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724B1 -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724B1
KR101753724B1 KR1020160058428A KR20160058428A KR101753724B1 KR 101753724 B1 KR101753724 B1 KR 101753724B1 KR 1020160058428 A KR1020160058428 A KR 1020160058428A KR 20160058428 A KR20160058428 A KR 20160058428A KR 101753724 B1 KR101753724 B1 KR 10175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e
hub
power
poe hub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지
Priority to KR102016005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4Star or tree networks
    • H04L2012/445Star or tree networks with switching in a hub, e.g. ETHERNET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가 연결 접속되고, 외부의 POE 허브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외부 장비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OE 허브; 및 상기 POE 허브와 연결 접속되어, 상기 POE 허브에 연결 접속된 외부 장비의 원격 전원 제어 및 상기 외부 장비가 연결 접속된 각 포트별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매니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에 따르면, 원격 전원 제어 기능의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매니저 디바이스를 통해 POE 허브가 원격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OE 허브의 POE 연결포트에 연결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외부 장비 중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된 해당하는 외부 장비에 대해 원격으로 오프/온(Off/On)의 원격 전원 제어의 스위칭이 가능하고, 이를 통한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OE 허브에 내장된 CPU가 트레서트 명령을 포함하는 ICMP를 이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장비들이 연결 접속되는 각 포트별 네트워크 장애를 판단하고, 장애로 판단된 특정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비의 POE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애가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매니저 디바이스와 별도로 POE 허브의 POE 입력부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하는 외부 데이터(이벤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OE 허브에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이벤트)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의해 POE 허브의 각 포트별 전원이 자동으로 스위칭 제어되고, 접속된 외부 장비의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A POE HUB DEVICE FOR CONTROLLABLE OF POWER SOURCE}
본 발명은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Power Over Ethernet) 허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POE 허브의 POE 연결포트에 연결 접속된 외부 장비에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매니저 디바이스를 통한 오프/온(Off/On)의 원격 전원 제어를 통해 POE 허브에 접속된 외부장비의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E(Power Over Ethernet) 허브는, 이더넷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폰, IP 카메라, 및 AP(Access Point) 등의 외부 장비에 데이터와 전원을 직접 공급하여 외부 장비가 별도의 전원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POE 허브는 POE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비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이때, POE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장비에 장애가 생겨 전원을 오프/온(Off/On)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사용자가 POE 허브에서 직접 연결된 케이블의 접속을 끊고 다시 접속시켜야만 외부 장비의 동작이 가능하였다. 만약, POE 허브가 설치된 위치가 먼 거리이거나 출입하기 어려운 곳인 경우, 외부 장비의 전원을 오프/온(Off/On)을 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전원을 오프/온(Off/On)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신속한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POE 허브는 외부 장비가 연결되는 각 포트에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이에 대응한 신속한 네트워크 장애의 복구가 어려우며, POE 허브가 설치된 장소에 관리자가 이동하여 직접 케이블의 접속을 끊고 다시 접속하는 방식으로 사용 및 관리의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8011호(2013.06.25.공개.)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원격 전원 제어 기능의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매니저 디바이스를 통해 POE 허브가 원격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OE 허브의 POE 연결포트에 연결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외부 장비 중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된 해당하는 외부 장비에 대해 원격으로 오프/온(Off/On)의 원격 전원 제어의 스위칭이 가능하고, 이를 통한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OE 허브에 내장된 CPU가 트레서트 명령을 포함하는 ICMP를 이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장비들이 연결 접속되는 각 포트별 네트워크 장애를 판단하고, 장애로 판단된 특정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비의 POE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애가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매니저 디바이스와 별도로 POE 허브의 POE 입력부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하는 외부 데이터(이벤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OE 허브에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이벤트)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의해 POE 허브의 각 포트별 전원이 자동으로 스위칭 제어되고, 접속된 외부 장비의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가 연결 접속되고, 외부의 POE 허브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외부 장비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OE 허브; 및
상기 POE 허브와 연결 접속되어, 상기 POE 허브에 연결 접속된 외부 장비의 원격 전원 제어 및 상기 외부 장비가 연결 접속된 각 포트별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매니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OE 허브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외부 장비가 각각 연결 접속되기 위한 POE 연결포트;
상기 POE 연결포트에 각각 연결 접속되는 외부 장비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각 스위칭 제어되는 전원 제어 포트;
상기 전원 제어 포트의 각각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상기 POE 허브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가 연결 접속되는 POE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OE 허브는,
상기 POE 연결포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 제어 포트는 상기 POE 연결포트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POE 연결포트와 1:1로 연결 접속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CPU는,
MCU(Micro Controller Unit) 기능을 포함하고, 트레서트(TRACERT) 명령을 포함하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이용하여 각 포트별 네트워크 장애를 판단하고, 특정 포트가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외부 장비의 POE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Off/On)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POE 허브는,
상기 POE 입력부를 통해 관리자에 의한 외부 데이터(이벤트)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POE 입력부를 통해 관리자에 의한 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CPU가 미리 설정된 정해진 규칙에 따른 POE 허브의 각 포트별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Off/On) 제어하여 접속된 외부 장비의 네트워크 장애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는,
상기 POE 허브를 제어 관리하기 위한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탑재된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의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특정 데이터에 의한 전원 제어 기능을 통해 상기 외부 장비에 대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제어가 원격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에 따르면, 원격 전원 제어 기능의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매니저 디바이스를 통해 POE 허브가 원격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OE 허브의 POE 연결포트에 연결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외부 장비 중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된 해당하는 외부 장비에 대해 원격으로 오프/온(Off/On)의 원격 전원 제어의 스위칭이 가능하고, 이를 통한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OE 허브에 내장된 CPU가 트레서트 명령을 포함하는 ICMP를 이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장비들이 연결 접속되는 각 포트별 네트워크 장애를 판단하고, 장애로 판단된 특정 포트에 연결된 외부 장비의 POE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해당하는 네트워크 장애가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매니저 디바이스와 별도로 POE 허브의 POE 입력부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하는 외부 데이터(이벤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POE 허브에 입력되는 외부 데이터(이벤트)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의해 POE 허브의 각 포트별 전원이 자동으로 스위칭 제어되고, 접속된 외부 장비의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인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의 POE 허브의 내부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인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의 POE 허브의 내부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100)는, POE 허브(110), 및 매니저 디바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OE 허브(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10)가 연결 접속되고, 외부의 POE 허브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 장비(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POE 허브(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외부 장비(10)가 각각 연결 접속되기 위한 POE 연결포트(111)와, POE 연결포트(111)에 각각 연결 접속되는 외부 장비(10)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각 스위칭 제어되는 전원 제어 포트(112)와, 전원 제어 포트(112)의 각각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CPU(113)와, POE 허브(11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후술하게 될 매니저 디바이스(120)가 연결 접속되는 POE 입력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POE 허브(110)는 POE 연결포트(111)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고, 전원 제어 포트(112)는 POE 연결포트(111)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POE 연결포트(111)와 1:1로 연결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POE 허브(110)의 CPU(113)는 MCU(Micro Controller Unit) 기능을 포함하고, 트레서트(TRACERT) 명령을 포함하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이용하여 각 포트별 네트워크 장애를 판단하고, 특정 포트가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외부 장비(10)의 POE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Off/On)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POE 허브(110)는 매니저 디바이스(120)와 별개로, POE 입력부(114)를 통해 관리자에 의한 외부 데이터(이벤트)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POE 입력부(114)를 통해 관리자에 의한 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CPU(113)가 미리 설정된 정해진 규칙에 따른 POE 허브(110)의 각 포트별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Off/On) 제어하여 접속된 외부 장비(10)의 네트워크 장애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POE 허브(110)는 Power Over Ethernet으로, 랜 선에 전원을 같이 넣어서 IP 카메라, 허브, 및 AP 같은 외부 장비(10)가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매니저 디바이스(120)는, POE 허브(110)와 연결 접속되어, POE 허브(110)에 연결 접속된 외부 장비(10)의 원격 전원 제어 및 외부 장비(10)가 연결 접속된 각 포트별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매니저 디바이스(120)는 POE 허브(110)를 제어 관리하기 위한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탑재된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의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특정 데이터에 의한 전원 제어 기능을 통해 외부 장비(10)에 대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제어가 원격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는, POE 허브의 매니저 프로그램에 원격 전원 제어 기능을 탑재하고, 원격으로 전원을 제어(On/Off)하거나, POE 허브에 임의의 외부 데이터(이벤트) 값이 입력되어 지면,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의해 POE 허브의 각 포트별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Off/On)하여 접속된 외부 장비의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OE 허브 내부의 CPU(MCU)에서 POE 허브에 연결된 외부 장비의 네트워크 상태를 “TRACERT”명령을 포함하는 ICM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되어 지는 외부 장비의 POE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Off/On)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110: POE 허브 111: POE 연결포트
112: 전원 제어 포트 113: CPU(MCU)
114: POE 입력부 120: 매니저 디바이스

Claims (6)

  1.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100)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비(10)가 연결 접속되고, 외부의 POE 허브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외부 장비(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POE 허브(110); 및
    상기 POE 허브(110)와 연결 접속되어, 상기 POE 허브(110)에 연결 접속된 외부 장비(10)의 원격 전원 제어 및 상기 외부 장비(10)가 연결 접속된 각 포트별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매니저 디바이스(120)를 포함하되,
    상기 POE 허브(1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외부 장비(10)가 각각 연결 접속되기 위한 POE 연결포트(111)와, 상기 POE 연결포트(111)에 각각 연결 접속되는 외부 장비(10)에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각 스위칭 제어되는 전원 제어 포트(112)와, 상기 전원 제어 포트(112)의 각각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3)와, 상기 POE 허브(11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120)가 연결 접속되는 POE 입력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CPU(113)는,
    MCU(Micro Controller Unit) 기능을 포함하고, 트레서트(TRACERT) 명령을 포함하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이용하여 각 포트별 네트워크 장애를 판단하고, 특정 포트가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외부 장비(10)의 POE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Off/On)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네트워크 장애가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매니저 디바이스(120)는,
    상기 POE 허브(110)를 제어 관리하기 위한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탑재된 특정 매니저 프로그램의 미리 설정된 스케줄 또는 특정 데이터에 의한 전원 제어 기능을 통해 상기 외부 장비(10)에 대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제어가 원격으로 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OE 허브(110)는,
    상기 POE 연결포트(111)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 제어 포트(112)는 상기 POE 연결포트(111)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POE 연결포트(111)와 1:1로 연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OE 허브(110)는,
    상기 POE 입력부(114)를 통해 관리자에 의한 외부 데이터(이벤트)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POE 입력부(114)를 통해 관리자에 의한 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CPU(113)가 미리 설정된 정해진 규칙에 따른 POE 허브(110)의 각 포트별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온(Off/On) 제어하여 접속된 외부 장비(10)의 네트워크 장애를 자동으로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6. 삭제
KR1020160058428A 2016-05-12 2016-05-12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KR10175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28A KR101753724B1 (ko) 2016-05-12 2016-05-12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28A KR101753724B1 (ko) 2016-05-12 2016-05-12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724B1 true KR101753724B1 (ko) 2017-07-06

Family

ID=5935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428A KR101753724B1 (ko) 2016-05-12 2016-05-12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72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13B1 (ko) * 2018-03-27 2018-07-02 이동화 PoE 디바이스 폴트 감시 및 하드웨어 리셋 제공 시스템
KR102148774B1 (ko) * 2019-12-30 2020-08-27 (주)오투에이브이 원격 장애 복구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5084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유시스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82505B1 (ko) * 2020-06-16 2021-07-28 이재선 전기 설비의 이상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17823B1 (ko) 2022-02-10 2022-07-06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NTP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PoE 스위치
KR102436486B1 (ko) * 2021-03-19 2022-08-26 (주)유노아이티 이상전원을 감지하여 복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1104A (ko) * 2021-03-19 2022-09-27 (주)유노아이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13B1 (ko) * 2018-03-27 2018-07-02 이동화 PoE 디바이스 폴트 감시 및 하드웨어 리셋 제공 시스템
KR20200125084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유시스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91911B1 (ko) * 2019-04-26 2020-12-16 주식회사 유시스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48774B1 (ko) * 2019-12-30 2020-08-27 (주)오투에이브이 원격 장애 복구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2505B1 (ko) * 2020-06-16 2021-07-28 이재선 전기 설비의 이상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36486B1 (ko) * 2021-03-19 2022-08-26 (주)유노아이티 이상전원을 감지하여 복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1104A (ko) * 2021-03-19 2022-09-27 (주)유노아이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시스템
KR102464345B1 (ko) * 2021-03-19 2022-11-09 (주)유노아이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시스템
KR102417823B1 (ko) 2022-02-10 2022-07-06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NTP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PoE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724B1 (ko) 전원 제어가 가능한 poe 허브 장치
JP5350461B2 (ja) 接続障害管理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指示の拡張
KR101756866B1 (ko) 전원 공급 디바이스, 리셋을 이용한 전원 수신 디바이스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US11252319B2 (en) Power management in a power over data network
US108734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setting at least one processing device
CA26920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rotocol access to remote computers
KR101751251B1 (ko) 방범용 cctv 로컬 장비 통합 제어 감시 시스템
JP2011188072A (ja) 障害検知復旧システム、障害検知復旧方法、及びその復旧用プログラム
CN109428728B (zh) 端口自适应方法和设备
JP597491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US8214680B1 (en) PoE powered management circuitry using out-of-band data port
KR20110054199A (ko) 전원 공급 메니지먼트 poe허브
WO2017215672A1 (zh) Poe系统中的供电方法和供电设备
JP6263105B2 (ja) 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EP3345340B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applications
US11165595B2 (en) Network and switch providing controllable power through outlets and communication ports
US20140035464A1 (en) Controlling an event behavior of an illumination interface for a network device
KR20130038749A (ko) 설비 제어 장치, 이를 구비한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설비 관제 방법
CN105591804A (zh) 一种配置改变处理方法及装置
KR101672970B1 (ko) 신뢰성 유지 기능을 구비한 영상 감시 시스템
JP5199470B2 (ja) 仮想スイッチの絶対的制御
KR101565348B1 (ko) PoE 인젝터를 이용한 이더넷 스위치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
JP6204397B2 (ja) 通信機、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86507A (ko) 이더넷 링크 절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EP3462692B1 (en) Automatic networ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