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951A -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951A
KR20150057951A KR1020140096825A KR20140096825A KR20150057951A KR 20150057951 A KR20150057951 A KR 20150057951A KR 1020140096825 A KR1020140096825 A KR 1020140096825A KR 20140096825 A KR20140096825 A KR 20140096825A KR 20150057951 A KR20150057951 A KR 20150057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beacon
level
lo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형
오순택
임현근
이성욱
장기원
박철균
성재석
강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7984A/ko
Priority to US14/547,449 priority patent/US10454303B2/en
Priority to EP14275240.1A priority patent/EP2884622A1/en
Priority to CN201410669963.0A priority patent/CN104659887B/zh
Publication of KR2015005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04B5/24
    • H04B5/79

Abstract

본 발명은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를 인지하고, 롱 비컨(long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킨 후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 전력을 송전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로부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숏 비컨,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 코일; 및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및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 중 하나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METHOD}
본 발명은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전송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외부의 전원 공급 설비로부터 전자장치에 전원을 전달해 주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등으로 전자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battery)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선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가 주로 사용되거나,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비접촉 방식의 전력 공급 장치는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여 전력 공급 장치의 충전면에 전원을 수신하는 수전 장치가 근접하였는지를 검출하는데, 충전면의 코일과 수전 장치의 코일 간의 결합 계수에 따라 근접한 수전 장치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정상적인 충전을 하기 위해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업(wake up) 시키기 위한 롱 비컨(long beacon)을 전송하는 데 이 또한 충전면의 코일과 수전 장치의 코일 간의 결합 계수에 따라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업 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227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을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를 인지하고, 롱 비컨(long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킨 후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 전력을 송전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로부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숏 비컨,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 코일; 및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및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 중 하나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송전 코일의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더하여 상기 숏 비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최저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를 인식한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시킨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랜덤하게 가변시킬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부터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낮아도 수전 장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거나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으며, 송신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높은 경우 낮은 레벨의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을 출력하여 전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원발명의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위치에 따른 커플링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는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c, 도 2d, 도 2e 및 도 2f는 본원의 전력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 출력되는 숏 비컨과 롱 비컨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1a와 같이 도시된 상황에서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 출력되는 숏 비컨 및 롱 비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1b와 같이 도시된 상황에서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 출력되는 숏 비컨 및 롱 비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f의 본원의 전력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에 따른 숏 비컨 및 롱 비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위치에 따른 커플링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숏 비컨(short beacon), 롱 비컨(long beacon) 및 충전 전력을 비접촉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여기서, 비접촉 방식은 전원이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도전체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하지 않는 방식을 의미하며 다른 말로 무접점 방식 또는 무선 전송 방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송전 코일(130)을 통해 상기 숏 비컨, 롱 비컨 및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공급 장치(100)의 일면에 수전 장치(A)가 근접한 경우 수전 장치(A)가 일정 권선수를 갖는 송전 코일(130)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수전 장치(A)의 수전 코일(미도시)와 송전 코일(130)) 간의 커플링 계수가 낮아져, 일정 레벨의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을 전송하여도 수전 장치(A)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거나 수전 장치(A)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 시키지 못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수전 장치(A)가 송전 코일(130)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여 수전 장치(A)의 수전 코일(미도시)와 송전 코일(130)) 간의 커플링 계수가 높아서 낮은 신호 레벨의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으로도 충분히 수전 장치(A)를 인지하거나 수전 장치(A)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으나, 일정 신호 레벨 이상의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을 전송하여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한편, 수전 장치(A)가 송전 코일(130)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여도, 수전 장치(A)와 전력 공급 장치(100)간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커플링 계수가 낮을 수 있다. 이는 도 1a와 같은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도 2a, 도 2b는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c 내지 도 2e는 본원의 전력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송전부(120), 송전 코일(130), 검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110), 발진부(170) 및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전부(120)는 송전 코일(130)을 통해 숏 비컨, 롱 비컨 및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또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도 2c 내지 도 2f에는 본원의 전력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가 도시되는데, 도 2c를 참조하면,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이 가변되고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은 고정될 수 있으며,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이 가변되고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2f를 참조하면, 숏 비컨의 신호 레벨과 롱 비컨 신호 레벨이 각각 가변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와 함께, 숏 비컨의 신호 레벨과 롱 비컨 신호 레벨이 각각 가변되는 도 2f를 참조하면, 송전부(120)는 송전 코일(130)을 통해 수전 장치(A)가 인접한 지를 인지하기 위해 숏 비컨을 전송할 수 있다(S10). 숏 비컨은 수전 장치(A)의 수전 코일에 유기되면 송전 코일(130)의 임피던스가 가변되므로, 숏 비컨을 전송한 후 검출부(140)는 송전 코일(130)의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제어부(150)에 전송하고(S20), 제어부(150)는 검출부(140)의 검출 결과가 수전 장치(A)가 인접한 상태에 해당될 때까지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다(S30,S40). 이때, 제어부(150)는 전원 공급부(110)에서 송전부(120)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가변시켜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고, 송전부(120)는 발진부(170)에서 제공하는 캐리어 주파수로 송전 코일(130)을 통해 숏 비컨을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검출부(140)의 검출 결과가 수전 장치(A)가 인접한 상태에 해당되면 제어부(150)는 수전 장치(A)의 통신부(a4)를 웨이크 업 시키기 위해 롱 비컨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 더하여, 롱 비컨은 숏 비컨과 다른 주기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서로 다른 주기로 숏 비컨과 롱 비컨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검출부(140)의 검출 결과가 수전 장치(A)가 인접한 상태에 해당되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롱 비컨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설정된 주기가 미처되지 않았다하더라고, 즉시 롱 비컨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롱 비컨은 수전 장치(A)의 정류부(a1)를 거쳐 정류되고 컨버터(a2)를 통해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된 후 통신부(a4)에 전달되어 통신부(a4)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a3)는 통신부(a4)를 통해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부(160)는 수전 장치(A)로부터 애드버타이즈 먼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충전 전력을 전송하도록 송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전 장치(A)의 부하에 충전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S60,S70).
반면에, 커플링 계수가 낮아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이 통신부(a4)를 웨이크 업 시키기에 충분한 레벨이 아닌 경우 제어부(150)는 전원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가변시켜 송전부(120)가 전송하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다(S70).
이때, 롱 비컨의 신호 주기는 숏 비컨의 신호 주기보다 길어서 숏 비컨의 전송부터 순서가 반복될 수 있다.
더하여, 수전 장치(A)의 종류에 따라 숏 비컨에 의한 임피던스 감지를 할 수 없는 종류의 수전 장치(A)인 경우 숏 비컨의 전송부터 순서를 반복하지 않고,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킨 후 롱 비컨을 재전송하여 애드버타이즈먼트 신호 수신여부에 따라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도 2f에 대비하여, 도 2c에서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단계(S70)가 제외되고, 도 2d 및 도 2e에서는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단계(S40)가 제외될 수 있다. 이외에는 각 동작 단계가 동일하므로, 도 2c, 도 2d 및 도 2e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 출력되는 숏 비컨과 롱 비컨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 전송되는 숏 비컨의 신호 레벨과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은 도 3a와 같이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랜덤하게 가변될 수 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숏 비컨의 신호 레벨과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이 순차적으로 가변되는 경우 최저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도 있으며, 직전에 수전 장치(A)를 인지한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또는 수전 장치(A)의 통신부(a4)를 웨이크 업시킨 롱 비컨의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도 있으며, 이전과 유사한 위치에 수전 장치(A)가 위치하는 경우 수전 장치(A) 인지 및 웨이크 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1a와 같이 도시된 상황에서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 출력되는 숏 비컨 및 롱 비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고정시키고, 롱 비컨 또는 숏 비컨의 신호 레벨만을 가변시킬 수 있고, 숏 비컨과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각각 가변시킬수 도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낮을 경우 제1 레벨부터 제4 레벨까지 숏 비컨(S1~S4)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가변하고 제4 레벨의 숏 비컨에서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한 후 제3 레벨(L3)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는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지 못하고, 제4 레벨(L4)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여 수전 장치로 충전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은 제2 레벨(S2)로 고정시켜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한 후 제3 레벨(L3)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는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지 못하고, 제4 레벨(L4)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여 수전 장치로 충전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숏 비컨의 고정된 신호 레벨은 직전에 수전 장치를 인지한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일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레벨부터 제4 레벨까지 숏 비컨(S1~S4)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가변하고 제3 레벨(S3)의 숏 비컨에서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한 후, 고정된 제4 레벨(L4)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여 수전 장치로 충전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롱 비컨의 고정된 신호 레벨은 직전에 수전 장치의 통신부를 웨이크 업시킨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낮을 경우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켜 수전 장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수전 장치의 통신부를 웨이크 업시켜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1b와 같이 도시된 상황에서 본원의 전력 공급 장치에서 출력되는 숏 비컨 및 롱 비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높을 경우 제1 레벨부터 제4 레벨까지 숏 비컨(S1~S4)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가변하고 제4 레벨(S4)의 숏 비컨에서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한 후, 제1 레벨(L1)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여 수전 장치로 충전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롱 비컨(L1)의 신호 레벨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으나,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높아서 제1 레벨(L1)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은 제2 레벨(S2)로 고정시켜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한 후 제1 레벨(L1)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여 수전 장치로 충전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숏 비컨의 고정된 신호 레벨은 직전에 수전 장치를 인지한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롱 비컨(L1)의 신호 레벨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으나,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높아서 제1 레벨(L1)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레벨부터 제4 레벨까지 숏 비컨(S1~S4)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가변하고 제1 레벨의 숏 비컨에서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한 후, 고정된 제2 레벨(L2)의 롱 비컨의 신호 레벨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하여 수전 장치로 충전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롱 비컨의 고정된 신호 레벨은 직전에 수전 장치의 통신부를 웨이크 업시킨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높을 경우 낮은 신호 레벨의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을 통해 낮은 전력에서도 수전 장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수전 장치의 통신부를 웨이크 업시켜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도 2f의 본원의 전력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에 따른 숏 비컨 및 롱 비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f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숏 비컨(S1~S4)의 레벨이 가변되어 제4 레벨의 숏 비컨(S4)에서 임피던스 변동이 검출된 후, 롱 비컨(L1~L4)의 신호 레벨이 가변될 수 있는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가변 상태로 돌아가지 않고, 롱 비컨(L1~L4)의 신호 레벨만이 가변되어 수전 장치의 통신부를 웨이크 업시켜 충전 전원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4 레벨의 롱 비컨(L4)에서 수전 장치의 통신부가 웨이크 업되어 충전 전원이 수전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숏 비컨에 비하여 롱 비컨의 신호 주기가 더 길 수 있으나, 도면에선 이를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낮아도 수전 장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거나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으며, 송신 장치와 수전 장치 간의 커플링 계수가 높은 경우 낮은 레벨의 숏 비컨 또는 롱 비컨을 출력하여 전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10: 전원 공급부
120: 송전부
130: 송전 코일
140: 검출부
150: 제어부
160: 통신부
170: 발진부

Claims (37)

  1.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를 인지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 전력을 송전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로부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숏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 코일; 및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코일의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최저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를 인식한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랜덤하게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키는 롱 비컨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은 고정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0. 롱 비컨(long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킨 후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 전력을 송전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로부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 코일; 및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최저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시킨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랜덤하게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를 인지하는 숏 비컨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숏비컨의 신호 레벨은 고정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부터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8.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를 인지하고, 롱 비컨(long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키며,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 전력을 송전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는 송전부;
    상기 송전부로부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숏 비컨, 상기 롱 비컨 및 상기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 코일; 및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및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전부에 인가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여 상기 숏 비컨 및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코일의 임피던스 변동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최저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를 인식한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숏 비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랜덤하게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 장치부터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시킨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28.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를 인지하는 단계;
    롱 비컨(long beacon)을 전송하여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가 웨이크 업된 후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 전력을 송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및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최저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를 인식한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최저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또는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랜덤하게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복수의 신호 레벨 중 직전에 수전 장치의 통신 회로를 웨이크 업시킨 신호 레벨부터 최고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5. 제28항에 있어서,
    송전측 임피던스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변동될 때까지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부터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을 가변 제어하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숏 비컨의 신호 레벨 및 상기 롱 비컨의 신호 레벨 중 다른 하나의 신호 레벨은 고정시키는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1020140096825A 2013-11-20 2014-07-29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20150057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387A KR20150057984A (ko) 2013-11-20 2014-11-06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US14/547,449 US10454303B2 (en) 2013-11-20 2014-11-19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method
EP14275240.1A EP2884622A1 (en) 2013-11-20 2014-11-19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method
CN201410669963.0A CN104659887B (zh) 2013-11-20 2014-11-20 非接触式电源装置和非接触式供电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1740 2013-11-20
KR1020130141740 2013-11-20
KR20140078486 2014-06-25
KR1020140078486 2014-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51A true KR20150057951A (ko) 2015-05-28

Family

ID=533926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825A KR20150057951A (ko) 2013-11-20 2014-07-29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1020140153387A KR20150057984A (ko) 2013-11-20 2014-11-06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387A KR20150057984A (ko) 2013-11-20 2014-11-06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579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5569B2 (en) 2015-05-26 2017-07-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72616B1 (ko) * 2016-10-12 2018-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US10944291B2 (en) 2016-10-12 2021-03-09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5461B2 (en) * 2008-05-13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signaling via receive antenna impedance modulation
KR20130006326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84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3635B2 (en) Device and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US11936202B2 (en) Hybri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0454303B2 (en)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method
KR102212032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CN108539825B (zh) 用于向无线功率接收器提供无线充电功率的方法和装置
US9769869B2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method
US10170933B2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method
KR20130023618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98928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9722463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20230268775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receiver device
CN110999030A (zh) 无线充电装置、接收器装置及其相关方法
KR20220045060A (ko) 무선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70016147A (ko) 휴대용 무선 듀얼 충전 배터리 팩
KR20150057951A (ko)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20120052517A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20130035725A (ko)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266079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47768A (ko) 고효율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부하 전류에 따른 정류 전압 가변 방법
US11190050B2 (en) Inductive power transmitter
KR20130023290A (ko)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20150054634A (ko)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20190042426A (ko)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
KR101761984B1 (ko)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101753281B1 (ko) 부하 가변형 무선충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