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637B1 -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637B1
KR101752637B1 KR1020160160990A KR20160160990A KR101752637B1 KR 101752637 B1 KR101752637 B1 KR 101752637B1 KR 1020160160990 A KR1020160160990 A KR 1020160160990A KR 20160160990 A KR20160160990 A KR 20160160990A KR 101752637 B1 KR101752637 B1 KR 10175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weight
parts
cultiva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암
이시영
최의숙
하정봉
하상진
Original Assignee
(주) 새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새농 filed Critical (주) 새농
Priority to KR102016016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7/00Fertilisers containing calcium or other cyan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5/00Fertilisers con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의 액아를 이용하여 딸기를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가 끝난 딸기 액아를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하는 준비단계, 절단된 액아를 과망간산칼륨(KMnO4) 2000배액에 침지하는 침지단계, 침지를 마친 딸기 액아를 자연건조 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를 마친 딸기 액아를 복수개 밀봉하여 냉동저장고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저장되었던 딸기 액아를 해동하고, 상토가 충진된 딸기 전용 트레이 또는 개별 포트에 삽식하는 삽식단계 및 재배지로 옮겨 정식 후 생장시키는 생장단계로 이루어진 딸기 재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발명에 의한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은 딸기의 액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모종을 재활용 하는 것으로 초기 생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많은 수의 전문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 및 관리가 편하고, 살균 처리된 액아를 이용하여 무병 상태로 육묘하여 딸기 모종의 고사를 방지하며, 딸기의 모주에 필수적인 조성물로 이루어지 배지로 재배지를 형성되어 딸기의 맛, 향 및 소비자의 기호에 맞고 건강한 딸기를 생산한다.

Description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Strawberry cultivation methods using axillary bud}
본 발명은 딸기의 액아를 이용하여 딸기를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가 끝난 딸기 액아를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하는 준비단계, 절단된 액아를 과망간산칼륨(KMnO4) 2000배액에 침지하는 침지단계, 침지를 마친 딸기 액아를 자연건조 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를 마친 딸기 액아를 복수개 밀봉하여 냉동저장고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저장되었던 딸기 액아를 해동하고, 상토가 충진된 딸기 전용 트레이 또는 개별 포트에 삽식하는 삽식단계 및 재배지로 옮겨 정식 후 생장시키는 생장단계로 이루어진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딸기는 잎자루는 길고 비교적 큰 3개의 잎이 달리며 각각은 둥글고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며, 봄에 몇 개의 꽃자루가 나와 몇 개에서 십수 개의 흰색 꽃이 달리는데 꽃잎이 다섯개로 이루어졌고, 암술과 수술이 노란색이며, 식용하는 딸기는 씨방이 발달하여 과실이 되는 다른 과실과 달리 꽃턱이 발달한 것으로 씨가 열매 속에 없고 과실의 표면에 깨와 같이 있으며, 과실의 모양은 공 모양,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대개는 붉은색이지만 드물게 흰색 품종도 있다.
상기 딸기는 봄철에 생식으로 많이 섭취하는 대표 원예작물로서 노지에서는 3월 초부터 5월 말까지 수확을 하고, 하우스 재배를 통하여서는 연중생산이 가능하고, 국내의 경우 2005년 이전에는 일본 딸기 품종인 '레드펄'과 '장희'가 주종을 이루며 재배가 이루어졌지만, 국내에서 사용료 문제를 해결하고자 딸기 품종 육성사업을 실시하면서 국내 농가에 '설향' 및 '매향' 등의 보급이 확대되었고 그에 따라서 국내 품종의 재배 면적이 증가 되었으며, 그 중 '설향'이 뛰어난 생산성을 보여 많은 재배농가에서 주 품종으로 재배 되어지고있다.
한편, 딸기 재배에서 육묘의 중요성은 매우 크고, 그 비중은 80%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딸기 육묘의 관리에 따라서 발생되는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과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자묘 생육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량률을 낮추고 기능성 딸기를 재배하는 선행기술들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69687호(2015.11.20.)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로 제1혼합물을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제2 혼합물을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및 제2 숙성물을 여과하여 제1 숙성액 및 제2 숙성액을 수득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1 숙성액 및 상기 제2 숙성액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단계 4); 상기 혼합액을 숙성하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숙성된 혼합액을 배양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공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261355호(2013.05.06.) 게르마늄 딸기의 생산방법으로 딸기 재배에 있어서, 정식 후 뿌리활착 시기에 동물성 아미노산이 함유된 미량요소복합비료를 관주처리하는 단계와; 게르마늄 결합 펩타이드를 각 화방이 수정된 후 비대기 때 1회씩 시비하여 총 2~5회 시비하는 단계와; 상기 게르마늄 결합 펩타이드의 살포 전 또는 후에 아미노산 비료를 총 1~4회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딸기에 함유된 게르마늄 함량이 5배 이상 증가되는 딸기의 생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딸기 재배의 문제점은 선행기술들도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고, 본 발명은 딸기의 액아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액아는 곁눈의 일종으로 잎의 겨드랑이에 달리는 겨울눈으로 보통 한 개씩 달리는 것으로 줄기의 마디 엽액에 분화되어 점차 새 가지나 잎이 되는 눈을 말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9687호(2015.11.20.) 한국등록특허 제10-1261355호(2013.05.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딸기 재배에 있어서, 육묘의 관리에 따라서 발생되는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과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자묘 생육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딸기 액아를 이용한 재배로 해결하고, 상기 딸기 액아를 무병상태로 저장하고, 정식하여 재배시 재배지를 이루는 배지의 조성물을 딸기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생산량을 높이고, 높은 영양성분을 가지며,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딸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은 재배가 끝난 딸기 액아를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하는 준비단계(S10); b) 상기 준비단계에서 절단된 액아를 과망간산칼륨(KMnO4) 2000배액에 침지하는 침지단계(S20); c)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를 마친 딸기 액아를 자연건조 시키는 건조단계(S30); d)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를 마친 딸기 액아를 복수개 밀봉하여 냉동저장고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40); e)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되었던 딸기 액아를 해동하고, 상토가 충진된 딸기 전용 트레이 또는 개별 포트에 삽식하는 삽식단계(S50); 및 f) 상기 삽식단계 후 재배지로 옮겨 정식 후 생장시키는 생장단계(S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단계 딸기 액아의 채취 시기는 딸기 재배가 끝나는 3월 ~ 5월말 경에 실시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시 남은 관부의 길이가 4~6㎝이다.
상기 침지단계 및 건조단계에서 침지시간 및 건조시간은 12 ~ 24시간으로 실시하며,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 시킨다.
상기 저장단계 딸기 액아의 밀봉은 비닐 재질의 포장재로 두께가 0.1~1㎜인것을 사용하고, 냉동저장고의 온도는 -3℃ ~ -2℃를 유지한다.
상기 삽식단계에서 딸기 액아의 삽식은 생장단계에서 정식하는 예정일 30~40일전에 실시한다.
상기 생장단계에서 재배지를 이루는 배지의 조성물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90 ~ 110 중량부, 인산일암모늄(NH4H2PO4) 10 ~ 30 중량부, 글루콘산칼륨(Potassium gluconate) 40 ~ 60 중량부, 젖산칼슘(Calcium lactate) 30 ~ 50 중량부, 글루콘산 마그네슘(Magnesium gluconate) 10 ~ 30 중량부, 메티오닌(Methionine) 5 ~ 15 중량부, EDTA-Mn 0.2 ~ 0.4 중량부, EDTA-Fe 0.4 ~ 0.6 중량부, EDTA-Zn 0.05 ~ 0.15 중량부, EDTA-Cu 0.04 ~ 0.06 중량부, 붕산(Boric acid) 0.05 ~ 0.15 중량부 및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 0.04 ~ 0.06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켈팍추출물(Kelpak Extract) 20 ~ 40 ㎖를 더 포함하는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딸기의 액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모종을 재활용 하는 것으로 초기 생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많은 수의 전문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 및 관리가 편하다.
(2) 본 발명은 살균 처리된 액아를 이용하여 무병 상태로 육묘하여 딸기 모종의 고사를 방지한다.
(3) 본 발명은 딸기의 모주에 필수적인 조성물로 이루어지 배지로 재배지를 형성되어 딸기의 맛, 향 및 소비자의 기호에 맞고 건강한 딸기를 생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준비단계에서의 딸기 액아의 실사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은
a) 재배가 끝난 딸기 액아를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하는 준비단계(S10);
b) 상기 준비단계에서 절단된 액아를 과망간산칼륨(KMnO4) 2000배액에 침지하는 침지단계(S20);
c)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를 마친 딸기 액아를 자연건조 시키는 건조단계(S30);
d)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를 마친 딸기 액아를 복수개 밀봉하여 냉동저장고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40);
e)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되었던 딸기 액아를 해동하고, 상토가 충진된 딸기 전용 트레이 또는 개별 포트에 삽식하는 삽식단계(S50); 및
f) 상기 삽식단계 후 재배지로 옮겨 정식 후 생장시키는 생장단계(S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아는 곁눈의 일종으로 잎의 겨드랑이에 달리는 겨울눈으로 보통 한 개씩 달리는 것으로 줄기의 마디 엽액에 분화되어 점차 새 가지나 잎이 되는 눈을 말하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엽액에서 형성되는 곁눈의 일종으로 종자식물의 보통엽에서는 지극히 평범하게 볼수 있다. 줄기 끝에서 엽원기가 새롭게 발현한 후 조금 있으면 그 어린 엽원기의 액아원기가 분화하는데 보통 액아는 각 엽액에 1개가 형성되지만 2개 이상 생기는 종류도 있다.
상기 준비단계(S10) 딸기 액아의 채취 시기는 딸기 재배가 끝나는 3월 ~ 5월말 경에 실시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시 남은 관부의 길이가 4~6㎝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지단계(S20) 및 건조단계(S30)에서 침지시간 및 건조시간은 12 ~ 24시간으로 실시하며,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시킨다.
상기 침지단계(S20)에서 과망간산칼륨(KMnO4)을 이용하여 딸기 액아를 살균하여 무균상태로 만드는 것이며, 이때 상처난 부위와 절단 등에 의해서 발생된 상처 부위의 살균을 위해서는 12~24시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망간산칼륨(KMnO4)은 물에 쉽게 용해되는 자색의 고체로서 망간산칼륨(K2MnO4)을 염소존재하에 산화해서 생성시키는 것으로 용량분석에서 산화시약으로서의 용도 이외에 살균, 소독용으로 널리 쓰여 지고 있고, 일종의 강산화제로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키는 진균, 세균, 바이러스 등을 죽이는 효과가 있고, 망간은 작물이 필요로 하는 중미량원소의 하나로 농작물에 망간이 부족할 때 소량의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하여 망간결핍을 방제하고. 특히, 과채류에 입고병, 시들음병(고위병), 흰가루병, 노균병, 무름병등의 병해를 방제하는데 사용 되어지고있다.
또한, 상기 과망간산칼륨(KMnO4) 침지액 제조시 많은 양의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하면 딸기 액아에 독해를 입힐 수 있으며 적은 양을 사용하면 효과가 적으므로 물 1ℓ당 0.5g 과망간산칼륨을 희석하여 딸기 액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단계(S40) 딸기 액아의 밀봉은 비닐 재질의 포장재로 두께가 0.1~1㎜인것을 사용하고, 냉동저장고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액아로 이루어진 모주가 휴면 상태가 되어 싹이 생성되지 않고, 딸기 액아의 동해를 방지 하기 위해 -3℃ ~ -2℃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식단계(S50)에서 해동은 차광율 50%에서 자연건조상태로 해동하며, 딸기 액아의 삽식은 생장단계(S60)에서 정식하는 예정일 30~40일전에 실시한다.
일반적인 모종의 경우 잎 하나가 생성되는데 걸리는 기간이 7일 내지 10일 걸리고, 본 발명의 딸기 모종의 경우 전개되는 잎의 수가 4~5개가 되어야 꽃대가 발생하므로 모종의 정식 예정일의 30~40 일전에 삽식단계(S50)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생장단계(S60)에서 재배지를 이루는 배지의 조성물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90 ~ 110 중량부, 인산일암모늄(NH4H2PO4) 10 ~ 30 중량부, 글루콘산칼륨(Potassium gluconate) 40 ~ 60 중량부, 젖산칼슘(Calcium lactate) 30 ~ 50 중량부, 글루콘산 마그네슘(Magnesium gluconate) 10 ~ 30 중량부, 메티오닌(Methionine) 5 ~ 15 중량부, EDTA-Mn 0.2 ~ 0.4 중량부, EDTA-Fe 0.4 ~ 0.6 중량부, EDTA-Zn 0.05 ~ 0.15 중량부, EDTA-Cu 0.04 ~ 0.06 중량부, 붕산(Boric acid) 0.05 ~ 0.15 중량부 및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 0.04 ~ 0.06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켈팍추출물(Kelpak Extract) 20 ~ 40 ㎖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 딸기 액아를 이용한 딸기 재배방법으로 딸기 생산
재배가 끝단 딸기 액아를 채취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하되 관부의 길이를 5㎝로 일정하게 남겨 두고, 과망간산칼륨(KMnO4)1g을 물 2ℓ에 희석시킨 수용액에 12시간동안 침전 시킨뒤 24시간동안 그늘에 자연건조 하고, 비닐 팩에 담아 냉동저장고에서 2℃ 상태로 저장보관하였다.
재배지에서 정식하기 30일전 냉동저장고에서 저장되었던 상기 딸기 액아를 꺼내 해동시키고, 상토가 충진된 개별 포트에 삽식하여 30일간 생장시킨 뒤 딸기 액아의 뿌리내림을 확인한 후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100g, 인산일암모늄(NH4H2PO4) 20g, 글루콘산칼륨(Potassium gluconate) 50g, 젖산칼슘(Calcium lactate) 40g, 글루콘산 마그네슘(Magnesium gluconate) 20g, 메티오닌(Methionine) 10g, EDTA-Mn 0.3, EDTA-Fe 0.5g, EDTA-Zn 0.1g, EDTA-Cu 0.05g, 붕산(Boric acid) 0.1g 및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 0.05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 10ℓ와 켈팍추출물(Kelpak Extract) 30㎖를 더 첨가한 배지가 충진된 재배지에 정식하여 딸기를 생산하였다.
시험예 : 딸기 액아를 이용한 생산된 딸기와 일반적인 딸기 비교
상기 실시예로 구성된 본 발명인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딸기를 수확하여 무작위로 선별된 딸기 10개와 일반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설향을 무작위로 10개 선별하여 당도, 비타민 C, 칼슘, 경도 및 중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평균값을 구했다.
항 목 단 위 본 발명 딸기 설 향
당 도 Brix° 12.3 11.9
비타민 C ㎎/100g 98 88
칼 슘 ㎎/100g 167 21
경 도 g/㎠ 1471.2 1158.3
중 량 g 29.5 26.1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해서 생산된 딸기와 일반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설향의 딸기는 당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비타민 C와 칼슘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경도와 중량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딸기가 일반적인 설향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가적인 설명으로 실시예에 의하여 재배된 딸기 액아를 이용한 모주들중 세균 및 바이러스 등에 의해 고사된 육묘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침지액으로 사용하는 과망간산칼륨(KMnO4)으로 침지하는 침지단계(S20)에 더하여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을 적가하여 pH 6~6.5로 조절된 농도가 0.05~0.1%의 프로피온산칼슘(Calcium propionate) 수용액에 2차 침지하여 액아의 무균 및 무병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침지단계(S20) 전 차염소산나트륨(NaOCl) 1.5%액에 10분간 소독하고, 증류수로 2~3회 세척한 뒤 침지단계를 실시하여 준비단계에서 침지단계로 공정단계를 취할 때 무균상태의 딸기액아를 유지하여 딸기 액아를 이용한 딸기 재배시 고사되는 육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준비단계에서 채취한 딸기 액아는 액아에서 줄기가 유도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줄기 부분(관부)를 이용하는 것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은 딸기의 액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모종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초기 생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많은 수의 전문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유지 및 관리가 편하고, 살균 처리된 액아를 이용하여 무병 상태로 육묘하여 딸기 모종의 고사를 방지하며, 딸기의 모주에 필수적인 조성물로 이루어지 배지로 재배지를 형성되어 딸기의 맛, 향 및 소비자의 기호에 맞고 건강한 딸기를 생산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딸기 재배방법은
    a) 재배가 끝난 딸기 액아를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하는 준비단계;
    b) 상기 준비단계에서 절단된 액아를 과망간산칼륨(KMnO4) 2000배액에 침지하는 침지단계;
    c)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를 마친 딸기 액아를 자연건조 시키는 건조단계;
    d)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를 마친 딸기 액아를 복수개 밀봉하여 냉동저장고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e)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되었던 딸기 액아를 해동하고, 상토가 충진된 딸기 전용 트레이 또는 개별 포트에 삽식하는 삽식단계; 및
    f) 상기 삽식단계 후 재배지로 옮겨 정식 후 생장시키는 생장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장단계에서 재배지를 이루는 배지의 조성물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90 ~ 110 중량부, 인산일암모늄(NH4H2PO4) 10 ~ 30 중량부, 글루콘산칼륨(Potassium gluconate) 40 ~ 60 중량부, 젖산칼슘(Calcium lactate) 30 ~ 50 중량부, 글루콘산 마그네슘(Magnesium gluconate) 10 ~ 30 중량부, 메티오닌(Methionine) 5 ~ 15 중량부, EDTA-Mn 0.2 ~ 0.4 중량부, EDTA-Fe 0.4 ~ 0.6 중량부, EDTA-Zn 0.05 ~ 0.15 중량부, EDTA-Cu 0.04 ~ 0.06 중량부, 붕산(Boric acid) 0.05 ~ 0.15 중량부 및 몰리브덴산암모늄(Ammonium molybdate) 0.04 ~ 0.06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켈팍추출물(Kelpak Extract) 20 ~ 4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침지단계에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을 적가하여 pH 6~6.5로 조절된 농도가 0.05~0.1%의 프로피온산칼슘(Calcium propionate) 수용액에 2차 침지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 딸기 액아의 채취 시기는 딸기 재배가 끝나는 3월 ~ 5월말 경에 실시하고, 뿌리와 잎을 절단시 남은 관부의 길이가 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단계 및 건조단계에서 침지시간 및 건조시간은 12 ~ 24시간으로 실시하며,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 딸기 액아의 밀봉은 비닐 재질의 포장재로 두께가 0.1~1㎜인것을 사용하고, 냉동저장고의 온도는 -3℃ ~ -2℃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식단계에서 딸기 액아의 삽식은 생장단계에서 정식하는 예정일 30~40일전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6. 삭제
KR1020160160990A 2016-11-30 2016-11-30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KR10175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90A KR101752637B1 (ko) 2016-11-30 2016-11-30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90A KR101752637B1 (ko) 2016-11-30 2016-11-30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637B1 true KR101752637B1 (ko) 2017-07-03

Family

ID=5935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90A KR101752637B1 (ko) 2016-11-30 2016-11-30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00B1 (ko) 2018-03-06 2018-08-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 런너의 뿌리 생장방법
KR102230696B1 (ko) * 2020-10-28 2021-03-22 이귀성 친환경 방제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친환경 방제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00B1 (ko) 2018-03-06 2018-08-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 런너의 뿌리 생장방법
KR102230696B1 (ko) * 2020-10-28 2021-03-22 이귀성 친환경 방제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친환경 방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9431A (zh) 柑橘嫁接育苗方法
CN103875500B (zh) 一种软枝香蜜杨桃种植方法
CN106472279B (zh) 一种观赏兼食用的菠萝水培方法
CN107960262A (zh) 促进脐橙早熟高产的种植方法
CN105961113A (zh) 一种适用于红壤丘陵地的蓝莓种植方法及其种植的蓝莓
CN105191643A (zh) 一种百香果盆景栽培技术
CN109757274B (zh) 罗汉果组培苗高产高效移栽方法
KR101752637B1 (ko) 액아를 이용하는 딸기 재배방법
CN108476886B (zh) 一种鲜食凤梨防裂果的方法
CN107624388A (zh) 一种观赏兼食用的菠萝盆栽化栽培方法
CN110140608B (zh) 一种玫瑰茄一年两熟的栽培方法
CN107960285A (zh) 一种火龙果的种植方法
KR101347876B1 (ko) 덮음 과정을 통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 콩나물
JPH10182317A (ja) 植物根の生育促進剤
CN108812259A (zh) 提高温室有机基质型无土栽培厚皮甜瓜品质和产量的栽培方法
KR102056057B1 (ko) 양액재배를 이용한 세척용이성과 청결성을 겸비한 동자꽃 원료의 제조방법
CN107593220A (zh) 一种北方梨树早结高产的栽培方法
CN114190223A (zh) 一种基于固氮蓝藻与光合营养绿藻的果树栽培技术
CN111972232A (zh) 一种双收藜麦种植方法
CN111357581A (zh) 一种黄秋葵的栽培方法
CN108293712B (zh) 一种有机上海青苗菜露地栽培方法
CN107125007A (zh) 一种番茄的种植方法
KR101694131B1 (ko) 크기 조절이 용이한 소형 양배추 재배방법
KR102496357B1 (ko) 아르기닌과 글루타민산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능성 벼의 재배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되어 수확된 기능성 벼
CN107242081A (zh) 一种番荔枝和魔芋间作种植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