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387B1 - 디지털 가격표시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가격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387B1
KR101753387B1 KR1020090102737A KR20090102737A KR101753387B1 KR 101753387 B1 KR101753387 B1 KR 101753387B1 KR 1020090102737 A KR1020090102737 A KR 1020090102737A KR 20090102737 A KR20090102737 A KR 20090102737A KR 101753387 B1 KR101753387 B1 KR 10175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ower supply
display
receiving por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963A (ko
Inventor
최재연
오용택
박주봉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387B1/ko
Priority to US12/913,444 priority patent/US8698606B2/en
Priority to JP2010242017A priority patent/JP5774836B2/ja
Publication of KR2011004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6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가격표시기는 제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선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충전하고, 선반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본체와, 상기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표시본체가 고정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에는 양극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극이 형성되는 수용구와, 상기 표시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구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결합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가격표시기{DIGITAL PRICE INDICATOR}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가격 및 제품의 사양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가격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백화점 또는 대형 할인마트와 같은 상점에서는 유통 및 물류 산업의 발전에 따라 많은 제품을 선반에 진열하고, 상기 선반에는 진열되는 제품들의 가격과,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가격 표시구가 장착된다.
상기 가격 표시구는 상기 선반에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제품의 단가, 산지, 특징, 홍보문구 등의 기재가 가능한 표시 영역이 마련된 표시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격 표시구는 대부분 플레이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매장 관리자가 상기 표시패널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격 표시구는 상기 표시패널이 탈착 가능한 구조이므로, 매 장을 찾은 고객이 부주의로 또는 실수로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여 분실할 우려도 다분하다.
또한, 종래의 가격 표시구는 한가지 모델로 다양한 형태와 색상 및 글씨가 표현되는 표시패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진열되는 제품마다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표시패널을 서로 다르게 제작해야 하므로, 가격 변동이 있거나 품절 등으로 더 이상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폐기해야 하는 등 재료의 낭비가 극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매장 관리자는 손쉽게 제품의 재고 및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면서 제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용이하게 탈착 결합이 가능하되, 고객은 선반으로부터 분리가 어려운 디지털 가격표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디지털 가격표시기는 제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선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충전하고, 선반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본체와, 상기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표시본체가 고정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에는 양극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극이 형성되는 수용구와, 상기 표시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구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결합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선반에는 상기 결합구가 결합되어 상기 표시본체를 고정하는 펜스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펜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외부전력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축전지와, 상기 외부전력선과 상기 축전지 사이에 장착되어 과부하로 인한 상기 축전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과부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과부하회로와 상기 외부전력선 사이에는 상기 외부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는 DC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표시본체는 상기 선반에 진열되는 상기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는다.
일 실시예로, 상기 표시본체는 상기 펜스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선반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전환하면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출력과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 이하 MCU)과,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MCU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용구는 상기 펜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 형상의 레일 또는 상기 펜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홀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수용구에 수용되는 핀 형상의 제1 편과, 상기 수용구의 폭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편의 양측에 이격되어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허용하는 제2 편과, 상기 제2 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구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걸리면서 상기 표시본체의 분리를 제한하는 제1 후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후크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구는 상기 레일에 대응하여 돌출되고 상기 레일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슬릿이 관통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결합구는 상기 홀에 대응하여 돌출되고 상기 펜스의 길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슬릿이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슬릿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의 제3 편과, 상기 슬릿의 폭에 대응되게 상기 제3 편의 양측에 이격되어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허용하는 제4 편과, 상기 제3 편의 일단과 상기 제4 편의 일단이 모두 결합되며 상기 슬릿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제4 편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후크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3 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선반에 진열되는 상기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는 표시본체에 마련되 는 결합구와 제품이 진열되는 펜스에 마련된 수용구가 결합되는 구조 또는 상기 수용구와 상기 결합구를 고정구로써 결합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매장 관리자는 제품의 재고 및 판매 현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면서 제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용이하게 탈착 결합이 가능하되, 고객은 선반으로부터 분리가 어려우므로 분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격표시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표시본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용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결합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선반(700)에 고정되는 표시본체(300)와, 펜스(100)에 마련된 수용구(400)와, 표시본체(300)에 마련된 결합구(50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00)는 선반(7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후술할 표시본체(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표시본체(300)는 선반(7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충전하면서 선반(700)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할 결합구(500)가 마련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수용구(400)는 선반(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양극(40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극(402)이 형성되며 표시본체(300)가 고정되면서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용구(400)는 기존의 선반(700)을 이용하거나 조립식 앵글을 이용하는 등 기존의 설비에 형성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결합구(500)는 표시본체(300)에 마련되고 수용구(400)에 슬라이딩 결합되면 양극(401) 및 음극(4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용구(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한다.
즉, 결합구(500)는 수용구(400)에 결합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만, 수용구(400)로부터 분리하려면 별도의 분리용 도구를 이용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용 및 실시가 가능하며, 다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주요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우선, 선반(700)에는 결합구(500)가 결합되어 표시본체(300)를 고정하는 펜 스(100)가 마련되고, 수용구(400)는 펜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펜스(100)는 제품(이하 미도시)이 진열되는 선반(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진열되는 상기 제품이 선반(700)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용구(400)가 마련되는 공간과 표시본체(3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전원공급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본체(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축전지(210)와 과부하회로(220)를 포함한다.
축전지(210)는 수용구(4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양극(401) 및 음극(402)과 외부전력선(2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과부하회로(220)는 외부전력선(201)과 축전지(210) 사이에 장착되어 과부하로 인한 축전지(2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여기서, 과부하회로(220)와 외부전력선(201) 사이에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기 위하여 DC 어댑터(230)가 더 마련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200)는 외부전력선(201)과 연결된 상태일 때는 지속적으로 표시본체(300)에 전원 공급을 실시하면서 동시에 축전지(210)에 표시본체(300)의 가동전원을 축적한다.
또한, 전원공급부(200)는 정전이나 외부전력선(201)의 결함 등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축적된 상기 가동전원이 소모될 때까지 펜스(100)에 장착된 표시본체(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표시본체(300)는 선반(700)에 진열되는 상기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서버(이하 미도시)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는다.
표시본체(300)는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해당 제품의 재고 및 찾고자 하는 제품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소형의 화상캠이나, 감지 센서 등을 부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본체(300)는 도 2와 같이 몸체(310)와, 디스플레이 모듈(320)과, 통신모듈(330)과,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340, Micro Processor Unit, 이하 MCU)과, 충전지(350)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로 301은 조작 버튼을 나타낸다.
몸체(310)는 펜스(100)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술할 디스플레이 모듈(320)과 통신모듈(330)과 MCU(340) 및 충전지(350) 등을 내장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몸체(310)에 내장되어 선반(700)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전환하면서 출력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통신모듈(330)은 몸체(310)에 내장되어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선반(700)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에 관한 정보 및 광고 이미지 정보 등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모듈(320)에 전달한다.
MCU(340)는 몸체(310)에 내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20)의 화면 출력과 통신모듈(330)의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 및 상기 통신 프로세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량의 송수신에 따른 일련의 계산을 수행한다.
충전지(350)는 몸체(310)에 내장되고, 몸체(310)가 펜스(100)에 고정되면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320)과 통신모듈(330)과 MCU(34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수용구(400)는 펜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 형상의 레일(410) 형태이거나, 펜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홀(420) 형태로 하여 레일(410)에 도 5와 같이 대응하는 형태 또는 홀(420)에 도 6과 같이 대응하는 형태의 후술할 결합구(5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410)에는 펜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측에 양극(401)이 마련되고 타측에 음극(402)이 마련되며, 홀(420)에는 일측 가장자리에 양극(401)이 마련되고 타측 가장자리에 음극(402)이 마련된다.
이때, 펜스(100)는 양극(401)과 음극(402)이 후술할 결합구(500)와 체결되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감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절연 처리를 한다.
결합구(500)는 수용구(400)에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되, 수용구(400), 즉 펜스(100)로부터 분리는 별도의 도구가 없으면 힘든 구조를 지닌 것으로, 제1 편(510)과, 제2 편(520) 및 제1 후크(530)를 포함한다.
제1 편(510)은 수용구(400), 즉 레일(410) 또는 홀(420)에 수용되는 핀 형상의 것으로 결합구(500)의 중심을 잡는 골조의 역할을 한다.
제2 편(520)은 수용구(400)의 폭(l)에 대응되게 제1 편(510)의 양측에 이격되어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허용하는 것으로, 제 편(420) 각각의 외측에서 제1 편(510)측으로 향하는 전체 거리(l')는 상기 폭(l)과 동일하다.
제1 후크(530)는 제2 편(520)의 단부에 마련되고 단부로 갈수록 제1 편(510)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이 수용구(400)에 슬라이딩 결합되 어 걸리면서 표시본체(300)의 분리를 제한한다.
여기서, 제2 편(520)의 외측에는 양극(401) 및 음극(402)과 접촉하는 전극단자(521)이 마련되어 결합구(500)가 수용구(400)에 삽입되어 상호 체결되면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가격표시기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격표시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격표시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배면 개념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디지털 가격표시기는 선반(700)에 마련된 펜스(100)와, 펜스(100)에 고정되는 표시본체(300)와, 펜스(100)에 마련된 수용구(400)와, 표시본체(300)에 마련된 결합구(500)와, 수용구(400)와 결합구(500)를 고정시키는 고정구(600)를 포함한다.
펜스(100)와 표시본체(300)와 수용구(400)는 상기한 일 실시예의 디지털 가격표시기와 대동소이하므로, 편의상 설명을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될 것이며,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수용구(400)는 홀(420)을, 결합구(500)는 돌기(550)임을 우선 밝혀둔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위하여 편의상 양극(401)과 음극(402) 및 전극단자(521)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양극(401)과 음극(402) 및 전극 단자(521)의 구체적인 결합관계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기로 한다.
결합구(500), 즉 돌기(550)는 표시본체(300)에 마련되어 수용구(400), 즉 홀(420)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 9와 같은 돌편(540)이거나 도 10과 같은 돌기(550)를 적용할 수 있다.
돌편(540)은 도 3과 같은 레일(410)에 대응하여 표시본체(3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레일(410)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슬릿(502)이 관통된다.
돌기(550)는 홀(420)에 대응하여 표시본체(3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펜스(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슬릿(502)이 관통된다.
슬릿(502)에는 후술할 고정구(600)가 걸려서 고정된다.
여기서, 돌편(540)과 돌기(550)의 폭(l")은 수용구(400)의 폭(l)에 대응한다.
고정구(600)는 결합구(500)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결합구(5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며 양단이 펜스(1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3 편(610)과, 제4 편(620)과, 고정편(630)과, 제2 후크(640)를 포함한다.
제3 편(610)은 슬릿(502)보다 길거나 같은 길이로 제작되며 슬릿(502)에 삽입되기 위한 중심과 골조 역할을 한다.
제4 편(620)은 슬릿(502)의 폭(d)에 대응되게 제3 편(610)의 양측에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거리(d')를 형성하고,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허용하면서 슬릿(502)에 삽입되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폭(d)과 상기 거리(d')는 동일하다.
고정편(630)은 제3 편(610)의 일단 및 제4 편(620)의 일단과 모두 결합되며 슬릿(502)의 일측에 걸리면서 고정된다.
제2 후크(640)는 제4 편(620)의 타단에 마련되어 단부로 갈수록 제3 편(610)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슬릿(502)을 통하여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제4 편(620)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허용한 후 최종적으로 결합구(500)로부터 분리를 제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매장 관리자는 손쉽게 제품의 재고 및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면서 제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용이하게 탈착 결합이 가능하되, 고객은 선반으로부터 분리가 어려운 디지털 가격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본체를 가격 및 제품 정보에 한정하지 않고, 다수의 물건을 일목 요연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을 때 관리자는 결합이 용이하여도 제3자는 쉽게 분리하지 못하도록 할 장소, 즉 간략한 제목과 정보가 필요한 도서관이나 창고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격표시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표시본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수용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결합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격표시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격표시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배면 개념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결합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펜스 200...전원공급부
300...표시본체 400...수용구
500...결합구 600...고정구
700...선반

Claims (15)

  1. 제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선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충전하고, 선반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본체와,
    상기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표시본체가 고정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에는 양극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극이 형성되는 수용구와,
    상기 표시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구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수용구에 수용되는 핀 형상의 제1 편과,
    상기 수용구의 폭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편의 양측에 이격되어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허용하는 제2 편과,
    상기 제2 편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구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걸리면서 상기 표시본체의 분리를 제한하는 제1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편의 외측에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접촉하는 전극단자가 마련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상기 결합구가 결합되어 상기 표시본체를 고정하는 펜스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구는 상기 펜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외부전력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축전지와,
    상기 외부전력선과 상기 축전지 사이에 장착되어 과부하로 인한 상기 축전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과부하회로를 포함하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회로와 상기 외부전력선 사이에는 상기 외부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는 DC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본체는 상기 선반에 진열되는 상기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본체는,
    상기 선반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선반에 진열되는 제품의 가격과 사양 및 광고 이 미지를 전환하면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출력과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 MCU)과,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슬릿 형상의 레일 또는 복수의 홀이며,
    상기 레일 또는 홀에는 상기 펜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상기 양극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음극이 마련되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디지털 가격표시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102737A 2009-10-28 2009-10-28 디지털 가격표시기 KR10175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37A KR101753387B1 (ko) 2009-10-28 2009-10-28 디지털 가격표시기
US12/913,444 US8698606B2 (en) 2009-10-28 2010-10-27 Digital price displayer and ESL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10242017A JP5774836B2 (ja) 2009-10-28 2010-10-28 デジタル価格表示器及びそれを含むesl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37A KR101753387B1 (ko) 2009-10-28 2009-10-28 디지털 가격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63A KR20110045963A (ko) 2011-05-04
KR101753387B1 true KR101753387B1 (ko) 2017-07-04

Family

ID=4424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737A KR101753387B1 (ko) 2009-10-28 2009-10-28 디지털 가격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98A (ko) * 2017-12-15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196B1 (ko) * 2014-11-03 2021-09-30 (주)에이텍아이오티 전자 가격 표시기
CN109256069B (zh) * 2017-07-14 2020-10-27 浙江汉朔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价签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799A (ja) 2000-02-14 2001-08-24 Denso Corp Idタグおよびidタグ付き物流用容器
JP2006109995A (ja) * 2004-10-13 2006-04-27 Toyota Industries Corp 物品陳列装置
JP2009106440A (ja) 2007-10-29 2009-05-21 Sharp Corp 電子棚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799A (ja) 2000-02-14 2001-08-24 Denso Corp Idタグおよびidタグ付き物流用容器
JP2006109995A (ja) * 2004-10-13 2006-04-27 Toyota Industries Corp 物品陳列装置
JP2009106440A (ja) 2007-10-29 2009-05-21 Sharp Corp 電子棚札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98A (ko) * 2017-12-15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KR102455250B1 (ko) 2017-12-15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63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4836B2 (ja) デジタル価格表示器及びそれを含むeslシステム
CN105958558B (zh) 蓄电池收纳装置
US10720785B2 (en) Mobile device charging station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2019517283A (ja) 販売エリアにおける情報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20170155259A1 (en) Mobile Device Charging St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9775264B1 (en) Display device and wall mount module thereof
KR101753387B1 (ko) 디지털 가격표시기
US20190270471A1 (en) Power system for mobile workstation
US9013189B2 (en) Electrical joint monitoring device and electrical joint monitor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KR200484178Y1 (ko) 다중 충전 시스템
KR100900004B1 (ko) 전자 가격표시기의 전원공급장치
KR101507856B1 (ko) 전자기기 도난 방지용 커넥터
US20050041447A1 (en) Power supply for battery-powered devices
US20040248451A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US20120161753A1 (en) Electric power measuring device
US20040248452A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KR20110110642A (ko) 디지털 가격표시기
CN210667080U (zh) 一种用于商品展示的防盗装置和基座
US10446979B1 (en) Power plug adapter with magnetically attachable module
CN209803732U (zh) 交互智能平板
CN211524377U (zh) 一种把手及厨房电器
CN211572918U (zh) 一种把手及厨房电器
KR100846556B1 (ko) 전자 제품의 전지지지장치
CN211296236U (zh) 方便充电的外壳
CN210627667U (zh) 一种电子标签供电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