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688B1 - 식품포장재 케이스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688B1
KR101752688B1 KR1020160108622A KR20160108622A KR101752688B1 KR 101752688 B1 KR101752688 B1 KR 101752688B1 KR 1020160108622 A KR1020160108622 A KR 1020160108622A KR 20160108622 A KR20160108622 A KR 20160108622A KR 101752688 B1 KR101752688 B1 KR 101752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cut
case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학
Original Assignee
김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학 filed Critical 김영학
Priority to KR1020160108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3Housings with openings for delivering material, e.g. for dispen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손쉽고 간편하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온의 식품포장시 열에 의해 식품이 눅눅하게 변하는 것을 통풍을 이용하여 방지하도록 포장재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포장재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케이스에 그립수단을 구성하여 일정한 길이로 인출된 포장재를 절단시 당기는 힘에 의해 포장재가 풀려져 절단되지 못하고 일정길이 이상으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 포장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지관에 권취되는 포장재를 구성하고, 그 포장재를 쉽게 절취하도록 이지컷이 구성되며, 그 포장재에 내부열을 통풍하고 식품의 정중앙 배치를 안내하는 통기컷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포장재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그립수단을 설치하여 인출된 포장재를 고정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절단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케이스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포장재의 인출 및 절단 용이하도록 각도조절수단을 설치하여 편의성을 도모한 식품 포장재 및 그 포장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품포장재 케이스{Food Packaging case}
본 발명은 식품 포장재 및 그 포장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포장하는 권취된 포장재를 사용자가 손으로 일정한 길이를 뜯어 절단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고온의 식품포장시 열에 의해 식품이 눅눅하게 변하는 것을 통풍을 이용하여 방지하도록 포장재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포장재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케이스에 그립수단을 구성하여 일정한 길이로 인출된 포장재를 절단시 당기는 힘에 의해 포장재가 풀려져 절단되지 못하고 일정길이 이상으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 포장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재는 가정이나 음식점 및 마트 등에서 준비한 식품을 위생적으로 포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재는 대체로 종이 또는 식품과 접촉하는 종이 내면에 비닐을 코팅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져 있고, 이렇게 이루어진 포장재는 원통의 관에 권취되어 제공되고 있다.
즉, 상기 소재의 종이로는 노루지, 한지, 유산지, 왁스코팅지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알루미늄 호일은 은박 또는 금박의 컬러를 접목시켜 상품의 가치를 돋보이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재를 이용하여 식품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길이를 절단 도구 예를 들어 가위나 칼로 절단해야 하는데 그러한 절단도구를 매 사용시 찾아 사용하기가 불편하여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날카로운 절단톱니가 전면에 부착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절단톱니가 외부로 고스란히 노출되어 있어서 박스 케이스를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 절단톱니에 손을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단톱니를 이용하여 포장재를 절단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대략적인 길이를 인출한 후 절단하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를 맞추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특히 고열로 식품을 만드는 햄버거 또는 치킨 같은 경우에는 그 포장재의 길이를 일정하게 절단하여 포장하는 것이 포장재를 낭비하지 않고 온전하게 포장할 수 있지만 그 길이를 정확하게 절단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포장재를 손쉽게 절단하도록 실용신안등록 제0467084호(명칭: 포장 랩 또는 알루미늄 호일 절단기구)가 제공되었으며, 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절단기구는 수납박스의 개방부 전면 상단에 일단 부가 길이 방향으로 끼움 조립되는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왕복 이동자재 되면서 상기 수납박스로부터 인출된 포장 랩 또는 알루미늄 호일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날이 구비된 커터부로 구성된 것이다.
즉, 종래기술은 수납박스에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게 커팅날을 설치하여 인출된 랩 또는 호일을 절단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랩과 호일을 절단하기 용이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절단기구를 이용해서 절단하기 때문에 운용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랩 또는 호일 등의 포장재는 관에 일정량이 권취되어 일정 길이를 풀은 후 칼이나 가위를 이용해야 절단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은 포장재를 위생적으로 보관함은 물론 절단도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편의를 도모하지만 근본적으로 손의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절단도구 없이 포장재를 절단할 수 없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포장재를 인출한 후 커터부로 자르기 위해서는 인출방향으로 사람이 포장재 일단을 잡아당겨 팽팽한 상태를 이루어야 쉽게 절단되는데 이렇게 일단을 잡아당기면 권취된 포장재가 더 풀어지게 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포장재는 고열로 조리된 식품 예를 들어 햄버거, 치킨 또는 튀김류와 같이 부풀려지거나 또는 바삭한 식감을 제공하는 식품을 포장한 경우 내부의 열로 인하여 눅눅하게 변하여 식품이 갖는 고유의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지관에 권취된 포장재를 제공하여 식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포장재를 별도의 절단도구 없이 일정한 길이로 손쉽게 절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온기를 갖는 식품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나아가 포장재를 보관한 케이스에 인출 후 절단시 더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 케이스를 사용자의 위치에 맞춰 편안한 자세로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재 및 그 포장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내부가 중공이고 재질이 종이로 이루어진 지관과, 종이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관 외주연에 권취된 포장재에 사용자가 손쉽게 뜯어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취된 이지컷이 반복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지컷의 양단부는 최초 힘이 절단력이 가해질 때 우선 벌어져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브이컷이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의 중앙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형성되어 식품이 정중앙에 배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포장된 식품의 내부열이 외부로 통풍되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통기컷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내부가 중공이고 재질이 종이로 이루어진 지관과, 종이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관 외주연에 권취된 포장재와, 상부와 하부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후방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포장재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공간을 갖고, 전방에는 포장재의 일단이 인출되는 인출부가 형성된 상,하부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인출된 포장재를 누름과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포장재 절단시 권취된 포장재가 당겨져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그립수단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포장재의 인출 및 절단 용이하도록 각도조절수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권취된 포장재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손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이지컷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절단도구 없이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기 이지컷 양측단부에 브이컷을 형성시켜 최초 절단력이 가해질 때 벌어져 항상 이지컷 부분이 절단되도록 가이드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재의 중앙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기컷을 형성함으로써, 포장된 식품의 열과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서로 통풍되어 식품이 눅눅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복수의 통기컷과 통기컷을 서로 암시적으로 연결하고 그 정중앙부분에 식품을 올려놓을 있어 식품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러함으로써, 광고 또는 홍보인쇄 문자나 도형이 식품 정중앙에 배치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포장재를 보관한 후 인출하는 케이스에 그립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포장재를 일정한 길이로 인출한 후 그립수단으로 고정시켜 절단하여 포장재가 당기는 힘에 의해 더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팽팽하게 당겨진 포장재를 슬림현상 없이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그립수단이 구비된 케이스를 이용한 절단은 포장재에 이지컷이 있는 경우에는 잡아당겨 절단하고, 이지컷이 없는 경우에는 케이스에 절단날을 설치하여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를 각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설치각도를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포장재를 절단하는 사용자의 손회전방향에 맞춰 케이스를 설치함으로써, 손의 회전동작을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포장재를 절단하는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지컷이 형성된 포장재가 지관에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이지컷 양측단부에 브이컷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통기컷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사각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사시도, (b)는 곡면으로 형성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에 그립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수단으로 인출된 포장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그립수단이 포장재를 고정한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그립수단이 케이스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구동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7에서 인출된 포장재를 다른 그립수단이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그립수단의 핀을 나타낸 전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눌러 고정하는 누름부에 패킹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후크가 브라켓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a)는 브라켓 상부에 후크가 구성되어 브라켓이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도이고, (b)는 후크가 상부 측면에 구성되어 브라켓이 수평으로 배치된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및 도 8과 같이 크게, 이지컷(12)이 형성된 포장재(10) 또는 그 포장재(10)를 수납보관하고 인출된 포장재(10)를 고정하는 그립수단(30)(40)이 구비된 케이스(20)와 그 케이스(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각도조절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장재(10)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식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노루지, 한지, 유산지, 왁스코팅지 등의 종이류와 은박 또는 금박의 컬러가 접목된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길게 형성된 포장재(10)는 내부가 중공으로 종이재질로 형성된 지관(11)에 권취되어 공급되고, 상기 포장재(10)는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파형의 칼집이 반복 형성되는 이지컷(easy cut:12)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포장재(10)를 잡아당겨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지컷(12)의 간격은 예를 들어 햄버거를 감싼 후 각 단부를 오므려 고정시키는 가장 바람지한 길이는 30cm을 두고 반복 형성되는 것으로써, 다른 식품의 가장 적합한 포장길이로 이지컷(12)이 반복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지컷의 양측단부에는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된 브이컷(12a)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포장재를 절단하기 위해서 손으로 잡아당기면 외측 폭이 넓게 절단된 브이컷(12a)이 우선 벌어지면서 절단력을 이지컷(12)으로 안내하여 손쉽게 뜯어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장재(10) 양측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브이컷(12a)의 적합한 깊이는 약 1cm 정도를 이루어야 사용자가 포장재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우선 벌어지면서 이지컷(12)으로 안내되어 절단될 수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3과 같이, 상기 포장재(10)의 중앙부분에 일정하게 간격을 두고 벗어난 위치에 칼집을 내어 절개한 형성된 통기컷(13)을 구성하고, 그 통기컷(13)은 일정한 간격 예컨데 이지컷(12)과 이지컷(12) 사이에 반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통기컷(13)은 정사각형의 모서리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거나 원형의 4방향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통기컷(13)과 통기컷(13)을 암시로 이어서 사각 또는 원형을 사용자가 가늠하여 그 가운데에 식품을 올려놓고 온전하게 포장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고, 더불어 포장재(10)에 인쇄된 문자나 도형이 포장된 식품 중앙에 항상 일치하여 노출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통기컷(13)은 식품을 포장하면 식품의 외형과 접촉되면서 자연히 벌어지게 됨으로써, 포장재(10) 내부의 식품의 열이 통기컷(13)을 통해 외부로 통풍되어 햄버거인 경우 눅눅함을 방지하고, 튀김류인 경우는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장재(10)를 내부에 수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인출 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케이스(2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첨부된 도면 도 4와 같이, 반원형상으로 상부와 하부로 각각 분할된 상,하부커버(21)(22)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커버(21)(22)의 내부에는 포장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갖고, 상,하부커버(21)(22)의 후방은 회전가능하게 힌지(23)로 연결되어 상부커버(21)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하부커버(21)(22)의 전방에는 내장된 포장재(10)의 일단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부(24)가 구성된다. 따라서, 포장재(10)를 케이스(20) 내부에 수용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된 케이스(20)에는 인출된 포장재(10)를 절단하기 위해서 당겼을 때 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그립수단(30)(40)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구성된 그립수단(30)(40)은 2가지 실시례를 제공한다.
먼저, 제1실시례의 그립수단(30)은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커버(21)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연장 형성되는 이동경로(31)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커버(21) 내면에 설치되는 내측커버(32)를 구성하되, 상기 내측커버(32)와 상부커버(21) 내면 사이에는 슬라이드공간(33)이 형성되고, 인출부(24)가 형성된 하부는 개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공간(3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부재(43)가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재(43)의 상부 후방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경로(31)에 노출되는 손잡이(34a)가 형성되어 이동경로(31)의 길이만큼 손잡이(34a)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인출부(24)가 위치한 고정부재(34)의 일단은 개방된 하부로 하강하여 포장재(10)를 눌러 고정하는 누름부(34b)가 구성되며, 고정부재(34) 타단과 슬라이드공간(33)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5)가 구성되어 자체 신축력에 의해 이동한 고정부재(34)를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34b)가 하강하여 포장재(10)를 눌러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커버(22)의 전방은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부(36)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4)의 손잡이(34a)를 상부커버(21) 후방에 위치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손으로 케이스(20)를 쥐었을 때 엄지손가락이 손잡이(34a)와 접촉하기가 가장 용이하기 때문에 그러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4)의 누름부(34a)는 인출된 포장재(10) 상면 전체를 눌러야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상부커버(21)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5)는 자체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스프링이나 고무밴드와 같은 신축력을 보유한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실시례의 그립수단(30)은 포장재(10)의 일단이 인출부(24)로 인출시킨 후 절단하기 전 손잡이(34a)를 전방으로 밀어 고정부재(34)의 누름부(34b)가 포장재(10)를 안착부(36)로 밀착 고정시킨 후, 절단날(25) 또는 이지컷(12)으로 절단하기 위해서 더 잡아당기더라도 지관(11)에 권취된 포장재(10)는 더 이상 풀리지 않으면서도 인출된 부분은 절단하기 용이하게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다.
다음 제2실시례의 그립수단(40)은 첨부된 도면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부커버(21) 내면 후방에 내부에 축공을 갖고 전방은 개방된 걸착부재(41)가 형성되며, 내면 전방부분에는 스프링(4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착부재(41)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a)이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43a)의 양측부분은 비교적 넓은 면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43b)가 형성되어, 그 지지부(43b) 상면은 스프링(42)과 접촉되고, 하면은 후술할 캠(44f)의 외주연과 접촉되며, 상기 지지부(43b)의 전방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일단에 포장재(10)를 눌러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하는 누름부(43c)가 형성된 고정부재(43)가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3)는 상방향에서 보았을 때 "ㅁ"형상으로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케이스(20)에 수용되는 포장재(10)가 그 관통부분에 간섭없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3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재(43)를 시소방식으로 승,하강시켜 누름부(43c)가 포장재(10)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구동부(44)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44)는 하부커버(22) 양측에서 내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44a)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에(44a)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기어(44b)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44b) 내측방향의 축(44a)에 각각 설치되는 휠(44c)이 구성되어 권취된 포장재(10)의 양측면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한다.
또한, 상기 휠(44c)이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부(44d)를 구성하여 포장재(10)가 권취된 지관(11) 내부로 회전부(44d)를 끼워 고정시켜 포장재(10)가 인출되면서 회전하는 지관(11)과 함께 회전부(44d)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44a), 구동기어(44b), 휠(44c) 및 회전부(44d)는 회전력을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44b)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종동기어(44e)가 축(44a)이 설치된 하부커버(22) 전방 또는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기어(44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44e)의 외측에 설치되어 종동기어(44e)와 함께 회전하되 상기 종동기어(44e)의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되어 상기 지지부(43b)의 하면과 외주연이 접촉되는 캠(44f)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43c)가 하강하여 포장재(10)를 눌러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커버(22)의 전방은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44k)가 구성된다.
따라서, 제2실시례의 그립수단(40)은 포장재(10)를 인출하면 지관(11)이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력을 회전부(44d)가 전달받아 일체로 형성된 휠(44c)과 구동기어(44b) 그리고 축(44a)을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기어(44b)와 치합된 종동기어(44e)가 캠(44f)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렇게 캠(44f)이 회전하여 편심된 부분과 근거리의 외주연에 지지부(43b)가 도달하면 회전축(43a)을 중심으로 고정부재(43)는 하강하여 누름부(43c)가 포장재(10)를 안착부(44k)로 밀착 고정하게 되어 절단이 용이하게 되고, 다시 포장재(10)를 인출하면 연동된 캠(44f)이 회전하여 편심된 부분과 원거리의 외주연에 지지부(43b)가 이동하면 고정부재(43)는 포장재(10)와 이탈되도록 상승하면서 구속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상기 휠(44c)의 내측면에서 뾰족하게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핀(44g)을 구성하여 종이재질로 형성된 지관(11)에 핀(44g)이 박혀 지관의 회전력을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측 회전부(44d) 중 어느 한 일측 회전부(44d)의 일면에 "―"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위치결정바(44h)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 회전부(44d)에는 상기 위치결정바(44h)가 끼워져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홈(44i)이 형성된다.
이렇게 위치결정바(44h)에 위해서 동일하게 배치되는 양측 회전부(44d)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44b)가 정위치에 동일하게 배치됨으로써, 캠(44f)의 위치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43)를 정확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캠(44f)의 외주연에서 편심된 축에서 근거리 부분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위치확인부(44j)를 구성시켜, 캠(44f)이 회전하여 위치확인부(44j)에 지지부(43b)가 도달하면 스프링(42)의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43b)가 위치확인부(44j)에 순간적으로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소리와 함께 사용자에게 걸려지는 느낌이 감득되어 누름부(43c)가 포장재(10)를 안착부(44k)로 밀착시켜 고정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나아가 절단될 포장재(10)의 적정한 길이 예를 들어 햄버거의 포장재(10) 절단 길이인 30cm가 인출된 상태를 자연히 감득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그립수단(30)(40)은 인출한 포장재(10)를 절단시 더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식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성시켜 일정한 길이로 포장재(10)를 절단할 수 있고, 절단할 길이로 인출된 경우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12와 같이, 상기 누름부(34b)(43c)의 하단에 끼워 포장재를 눌렀을 때 포장재(10)가 미끄러지는 슬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패킹(50)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20)를 설치시 사용자가 편하게 포장재(10)를 인출 및 절단할 수 있도록 그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60)이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60)은 첨부된 도면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케이스(20)의 양측 외면에 너트(61)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20)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62)을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62)의 양측면에 반원으로 관통 형성되는 각도선택홈(63)이 복수로 각각 구성되고, 브라켓(62) 상부에는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후크(64)가 구성된다. 상기 후크(64)는 케이스(20)의 사용 방향에 따라 브라켓(62)의 상면 또는 상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선택홈(63)으로 관통 삽입된 후, 너트(61)와 체결 고정되는 구볼트(65)가 구성된다.
상기 구볼트(65)는 반원으로 형성된 각도선택홈(63)에 삽입 안착할 수 있도록 헤드(65a)가 구형으로 형성되고, 그 헤드(65a)에서 길게 형성되어 너트(61)와 체결되는 나사부(65b)의 외경은 각도선택홈(63)의 내경보다 비교적 작게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각도조절수단(60)은 예를 들어 케이스(20)를 수평상태로 설치할 경우 구볼트(65)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각도선택홈(63)에 삽입 후 너트(61)에 체결하여 이루어지고, 또는 케이스(20)를 "/" 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일측 구볼트(65)는 하방향에 고정하고 타측 구볼트(65)는 상방향에 고정하여 이룰 수 있으며, 이때, 구볼트(65)의 헤드(65a)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각도선택홈(63)은 구형 헤드(65a)가 안착될 수 있는 반원으로 형성되어 케이스(20)가 경사지게 설치될 때 중심이 틀어지더라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관(11)에 권취된 포장재(10)를 이지컷(12)을 이용하여 별도의 절단도구 없이도 일정한 길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기는 힘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어 손을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고, 또한 통기컷(13)을 형성하여 식품을 포장재(10) 중앙에 배치하여 포장할 수 있으며, 더불어 고온의 식품의 내부열을 통기컷(13)으로 통풍시켜 음식이 갖는 고유 식감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포장재(10)를 케이스(20)에 수용 보관하되, 그 케이스(20)에 그립수단(30)(40)을 구성하여 인출된 포장재(1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고정되어 손쉽게 일정한 길이를 절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도조절수단(60)으로 사용자가 포장재(10)를 인출 및 절단하기 용이한 각도로 케이스(20)를 설치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한 유용한 식품 포장재 및 그 포장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포장재: 10 지관: 11
이지컷: 12 통기컷: 13
케이스: 20 상,하부커버: 21,22
힌지: 23 인출부:24
절단날: 25 그립수단: 30,40
이동경로: 31 내측커버: 32
슬라이드공간: 33 고정부재: 34
손잡이: 34a 누름부: 34b
탄성부재: 35 안착부: 36
걸착부재: 41 스프링: 42
고정부재: 43 회전축: 43a
지지부: 43b 누름부: 43c
구동부: 44 축: 44a
구동기어: 44b 휠: 44c
회전부: 44d 종동기어: 44e
캠: 44f 핀: 44g
위치결정바: 44h 삽입홈: 44i
위치확인부: 44j 안착부: 44k
패킹: 50 각도조절수단: 60
너트: 61 브라켓: 62
각도선택홈: 63 후크: 64
구볼트: 65 헤드: 65a
나사부: 65b

Claims (15)

  1. 내부가 중공이고 재질이 종이로 이루어진 지관(11)과, 종이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관 외주연에 권취된 포장재(10);
    상기 포장재(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뜯어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 형성된 이지컷(12);
    상부와 하부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후방에 힌지(23)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포장재(1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공간을 갖고, 전방에는 포장재(10)의 일단이 인출되는 인출부(24)가 형성된 상,하부커버(21)(22)로 이루어진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인출된 포장재(10)를 누름과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포장재(10) 절단시 권취된 포장재(10)가 당겨져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그립수단(30)(40);으로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포장재(10)의 인출 및 절단 용이하도록 각도조절수단(60)을 더 구성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60)은
    케이스(20)의 양측 외면에 구비되는 너트(61);
    상기 케이스(20)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반원으로 형성되는 각도선택홈(63)이 복수로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는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후크(64)가 구비된 브라켓(62);
    상기 각도선택홈(63)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헤드(65a)가 구형으로 형성되고, 헤드(65a)에는 상기 각도선택홈(6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연장되어 관통한 후, 상기 너트(61)와 체결하는 나사부(65b)가 형성되는 구볼트(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수단(30)은
    상부커버(21)에 관통형성된 이동경로(31);
    상기 상부커버(21) 내면에 슬라이드공간(33)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인출부(24)와 연통하는 내측커버(32);
    상기 이동경로(31)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34a)가 구비되고, 손잡이(34a)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공간(33)에 배치되며 인출부(24)에 위치한 일단에 누름부(34b)가 구비되어, 손잡이(34a)를 이동시키면 인출부(24)로 누름부(34b)가 하강하여 포장재(10)를 눌러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재(34);
    상기 고정부재(34) 타단과 슬라이드공간(33) 후방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이동한 고정부재(43)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5);
    상기 누름부(34b)가 하강한 후 포장재(10)와 함께 밀착되도록 하부커버(22)의 전방은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수단(40)은
    상부커버(21) 내면 후방부분에 형성되는 걸착부재(41)와 내면 전방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42);
    상기 걸착부재(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a)과 그 회전축(43a)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면에 상기 스프링(42)과 접촉되는 지지부(43b)와 그 지지부(43b)의 전방에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단부에 포장재(10)를 눌러 고정하는 누름부(43c)로 이루어진 고정부재(43);
    하부커버(22) 양측에서 내부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44a)과, 그 축(44a)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기어(44b)와, 그 구동기어(44b) 내측방향의 축(44a)에 각각 형성되어 권취된 포장재(10)의 측면을 구속하는 휠(44c)과, 그 횔(44c) 내측면에 포장재(10)의 지관(11)내부로 삽입되어 지관(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부(44d)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구동기어(44b)와 각각 치합되는 종동기어(44e)와, 그 종동기어(44e)의 외측에 편심되게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 상기 지지부(43b)의 하면이 접촉되어 시소방식으로 승,하강시키는 캠(44f)으로 이루어진 구동부(44);
    상기 누름부(43c)가 하강한 후 포장재(10)와 함께 밀착되도록 하부커버(22)의 전방은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44k);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휠(44c)의 내측면에는 지관(11)의 측면에 박혀 회전력을 온전하게 전달받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핀(44g)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에 설치된 회전부(44d) 중 일측의 회전부(44d)의 일면에 "―"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위치결정바(44h)가 형성되고, 타측의 회전부(44d)에는 상기 위치결정바(44h)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삽입홈(44i)으로 구성되어, 양측의 회전부(44d)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44f)의 외주연에서 편심된 축에 근거리 부분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위치확인부(44j)를 구성시켜, 지지부(43b)가 위치확인부(44j)에 안착하면 그 접촉되는 소리와 걸려지는 느낌이 사용자에게 감득되어 누름부(43c)가 포장재(10)를 고정한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34b)(43c)에는 포장재(10)를 눌렀을 때 슬림현상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패킹(5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컷(12)의 양측 단부에는 ">,<"형상으로 형성된 브이컷(12a)을 구성시켜, 손으로 뜯을 때 가해지는 힘이 브이컷(12a)을 벌린 후 이지컷(12)으로 절단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0)의 중앙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형성되어 식품이 정중앙에 배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포장된 식품의 내부열이 외부로 통풍되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통기컷(1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컷(13)은 정사각형의 네모서리 일부 또는 원형의 4방향 일부를 컷팅 형성하여 포장재(10)로 식품 포장시 그 컷팅된 통기컷(13)이 자연히 벌어져 내부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재 케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08622A 2016-08-25 2016-08-25 식품포장재 케이스 KR10175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22A KR101752688B1 (ko) 2016-08-25 2016-08-25 식품포장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22A KR101752688B1 (ko) 2016-08-25 2016-08-25 식품포장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688B1 true KR101752688B1 (ko) 2017-06-30

Family

ID=5927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22A KR101752688B1 (ko) 2016-08-25 2016-08-25 식품포장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6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634Y1 (ko) * 2005-05-16 2005-08-05 원 허 절취선의 양 끝단이 절단된 비닐롤백
JP2005280844A (ja) * 2004-03-09 2005-10-13 Handgards Inc 冷凍および加熱する食品の事前分割バッグ
KR101524815B1 (ko) * 2013-11-22 2015-05-29 주식회사 에버스 종이호일
JP2015212174A (ja) * 2015-06-28 2015-11-26 恒明 吉村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の受け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844A (ja) * 2004-03-09 2005-10-13 Handgards Inc 冷凍および加熱する食品の事前分割バッグ
KR200391634Y1 (ko) * 2005-05-16 2005-08-05 원 허 절취선의 양 끝단이 절단된 비닐롤백
KR101524815B1 (ko) * 2013-11-22 2015-05-29 주식회사 에버스 종이호일
JP2015212174A (ja) * 2015-06-28 2015-11-26 恒明 吉村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の受け皿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7495A (en) Web dispenser
EP2376334B1 (en) Package for tobacco-related articles
US4217984A (en) Storing and dispensing box
WO2006099792A1 (en) Food slicing device
US6266942B1 (en) Packaging kit for wrapping paper
KR101752688B1 (ko) 식품포장재 케이스
EP0324752B1 (en) Dispenser
US5331793A (en) Apparatus for forming a coffee filter
KR101907354B1 (ko) 랩절단 커터가 감춰지는 랩케이스
KR101427297B1 (ko) 포장용 랩 홀더
KR101609098B1 (ko) 박스포장용 테이프 절단기
KR101867017B1 (ko)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비닐봉합 테이프 디스펜서
KR101088135B1 (ko) 랩필름 케이스
JP4081382B2 (ja) ラップのカッティングホルダ
KR20140096490A (ko) 포장용기의 비닐랩 제거장치
KR200467084Y1 (ko) 포장 랩 또는 알루미늄 호일 절단기구
KR200392331Y1 (ko) 포장 랩 절단장치
JPH02169446A (ja) ディスペンサー
KR200449533Y1 (ko) 치즈를 보관하고 절단할 수 있는 장치
JP2002308283A (ja) ラップフィルムの格納用化粧箱
JP3044588U (ja) ラップ用フィルムコイルボックス
KR101746395B1 (ko) 걸림홈을 형성한 포장체를 포함한 포장 랩 포장 패키지
JP3050868U (ja) とびだすペーパーホルダー
JPH0327947Y2 (ko)
JP2000194931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におけるカップシュリ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