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424A -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424A
KR20150136424A KR1020140063982A KR20140063982A KR20150136424A KR 20150136424 A KR20150136424 A KR 20150136424A KR 1020140063982 A KR1020140063982 A KR 1020140063982A KR 20140063982 A KR20140063982 A KR 20140063982A KR 20150136424 A KR20150136424 A KR 20150136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charging
wireless
sig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06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6424A/ko
Publication of KR2015013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단말기로 수신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 단말기로부터 수신기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자기유도방식(WPC)에 따른 제1 무선전력신호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에 따른 제2 무선전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자가공명방식(A4MP)에 따른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부 및 상기 충전 단말기가 바디부에 안착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가 전송되게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수신기 정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 중 어느 하나가 송신되게 상기 제1,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될 충전 단말기에 포함된 수신기의 충전 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대응하는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기 용이한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휴대하는 충전 단말기, 즉 휴대용 이동 단말기는 자체 결합된 전원부 또는 배터리와 같이 별도로 장착 가능한 전원부에 의한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전자기기이다.
이와 같은 휴대용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지만, 수시로 전원을 충전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는 가정용 전기를 끌어다 와이어 커넥터와 같은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 공급을 실시함으로써 충전하여야 하는 바, 평상시 유선 케이블을 함께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이동 단말기 제품이 광범위한 소비자층을 확보하면서 단말기의 사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자기유도방식(WPC),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 또는 자가공명방식(A4MP)에 의한 무선충전 송신 장치를 차량 내부에 구비하고, 사용자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들어,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포함되어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충전방식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자기유도방식(WPC),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 및 자가공명방식(A4MP) 모두 적용한 무선 충전 장치를 연구중에 있으며, 자기유도방식(WPC)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이 모두 적용되는 송신기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충전될 충전 단말기에 포함된 수신기의 충전 방식을 판단하고,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대응하는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기 용이한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단말기로 수신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 단말기로부터 수신기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자기유도방식(WPC)에 따른 제1 무선전력신호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에 따른 제2 무선전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자가공명방식(A4MP)에 따른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부 및 상기 충전 단말기가 바디부에 안착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가 전송되게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수신기 정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 중 어느 하나가 송신되게 상기 제1,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자기유도방식으로 제1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WPC 모듈, 상기 저주파무선충전방식으로 제2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PMA 모듈, 상기 WPC 모듈 및 상기 PMA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 2 전력신호 중 어느 하나와 공진하여 상기 제1, 2 무선전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WPC 모듈 및 상기 PMA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코일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자가공명방식으로 제3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A4MP 모듈, 상기 A4MP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3 전력신호와 공진하여 상기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A4MP 모듈 및 상기 제2 코일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말기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가 전송되게 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단말기의 충전 방식이 상기 자기유도방식, 상기 저주파무선충전방식 및 상기 자가공명방식 중 어느 하나인지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말기의 충전 방식이 상기 자기유도방식이면 상기 제1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제어하고, 상기 저주파무선충전방식이면 상기 제1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제어하고, 상기 자가공명방식이면 상기 제2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기 정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 중 하나가 송신되게 상기 제1, 2 스위칭 중 어느 하나로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 중 하나를 전달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 중 하나가 송신되게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자기유도방식(WPC)에 따른 제1 무선전력신호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에 따른 제2 무선전력신호를 하나의 코일을 사용하여 충전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자기유도방식(WPC),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 및 자가공명방식(A4MP)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하는 충전 단말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무선충전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같이, 차량차량 내부에 배치된 바디부(10), 바디부(10)에 구비되고, 차량 내부에 탑승한 탑승객(즉,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감지부(20),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유도방식(WPC),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 및 자가공명방식(A4MP)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 충전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 및 바디부(10)에 배치되는 탑승객의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차량 내에 설치되되, 차실의 어느 일부에 고정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감지부(20),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어,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신호를 충전 단말기(100)의 수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는 충전 단말기(100)에 구비된 상기 수신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유도방식(WPC),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 및 자가공명방식(A4MP) 닫각각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무선전력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안착부(30)에 충전 단말기(100)가 안착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대한 수신기 정보를 요청하는 수신기 요청신호를 충전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충전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수신기 정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신기 정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동작 감지부(20)는 바디부(10)에 인접되는 부위로 상기 차량 내에 탑승한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감지부(20)는 상기 탑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되, 바디부(10)로 접근하는 특정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탑승객이 자신의 충전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기 위하여 바디부(10)로 접근하고 있음을 1차적으로 판정하도록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작 감지부(20)는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소정의 열을 감지하는 IR 센서일 수 있다. 본래 IR 센서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인 바, 차량 내부의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탑승객이 바디부(10)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바디부(10)의 상부면에는 충전 단말기(100)가 안착되는 안착부(30)가 형성된다.
안착부(30)에는 WPC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미도시의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송신부(200), 통신부(25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200)는 자기유도방식(WPC)에 따른 제1 무선전력신호(sp1)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에 따른 제2 무선전력신호(sp2)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210) 및 자가공명방식(A4MP)에 따른 제3 무선전력신호(sp3)를 송신하는 제2 송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송신부(210)는 자기유도방식(WPC)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을 포함하는 유도 결합 방식으로 주파수가 다른 제1, 2 무선전력신호(sp1, sp2)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며, 제2 송신부(220)는 자가공명방식(A4MP)을 포함하는 공진 결합 방식으로 특정 주파수에 해당되는 제3 무선전력신호(sp3)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송신부(210)는 상기 자기유도방식으로 제1 전력신호(s1)를 생성하는 WPC 모듈(212), 상기 저주파무선충전방식으로 제2 전력신호(s2)를 생성하는 PMA 모듈(214), WPC 모듈(212) 및 PMA 모듈(21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제1, 2 전력신호(s1, s2) 중 어느 하나와 공진하여 제1, 2 무선전력신호(sp1, sp2)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코일(216) 및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WPC 모듈(212) 및 PMA 모듈(214) 중 어느 하나와 제1 코일(216)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218)를 포함할 수 있다.
WPC 모듈(212)은 제1 스위치(218)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제1 코일(2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코일(216)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전력신호(s1), 즉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전류를 공급한다.
즉, WPC 모듈(212)은 제1 코일(216)과 유도 결합을 함으로써, 제1 코일(216)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로 제1 무선전력신호(sp1)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PMA 모듈(214)은 제1 스위치(218)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제1 코일(2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코일(216)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전력신호(s2), 즉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전류를 공급한다.
즉, PMA 모듈(214)은 제1 코일(216)과 유도 결합을 함으로써, 제1 코일(216)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로 제1 무선전력신호(sp2)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제1 스위치(218)는 제어부(300)로부터 제1 제어신호(sc1) 입력시, 제1 코일(216)과 WPC 모듈(212)을 연결하거나, 또는 제어부(300)로부터 제2 제어신호(sc2) 입력시, 제1 코일(216)과 PMA 모듈(214)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218)는 릴레이 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2 송신부(220)는 상기 자가공명방식으로 제3 전력신호(s3)를 생성하는 A4MP 모듈(222), A4MP 모듈(222)로부터 전달되는 제3 전력신호(s3)와 공진하여 제3 무선전력신호(sp3)를 송신하는 제2 코일(226) 및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A4MP 모듈(222) 및 제2 코일(226)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218)를 포함할 수 있다.
A4MP 모듈(212)은 제2 스위치(228)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 코일(2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2 코일(226)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3 전력신호(s3), 즉 특정주파수를 가지는 제3 전류를 공급한다.
즉, A4MP 모듈(222)은 제2 코일(228)과 공진 결합을 함으로써, 제2 코일(226)에 전자기 공진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로 제3 무선전력신호(sp3)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스위치(228)은 제어부(300)로부터 제3 제어신호(sc2) 입력시, 제2 코일(226)과 A4MP 모듈(222)을 연결하여, A4MP 모듈(212)로부터 제3 전력신호(s3)가 제2 코일(226)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충전 단말기(100)로 수신기 요청신호(fs)를 전송하고, 충전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수신기 정보신호(rs)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기 요청신호(fs)는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이며, 수신기 정보신호(rs)는 수신기 요청신호(fs)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써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250)는 수신된 수신기 정보신호(rs)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탑승객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20)로부터 탑승객이 감지되고, 바디부(10)에 포함된 안착부(30)에 충전 단말기(100)가 안착되는 경우,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수신기 요청신호(fs)가 충전 단말기(100)로 전송되게 한다.
이후, 제어부(300)는 통신부(250)에서 수신한 수신기 정보신호(rs)를 기반으로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자기유도방식(WPC),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 및 자가공명방식(A4MP) 중 어느 하나인지 인식한다.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자기유도방식(WPC)이면, 제1 송신부(210)의 제1 스위치(218)로 제1 제어신호(sc1)를 전달하여 WPC 모듈(212)와 제1 코일(216)을 연결하고, 제1 코일(216)으로부터 제1 무선전력신호(sp1)가 송신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이면, 제1 송신부(220)의 제1 스위치(218)로 제2 제어신호(sc2)를 전달하여 PMA 모듈(214)와 제1 코일(216)을 연결하고, 제1 코일(216)으로부터 제2 무선전력신호(sp2)가 송신되게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자가공명방식(A4MP)이면, 제2 송신부(220)의 제2 스위치(228)로 제3 제어신호(sc3)를 전달하여 A4MP 모듈(222)와 제2 코일(226)을 연결하고, 제2 코일(226)로부터 제3 무선전력신호(sp3)가 송신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충전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수행함으로써,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의 충전 방식에 대한 수신기 정보에 따라 충전 방식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여 충전 단말기(10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코일(216)을 사용하여 자기유도방식(WPC)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 각각의 제1, 2 무선전력신호(sp1, sp2)를 송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300)는 동작 감지부(20)로부터 탑승객을 감지 및 충전 단말기(100)가 안착부(30)에 안착되었는지 확인한다(S110).
제어부(300)는 충전 단말기(100)가 안착부(30)에 안착된 것으로 확인하면, 충전 단말기(100)에 포함된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자기유도방식(WPC)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부(250)를 통해 수신기 요청신호(fs)를 충전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10).
제어부(300)는 충전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수신기 정보신호(rs)가 통신부(250)를 통해 전달되면,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을 인식한다(S120).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자기유도방식(WPC)이면, 제1 송신부(210)의 제1 스위치(218)로 제1 제어신호(sc1)를 전달하여 WPC 모듈(212)와 제1 코일(216)을 연결하고, 제1 코일(216)으로부터 제1 무선전력신호(sp1)가 송신되게 제어한다(S130)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이면, 제1 송신부(220)의 제1 스위치(218)로 제2 제어신호(sc2)를 전달하여 PMA 모듈(214)와 제1 코일(216)을 연결하고, 제1 코일(216)으로부터 제2 무선전력신호(sp2)가 송신되게 제어한다(S140).
마지막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수신기의 충전 방식이 자가공명방식(A4MP)이면, 제2 송신부(220)의 제2 스위치(228)로 제3 제어신호(sc3)를 전달하여 A4MP 모듈(222)와 제2 코일(226)을 연결하고, 제2 코일(226)로부터 제3 무선전력신호(sp3)가 송신되게 제어한다(S150).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충전 단말기로 수신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 단말기로부터 수신기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자기유도방식(WPC)에 따른 제1 무선전력신호 및 저주파무선충전방식(PMA)에 따른 제2 무선전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
    자가공명방식(A4MP)에 따른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부; 및
    상기 충전 단말기가 바디부에 안착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가 전송되게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수신기 정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 중 어느 하나가 송신되게 상기 제1,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수행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자기유도방식으로 제1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WPC 모듈;
    상기 저주파무선충전방식으로 제2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PMA 모듈;
    상기 WPC 모듈 및 상기 PMA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 2 전력신호 중 어느 하나와 공진하여 상기 제1, 2 무선전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WPC 모듈 및 상기 PMA 모듈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 코일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자가공명방식으로 제3 전력신호를 생성하는 A4MP 모듈;
    상기 A4MP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3 전력신호와 공진하여 상기 제3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코일;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A4MP 모듈 및 상기 제2 코일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말기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가 전송되게 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수신기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단말기의 충전 방식이 상기 자기유도방식, 상기 저주파무선충전방식 및 상기 자가공명방식 중 어느 하나인지 인식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단말기의 충전 방식이 상기 자기유도방식이면 상기 제1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제어하고, 상기 저주파무선충전방식이면 상기 제1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제어하고, 상기 자가공명방식이면 상기 제2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 무선전력신호가 송신되게 제어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기 정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 중 하나가 송신되게 상기 제1, 2 스위칭 중 어느 하나로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 중 하나를 전달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전력신호 중 하나가 송신되게 제어하는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KR1020140063982A 2014-05-27 2014-05-27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KR20150136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982A KR20150136424A (ko) 2014-05-27 2014-05-27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982A KR20150136424A (ko) 2014-05-27 2014-05-27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424A true KR20150136424A (ko) 2015-12-07

Family

ID=5487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982A KR20150136424A (ko) 2014-05-27 2014-05-27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64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61A (ko) 2018-12-28 2020-07-08 (주)에이유플렉스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무선 충전기
KR102209058B1 (ko) 2020-08-14 2021-01-28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장치의 전력변환유닛
EP3892252A1 (en) 2015-09-25 2021-10-13 Ceragem Co., Ltd. A driving module for controlling a human body scan in real ti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2252A1 (en) 2015-09-25 2021-10-13 Ceragem Co., Ltd. A driving module for controlling a human body scan in real time
KR20200082161A (ko) 2018-12-28 2020-07-08 (주)에이유플렉스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무선 충전기
KR102209058B1 (ko) 2020-08-14 2021-01-28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장치의 전력변환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145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10211678B2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KR102012972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CN106134032B (zh) 具有无线电力发送装置的无线电力传输系统
US20200091768A1 (en) Distributed control adap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60100755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WO2016019159A1 (en) Adaptive and multi-transmitter wireless power for robots
KR101561471B1 (ko)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3371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471806B1 (ko) 공진형 무선 충전 수신기의 다중 조절 스위치 장치 및 그 방법
US20180226829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50136424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KR200483224Y1 (ko)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KR20160028912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KR20120052517A (ko) 무선전력전송방법, 무선전력수신방법, 무선전력전송장치 및 무선전력수신장치
KR101716102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비접촉 수전 장치
US20150357830A1 (en) Vehicular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power-fee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tangib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60028910A (ko)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
US10045398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KR20160025261A (ko)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무선전력전송통신시스템 및 무선전력전송방법
US20200274390A1 (en) A wireless power transceiver device and an associates method thereof
KR20160142524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60045490A (ko) 무선충전장치
KR20160144124A (ko) 사물 인터넷을 위한 게이트 웨이
KR20160025910A (ko) 차량 무선충전 장치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