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979B1 - 원단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979B1
KR101751979B1 KR1020140148646A KR20140148646A KR101751979B1 KR 101751979 B1 KR101751979 B1 KR 101751979B1 KR 1020140148646 A KR1020140148646 A KR 1020140148646A KR 20140148646 A KR20140148646 A KR 20140148646A KR 101751979 B1 KR101751979 B1 KR 10175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tation shafts
shafts
disposed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477A (ko
Inventor
권홍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4014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9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3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with a stepwise down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향으로 이송된 원단을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단을 향해 각각 회전 가능한 제1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원단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단 적재장치{APPARATUS FOR LOADING TISSUE}
본 발명은 원단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 이송된 원단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및 제2 회전축을 회전하여 이송된 원단을 순차적으로 수직 낙하하여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 가능한 원단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wet tissue 또는 wet wiper)는 부직포에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식물성 방부제 및 향료 등을 첨가하여 피부 세척 기능을 하도록 만든 제품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아기의 분변 배출시 사용되는 물티슈,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청결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일회용 물수건 및 기타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일회용 제품을 통상 물티슈라 부른다.
이러한 물티슈는 인체의 피부에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동시에 피부에 잔재하는 이물질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제거력 및 향균성 또한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위생적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기호 및 목적에 따라 각종 약제를 첨가하여 약리효과를 얻도록 하는 기능성 물티슈 등이 생산되기도 한다.
물티슈를 제조하는 장치를 물티슈 제조장치라 하며, 물티슈는 그 형태에 따라 평면 타입(flat type) 및 롤 타입(roll type)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티슈 제조장치 역시 제조되는 물티슈의 형태에 따라 평면 타입 물티슈 제조장치와 롤 타입 물티슈 제조장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복수 매의 물티슈 제조장치는 필요 시, 즉석에서 제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티슈 제조장치는 정밀작동을 필요하므로 관리 및 사용 중에 부주의 등으로 인한 장치의 고장이 높아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8218호. 2009. 10. 15.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된 원단을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 가능한 원단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되는 원단의 뒤틀림을 최소화하여 적재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향으로 이송된 원단을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단을 향해 각각 회전 가능한 제1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원단을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외경을 따라 90도로 기립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과 따로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원단 적재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구동하우징의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나사홀에 삽입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을 승강 가능한 나사로드; 상기 구동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하우징과 함께 승강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연결브래킷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연결브래킷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로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의 하부에 위치하여 낙하되는 상기 원단을 지지하는 적재위치; 및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적재위치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단 적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을 각각 회전 구동하는 제1 및 제2 모터; 상기 나사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나사로드를 회전 구동하는 제3 모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 및 상기 실린더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적재위치에서 상기 제3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승하여 제1 적재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을 90도 회전하여 상기 원단을 상기 지지부재에 낙하시키며, 상기 제1 적재위치에서 상기 제3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제1 적재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제2 적재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을 90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원단의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편들이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재 및 각각 나란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지지편들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 이격 배치되되, 상기 원단 적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외측에 각각 기립설치되어 제1 및 제2 회전축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적재위치에서 상기 지지편들 사이에 위치하여 낙하하는 상기 원단의 양측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부를 통해 기설정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된 원단을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할 수 있다. 원단 적재장치는 전달부재의 상부로 이송된 원단을 90도 회전하여 원단의 자중에 의해 수직 낙하되어 지지부재의 상부로 가이드부재를 통해 안내되어 적재되므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원단 적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가 적재되는 원단의 높이에 따라 승강하여 원단의 낙하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적재되는 원단의 뒤틀림을 최소화하여 적재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원단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구비된 제어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원단 적재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티슈 제조공정은 공급부를 통해 롤 상태로 권취된 복수의 원단들을 길이방향으로 풀린 상태에서 60매로 중첩한 뒤, 분사부를 통해 원단에 액체를 분사한다. 원단은 부직포 또는 펄브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공급부를 통해 원단을 60매로 중첩되어 제조하는 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공급부의 설치개수 또는 배열에 따라 다른 개수로 원단을 중첩할 수 있다.
분사부는 공급부를 거쳐 이송된 원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단에 물을 분사한다. 분사부는 저장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하부에 형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원단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물은 정제수로서, 기타 보습제, 계면활성제, 식물성 방부제, 향료, 천연 향균물질 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약기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약제가 첨가될 수 있다.
분사부를 통과한 원단은 절단부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다. 절단된 원단들은 원단 적재장치를 통해 기설정된 매수, 예를 들어, 120매 또는 180매의 원단들로 적재될 수 있으며, 적재되는 과정은 이어지는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단 적재장치를 통과한 원단들은 중량선별기 및 금속검출기를 통해 중첩된 원단의 중량 및 금속검출 유무를 확인한 후, 포장부를 통해 포장됨으로써 물티슈 제조가 완료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원단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구비된 제어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 적재장치는 절단부를 통해 절단된 원단(예를 들어 60매로 중첩된 원단)은 제1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원단 적재장치로 이송된다. 원단 적재장치는 제1 이송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제2 이송 컨베이어는 원단 적재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원단 적재장치를 통해 기설정된 매수의 원단을 적재한 후, 후속 단계로 원단을 이송할 수 있다.
원단 적재장치(100)는 제1 이송 컨베이어(3)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프레임(11)과 전방프레임(11)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1 이송 컨베이어(3)를 향해 돌출되는 상부프레임(13) 및 상부프레임(13)의 양 측면에 각각 기립설치되어 상부프레임(13) 및 전방프레임(11)을 지지하는 측면프레임들(12)을 포함한다.
원단 적재장치(100)는 원단(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회전축(20, 30)과 제1 및 제2 회전축(20, 30) 상에 연결되어 이송된 원단(1)을 지지하는 전달부재(40) 및 전달부재(40)를 통해 낙하되는 원단(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원단(1)은 제1 이송 컨베이어(3)를 통해 전방을 향해 이송되며,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은 전방프레임(11)에 각각 지지되어 제1 이송 컨베이어(3)를 향해 돌출된다.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은 이송되는 원단(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전방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은 각각 제1 및 제2 모터(25, 35)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모터(25, 35)는 원단(1)을 향해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을 회전 구동한다.
전달부재(40)는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의 외경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설치되고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나란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회전축(20, 30) 상에 설치된 전달부재(40)가 제1 이송 컨베이어(3)와 수평방향에 위치할 경우, 제1 이송 컨베이어(3)를 통해 이송된 원단(1)은 제1 및 제2 회전축(20, 30) 상에 설치된 전달부재(40)의 상부로 이송된다.
또한, 전달부재(40)는 제1 및 제2 회전축(20, 30) 상에 각각 기립설치되며, 제1 및 제2 회전축(20, 30)과 따로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을 가짐으로써 절단부를 통해 60매로 중첩된 원단(1)들은 90도로 각각 배치된 전달부재(40)를 따라 하면과 측면이 맞닿은 상태로 이송된다. 한편, 전달부재(40)로 이송된 원단(1)의 전면은 상부프레임(13)의 하부에 기립설치된 차단부재(15)에 맞닿아 정지됨으로써 제1 이송 컨베이어(3)를 통해 각각 이송된 원단(1)들은 전달부재(40) 상의 동일위치에 순차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2 이송 컨베이어(8)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지지플레이트(5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대기위치에서 제2 이송 컨베이어(8)의 일측에 위치하며, 적재위치에서 전달부재(40) 상에 지지된 원단(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의 회전에 의해 낙하되는 원단(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원단(1)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을 가지며, 원단(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지지편(58)들을 구비한다. 지지편(58)들은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전달부재(4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지지편(58)들은 원통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50)의 일단부는 제2 이송 컨베이어(8)를 향해 돌출되며, 지지부재(50)의 타단부는 연결브래킷(60)에 연결된다. 연결브래킷(60)의 측면에는 구동하우징(70)이 설치되며, 구동하우징(70)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나사홀(72)이 관통형성된다. 나사로드(75)는 나사홀(72)에 삽입되며, 제3 모터(79)에 연결되어 나사로드(75)를 회전 구동하여 구동하우징(70)을 승강할 수 있다. 실린더(80)는 구동하우징(70)에 연결되어 구동하우징(70)과 함께 승강하며, 실린더로드(85)는 연결브래킷(60)에 연결되어 실린더(80)를 구동함으로써 지지부재(50)를 적재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원단 적재장치(100)는 지지플레이트(55)의 상면에 각각 기립설치되는 가이드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부재(45)는 원단이 이송되는 전달부재(40)의 수평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전달부재(40)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단부가 원단(1)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각각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재(45)가 설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의 회전에 의해 전달부재(40)로부터 지지부재(50)를 향해 원단(1)을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낙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기(90)는 제1 내지 제3 모터(25, 35, 79) 및 실린더(80)와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80)를 구동하여 지지부재(50)를 대기위치에서 적재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90)는 적재위치에서 제3 모터(79)를 구동하여 지지부재(50)를 제1 적재위치 및 제2 적재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제1 적재위치 및 제2 적재위치에서 제1 및 제2 모터(25, 35)를 구동하여 지지부재(50)에 원단(1)을 낙하시켜 원단(1)을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50)는 제2 이송 컨베이어(8)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이어지는 도면을 통해 원단(1)이 적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원단 적재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60매로 절단된 원단(1)이 이송되어 120매로 적층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송된 원단(1)의 매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적층과정을 변경하여 다양한 매수의 원단(1)을 적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송 컨베이어(3)를 통해 이송된 제1 원단(1a)은 제1 및 제2 회전축(20, 30)에 설치된 전달부재(40)의 상부로 이송되며, 제어기(90)는 제1 지지부재(50a)를 제2 이송 컨베이어(8)의 외측('대기위치')에서 실린더(80)를 구동하여 제2 이송 컨베이어(8)의 상부('작동위치)로 이송시킨다.
또한, 제어기(90)는 제3 모터(79)를 구동하여 나사로드(75)를 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함으로써 구동하우징(70)은 나사로드(75)를 따라 상승시켜 제1 지지부재(50a)를 제1 적재위치에 위치시킨다. 한편, 이송된 제1 원단(1a)는 차단부재(1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제1 적재위치에 놓여진 제1 지지부재(5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진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제1 지지부재(50a)가 제1 적재위치에 놓여질 경우, 제1 및 제2 모터(25, 35)를 90도 회전하여 전달부재(40)의 상부에 놓여진 제1 원단(1a)은 제1 지지부재(50a)를 향해 낙하되어 제1 지지부재(50a)의 상부에 안착된다. 전달부재(40)로부터 이탈된 제1 원단(1a)은 가이드부재(45)에 안내되어 제1 지지부재(50a)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낙하된다.
제1 원단(1a)이 제1 지지부재(50a)의 상면에 안착될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제3 모터(79)를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제1 지지부재(50a)를 제1 적재위치보다 낮은 제2 적재위치로 전환하며, 동시에 제1 이송 컨베이어(3)를 통해 이송된 다음 제2 원단(1b)은 다시 전달부재(40)의 상부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제1 및 제2 모터(25, 35)를 90도 회전함으로써 전달부재(40)의 상부에 놓여진 제2 원단(1b)은 제1 지지부재(50)의 상부에 놓여진 제1 원단(1a)의 상부에 낙하됨으로써 120매의 원단이 적재된다.
한편, 제1 원단(1a)과 제2 원단(1b)의 높이에 따라 제2 적재위치는 생략될 수 있으며, 적재위치로 전환된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실린더(80)를 구동하여 제1 지지부재(50a)를 대기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적층된 제1 및 제2 원단(1a, 1b)은 제2 이송컨베이어(8)를 통해 후속공정으로 이송된다. 또한, 이와 함께 제어기(90)는 제1 지지부재(50a)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2 지지부재(50b)를 대기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전환하여 적층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단 적재장치(100)는 절단부를 통해 기설정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된 원단을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할 수 있다. 원단 적재장치(100)는 전달부재(40)의 상부로 이송된 원단(1)(특히 복수로 적층된 원단들)을 90도 회전하여 원단(1)의 자중에 의해 수직 낙하되어 지지부재(50)의 상부로 가이드부재(45)를 통해 안내되어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0)가 적재되는 원단(1)의 높이에 따라 승강하여 원단(1)의 낙하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적재되는 원단(1)의 뒤틀림을 최소화하여 적재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원단 적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원단 3 : 제1 이송 컨베이어
8 : 제2 이송 컨베이어 15 : 차단부재
20 : 제1 회전축 25 : 제1 모터
30 : 제2 회전축 35 : 제2 모터
40 : 전달부재 45 : 가이드부재
50 : 지지부재 55 : 지지플레이트
58 : 지지편 60 : 연결브래킷
70 : 구동하우징 75 : 나사로드
79 : 제3 모터 80 : 실린더
85 : 실린더로드 90 : 제어기

Claims (5)

  1. 일방향으로 이송된 원단을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단을 향해 각각 회전 가능한 제1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달부재;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원단을 지지하는 적재위치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적재위치로부터 이탈되는 대기위치를 가지는, 지지부재;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을 각각 회전 구동하는 제1 및 제2 모터;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연결브래킷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나사홀을 가지는 구동하우징;
    상기 나사홀에 삽입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하우징을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나사로드;
    상기 나사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나사로드를 회전 구동하는 제3 모터;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적재위치에서 상기 제3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승하여 제1 적재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을 90도 회전하여 상기 원단을 상기 지지부재에 낙하시키며,
    상기 제1 적재위치에서 상기 제3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제1 적재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제2 적재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회전축을 90도로 회전하는, 원단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외경을 따라 90도로 기립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과 따로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인, 원단 적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적재장치는,
    상기 구동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하우징과 함께 승강 가능한 실린더; 및
    상기 연결브래킷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연결브래킷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적재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로 전환되는, 원단 적재장치.
  5. 일방향으로 이송된 원단을 기설정된 매수로 적재하는 원단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배치되며, 상기 원단을 향해 각각 회전 가능한 제1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원단을 지지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편들이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재 및 각각 나란한 방향에 위치한 상기 지지편들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 이격 배치되되,
    상기 원단 적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의 외측에 각각 기립설치되어 제1 및 제2 회전축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달부재의 하부에 위치하여 낙하되는 상기 원단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들 사이에 위치하여 낙하하는 상기 원단의 양측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단 적재장치.
KR1020140148646A 2014-10-29 2014-10-29 원단 적재장치 KR10175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46A KR101751979B1 (ko) 2014-10-29 2014-10-29 원단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46A KR101751979B1 (ko) 2014-10-29 2014-10-29 원단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477A KR20160050477A (ko) 2016-05-11
KR101751979B1 true KR101751979B1 (ko) 2017-06-30

Family

ID=5602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46A KR101751979B1 (ko) 2014-10-29 2014-10-29 원단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82B1 (ko) * 2018-03-30 2018-06-07 (주)오엠씨 시트 부착 보드용 회전식 표면 함몰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213A (ja) 2006-01-24 2007-08-09 Shintoku Kk 堆積物選択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213A (ja) 2006-01-24 2007-08-09 Shintoku Kk 堆積物選択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477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6058B (zh) 将片材切成适当型片的设备
EP2760745B1 (en) Method for converting a wrapping machine into a transport condition, and a wrapping machine
KR101751979B1 (ko) 원단 적재장치
CN109505077B (zh) 一种湿巾加工组合机构及其加工工艺
US8091816B2 (en) Round cotton module opener
EP1908710B1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products
KR101552915B1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롤원단 포장지 컷팅장치
KR101669039B1 (ko) 원단 적재장치
ITBO930271A1 (it) Dispositivo per l'alimentazione di pile di sbozzati ad un macchina utilizzatrice.
KR101648797B1 (ko) 상자 자동 세척장치
KR101648724B1 (ko) 원단 공급장치
KR101790440B1 (ko) 물티슈 제조장치
KR101933126B1 (ko) 소재 공급장치
KR101337309B1 (ko) 종이컵 제조장치
JP4288360B2 (ja) スポンジ板の自動送り装置及びスポンジ板洗浄装置
CN211967000U (zh) 一种自动翻转的竹片打磨设备
CN212475492U (zh) 一种可调无张力落布机
KR100922284B1 (ko) 과실세척기의 이송콘베어
EP2548539A1 (en) Absorptive article manufacturing device
CN102837984A (zh) 用于柔性卷材的自动送料和收料装置
JP3098329U (ja) トレー洗浄乾燥機
JP2015223136A (ja) 水耕パネ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CN211417835U (zh) 用于洁厕宝包装的自动双重同步压制机构
CN215159482U (zh) 一种网布加工用上料装置
CN215827061U (zh) 一种卫生用品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