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161B1 -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161B1
KR101752161B1 KR1020150179132A KR20150179132A KR101752161B1 KR 101752161 B1 KR101752161 B1 KR 101752161B1 KR 1020150179132 A KR1020150179132 A KR 1020150179132A KR 20150179132 A KR20150179132 A KR 20150179132A KR 101752161 B1 KR101752161 B1 KR 101752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esh net
net member
net
mesh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147A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 한창엔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창엔프라 filed Critical (주) 한창엔프라
Priority to KR102015017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1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8/00Producing nets or the like, e.g. meshes, latt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1Removal or measurement of solid or liquid contamination, e.g.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15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구비되고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를 동일 속도로 이송 안내하며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대기 안내하는 이송부, 및 단부끼리 연결된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를 설정 길이만큼 이송시킨 상태로 절단하면서 접합하여 메쉬링을 성형 후 메쉬링을 금형의 돌출핀에 로딩하는 메쉬망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한 쌍의 메쉬망을 공급하여 단부끼리 접한 한 채 설정거리만큼 비연속되게 이송 후 메쉬망끼리를 접합하여 융착하며 절단함으로써 성형되는 메쉬링을 금형에 공급하여 필터를 이중 사출 성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FILTER AND INJECTION MOLDING MANUFACTURE MOLD FOR FILTER}
본 발명은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메쉬망을 공급하여 단부끼리 접한 한 채 설정거리만큼 비연속되게 이송 후 메쉬망끼리를 접합하여 융착하며 절단함으로써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메쉬링을 금형에 공급하여 필터를 이중 사출 성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ABS)은 바퀴의 슬립을 감지하여 바퀴 측으로 가해지는 제동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제동 중 바퀴가 잠기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제동 중 바퀴가 미끄러지지 않고 방향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브레이크시스템은 제동압력 제어를 위해 브레이크 유압라인의 유로를 개폐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들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밸브들은 평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노말 오픈(Normal Open)형 솔레노이드밸브와, 평소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노말 클로즈(Normal Close)형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밸브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압입되어 설치되며, 유체의 흐름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갖는 중공의 밸브하우징을 구비한다. 밸브하우징의 일단에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아마츄어가 진퇴할 수 있도록 원통형 슬리브가 결합되고, 슬리브의 개방된 단부에는 슬리브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며 아마츄어를 진퇴시키기 위한 밸브코어가 결합된다. 아마츄어는 진퇴운동을 통해 밸브시트의 오리피스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아마츄어는 밸브하우징의 중공부를 통하여 밸브시트 쪽으로 연장된 개폐부를 구비한다.
또한, 밸브하우징 외측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조립체가 설치된다.
필터조립체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09266호(발명의 명칭:솔레노이드 밸브)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용 필터조립체는 망(mesh)을 먼저 제작 후 수작업으로 설정된 직경만큼 원형으로 말고 나서, 양측 가장자리를 맞댄 후 용접한 상태로 이중 사출함에 따라, 망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말아 용접함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메쉬망을 공급하여 단부끼리 접한 한 채 설정거리만큼 비연속되게 이송 후 메쉬망끼리를 접합하여 융착하며 절단함으로써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메쉬링을 금형에 공급하여 필터를 이중 사출 성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동일 속도로 이송 안내하며,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대기 안내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단부끼리 연결된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설정 길이만큼 이송시킨 상태로 절단하면서 접합하여 메쉬링을 성형 후 상기 메쉬링을 금형의 돌출핀에 로딩하는 메쉬망성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각각 통과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복수 개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이송을 단속하는 클램퍼; 상기 프레임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릴부재; 및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를 연결한 상태로 대기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메쉬망성형부는, 상기 이송부에 대기 중인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연결부위를 설정 거리만큼 당길 수 있도록 푸쉬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푸쉬리브를 복수 개 구비하여 한꺼번에 하나 이상의 상기 메쉬링을 성형 후 이송하는 로봇암부재; 및 상기 푸쉬리브에 의해 설정 거리만큼 당겨진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접합하며 절단하여 상기 메쉬링을 성형하는 융착커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메쉬망성형부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가 접합 후 절단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절단센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출 성형된 브릿지에서 유압회로용 필터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방법은: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를 각각 공급하는 메쉬망공급단계;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동일 속도로 이송 안내하며,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대기 안내하는 메쉬망이송단계; 단부끼리 연결된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설정 길이만큼 이송시킨 상태로 절단하면서 접합하여 메쉬링을 성형하는 메쉬링성형단계; 상기 메쉬링을 금형의 돌출핀에 로딩하는 로딩단계; 및 상기 메쉬링에 이중 사출된 사출물에서 필터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은 종래 기술과 달리 한 쌍의 메쉬망을 공급하여 단부끼리 접한 한 채 설정거리만큼 비연속되게 이송 후 메쉬망끼리를 접합하여 융착하며 절단함으로써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메쉬링을 금형에 공급하여 필터를 이중 사출 성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에서 제작되는 메쉬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링을 장착하는 필터를 이중 사출하는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중 분리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제작되는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에서 제작되는 메쉬링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링을 장착하는 필터를 이중 사출하는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중 분리부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제작되는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10)의 사출 성형기(100)는 본체(110), 공급부(120), 이송부(130) 및 메쉬망성형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출 성형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공급부(120)와 이송부(130) 및 메쉬망성형부(140)를 구비한다. 물론, 본체(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공급부(120)는 본체(110)에 구비되고,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별도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는 링 형상의 메쉬링(16)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된다.
아울러, 메쉬링(16)은 이중 사출 성형되어 유압회로용 필터(10)로 제작된다.
이때, 유압회로용 필터(10)는 사출물(12) 및 메쉬링(16)을 포함한다.
사출물(12)은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에 의해 제작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폐곡선을 이루는 메쉬링(16)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이중 사출된다.
특히, 사출물(12)은 상측림(13), 하측림(15), 및 보강리브(17)를 포함한다.
상측림(13)은 유압회로용 필터(1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메쉬링(16)의 상측 가장자리를 매립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하측림(15)은 유압회로용 필터(10)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메쉬링(16)의 하측 가장자리를 매립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측림(13)과 하측림(15)의 형상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강리브(17)는 폐곡선을 이루는 메쉬링(16)의 폐곡선을 형성하는 해당 부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도록 상측림(13)과 하측림(15)을 연결하여 보강한다. 이에 따라, 메쉬링(16)은 원주 방향으로 보강리브(17)를 형성하는 부위를 제외한 부위가 노출되어 필터링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는 작동유를 걸러주는 기능을 하는 망(mesh)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메쉬망부재(22)는 롤 타입 등으로 형성되어 공급되고, 제 2메쉬망부재(24)는 롤 타입 등으로 형성되어 제 1메쉬망부재(22)와 나란하게 공급된다.
즉, 공급부(120)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각각 감는 휠부재(122)를 포함한다. 이때, 휠부재(122)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가 설정 속도로 공급되도록 각각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도 있고, 후술할, 로봇암부재(141)가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당기는 힘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물론, 휠부재(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이송부(130)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동일 속도로 이송 안내하며,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대기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송부(130)는 프레임(131), 클램퍼(132), 텐션릴부재(133) 및 블록(134)을 포함한다.
프레임(131)은 본체(110) 상에 구비된다. 물론, 프레임(131) 자체가 본체(110)일 수도 있으나, 프레임(131)이 본체(110)에 대해 위치 이동 등이 가능하도록 본체(110)에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31)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클램퍼(132)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각각 통과 안내하도록 프레임(131)의 상측에 복수 개 구비된다. 편의상, 클램퍼(132)는 제 1메쉬망부재(22)의 궤적을 따라 2개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제 2메쉬망부재(24)의 궤적을 따라 2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클램퍼(132)는 대응되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이송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클램퍼(132)가 제 1메쉬망부재(22) 또는 제 2메쉬망부재(24)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힘에 따라, 대응되는 제 1메쉬망부재(22) 또는 제 2메쉬망부재(24)는 이송 속도가 조절된다.
이때, 클램퍼(132)는 실린더 등에 의해 작동되며 제 1메쉬망부재(22) 또는 제 2메쉬망부재(24)를 양측에서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는 장력을 유지한 채 이송된다. 물론, 클램퍼(132)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이송을 중지할 수도 있다.
특히, 복수 개인 클램퍼(132)는 전체가 제어부(135)로부터 제어된다. 제어부(135)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각 이송 속도를 검출 후 제 1메쉬망부재(22) 측의 클램퍼(132)와 제 2메쉬망부재(24) 측의 클램퍼(132)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이송 속도는 본체(110) 또는 프레임(131)에 구비된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클램퍼(132)는 감지센서(136)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제 1메쉬망부재(22) 또는 제 2메쉬망부재(24)의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부(135)의 제어로써 작동 정지할 수 있다. 이는, 클램퍼(132)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끼리의 부딪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텐션릴부재(133)는 프레임(131)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텐션릴부재(133)는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텐션릴부재(133)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블록(134)은 프레임(131)에 구비되어 단부가 연결한 상태인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대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블록(134)이 단부끼리 연결된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대기시킬 때,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는 이송 정지된다.
한편, 메쉬망성형부(140)는 이송부(130)의 블록(134)에서 단부끼리 연결된 채 대기 상태인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설정 길이만큼 이송시킨 상태로 절단하면서 접합하여 메쉬링(16)을 성형 후 메쉬링(16)을 금형(144)의 돌출핀(145)에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메쉬망성형부(140)는 로봇암부재(141) 및 융착커터(142)를 포함한다.
로봇암부재(141)는 3차원적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어되고, 이송부(130)의 블록(134)에 대기 중인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연결부위를 설정 거리만큼 당길 수 있도록 푸쉬리브(143)를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푸쉬리브(143)는 짝수 개수로 복수 개 구비되어 한꺼번에 하나 이상의 메쉬링(16)을 성형 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한 한 쌍의 푸쉬리브(143)는 로봇암부재(141)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메쉬링(16)을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이송할 수 있다.
아울러, 푸쉬리브(143)가 대기 상태인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연결부위 내측에 접하여 당길 수 있도록, 블록(134)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물론, 푸쉬리브(143)는 로봇암부재(141)에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융착커터(142)는 푸쉬리브(143)에 의해 설정 거리만큼 당겨진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접합하며 절단하여 메쉬링(16)을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융착커터(142)는 본체(110) 또는 프레임(131)에 구비되는데,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각 외측에 일대일로 배치된다. 그래서, 융착커터(142)가 간격을 좁히도록 작동되며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접하게 한 후 융착하면서 절단한다. 이에 따라, 메쉬링(16)이 제작된다.
이때, 메쉬링(16)은 한 쌍의 푸쉬리브(143)에 의해 이송된다.
특히, 메쉬망성형부(140)는 금형(144)과 돌출핀(145)을 포함한다.
금형(144)은 제작된 메쉬링(16)을 안착 후 이중 사출하여 유압회로용 필터(10)를 제작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금형(144)은 형개 상태에서 돌출핀(145)을 노출되게 구비한다.
돌출핀(145)은 푸쉬리브(143)에 의해 이송되는 메쉬링(16)이 안착된다. 즉, 메쉬링(16)은 돌출핀(145)의 둘레면에 끼워진다. 다시 말해서, 돌출핀(145)이 메쉬링(16)에 축 삽입된다. 이때, 메쉬링(16)이 대응되는 돌출핀(145)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푸쉬리브(143)의 위치가 센싱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푸쉬리브(143)가 좁혀지면, 메쉬링(16)은 낙하하며 돌출핀(145)에 끼워진다.
물론, 돌출핀(145)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 또는 메쉬망성형부(140)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가 접합 후 절단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절단센싱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절단센싱부재(150)는 융착커터(142)에 구비되어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가 접합 후 절단된 상태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중 사출 제작된 유압회로용 필터(10)는 브릿지(30)에 복수 개 구비된다. 그래서, 유압회로용 필터(10)는 브릿지(30)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체(110)는 사출 성형된 브릿지(30)에서 유압회로용 필터(10)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브릿지(30)는 사출액이 금형(144) 내부로 공급되어 유압회로용 필터(10)를 제작할 때 사출액의 유동 통로에서 굳어져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프루(sprue,32), 런너(runner,34), 게이트(gate,36), 및 스로트(throat,38)를 포함한다.
특히, 유압회로용 필터(10)는 스로트(38)에 부착되고, 스로트(38)는 유압회로용 필터(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가는 굵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분리부(160)는 이송지그(162), 탈거유도부재(164) 및 수거부재(164)를 포함한다.
이송지그(162)는 유압회로용 필터(10)를 부착한 브릿지(30)를 집어서 탈거유도부재(164) 측으로 이송 안내한다. 특히, 이송지그(162)는 브릿지(30)를 클램핑하도록 집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탈거유도부재(164)는 이송지그(162) 또는 브릿지(30)에 달린 유압회로용 필터(10)가 왕복해서 부딪힘으로써, 유압회로용 필터(10)가 브릿지(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탈거유도부재(16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수거부재(166)는 탈거유도부재(164)의 하측에 위치하여, 브릿지(30)로부터 이탈되는 유압회로용 필터(10)를 내부에 수용하는 파이프 형상이다.
이때, 수거부재(166)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9에서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회로용 필터(10)의 사출 성형방법은 메쉬망공급단계(S10), 메쉬망이송단계(S20), 메쉬링 성형단계(S30), 로딩단계(S40) 및 분리단계(S50)를 포함한다.
메쉬망공급단계(S10)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각각 동시에 공급하는 공정이다.
메쉬망이송단계(S20)는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동일 속도로 이송 안내하며,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안내하는 공정이다. 이때, 클램퍼(132)가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의 이송 속도를 제어한다.
메쉬링 성형단계(S30)는 단부끼리 연결되어 블록(134)에 걸려 대기 중인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설정 길이만큼 이송시킨 상태로 절단하면서 접합하여 메쉬링(16)을 성형하는 공정이다. 이때, 마주하는 한 쌍의 융착커터(142)가 벌어진 제 1메쉬망부재(22)와 제 2메쉬망부재(24)를 접하게 한 후 융착한다. 이로 인해, 메쉬링(16)이 제작된다.
또한, 로딩단계(S40)는 이웃한 한 쌍의 푸쉬리브(143)를 이용해서 메쉬링(16)을 로딩 후 금형(144)의 돌출핀(145)에 언로딩하는 공정이다.
아울러, 분리단계(S50)는 메쉬링(16)에 이중 사출된 브릿지(30)에서 유압회로용 필터(10)를 분리 배출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유압회로용 필터 12: 사출물
16: 메쉬링 22: 제 1메쉬망부재
24: 제 2메쉬망부재 30: 브릿지
32: 스프루 34: 런너
100: 사출 성형기 110: 본체
120: 공급부 130: 이송부
131: 프레임 132: 클램퍼
140: 메쉬망성형부 141: 로봇암부재
142: 융착커터 144: 금형
150: 절단센싱부재 160: 분리부
162: 안착지그 164: 탈거유도부재
166: 수거부재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동일 속도로 이송 안내하며,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대기 안내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서 단부끼리 연결된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설정 길이만큼 이송시킨 상태로 절단하면서 접합하여 메쉬링을 성형 후 상기 메쉬링을 금형의 돌출핀에 로딩하는 메쉬망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각각 통과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복수 개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이송을 단속하는 클램퍼;
    상기 프레임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릴부재; 및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를 연결한 상태로 대기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성형부는,
    상기 이송부에 대기 중인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연결부위를 설정 거리만큼 당길 수 있도록 푸쉬리브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푸쉬리브를 복수 개 구비하여 한꺼번에 하나 이상의 상기 메쉬링을 성형 후 이송하는 로봇암부재; 및
    상기 푸쉬리브에 의해 설정 거리만큼 당겨진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접합하며 절단하여 상기 메쉬링을 성형하는 융착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메쉬망성형부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가 접합 후 절단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절단센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출 성형된 브릿지에서 유압회로용 필터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6. 제 1메쉬망부재와 제 2메쉬망부재를 각각 공급하는 메쉬망공급단계;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이송부로써 동일 속도로 이송 안내하며,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대기 안내하는 메쉬망이송단계;
    단부끼리 연결된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설정 길이만큼 이송시킨 상태로 절단하면서 접합하여 메쉬링을 성형하는 메쉬링성형단계;
    상기 메쉬링을 금형의 돌출핀에 로딩하는 로딩단계; 및
    상기 메쉬링에 이중 사출된 브릿지에서 유압회로용 필터를 분리 배출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프레임;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를 각각 통과 안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복수 개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이송을 단속하는 클램퍼;
    상기 프레임에 복수 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가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릴부재; 및
    상기 제 1메쉬망부재와 상기 제 2메쉬망부재의 단부를 연결한 상태로 대기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방법.
KR1020150179132A 2015-12-15 2015-12-15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 KR10175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132A KR101752161B1 (ko) 2015-12-15 2015-12-15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132A KR101752161B1 (ko) 2015-12-15 2015-12-15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47A KR20170071147A (ko) 2017-06-23
KR101752161B1 true KR101752161B1 (ko) 2017-06-29

Family

ID=5928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132A KR101752161B1 (ko) 2015-12-15 2015-12-15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6651B (zh) * 2023-07-25 2024-03-22 宁波朗迪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过滤网罩的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20B1 (ko) * 2013-02-05 2014-04-08 김택동 유압회로용 필터의 제작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20B1 (ko) * 2013-02-05 2014-04-08 김택동 유압회로용 필터의 제작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47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317B2 (ja) 予備成形物を搬送するための設備、および該予備成形物を搬送するための方法
KR101831146B1 (ko) 자동화 지관 용기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컬링유닛
US9138820B2 (en) Wire aspiration device and wire recovery device
KR101752161B1 (ko)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및 이의 사출 성형방법
CN109789618B (zh) 多材料热流道喷嘴
TWI556764B (zh) 止擋構件成形裝置
US10124517B2 (en) Molding apparatus, method of molding, and molded products
JP2014189021A (ja) 金型成形品の取り出し装置および金型成形品の製造装置
TWI573538B (zh) 反開式拉鏈的製造方法及製造裝置
JP5009735B2 (ja) ラベルの搬送方法およびインモールド成形システム
KR101715862B1 (ko) 유압회로용 필터의 메쉬 성형장치
KR101594325B1 (ko) 너트 공급장치
KR101752162B1 (ko) 인렛 타입 유압회로용 필터의 사출 성형기
KR101383020B1 (ko) 유압회로용 필터의 제작금형
JP4377758B2 (ja) 加飾成型品の成形装置および方法
KR101912008B1 (ko) 피복선 삽입형 플렉시블 튜브와 그립 조립장치
JP6054111B2 (ja) タイヤ用コードプライ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
JP4509626B2 (ja) ガスメーターの圧力損失低減構造
JP5307521B2 (ja) 樹脂シートの熱成形装置
CN104070636B (zh) 换向器塑料套分离模具
KR100466327B1 (ko) 가열봉을 구비한 타이어 반제품 절단장치
KR102338089B1 (ko) 동파이프 축관 제조장치
KR101718899B1 (ko) 튜브체결구 제조장치
KR101435484B1 (ko) 천 삽입 사출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931528B1 (ko) 파이프 커넥터 소재 절단 및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