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309B1 - 뜰채 - Google Patents

뜰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309B1
KR101753309B1 KR1020150090327A KR20150090327A KR101753309B1 KR 101753309 B1 KR101753309 B1 KR 101753309B1 KR 1020150090327 A KR1020150090327 A KR 1020150090327A KR 20150090327 A KR20150090327 A KR 20150090327A KR 101753309 B1 KR101753309 B1 KR 101753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andle
frame
switc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15A (ko
Inventor
민병수
Original Assignee
민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수 filed Critical 민병수
Priority to KR102015009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3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2Illuminating devices for 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뜰채(100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루부(400)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손잡이부(300)에 촉각을 인지하는 센서가 내장됨으로써 손잡이를 잡으면 점등되고 놓으면 소등됨에 따라 편의와 세련된 디자인을 지닌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뜰채(10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뜰채{Scoop net}
본 발명은 뜰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를 어두운 지역 또는 야간에 작업을 할 경우 조명을 뜰채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대상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하고 촉각 인지 센싱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뜰채는 대어가 낚시에 걸렸을 때에 대어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자루부와 이의 단부에 테두리부가 장착되고 이 테두리부에 네트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가 생활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의 숫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이들을 위한 편의 장비들도 대거 출시되고 있으나 야간 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 여전히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71372-0000호 ("낚시용절첩식원형뜰채")는 정원형의 테(1)를 4등분하여 관절(4), (5), (6)들로서 다시 연결하고 자루(2)에 착설하는 관절은 긴자형 호동부라켓(12)의 좌우 빈칸(13), (13')의 내벽에 내턱(13")을 형성하며 호간(7), (8)의 내단에 돌각(10)을 가진 꼬다리 (11), (11')를 각각 착설하여 이들을 빈칸(13), (13')에 각기 삽입하여 단축(14), (14')으로 각각 추착하고 호동부라켓(12)의 미단에 걸림턱(12')을 형성하여 고정부라켓(15)의 요입부(16)의 전단에 삽입하여 추착공(21)으로 추착하였으며 전단에 키이(17')를 형성한 탄설버튼(17)을 요입부(16)의 후단에 삽입하여 스프링(20)으로서 탄설하고 고정부라켓(15)의 전단 하위에 T편(22)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테(1)에는 야광 도장부(23)를 총총히 설치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뜰채는 낚시에 걸린 대어의 확인 가능한 낮에 사용하는 경우 대어의 포획에 문제가 없다. 그러나 밤낚시의 경우에는 낚시에 걸린 대어를 뜰채를 이용하여 포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들거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 처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뜰채만 하더라도 낚시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 임에도 잡은 고기를 들어 올리는 기본적인 역할만을 위한 단순 설계를 벗어나지 못하며 잡은 고기를 놓치기도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야간 낚시에 사용할 경우 정확히 고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플래시를 비추어 달라고 부탁을 하거나 한 손으로 플래시와 뜰채를 움켜쥐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조사 범위가 넓은 일반 플래시를 사용하여 주변 낚시인들의 원성을 사는 불편함도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71372-0000호(등록일자 1993.03.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루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손잡이부에 촉각을 인지하는 센서가 내장됨으로써 손잡이를 잡으면 점등되고 놓으면 소등됨에 따라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으며 편의와 세련된 디자인을 지닌 뜰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는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네트부(100); 상기 네트부(100)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네트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0); 상기 프레임부(200)와 이격되어 구비되며 촉각인지 센서가 구비된 손잡이부(300); 절첩 가능한 봉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300) 일단 및 상기 프레임부(200)를 연결하는 다단의 자루부(400); 상기 자루부(400) 외주면에 구비되며 일면이 편평한 조명부(500); 및 상기 손잡이부(300) 외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조명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비상시 조명이 점멸되는 제1스위치(610)가 구비된 스위치부(600);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자루부(400)는 상기 손잡이부(300)와 결합된 제1자루부(410), 상기 제1자루부(410)와 연통되며 상기 제1자루부(410)보다 직경이 작은 제2자루부(420) 및 상기 제2자루부(420)와 연통되며 상기 제2자루부(420)보다 직경이 작은 제3자루부(430)를 포함하며 형성되며, 상기 제2자루부(420)는 상기 제1자루부(41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3자루부(430)는 상기 제2자루부(42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500)는 상기 제1자루부(410) 일측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500)의 일면(520)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조명부 및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뜰채는 자루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손잡이부에 촉각을 인지하는 센서가 내장됨으로써 손잡이를 잡으면 점등되고 놓으면 소등됨에 따라 편의와 세련된 디자인을 지닌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시 뜰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시 뜰채의 자루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의 프레임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의 스위치부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10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뜰채(1000)는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네트부(100); 상기 네트부(100)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네트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0); 상기 프레임부(200)와 이격되어 구비된 손잡이부(300); 절첩 가능한 봉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300) 일단 및 상기 프레임부(200)를 연결하는 자루부(400); 상기 자루부(400) 외주면에 구비된 조명부(500);및 상기 손잡이부(300) 외주면에 배치되어 조명(510)을 조정하는 스위치부(60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제 1 자루부(410) 타단과 연결되며 기본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잡기 편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부는 상기 조명부(500) 및 상기 프레임부(2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300) 일단과 상기 제 1 자루부(410) 타단은 일체 결합되며,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300) 타단면에 소정의 개폐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0)는 촉각을 인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조명부(500) 및 스위치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미도시)는 상기 손잡이부(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부(600)가 켜짐(on)상태일 때 상기 손잡이부(300)를 사용자가 잡으면 조명(510)이 켜지고, 상기 손잡이부(300)를 놓으면 조명(510)이 꺼지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조명(510)을 수시로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510) 사용 시간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루부(400)는 상기 손잡이부(300)와 결합된 제 1 자루부(410); 상기 제 1 자루부(410)와 연통되며 상기 제 1 자루부(410)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자루부(420);및 상기 제 2 자루부(420)와 연통되며 상기 제 2 자루부(420)보다 직경이 작은 제 3 자루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자루부(420)는 상기 제 1 자루부(41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 3 자루부(430)는 상기 제 2 자루부(42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절첩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루부(40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관통된 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면, 상기 프레임부(200)의 타단에는 수나사의 돌출된 결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자루부(430)의 일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연결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 자루부 및 제 3 자루부는 테이퍼진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자루부(420)의 일단부은 상기 제 3 자루부(430) 타단부 직경보다 일정길이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자루부(410)의 일단부는 상기 제 2 자루부(420)의 타단부 직경보다 일정길이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자루부(430)는 상기 제 2 자루부(420)에 슬라이딩되며 절첩 및 펼침이 가능하며, 상기 제 3 자루부(430)는 펼침시 이경관으로 상기 제 2 자루부(420)의 일단부 내주면에 밀착 결속되면서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 2 자루부(420)는 상기 제 1 자루부(410)에 슬라이딩되며 절첩 및 펼침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자루부(420)는 펼침시 이경관으로 상기 제 1 자루부(410)의 일단부 내주면에 밀착 결속되면서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상기 제 1 자루부(410), 제 2 자루부(420) 및 제 3 자루부(430)의 길이 비율은 실제 길이와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자루부(400)의 개수 또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1000)의 프레임부(200)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기 자루부(400)의 내측면에 제 1 프레임(21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프레임(210)을 감싸며 상기 네트부(100)와 결합되는 제 2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210)은 금속의 얇은 판 또는 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220)에 상기 네트부(100) 상단이 감겨 네트가 제 2 프레임(220)을 감싸는 구성으로 일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부(100)는 통상적인 네트(net)를 의미하며 쉽게 훼손되지 않을 만큼의 견고한 재질이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220)은 상기 제 1 프레임(210)을 밀착하며 감싸는 형태로서 탄력 및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부도체로 이루어진 실리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프레임(21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는 금속의 견고함 뿐만 아니라, 겉면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감싸짐으로써 방수성 및 방청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500)는 상기 제 1 자루부(4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제 1 자루부(410) 일단면에 발광하는 조명(51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조명부(500)는 상기 조명(510)이 상기 자루부(400)의 길이방향으로 점등되며 상기 조명(510)이 상기 네트부(100)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510)은 고휘도의 엘이디(led)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명부(500)는 상기 제 1 자루부(410)의 외주면에 상기 조명부(500)의 내주면과 나사결합 후 접착되어 일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부(500)는 일면(520)이 편평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면, 본 발명의 뜰채(1000)를 사용시 상기 프레임부(200)가 물 속에 잠길 경우 상기 자루부(400) 및 손잡이부(300)가 지면상에 올려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자루부(400) 및 손잡이부(300)는 원통형으로 지면상에 놓여있으면 바람 또는 외부의 자극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면과 맞닿는 면이 편평하도록 상기 조명부(500)의 일면(520)을 편평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뜰채(1000)의 스위치부(600)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600)는 조명(510)이 점멸되도록 구성된 제 1 스위치(610);및 상기 프레임부(20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 2 스위치(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610)는 상기 손잡이부(300) 외주면에 설치되며, 스위치 형태는 로터리 스위치로 도시되었으나 버튼식도 무방하다.
이 때, 상기 제 1 스위치(610)는 비상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600)에 비상모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조명부(500)의 조명(510)이 점멸됨으로써 야간에 위험한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비상 신호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600)는 켜짐(on) 및 꺼짐(off) 표시를 나타내는 스위치가 상기 제 1 스위치(610)와 함께 로터리 스위치에 표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한 번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뜰채(1000)는 상기 자루부(400)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상기 손잡이부(300)에 촉각을 인지하는 센서가 내장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잡으면 점등되고 놓으면 소등됨에 따라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으며 편의와 세련된 디자인을 지닌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600)에 비상모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조명부(500)의 조명(510)이 점멸됨으로써 야간에 위험한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비상 신호로써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네트부 200 : 프레임부
300 ; 손잡이부 400 : 자루부
500 : 조명부 600 : 스위치부
210 : 제 1 프레임 220 : 제 2 프레임
213 : 절단부 410 : 제 1 자루부
420 : 제 2 자루부 430 : 제 3 자루부
230 : 결합부 510 : 조명
520 : 조명부의 일면 610 : 제 1 스위치
1000 : 뜰채

Claims (4)

  1.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네트부(100);
    상기 네트부(100)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네트부(10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0);
    상기 프레임부(200)와 이격되어 구비되며 촉각인지 센서가 구비된 손잡이부(300);
    절첩 가능한 봉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300) 일단 및 상기 프레임부(200)를 연결하는 다단의 자루부(400);
    상기 자루부(400) 외주면에 구비되며 일면이 편평한 조명부(500); 및
    상기 손잡이부(300) 외주면에 배치되되, 상기 조명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비상시 조명이 점멸되는 제1스위치(610)가 구비된 스위치부(6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자루부(400)는 상기 손잡이부(300)와 결합된 제1자루부(410), 상기 제1자루부(410)와 연통되며 상기 제1자루부(410)보다 직경이 작은 제2자루부(420) 및 상기 제2자루부(420)와 연통되며 상기 제2자루부(420)보다 직경이 작은 제3자루부(430)를 포함하며 형성되며, 상기 제2자루부(420)는 상기 제1자루부(41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3자루부(430)는 상기 제2자루부(42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500)는 상기 제1자루부(410) 일측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500)의 일면(520)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뜰채(1000).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0)는 상기 조명부(500) 및 스위치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뜰채(1000).
KR1020150090327A 2015-06-25 2015-06-25 뜰채 KR101753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27A KR101753309B1 (ko) 2015-06-25 2015-06-25 뜰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27A KR101753309B1 (ko) 2015-06-25 2015-06-25 뜰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15A KR20170001015A (ko) 2017-01-04
KR101753309B1 true KR101753309B1 (ko) 2017-07-03

Family

ID=5783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27A KR101753309B1 (ko) 2015-06-25 2015-06-25 뜰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07Y1 (ko) 2018-06-27 2018-10-23 이경진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뜰채형 어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73Y1 (ko) 2002-04-10 2002-07-26 이경숙 낚시용 뜰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73Y1 (ko) 2002-04-10 2002-07-26 이경숙 낚시용 뜰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07Y1 (ko) 2018-06-27 2018-10-23 이경진 휴대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뜰채형 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15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530B2 (en) Fishing net
US7210264B1 (en) Combined telescopic wading staff and fishing pole
US8985659B2 (en) Fish netting tool
JP7304216B2 (ja) 照明付折畳み式手持ち網
US20200163317A1 (en) Special-shaped dip net provided with external handle
US20110197825A1 (en) Pick up tool
JP3194174U (ja) 雨のしずく傘カバー付き一体型長傘
KR101753309B1 (ko) 뜰채
KR20100008476U (ko) 낚싯대에 장착 사용할 수 있는 엘이디 램프
US20060005452A1 (en) Night fishing net
KR101506248B1 (ko) 이탈방지용 낚싯대 마개
US8556309B1 (en) Multi-function trash picking device
US7614177B1 (en) Modified lighted fishing pole
JP4638595B2 (ja) 捕獲用網
USD545937S1 (en) Retrieving device for a snagged fishing lure
JP4875667B2 (ja) たも網
US20170208777A1 (en) Portable collecting rod
KR20210002778A (ko) 뜰채 막대 길이 확장 자동 뜰채
CN206006247U (zh) 一种多功能雨伞
CN205596946U (zh) 多功能失手装置连体鱼竿溜鱼器
US11122786B2 (en) Heated fishing pole
CN206056230U (zh) 一种农用照明式扬叉
US20220362926A1 (en) Telescopic Grabber Device
CN209473410U (zh) 一种取钩器
KR200405113Y1 (ko) 낚시바늘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