측 저수부(14)에서 너무 늦게 온수가 올라와서 온수 공급량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다소 불편한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의 외곽 유통홀(24)은 냉온수기에서 온수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온수의 공급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는 데에서 의미가 크다 하겠다.
또한,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에는 리니어 격판부(21)가 구비되어, 상기 리니어 격판부(21)에 의해 격판(20)의 둘레부와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의 외곽 유통홀(24)의 대역(폭)이 더 증가된 밴드 유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 유통홀을 통해 온수가 지나가면서 히터(40)의 열이 더해지는 작용을 하므로, 온수를 계속해서 사용할 때에 미지근한 물이 공급되는 경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히터(40)는 원수와의 접촉 면적을 더 높여주도록 코일형 히터로 구성되므로,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로 들어온 원수를 더욱 신속하게 데워서 온수로 만들어주므로, 하측 저수부(14)에서 혹시라도 차가운 물이 상측 저수부(12)로 넘어가서 충분히 만족스로운 온도를 가지지 못한 물(즉, 미지근한 물)을 만드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상기 온수통(10)의 외주면에 아웃터 히터(40)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온수통(10) 내부의 히터(40)와 아웃터 히터(40)에 의해 이중으로 열을 가하여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서 원수를 뜨거운 물인 온수로 만들게 되므로, 차가운 원수를 뜨거운 온수로 만드는 속도가 적어도 두 배 이상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아웃터 히터(40)는 온수통(10)의 상하로 일정한 폭을 차지하는 밴드형 히터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코일형 히터인 경우에 비하여 군데 군데 열이 빠지는 구간이 없이 전체면에서 열을 가하게 되므로, 온수통(10)에서 뜨거운 온수를 만드는 효율이 더욱 높아지며, 나아가, 아웃터 히터(40)가 밴드형 히터이므로, 온수통(10)의 외주면에 아웃터 히터(40)를 밀착시켜서 설치하는 작업도 보다 편리한 효과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입관(30)의 일부가 코일형 관부(36)로 구성되고, 코일형 관부(36)가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내장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입관(30)은 급수 연결 관부(32)와, 이 급수 연결 관부(32)에 상단부가 연결된 리니어 관부(34)와, 이 리니어 관부(34)에 상단부가 연결된 코일형 관부(36)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형 관부(36)가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 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입관(30)으로부터 들어오는 원수가 코일형 관부(36)를 지나가면서 긴 시간 동안 돌아서 나가고, 이처럼 긴 시간동안 원수가 돌아서 나가는 과정에서 히터(40)에서 발열되는 열과의 사이에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여주게 되므로, 온수통(10)의 하측 저수부(14)에서 원수가 뜨거운 온수로 형성되는 효율을 한층 높여주며, 이러한 높은 열교환 효율에 의해 뜨꺼워진 온수가 상측 저수부(12)로 공급되므로, 냉온수기에서 미지근한 물이 배출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차단한다. 냉온수기에서 온수를 계속 사용하다가 도중에 미지근한 물이 나오는 경우를 확실하게 차단함으로써 냉온수기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나 사용자로부터 클레임(불만 제기)이 들어오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입관(30)의 코일형 관부(36)로 원수가 돌아나가면서 충분한 시간 동안 원수가 데워질 수 있는 시간이 생기는 것이며, 이러한 충분한 시간 동안의 원수 가열로 인해 뜨거운 온수를 확실하게 만들어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 저수부(14)에는 유입관(30)의 코일형 관부(36)의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히터(40)가 내장되고, 히터(40)는 코일형 히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코일형 관부(36)를 통해 원수가 충분히 긴 시간 동안 머물다가 돌아서 나가고 이러한 과정에서 코일형 히터가 원수를 속속들이 가열하게 되므로, 차가운 원수를 뜨거운 온수로 만드는 속도가 더욱 촉진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온수통 20. 격판
30. 유입관 40. 히터
50. 온수관

Claims (11)

  1. 내부에 저수부를 구비한 온수통(10);
    상기 온수통(10)에 내장되어 상기 저수부를 하측 저수부와 상측 저수부로 구획하는 격판(20);
    상기 하측 저수부에 온수로 만들어지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30);
    상기 온수통(10)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저수부에 들어온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주는 히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30)은 상기 온수통(10)의 상기 하측 저수부(12)에 내장되는 부분은 코일형 관부(36)로 구성되며,
    상기 격판(20)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관결합홀(24)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관(30)은 상기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에 들어와서 상하로 연장된 리니어 관부(34)와, 상기 리니어 관부(34)에 이어진 코일형 관부(36)를 포함하며, 상기 관결합홀(24)이 상기 리니어 관부(34)에 결합되어 상기 격판(20)에 의해 구획된 상기 하측 저수부(12)에 상기 코일형 관부(36)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통(10)의 내부 저수부를 상기 하측 저수부(12)와 상기 상측 저수부(14)로 구획하는 상기 격판(20)의 둘레부는 상기 온수통(10)의 내주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하측 저수부(12)에서 상기 상측 저수부(14)로 온수가 올라오는 유통홀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에는 상기 하측 저수부(12)와 상기 상측 저수부(14) 중에서 적어도 상기 하측 저수부(12) 방향으로 연장된 리니어 격판부(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리니어 격판부(21)에 의해 상기 격판(20)과 상기 온수통(10)의 내주면 사이의 상기 유통홀이 상하 폭이 더 넓어진 밴드 유통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20)은 양면으로 연통된 유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유통홀은 상기 격판(20)의 둘레부와 인접한 위치에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저수부(12)에는 상기 코일형 관부(36)의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히터(40)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40)는 코일형 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저수부(12)의 둘레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온수통(10)의 외주면에 아웃터 히터(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히터(40)는 밴드형 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통(10)의 상기 하측 저수부에 드레인관이 연결되고, 상기 온수통(10)의 상기 상측 저수부(14)에 온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KR1020160050259A 2016-04-25 2016-04-25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KR101753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59A KR101753818B1 (ko) 2016-04-25 2016-04-25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US15/372,706 US20170307252A1 (en) 2016-04-25 2016-12-08 Hot water barrel structure for water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59A KR101753818B1 (ko) 2016-04-25 2016-04-25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818B1 true KR101753818B1 (ko) 2017-07-05

Family

ID=5935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259A KR101753818B1 (ko) 2016-04-25 2016-04-25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307252A1 (ko)
KR (1) KR101753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4502A1 (en) 2019-09-24 2022-09-29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heated water source with horizontal heating coil
CN112823724B (zh) * 2019-11-20 2022-06-24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冷罐和饮水机
US20210315409A1 (en) 2020-04-09 2021-10-14 Keurig Green Mountain, Inc. Air preheating of brew cham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205B1 (ko) * 2013-03-18 2014-09-04 김영용 정수기용 온수통
KR101495550B1 (ko) * 2013-03-14 2015-02-25 윤상기 순간 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8015A (en) * 1944-07-01 1947-03-25 Donald Archibald Heating apparatus
US7817907B2 (en) * 2004-03-05 2010-10-19 George Yui Water heating vessel
AT500820B1 (de) * 2004-09-29 2007-04-15 Voestalpine Schienen Gmbh Fahrschiene für einen schienentrog
US20100031899A1 (en) * 2008-08-11 2010-02-11 Michael Williams Water heater
US20130312617A1 (en) * 2012-05-24 2013-11-28 Alexander Toporovsky Mobile self-contained brewer and cu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50B1 (ko) * 2013-03-14 2015-02-25 윤상기 순간 온수기
KR101438205B1 (ko) * 2013-03-18 2014-09-04 김영용 정수기용 온수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7252A1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818B1 (ko)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RU2006126050A (ru) Разливной автомат для напитка
US4531572A (en) Method of and unit for recovery of waste energy
CN104781617A (zh) 存储式煮器
KR101781951B1 (ko) 음용수기용 복합형 온수통 구조
CN101900416A (zh) 恒温变量节能型热水器
KR101753819B1 (ko) 격판 이동형 음용수기용 온수통 구조
JP3166606U (ja) アンダーカウンター式飲料用ディスペンサ
CN206951511U (zh) 一种镭射膜涂料加热装置
US20140050464A1 (en) Heating Apparatus of Hot Drink Machine
CN104236097B (zh) 一种新型换热储水箱
JP6782457B2 (ja) 給湯装置
KR101604735B1 (ko) 가정용 기구
JP6799781B2 (ja) 注出装置
JP2019006404A (ja) 飲料供給装置
CN105004035B (zh) 一种即热式开水器
CN215190947U (zh) 一种即热式婴幼儿智能饮用水机
KR200213712Y1 (ko) 축열식 전기보일러
JP6279205B2 (ja) 浄水器
CN207898379U (zh) 即热储热两用饮水机循环加热装置
JP4810400B2 (ja) スクリューポンプ
KR101405519B1 (ko) 온수탱크
JP2014115045A (ja) 貯湯タンク
KR101916888B1 (ko) 정수기
JP2015030512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