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032B1 -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032B1
KR101753032B1 KR1020100113717A KR20100113717A KR101753032B1 KR 101753032 B1 KR101753032 B1 KR 101753032B1 KR 1020100113717 A KR1020100113717 A KR 1020100113717A KR 20100113717 A KR20100113717 A KR 20100113717A KR 101753032 B1 KR101753032 B1 KR 10175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sonance
wireless power
charg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517A (ko
Inventor
이재성
서정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0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장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관련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에 무선으로 상기 공진전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ETHO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진결합방식에 따른 공진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및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가전제품, 휴대기기와 사무용 기기 그리고 산업용 기기들은 발전소에서 유선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휴대기기의 발달과 광범위한 사용은 유선 전력 공급이 휴대기기에 적합한 전력 공급원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일상 생활의 필수품이 된 휴대폰의 경우 배터리를 모두 소모한 경우 쉽게 아무 곳에서나 충전하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하며, 랩탑(LAP TOP) 컴퓨터의 사용 또한 늘어나면서 배터리의 용량과 무게의 문제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무실에서나 산업체에서 에너지 전달이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경제적, 산업적 측면에서 새로운 혁명적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및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는 무선전력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은, 외부장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관련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에 무선으로 상기 공진전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응답신호는 상기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편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소정의 외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진전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활성화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인증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인증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관련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의 충전에 필요한 상기 공진전력의 공진주파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진전력을 출력하는 동안 충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확인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확인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태확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진전력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확인신호는 상기 외부장치의 충전의 완료됐다는 충전완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완료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진전력의 생성 및 출력을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전력충전방법에 있어서, 무선전력을 생성하는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공진전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진전력에 의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소정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 상기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응답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감지응답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관련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의 충전에 필요한 상기 공진전력의 공진주파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공진주파수에서 공진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공진전력을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공진전력생성부와; 상기 공진전력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외부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관련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공진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공진전력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충전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전력충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공진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력수신부와; 상기 공진전력에 기초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와; 상기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공진전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진전력에 의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및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는 무선전력을 효율적으로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전력을 송수신 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전력전송장치와 무선전력수신장치 간의 통신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요소를 추가할 필요 없이 기존의 구성요소 만으로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비용 및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의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 및 송신측 전원공급부의 간략 회로도 및 공진전원을 수신하는 무선전력수신장치의 간략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간의 송수신절차를 간략하게 도시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전술한 인식단계, 인증단계, 연결단계, 송수신단계 및 종료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전송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Wil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은 전원을 직접 공급하기 위한 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장치들간에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방법과 공진 결합(Resonance Coupling) 방식에 의해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유도 결합 방식에 따르면, 인접한 두 개의 코일(coil) 중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그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2차 코일을 지나는 자속이 변하게 되어 2차 코일 측에 유도 기전력이 생기게 된다. 즉, 이 방식에 따르면, 두 개 도선을 공간적으로 움직이지 않고도 두 개 코일을 근접시킨 채 1차 코일의 전류만 변화시키면 유도 기전력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주파수 특성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각 코일(coil)을 포함하는 전력송신장치 및 전력수신장치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에 따라 전력 효율이 영향을 받게 된다.
반면,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르면, 두 개의 코일 중 1차 코일에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를 인가하여 발생한 자기장 변화량 중 일부가 동일한 공진 주파수의 2차 코일을 인가하여 2차 코일에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 방식에 따르면, 송수신장치가 각각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는 경우 전자파가 근거리 전자장을 통해 전달되게 되므로, 주파수가 다르면 에너지 전달이 없게 된다. 이 경우, 주파수 특성은 크게 영향을 받으나, 각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사이의 배열 및 거리는 유도 결합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에 덜 영향을 준다.
이하,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으로 무선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고자 한다. 특히, 아래 도시한 수학식 1과 같이,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구성하는 코일사이의 간격(d), 길이, 회전수에 의해 결정되는 인덕턴스(Inductance, L) 및 코일 사이의 간격(d)과 코일의 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전력 용량(Capacitance, C)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f)가 결정된다.
Figure 112010074645247-pat0000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 송신측 전원공급부(110) 및 송신측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소정의 공진주파수를 갖는 공진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진전력을 외부의 전력수신장치에 출력하여 공진전력에 의해 외부의 전력수신장치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전술한 공진 결합(Resonance Coupling) 방식에 의해 공진전력을 생성하며, 이를 위하여 공진코일(L1) 및 도시되지 않은 공진커패시터(C)를 포함하는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 및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에 인가되는 신호를 변조/복조 하는 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송신측 신호처리부(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의 공진주파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공진주파수변경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공진주파수변경부(133)는 일 예로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에 포함된 공진커패시터의 거리를 조절하여 공진커패시터의 용량 (C)의 값을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는 공진코일의 턴수 또는 코일의 직경을 조절하여 코일의 용량 (L1) 값을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측 전원공급부(11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송신측 제어부(170)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즉, 송신측 제어부(170)는 송신측 전원공급부(110)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구동하여 소정 공진주파수 값을 갖는 공진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전력수신장치(200)로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공진신호는 공진전력을 포함하고, 공진전력과 함께 또는 별도로 무선전력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패킷을 갖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는 경우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후술할 웨이크업신호, 감지신호, 감지신호에 대한 응답신호, 충전관련정보 요청신호, 인증정보요청신호, 전력상태확인신호, 종료신호 및 이에 대한 응답신호들을 모두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별도로 통신부를 포함하지 않고, 통신부 대신 송신측 신호처리부(131)는 A/D컨버터, D/A 컨버터, 부호화부, 복호화부, 변복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전술한 공진신호를 변조하여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신호처리부(131)에서 무선전력수신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측 신호처리부(131)는 감지신호, 충전관련정보 요청신호, 인증정보요청신호, 전력상태확인신호 및 종료신호들을 생성하여 무선전력수신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으며, 공진전력을 송신하지 않는 동안에도 공진전력과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에서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전술한 데이터들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 응답신호, 충전관련정보, 인증정보, 전력상태정보, 종료신호응답신호 등 역시 송신측 신호처리부(131)에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송신측 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충전부(210),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 및 수신측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로부터 소정의 공진주파수를 갖는 공진신회를 수신하는 공진전력수신부(235)와 공진전력수신부(235)에서 수신된 공진신호를 처리하는 수신측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진전력수신부(235)는 수신측 공진코일(L2) 및 도시되지 않은 수신측 공진커패시터(C)를 포함하며, 수신측 공진코일(L2) 및 수신측 공진커패시터의 공진주파수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공진신호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한다.
그리고,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이 공진전력이 수신되는 경우, 충전부(210)는 수신측 신호처리부(231)에서 처리된 공진전력을 수신받아서 충전을 수행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신측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측 제어부(270)는 송신측 제어부(170)와 마찬가지로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는 경우 무선전력송신장치가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전력수신장치(200) 역시 도시되지 않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무선전력송신장치와 전술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수신측 신호처리부(231) 역시 송신측 신호처리부(131)와 같이 A/D컨버터, D/A 컨버터, 부호화부, 복호화부, 변복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무선전력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공진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측 제어부 및 수신측 제어부는 마이컴 및 디지털시그널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의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 및 송신측 전원공급부(110)의 간략 회로도 및 공진전원을 수신하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간략 회로도이다.
공진 결합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 공진전력발생부(135)공진전력발생부(135) 공진 커패시터의 값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공진코일이
Figure 112010074645247-pat00002
값을 갖고 공진 커패시터가
Figure 112010074645247-pat00003
값을 갖는 경우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면 공진주파수 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공진전력수신장치의 공진코일 및 공진커패시터에 의한 공진주파수 값 역시 동일한 경우 공진전력전송장치의 공진코일과 공진전력수신장치의 공진코일의 거리가 유도전력에 따른 1차코일 및 2차코일에 비하여 거리가 멀고 배열이 어긋나 있어도 공진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수신장치(200) 간의 송수신절차를 간략하게 도시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외부에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인식되는 경우(S110)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한다(S130). 이에 대응하여,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전송하고(S210),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해당 충전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전송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무선전력전송장치(100)의 송신측 제어부(170)는 충전관련정보에 기초하여 공진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진전력을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150). 그러면,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공진전력수신부(235)를 통하여 공진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부(210)를 충전시키기 시작하며(S230), 수신측 제어부(270)는 충전부(210)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완료여부를 확인한다(S250). 따라서,충전이 완료됐다고 판단되는 경우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충전이 완료됐음을 알리는 상태신호를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전송하고(S270), 해당 상태신호를 수신한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공진전력의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하고(S170) 무선전력의 전송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즉, 도 4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와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서로를 인식하기 위하여 인식단계(INQUIRY)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기에서, 인식단계는 도 3의 S110 이전의 단계에서 수행다. 그 후, 무선전력전송장치(100)가 무선전력수신장치(200)를 인식하게 되면 각 장치는 인증단계(Identification) 및 연결단계(Connection)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인증단계 및 연결단계는 도 3의 S130 및 S210 단계에 해당된다. 이 후, 무선전력전송장치(100)와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송수신단계(Transmitter/Reiceiver)를 거치면서 공진전력을 송수신하게 되며 서로의 충전상태를 체크한다. 여기서, 송수신단계는 도 3의 S150, S230, S250 및 S270 단계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무선전력전송장치(100)와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통신의 종료단계(Close)를 거치면서 동작을 종료시킨다.
도 5 내지 도 10은 전술한 인식단계, 인증단계, 연결단계, 송수신단계 및 종료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에서 송신측 제어부(170)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 간의 통신 및 수신측 제어부(270)와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 간의 통신은 실선으로 도시하였고, 무선전력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수신장치(200) 간의 통신, 즉 RF 통신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단계 제어흐름도이다. 즉,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외부에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전력수신장치(200)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응답신호는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편이(shift) 되거나 진폭이 변경된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식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본 발명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송신측 제어부(170)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서로의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송신측 제어부(17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송신측 제어부(170)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상태정보를 요청하면(1101: Cmd_Host_Status) 송신측 송진전력생성부는 송신측 제어부(170)에 이에 응답을 하여 상태정보를 보낸다(1103: Evt_Command_Status). 그리고,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외부에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1301: Detection of device). 이 경우,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감지되면, 감지됐음을 알리는 신호가 다시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입력된다. 이때,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감지됐음을 알리기 위해 전술한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편이(shift)되어 무선전력전송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Resonance shift). 그러면, 송신측 제어부(17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하고(1105: Cmd_Inquiry),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요청신호를 전송한다(1305:Inquiry). 무선전력전송장치(10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한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서는 수신측 제어부(270)와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 간에 서로의 상태를 체크한다(1201, 1203: Cmd_Device_Status, Evt_Device_Result). 이때, 수신측 제어부(270)와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충전부(210)의 충전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그 후, 수신측 제어부(270)는 요청신호에 대한 요청응답신호를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출력하도록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1205, 1307: Cmd_Inquiry Response, Inquiry Response). 그리고,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는 요청응답신호가 수신됐다는 것을 전송측 제어부에 알리고(1107: Evt_Device_Result),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서는 요청응답신호가 출력됐다는 것을 수신측 제어부(270)에 알린다(1207: Evt_Inquiry_Result).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인식단계의 제어흐름도이다. 즉,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외부에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대기상태로 마련되고,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외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전송장치(100)가 해당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를 인식하게 되면 송신측 제어부(170)는 대기상태를 종료하고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공진전력을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따른 인식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본 발명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와 통신하지 않는 경우 대기모드에 있게 된다.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소정의 감지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출력하며(2301: Wake up), 해당 감지신호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웨이크업(wake up)신호로 동작한다. 즉,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대기모드를 종료하고 전송측 제어부는 각 구성요소를 활성화 시킨다. 도 6과 같이 웨이크업신호가 수신되면,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웨이크업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2302: Wake up Response). 그러나, 웨이크업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는 선택적으로 전송하지 않고 후술할 요청신호(Inquiry)만 전송할 수도 있다. 대기모드가 종료되면,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송신측 제어부(170)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서로의 상태를 체크한다. 즉, 송신측 제어부(170)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이 상태정보를 요청하면(2101: Cmd_Host_Status) 송신측 송진전력생성부는 송신측 제어부(170)에 이에 응답을 하여 상태정보를 보낸다(2103: Evt_Command_Status). 그리고, 송신측 제어부(17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하고(2103: Cmd_Inquiry),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요청신호를 전송한다(2305: Inquiry). 무선전력전송장치(10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한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서는 수신측 제어부(270)와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 간에 서로의 상태를 체크하고(2201, 2203: Cmd_Device_Status, Evt_Device_Result), 요청신호에 대한 요청응답신호를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출력한다(2205, 2307: Cmd_Inquiry Response, Inquiry Response). 그리고,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는 요청응답신호가 수신됐다는 것을 전송측 제어부에 알리고(2107: Evt_Device_Result),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서는 요청응답신호가 출력됐다는 것을 수신측 제어부(270)에 알린다(2207: Evt_Inquiry_Resul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단계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단계에서,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충전 대상이 되는 기기인지, 즉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송신측 제어부(170)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서로의 상태를 체크한다 (3101, 3103). 그리고, 송신측 제어부(170)는 인증정보를 요청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하고(3105), 이에 따라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인증정보 요청정보를 출력한다(3301). 그러면, 이에 따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수신측 제어부(270)는 인증정보 요청정보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등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의 상태를 확인하고(3201, 3203),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가 인증신호를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3205, 3305). 여기서, 인증정보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아이디, 충전가능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전력전송장치(100)의 송신측 제어부(17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아이디 등에 의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는 인증정보가 수신됐다는 것을 전송측 제어부에 알리고(3107: Evt_Device_Result),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서는 인증정보가 출력됐다는 것을 수신측 제어부(270)에 알릴 수 있다(3207: Evt_Inquiry_Resul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단계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송신측 제어부(170)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서로의 상태를 체크한다 (4101, 4103). 여기서, 송신측 제어부(17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충전관련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제어부(17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충전관련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4105, 4301). 여기에서, 충전관련정보는 충전에 필요한 공진전력의 전압, 전력, 공진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충전관련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측 제어부(270)와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서로의 상태를 체크하여(4201,4203) 공진전력의 전압, 전력, 공진주파수 등 충전에 필요한 정보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신측 제어부(27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가 충전관련정보를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4205, 4303).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에서 해당 충전관련정보를 수신하면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수신된 충전관련정보를 송신측 제어부(170)에 전송한다(4107). 송신측 제어부(17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공진전력을 수신할 준비가 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결확인신호를 출력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한다(4109). 이에 따라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연결확인신호(ReadyRx)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하고(4305), 이를 수신한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수신측 제어부(270)와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 간에 공진전력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4209, 4211) 공진전력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측 제어부(270)는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가 연결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4209). 따라서,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 연결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고(4307), 이를 수신한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공진전력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송신측 제어부(170)에 알린다(4113). 또한, 무선전력전송장치(200)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어드레스(address)를 할당하여 이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기존에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은 장치라면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전술한 충전관련정보를 수신한 후, 어드레스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력전송장치는 연결확인신호(ReadyRx)와 함께 할당된 어드레스정보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단계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송신측 제어부(170)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서로의 상태를 체크하여(5101, 5103), 송신측 제어부(17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공진전력을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공진전력을 출력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 송신측 제어부(17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생성한 공진전력을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5105). 이에 따라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공진전력을 출력한다(5303). 또한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는 주기적으로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력상태확인신호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한다. 이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충전 정도에 따라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서 출력할 공진전력의 송신전압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충전상태에 따라 부하량이 달라지므로 일정파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가 송신할 공진전력의 전압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주기적으로 충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력상태확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전력상태확인정보는 충전이 완료됐는지 여부에 대한 충전완료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상태확인신호는 공진전력과 함께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될 수 있다. 그러면,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가 공진전력신호를 수신하면,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수신된 공진전력신호에서 전력상태확인신호를 분리한 후 공진전력만을 충전부(210)에 출력하여 충전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공진전력신호에서 분리된 전력상태확인신호를 수신측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그러면, 수신측 제어부(270)와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서로의 상태를 체크하고(5201,5203), 수신측 제어부(270)는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가 전력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5205, 5305). 그리고,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는 전력상태정보가 수신됐다는 것을 전송측 제어부에 알리고(5107),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서는 전력상태정보가 출력됐다는 것을 수신측 제어부(270)에 알릴 수 있다(5207). 여기서, 전송측 제어부는 수신된 전력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전송할 공진전력의 상태, 즉, 예를 들어 공진전력의 전압크기 등을 조절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료단계의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송신측 제어부(170)와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서로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6101, 6103). 또한, 무선전력전송장치(100)의 송신측 제어부(170)는 도 9에서 설명한 전력상태정보에 의해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충전이 완료되는 등의 이유로 더이상 공진전력을 출력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송신측 제어부(170)는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가 더이상 공진전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송신측 제어부(170)는 공진전력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또한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종료신호를 출력하도록 송신측 공진전력생성부(130)를 제어한다(6105, 6301).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는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측 제어부(270)에 출력하고, 수신측 제어부(270)수신측 제어부(270)종료응답을 하도록 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수신측 공진전력처리부(230)3) 무선전력전송장치(100)와의 연결을 종료한다. 여기서,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무선전력수신장치(200)의 종료응답에 대한 신호를 별도로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무선전력수신장치(200)는 종료응답에 대한 신호를 보내지 않고 연결을 종료할 수 있으며 무선전력전송장치(100) 역시 종료응답에 대한 신호 없이 종료신호만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출력한 후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진결합방법으로 무선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와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소정의 범위내 접근하게 되는 경우,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무선전력수신장치(200)를 인식하고, 무선전력수신장치(200)에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충전을 시킬 수 있다. 즉, 공진결합방식은 무선전력전송장치(100)와 무선전력수신장치(200)가 반드시 인접하여 위치할 필요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충전 가능한 거리 내에만 위치하면 서로 충전의 필요성 여부 등에 대하여 통신하여 충전 여부를 결정하고 충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5)

  1.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에 무선으로 상기 공진전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공진전력을 출력하면서, 함께 전력상태확인신호를 상기 공진전력과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충전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부하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전력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진전력의 전압 레벨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응답신호는 상기 감지신호의 주파수가 편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소정의 외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진전력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활성화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5. 제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인증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인증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6.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련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의 충전에 필요한 상기 공진전력의 공진주파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7.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전력을 출력하는 동안 충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확인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확인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상태확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공진전력의 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확인신호는 상기 외부장치의 충전의 완료됐다는 충전완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완료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진전력의 생성 및 출력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방법.
  9.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전력충전방법에 있어서,
    무선전력을 생성하는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공진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진전력을 수신하면서, 함께 상기 공진전력과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갖는 전력상태확인신호를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상태확인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부하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상태정보를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압 레벨이 적응적으로 조절된 공진전력을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충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소정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 상기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응답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충전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감지응답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충전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련정보는 충전에 필요한 상기 공진전력의 공진주파수, 전압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충전방법.
  13.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공진주파수에서 공진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공진전력을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공진전력생성부와;
    상기 공진전력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외부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에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충전관련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공진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공진전력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진전력을 출력하면서, 함께 전력상태확인신호를 상기 공진전력과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충전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부하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진전력의 전압 레벨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공진전력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충전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
  15.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전력충전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공진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력수신부와;
    상기 공진전력에 기초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와;
    상기 공진전력을 생성하는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충전관련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충전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응답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공진전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진전력에 의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진전력을 수신하면서, 함께 상기 공진전력과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갖는 전력상태확인신호를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전력상태확인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부하량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상태정보를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압 레벨이 적응적으로 조절된 공진전력을 상기 외부 무선전력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충전장치.
KR1020100113717A 2010-11-16 2010-11-16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10175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717A KR101753032B1 (ko) 2010-11-16 2010-11-16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717A KR101753032B1 (ko) 2010-11-16 2010-11-16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17A KR20120052517A (ko) 2012-05-24
KR101753032B1 true KR101753032B1 (ko) 2017-06-30

Family

ID=4626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717A KR101753032B1 (ko) 2010-11-16 2010-11-16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75A1 (en) * 2018-09-18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mount of power for identifying transmission efficiency associated with wireless power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619A2 (ko) * 2012-07-31 2014-02-06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멀티노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무선 충전 방법
KR101601352B1 (ko) 2012-09-26 2016-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618635B1 (ko) 2017-05-01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049211A (zh) 2018-10-15 2020-04-2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用于电子设备中的有线或无线充电的方法
KR102128487B1 (ko) * 2019-06-10 2020-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220A1 (en) * 2008-05-13 2009-1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un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US20100036773A1 (en) * 2008-08-05 2010-02-11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resonant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4220A1 (en) * 2008-05-13 2009-1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un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US20100036773A1 (en) * 2008-08-05 2010-02-11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resonant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75A1 (en) * 2018-09-18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mount of power for identifying transmission efficiency associated with wireless power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527922B2 (en) 2018-09-18 202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mount of power for identifying transmission efficiency associated with wireless power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517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2648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ow and medium power
KR102198782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830734B1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및 장치
KR102099819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US10367368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2212032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53032B1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101813029B1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102012972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JP6053439B2 (ja)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33867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20130057205A1 (e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ulti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601456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s
KR20170043764A (ko) 멀티 코일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5959862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32326B2 (ja)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47209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70110802A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8099215A1 (zh) 通过负载调制优化无线充电的系统,装置和方法
US20150137614A1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method
CN107580741A (zh) 无线电力传输装置及其控制方法、用于控制无线电力接收装置的方法以及无线电力传输系统及其无线电力传输方法
KR20150136424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KR20150057951A (ko)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CN211579666U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发射装置
US20200274390A1 (en) A wireless power transceiver device and an associates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