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776B1 -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Google Patents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1776B1 KR101751776B1 KR1020150105853A KR20150105853A KR101751776B1 KR 101751776 B1 KR101751776 B1 KR 101751776B1 KR 1020150105853 A KR1020150105853 A KR 1020150105853A KR 20150105853 A KR20150105853 A KR 20150105853A KR 101751776 B1 KR101751776 B1 KR 1017517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plate
- bracket
- nut
- connection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215—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omprising metallic plates or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기둥브래킷(150); 상기 기둥브래킷(150)에 설치되는 브래킷플레이트(130); 상기 기둥브래킷(150) 내부에 매립되고 일단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외부로 노출되는 기둥브래킷철근(153); 및, 상기 기둥브래킷철근(153)의 일단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둥(100);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단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 외면으로 노출되는 보철근(210); 및, 상기 보철근(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플레이트(230)에는 하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므로,
상기 보(200)를 양중하여 수직하강시키면 상기 기둥(100)의 상기 너트(N)가 상기 슬롯(SL)의 개방된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200)의 자중으로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이 가능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ar bracket (150) projecting horizontally from an outer surface; A bracket plate 130 installed on the column bracket 150; A column bracket reinforcing bar 153 embedded in the column bracket 150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plate 130; And a nut (N)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lumn bracket reinforcing bar (153);
Two beam plates 230 installed at both ends; A bobbin 210 connecting the two beam plates 230 to each other and having an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am plate 230; And a nut (N) fastened to an end of the reinforcing bar (210);
, ≪ / RTI >
Since the beam SL is formed in the beam plate 230,
The nut N of the column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end of the slot SL when the beam 200 is vertically lowered,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capable of self-positioning by the weight of the beam 200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신축 또는 리모델링 과정에서 골조를 건식으로 조립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for dry-assembling a frame during a building expansion or remodeling process.
종래의 건축물의 경우 골조공사에 있어서 습식공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buildings, most of them are constructed by a wet method in the frame construction.
습식공법의 경우 과도한 폐자재 발생은 물론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증대되고 비숙련공의 경우 소정의 시공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the case of the wet method,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 as well as the excessive waste material occurrence, and the predetermined construction quality can not be maintained in the case of the unskilled worker.
그러나 본 수평증축을 위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는 철골과 PC 콘크리트의 hybrid 부재로 구성되므로 층고가 절감된다. 또한 건식 공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습식 공법의 문제점을 보완 하고자 한다.However,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s and beams for horizontal expansion is composed of a hybrid member of steel frame and PC concrete. In addition, we propose a dry metho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wet method.
따라서 본 발명자는 건물의 신축 또는 리모델링 과정에서 골조를 철골과 PC 콘크리트의 hybrid 부재를 사용하여 건식으로 조립하는 수평증축을 위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for horizontally enlarging the frame by dry-assembling the frame using a hybrid member of a steel frame and a PC concrete during the construction or remodeling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The purpose is as follows.
첫째, 골조를 건식으로 조립하되 연결부가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we want to provide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s and beams where the frame is self-positioned while the connection is self-positioning.
둘째, 고공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시공되므로 공사기간 감소 및 공사비 절약효과가 우수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it provides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which can be constructed safely and quickly at high altitudes,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aving construction cost.
셋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부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Thir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that can be easily re-installed and disassembled.
넷째, 소음 및 분진 등 환경오염요인이 적어 건물의 리모델과정에서 거주자의 이주 및 퇴거를 최소화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Fourth, we want to provide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s and beams that minimizes the migration and retirement of resident in the renovation process of the building due to low environmental pollution factors such as noise and dust.
다섯째, 정확한 치수 및 형상으로 지상 또는 공장에서 사전제작된 부재를 공사현장에서 건식으로 조립하되 수직도 및 수평도 등의 시공정밀도가 자동으로 맞춰지고 유지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Fifth, it provides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that is assembled by ground or factory prefabricated members with accurate dimensions and shape, and the construction accuracy is automatically adjusted and maintained,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degrees. I want to.
여섯째, 철골과 PC 콘크리트의 hybrid 부재로 구성되므로 층고가 절감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Sixth, we provide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which is composed of a hybrid member of steel frame and PC concret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기둥브래킷(150); 상기 기둥브래킷(150)에 설치되는 브래킷플레이트(130); 상기 기둥브래킷(150) 내부에 매립되고 일단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외부로 노출되는 기둥브래킷철근(153); 및, 상기 기둥브래킷철근(153)의 일단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둥(100);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llar bracket which is horizontally protruded from an outer surface thereof. A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단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 외면으로 노출되는 보철근(210); 및, 상기 보철근(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200);Two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 / RTI >
상기 보플레이트(230)에는 하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므로,Since the beam SL is formed in the
상기 보(200)를 양중하여 수직하강시키면 상기 기둥(100)의 상기 너트(N)가 상기 슬롯(SL)의 개방된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The nut N of the
상기 보(200)의 자중으로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이 가능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한다.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capable of self-positioning by the weight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첫째, 골조를 건식으로 조립하되 연결부가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한다.First, it provides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s and beams where the frame is self-positioned while the connection is self-positioning.
둘째, 고공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시공되므로 공사기간 감소 및 공사비 절약효과가 우수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it provides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which can be constructed safely and quickly at high altitudes,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aving construction cost.
셋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부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한다.Third, there is provided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and reusable members.
넷째, 소음 및 분진 등 환경오염요인이 적어 건물의 리모델과정에서 거주자의 이주 및 퇴거를 최소화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한다.Fourth, it provides Hybrid Self 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s and beams that minimizes the migration and eviction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renovating buildings due to low environmental pollution factors such as noise and dust.
다섯째, 정확한 치수 및 형상으로 지상 또는 공장에서 사전제작된 부재를 공사현장에서 건식으로 조립하되 수직도 및 수평도 등의 시공정밀도가 자동으로 맞춰지고 유지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한다.Fifth, it provides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that is assembled by ground or factory prefabricated members with accurate dimensions and shape, and the construction accuracy is automatically adjusted and maintained,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degrees. do.
여섯째, 철골과 PC 콘크리트의 hybrid 부재로 구성되므로 층고가 절감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를 제공한다.Sixth, because it is composed of a hybrid member of steel frame and PC concrete, it provides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that reduce floor height.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시공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7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시공과정을 단면상에서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내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에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코너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를 단면상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 내지 20은 도 17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과정을 단면상에서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내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에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코너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서 브래킷플레이트에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하거나 보플레이트 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한 실시예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서 기둥과 보에 각각 철골이 설치되고 사후 슬래브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서 기둥과 보에 모두 철골이 설치되지 않고 사후 슬래브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서 브래킷플레이트에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하거나 보플레이트 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한 다른 실시예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show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5 to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S. 8 and 9 show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section.
10 and 11 illustrate the colum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ternal column.
12 shows a case where the colum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dge column.
Fig. 13 shows a case where pilla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rner pillars.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Fig.
Figs. 16 and 17 show the construction step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igs. 18 to 20 show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shows a case where the colum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ner column.
Fig. 23 shows a case where pilla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dge pillars.
Fig. 24 shows a case where pilla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rner pillars.
FIG. 25 is an embodiment in which a guide plate is provided on the bracket plate or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is incl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steel frame is installed on columns and beams, and a concrete for a post-slab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concrete for a post-slab is installed without a steel frame installed on both columns and beams in the present invention.
28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guide plate is provided on the bracket plate or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시공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illustrate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시공과정을 단면상에서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FIGS. 8 and 9 illustrate the construction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section.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는,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기둥브래킷(150); 상기 기둥브래킷(150)에 설치되는 브래킷플레이트(130); 상기 기둥브래킷(150) 내부에 매립되고 일단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외부로 노출되는 기둥브래킷철근(153); 및, 상기 기둥브래킷철근(153)의 일단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둥(100);A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단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 외면으로 노출되는 보철근(210); 및, 상기 보철근(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200);Two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 / RTI >
상기 보플레이트(230)에는 하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므로,Since the beam SL is formed in the
상기 보(200)를 양중하여 수직하강시키면 상기 기둥(100)의 상기 너트(N)가 상기 슬롯(SL)의 개방된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The nut N of the
상기 보(200)의 자중으로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self-positioning is possible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도 5 내지 7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이다.5 to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Fig.
상기 보(200)에는 보콘크리트(250);가,In the
도 5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을 모두 감싸도록 타설되거나,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the
도 4, 26 및 27과 같이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 중 일부를 감싸도록 타설되어 슬래브용 콘크리트(미도시)가 타설될 공간을 남겨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4, 26 and 27,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그리고,And,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보철골(27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6,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도 7과 같이 상기 보철골(270)의 중단이 단절된 것(단부철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도 6의 전경간철골과 달리 고가인 철골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break of the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내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에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코너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FIGS. 10 and 11 show the case where the pilla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nal pillars, FIG. 12 shows the case where the pilla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dge pillars, FIG. 13 shows the pilla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rner column.
구체적으로 도 10 및 11은 4면에 브래킷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내부기둥의 예이고, 도 12는 3면에 브래킷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에지기둥의 예이며, 도 13은 2면에 직교하여 브래킷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코너기둥의 예이다.10 and 11 show an example of an inner column in which a
상기 기둥브래킷철근(153)은 타단이 상기 기둥브래킷(150) 내부를 관통하여 직선, ㄴ자 또는 ㄷ자 등의 형상으로 다른 브래킷플레이트(130)에 체결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180도) 또는 ㄴ자(90도) 후크 또는 데드엔드(확대머리) 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것이 시공상 바람직하다.The other end of the column
또한 정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25와 유사하게,Also, although not exactly shown, similar to Fig. 25,
본 발명은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과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이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과 접촉하여 하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측단에는 상기 보플레이트(230)가 수직도를 유지하며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GP);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guide plate GP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그리고 정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28과 유사하게,And, although not exactly shown, similar to FIG. 28,
상기 보플레이트(230)에 하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는 대신에,Instead of forming the slot SL opened at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보플레이트(230)에는 측단이 개방된 슬롯이 수평으로 형성되고.The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측단과 상기 보플레이트(230) 측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측단이 상기 보플레이트(230) 측단과 접촉하여 수평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At least one of the side of the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보플레이트(230)가 수직도를 유지하며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GP);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guide plate GP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도 14는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를 단면상에서 도시한 것이며,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Figs. 16 and 17 show the construction step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과정을 단면상에서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외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기둥브래킷(150); 상기 기둥브래킷(150)에 설치되는 브래킷플레이트(130); 상기 기둥브래킷(150) 내부에 매립되고 일단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외부로 노출되는 기둥브래킷철근(153); 및, 상기 기둥브래킷철근(153)의 일단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둥(100);Another embodiment of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lumn and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단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 외면으로 노출되는 보철근(210); 및, 상기 보철근(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200);Two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 / RTI >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에는 상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므로,Since the slot SL opened at the upper end is formed in the
상기 보(200)를 양중하여 수직하강시키면 상기 보(200)의 상기 너트(N)가 상기 슬롯(SL)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Since the nut (N) of the beam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end of the slot (SL) when vertically lowering the beam (200)
상기 보(200)의 자중으로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self-positioning is possible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그리고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철근(210)에 체결된 상기 너트(N)는 일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에 매립되어 또 다른 일부는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의 상기 슬롯(SL)에 매립되거나,15 (a), a portion of the nut N fastened to the reinforcing
도 15(b)와 같이 상기 보철근(210)에 체결된 상기 너트(N)는 모두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의 상기 슬롯(SL)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t N fastened to the
도 18 내지 20은 도 17의 다른 실시예로써,18 to 20 show another embodiment of Fig. 17,
도 19와 같이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보철골(27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19,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철골(270)의 중단이 단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reak of the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단부철골 및 전경간철골의 설명으로 대체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is superseded by the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end frame steel and fore steel frame steel.
도 26은 본 발명에서 기둥과 보에 각각 철골이 설치되고 사후 슬래브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2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eel frame is installed on pillars and beams and concrete for a post slab is installed on the pillars and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에서 기둥과 보에 모두 철골이 설치되지 않고 사후 슬래브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2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concrete for a post-slab is installed without a steel frame installed on both columns and beams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보(200)에는 보콘크리트(250);가,In the
도 18과 같이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을 모두 감싸도록 타설되거나,As shown in FIG. 18,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도 17, 26 및 27과 같이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 중 일부를 감싸도록 타설되어 슬래브용 콘크리트(미도시)가 타설될 공간을 남겨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7, 26 and 27, a space is formed in which a plurality of
도 18의 실시예는 슬래브용 콘크리트를 타설할 필요가 없는 파이프렉구조(pipe rack structure) 등에 주로 사용된다.The embodiment of FIG. 18 is mainly used for a pipe rack structure and the like which do not need to install concrete for slabs.
도 2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내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에지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이 코너기둥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FIG. 22 shows the case where the colum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nal column, FIG. 23 shows a case where the colum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dge column, FIG. 24 shows the case where the colum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ner column . ≪ / RTI >
도 25는 본 발명에서 브래킷플레이트에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하거나 보플레이트 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한 실시예이다.FIG. 25 is an embodiment in which a guide plate is provided on the bracket plate or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is incl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과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이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과 접촉하여 하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As shown in the figure,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측단에는 상기 보플레이트(230)가 수직도를 유지하며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GP);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guide plate GP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도 28은 본 발명에서 브래킷플레이트에 가이드플레이트를 설치하거나 보플레이트 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한 다른 실시예이다.28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guide plate is provided on the bracket plate or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에 상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는 대신에,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forming a slot SL having an open upper end in the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에는 측단이 개방된 슬롯(SL`)이 수평으로 형성되고.The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측단과 상기 보플레이트(230) 측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측단이 상기 보플레이트(230) 측단과 접촉하여 수평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At least one of the side of the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보플레이트(230)가 수직도를 유지하며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GP);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guide plate GP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N: 너트
SL, SL`: 슬롯
GP: 가이드플레이트
100: 기둥
130: 브래킷플레이트
150: 기둥브래킷
153: 기둥브래킷철근
200: 보
210: 보철근
230: 보플레이트
250: 보콘크리트
270: 보철골N: Nut
SL, SL`: Slot
GP: Guide plate
100: Column
130: Bracket plate
150: Column bracket
153: Column bracket reinforcing bars
200: Bo
210:
230: beam plate
250: Beam concrete
270:
Claims (13)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단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 외면으로 노출되는 보철근(210); 및, 상기 보철근(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플레이트(230)에는 하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므로,
상기 보(200)를 양중하여 수직하강시키면 상기 기둥(100)의 상기 너트(N)가 상기 슬롯(SL)의 개방된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200)의 자중으로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과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이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과 접촉하여 하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A column bracket 150 projecting horizontally from the outer surface; A bracket plate 130 installed on the column bracket 150; A column bracket reinforcing bar 153 embedded in the column bracket 150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plate 130; And a nut (N)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lumn bracket reinforcing bar (153);
Two beam plates 230 installed at both ends; A bobbin 210 connecting the two beam plates 230 to each other and having an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am plate 230; And a nut (N) fastened to an end of the reinforcing bar (210);
, ≪ / RTI >
Since the beam SL is formed in the beam plate 230,
The nut N of the column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end of the slot SL when the beam 200 is vertically lowered,
The self-positioning of the beam 200 is possible,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plate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230 is sloped to facilitate lowering of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plate 130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230. [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s and beams.
상기 보(200)에는 보콘크리트(250);가,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을 모두 감싸도록 타설되거나,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 중 일부를 감싸도록 타설되어 슬래브용 콘크리트(미도시)가 타설될 공간을 남겨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beam 200, a beam concrete 250,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ars 210 are installed to surround all of the reinforcing bars 210,
And a space for placing a concrete (not shown) for slab is plac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bobbin reinforcements (21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보철골(27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support beam (270)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beam plates (230) to each other.
상기 보철골(270)의 중단이 단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4.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break of the bobbin (270) is disconnected.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단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 외면으로 노출되는 보철근(210); 및, 상기 보철근(21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에는 상단이 개방된 슬롯(SL)이 형성되므로,
상기 보(200)를 양중하여 수직하강시키면 상기 보(200)의 상기 너트(N)가 상기 슬롯(SL)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200)의 자중으로 셀프포지셔닝(self-positioning)이 가능하고,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과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 상단이 상기 보플레이트(230) 하단과 접촉하여 하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A column bracket 150 projecting horizontally from the outer surface; A bracket plate 130 installed on the column bracket 150; A column bracket reinforcing bar 153 embedded in the column bracket 150 and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plate 130; And a nut (N)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lumn bracket reinforcing bar (153);
Two beam plates 230 installed at both ends; A bobbin 210 connecting the two beam plates 230 to each other and having an e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am plate 230; And a nut (N) fastened to an end of the reinforcing bar (210);
, ≪ / RTI >
Since the slot SL opened at the upper end is formed in the bracket plate 130,
Since the nut (N) of the beam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end of the slot (SL) when vertically lowering the beam (200)
It is possible to perform self-positioning by the weight of the beam 200,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plate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230 is sloped to facilitate lowering of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plate 130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eam plate 230. [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s and beams.
상기 보(200)에는 보콘크리트(250);가,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을 모두 감싸도록 타설되거나,
다수개의 상기 보철근(210) 중 일부를 감싸도록 타설되어 슬래브용 콘크리트(미도시)가 타설될 공간을 남겨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beam 200, a beam concrete 250,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ars 210 are installed to surround all of the reinforcing bars 210,
And a space for placing a concrete (not shown) for slab is plac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bobbin reinforcements (210).
상기 2개의 보플레이트(230) 상호간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보철골(27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nd a support beam (270)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beam plates (230) to each other.
상기 보철골(270)의 중단이 단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break of the bobbin (270) is disconnected.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on structure of a column and a beam.
상기 보철근(210)에 체결된 상기 너트(N)는 일부가 상기 보플레이트(230)에 매립되어 또 다른 일부는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의 상기 슬롯(SL)에 매립되거나,
상기 보철근(210)에 체결된 상기 너트(N)는 모두 상기 브래킷플레이트(130)의 상기 슬롯(SL)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의 하이브리드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 part of the nut N fastened to the reinforcement bar 210 is buried in the beam plate 230 and another part of the nut N is buried in the slot SL of the bracket plate 130,
Wherein the nut (N) fastened to the rebar (210) is embedded in the slot (SL) of the bracket plate (1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853A KR101751776B1 (en) | 2015-07-27 | 2015-07-27 |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5853A KR101751776B1 (en) | 2015-07-27 | 2015-07-27 |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3455A KR20170013455A (en) | 2017-02-07 |
KR101751776B1 true KR101751776B1 (en) | 2017-06-30 |
Family
ID=5810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58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1776B1 (en) | 2015-07-27 | 2015-07-27 |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7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83265B2 (en) | 2017-05-31 | 2021-01-05 | Meadow Burke, Llc |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CN110029729B (en) * | 2019-04-04 | 2021-03-12 | 山东大学 | Splicing joint of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main beam and secondary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
US11492797B2 (en) * | 2020-03-05 | 2022-11-08 | Meadow Burke, Llc |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US12110678B2 (en) | 2020-07-09 | 2024-10-08 | Meadow Burke, Llc | Reinforcement for a connector in a precast concrete panel |
CN113187095B (en) * | 2021-04-15 | 2022-05-17 | 浙江信宇建设集团有限公司 | Concrete beam bracket joint conne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4319583B (en) * | 2021-12-20 | 2024-06-28 | 宁波市电力设计院有限公司 | Conne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frame beam and prefabricated frame colum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4845Y1 (en) * | 2002-02-20 | 2002-08-10 | 이연희 | Bonding device of high strength steel structure |
KR100739932B1 (en) * | 2006-10-26 | 2007-07-16 |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 Combined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2935B1 (en) | 2005-05-04 | 2006-09-13 | 삼성물산 주식회사 | Horizontal extension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1379280B1 (en) | 2013-10-25 | 2014-04-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orizontal expansion unit module systems and construction methods |
-
2015
- 2015-07-27 KR KR1020150105853A patent/KR1017517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4845Y1 (en) * | 2002-02-20 | 2002-08-10 | 이연희 | Bonding device of high strength steel structure |
KR100739932B1 (en) * | 2006-10-26 | 2007-07-16 |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 Combined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3455A (en) | 2017-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1776B1 (en) |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
KR101572926B1 (en) | the steel-concrete hybrid precast concrete beam connecting structure for a horizontal extending a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574253B1 (en) | A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a twin wall structure using a PC panel | |
CN108005264B (en) | Steel frame constraint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structure and preparation and installation methods | |
KR101308053B1 (en) |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 |
KR101665622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eel-concrete hyb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 |
KR101691635B1 (en) | the base template for the frame unit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 |
CN107859403A (en) | A kind of assembled arthitecutral structure | |
KR20200132159A (en) | Slim transfer ma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reverse drop panel | |
KR101742539B1 (en) | Frame for clean room | |
KR101675022B1 (en) | the hybrid joint construction between column and beam, the hybrid joint construction between girder and beam | |
KR101700950B1 (en) | the hybrid steel joint construction between column and beam | |
JP6230272B2 (en) | Seismic wal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101665626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ybrid steel joint construction | |
KR101854847B1 (en) | the hybrid self-positioning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for a horizontal extending a building | |
KR101880813B1 (en) | A sandwitch pc pa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using thereof | |
JP6553855B2 (en) |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 |
JP2016089509A (en) |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eam member, height adjustment member for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eam member,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structure | |
JP6474572B2 (en) |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 |
KR101766805B1 (en) | the hybrid joint construction between column plate and column | |
KR101665628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hyb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 |
KR101308055B1 (en) |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 |
KR101420626B1 (en) | Structure using pre-cast panel | |
JP5102578B2 (en) | Building unit, unit typ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unit type building | |
KR101692151B1 (en) | A deck support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