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652B1 - 조적용 세로 규준대 - Google Patents

조적용 세로 규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652B1
KR101751652B1 KR1020160184620A KR20160184620A KR101751652B1 KR 101751652 B1 KR101751652 B1 KR 101751652B1 KR 1020160184620 A KR1020160184620 A KR 1020160184620A KR 20160184620 A KR20160184620 A KR 20160184620A KR 101751652 B1 KR101751652 B1 KR 101751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ubular body
vertical
compression spring
quick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정
Original Assignee
임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정 filed Critical 임호정
Priority to KR102016018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08Holders for bricklayers' lines, bricklayers' bars; Sloping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용 세로 규준대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는 세로 규준대(100)를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로 본체(1)를 구성하되, 크고 작은 관체로 구성하여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하고, 상기 본체(1)의 하부 내경에 압축스프링(3)과 함께 사각의 보조체(2)를 삽입 설치하여 압축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체(2)의 출몰이 가능하게 하며, 본체 외주면 일 측 하단에 발판(11)을 구비하여 본체(2)를 발끝으로 밟아 내릴 수 있게 함으로서 천장면(h)과 바닥면(e) 사이에 신속 간편하게 세로 규준대(100)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e)과 천장면(h) 사이에 설치할 때 매우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 조적 후에는 발판(11)을 지긋이 밟으면 본체(1) 상단이 천장면(h)에서 간단하게 이탈되기 때문에 철수 또한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휴대 또는 운반이나 보관이 손쉬운 등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조적용 세로 규준대{A screed of height length}
본 발명은 조적용 세로 규준대에 관한 것으로, 벽돌이나 블록, 패널 등을 수직으로 조적할 때 조적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천장사이에 간편하면서도 신속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 조적 후에는 철수가 손쉬우며, 분해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져 휴대, 운반, 사용, 보관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공사는 벽돌 및 블록 등의 조적체를 모르타르로 쌓아 벽체 또는 기타 구조체를 구축하는 공사이다. 이러한 조적공사를 하고자 할 때는 먼저 조적하고자 하는 위치 양측에 수직으로 먹줄을 설치한 다음 벽돌이나 블록 등의 조적체를 조적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먹줄을 설치 후 조적을 하게 되면 먹줄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제법 흔들리는데다가 벽돌이나 블록이 조적과정에서 닿거나 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먹줄이 수직으로 올바르게 유지되지 못하여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인 조적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와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별도로 세로규준대를 제작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실용신안등록 제0457328호와 실용신안등록 제0467285호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고안 제0457328호와 실용신안등록 제0467285호는 본체를 2단 단차지게 형성하여 상부에 조립되는 파이프 굵기를 작업현장이나 상황에 따라 교환 장착할 수 있게 하고, 또 본체 하단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볼트를 분해 조립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나, 이는 구조적 특성상 바닥면과 천장사이에 설치시 볼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가며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과 함께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폐단이 따를 수밖에 없고, 또 조적이 완료된 후 철수시에도 일일이 볼트를 돌려 철수해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불편함과 함께 시간이 과다 소요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1. 실용신안등록 제20-0457328호(2011.12.08.등록) "조적용 서포트" 2. 실용신안등록 제20-0467285호(2013.05.29.등록)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특히 본체 외주면 일 측 하단에 발판을 구비하여 설치 또는 해체시 본체를 발끝으로 밟아 내릴 수 있게 함으로서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에 힘들이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세로 규준대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세로 규준대를 하부에 삽입관체가 구비된 상부관체와 하부관체로 2등분 구성하여 휴대, 이동시에는 분리하여 길이를 반으로 줄여 휴대, 이동하고, 사용시에는 분리된 것을 연결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서, 휴대, 운반, 보관, 사용이 모두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
또 상기 상부관체 하부에 구비된 삽입관체에 의해 조적하고자 하는 곳의 높이에 따른 길이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서 조적이나 미장작업 공간의 천장면의 높이변화에 따른 조절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벽돌이나 블록을 조적하고자 할 때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세로 규준대에 있어서,
세로 규준대(100)를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로 본체(1)를 구성하되, 상기 본체(1)의 하부 내경에 압축스프링(3)과 함께 사각의 보조체(2)를 삽입 설치하여 압축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체(2)의 출몰이 가능하게 하고, 본체 외주면 일 측 하단에 발판(11)을 구비하여 본체(1)를 발끝으로 밟아 내릴 수 있게 함으로서 천장면(h)과 바닥면(e) 사이에 신속 간편하게 세로 규준대(100)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세로 규준대(100) 본체(1)를 하부관체(1a)와 상부관체(1b)로 분리구성하되, 상부관체(1b) 하부에 하부관체(1a) 상부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관부(1b')를 형성하고, 하부관체(1a) 외주면 일 측 상부에 관통된 나사구멍을 가진 체결부(12)와 내경부분에 스페이서(4)를 설치 구성하며, 상기 체결부(12)에 손잡이가 구비된 볼트(13)를 체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관부(1b')를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여 조적하고자 하는 곳의 높이에 따른 길이 조절과, 휴대 또는 운반 보관시에는 상부관체(1b)와 하부관체(1a)를 분리하여 휴대 또는 운반 보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적용 세로 규준대(100)는 본체(1)에 발판(11)이 구비되어 있는데다가 본체(1) 하부에 압축스프링(3)과 함께 보조체(2)가 설치된 구성이기에 조적하고자 하는 건물의 바닥면(e)과 천장면(h) 사이에 설치할 때 매우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 조적 후에도 발판(11)을 지긋이 밟으면 본체(1) 상단이 천장면(h)에서 이탈되기 때문에 철수가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업성과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게 된다.
또한, 본체(1)를 하부관체(1a)와 하단에 삽입관부(1b')를 가진 상부관체(1b)로 분리 구성함으로서 휴대 및 보관, 사용 등 취급이 모두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벽돌이나 블록 등의 조적체를 엇쌓기 또는 정쌓기 방식으로 벽을 쌓을 때 양 측단에 수직으로 세워 벽돌이나 블록 등을 신속정확하게 쌓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세로 규준대(100)로서 이를 첨부도면 도1~도5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1은 사시도이고, 도2는 단면도이며, 도3은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로 형성되고, 외주면 하단 일 측에 발끝으로 밟아 내릴 수 있도록 직각으로 돌출 형성한 발판(11)이 구비된 본체(1)와, 상기 본체(1)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이 제어되고 하단은 후술하는 보조체(2) 하단 내부에 삽입 제어되는 압축스프링(3)과, 상기 압축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1) 하단 내부로 출몰되도록 형성된 보조체(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로규준대(100)는 벽돌이나 블록을 조적할 장소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 다음 벽돌이나 블록을 조적하면 된다. 상기 세로규준대(100)를 세울 때는 먼저 조적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발판(11)이 외부로 노출되게끔 방향을 설정한 상태에서 보조체(2)의 하단을 바닥면(e)에 대고 본체(1) 상측을 양 손으로 잡은 뒤 본체(1)를 꽉 잡고 아래로 끌어 내리면 보조체(2)와 본체(1)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본체(1)가 하강하게 됨으로 본체(1) 상단이 천장면(h)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세로규준대(100)를 수직이 되도록 조절한 뒤 본체(1)에서 손을 떼면 된다.
위와 같이 조적할 장소의 양측에 세로규준대(100)가 설치된 뒤에는 블록이나 벽돌을 쌓고, 다 쌓은 뒤에는 세로규준대(100)를 철수하는데, 이 때는 본체(1) 외주면 하단에 구비된 발판(11)을 한쪽 발끝으로 밟으면 천장(h)에 맞닿아 있던 본체(1) 상단이 천장(h)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손쉽게 철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체(2)가 압축스프링(3)에 의해 출몰되도록 형성된 것이기에 바닥면(e)과 천장면(h) 사이의 거리가 5~20cm의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설치사용에 별 무리가 없다.
도4~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4는 사시도이고, 도5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를 하부에 삽입관부(1b')가 구비된 하부관체(1a)와 상부관체(1a)로 안테나식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휴대시 본체(1)의 길이를 짧게 하여 간편하게 휴대, 운반 등을 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상하부관체(1b)(a)를 연결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서 취급과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따른다.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상하부관체(1b)(1a)는 하부관체(1a)에 상부관체(1b)의 하부에 위치한 삽입관부(1b')를 삽입한 뒤 볼트(13)로 체결하면 매우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며, 상기 삽입관부(1b') 외경이 하부관체(1a) 내경과 동일하여 유격이 최소화된다면 후술하는 스페이서(4)가 불필요하지만, 상부관체(1b)의 하부에 구비된 삽입관부(1b')가 하부관체(1a) 내경에 헐겁게 조립되는 경우에는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때는 하부관체(1a) 내경과 삽입관부(1b') 사이의 틈에 끼워 유격으로 인한 흔들림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별도의 스페이서(4)가 필요할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는 상부관체(1b) 내경에 삽입관체(1b')를 장착할 때도 필요하다.
또, 세로규준대(100)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상하부관체(1b)(1a)를 조립한 상태에서 설치 사용하는데, 천장면(h)의 높이가 다소 높아 상하부관체(1b)(1a)를 조립한 상태에서도 천장높이가 남을 경우에는 하부관체(1a) 상단의 체결부(12)에 체결된 손잡이가 구비된 볼트(13)를 풀어 삽입관부(1b')를 더 인출시킴으로서 본체(1)의 길이를 더 길게 한 뒤 풀었던 볼트(13)를 다시 체결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발판(11)이 외부로 노출되게끔 방향을 설정한 다음 보조체(2)의 하단을 바닥면(e)에 대고 본체(1) 상측을 양 손으로 잡은 뒤 본체(1)를 꽉 잡고 아래로 끌어 내리면 보조체(2)와 본체(1)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3)이 압축되면서 본체(1)가 하강하게 됨으로 본체(1) 상단이 천장면(h)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세로규준대(100)를 수직이 되도록 조절한 뒤 본체(1)에서 손을 떼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어서 블록이나 벽돌을 다 쌓은 뒤에는 세로규준대(100)를 철수하는데, 이때는 본체(1) 외주면 하단에 구비된 발판(11)을 한쪽 발끝으로 밟으면 천장(h)에 맞닿아 있던 본체(1) 상단이 천장(h)으로부터 이격되게 됨으로 철수가 손쉽게 이루어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로 규준대(100)는 본체(1)에 발판(11)이 구비되어 있는데다가 본체(1) 하부에 압축스프링(3)과 함께 보조체(2)가 설치된 구성이기에 조적하고자 하는 건물의 바닥면(e)과 천장면(h) 사이에 매우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 조적 후 철수할 때는 발판(11)을 지긋이 밟으면 본체(1) 상단이 천장면(h)에서 손쉽게 이탈되어 철수 또한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과 신뢰성이 극대화 된다.
또한, 본체(1)를 상하부관체(1b)(1a)로 분리 구성하였음으로 휴대 및 사용이 원활할 뿐 벽돌이나 블록으로 조적작업시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 : 본체 1a, 1b : 관체 2 : 보조체
3 : 압축스프링 4 : 스페이서 11 : 발판
12 : 체결부 13 : 볼트 h : 천장면
e : 바닥면 100 : 세로 규준대

Claims (3)

  1.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로 되어 벽돌이나 블록을 조적하고자 할 때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세로 규준대에 있어서,
    길이가 긴 사각파이프로 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부 내경에 삽입 설치되어 보조체(2)의 출몰이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3), 그리고 상기 본체(1)의 하부 내경에 삽입되어 압축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되게 한 사각의 보조체(2) 및 상기 본체(1) 외주면 일 측 하단에 구비한 발판(11)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세로 규준대.
  2. 제1항에 있어서,
    세로 규준대(100) 본체(1)를 하부관체(1a)와 상부관체(1b)로 분리한 구성과, 상부관체(1b)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관체(1a) 상부에 삽입시키도록 된 삽입관부(1b')와, 하부관체(1a) 외주면 일 측 상부에 구비되어 손잡이를 가진 볼트(13)가 체결되도록 관통된 나사구멍을 가진 체결부(12)와, 상부관체(1b)와 삽입관부(1b'), 그리고 하부관체(1a)와 상부관체(1b)의 삽입관부(1b') 사이에 삽입 설치하여 본체의 길이조절 및 사용시 유격이 예방되게 한 스페이서(4)를 포함한 세로규준대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세로 규준대.
  3. 삭제
KR1020160184620A 2016-12-30 2016-12-30 조적용 세로 규준대 KR101751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620A KR101751652B1 (ko) 2016-12-30 2016-12-30 조적용 세로 규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620A KR101751652B1 (ko) 2016-12-30 2016-12-30 조적용 세로 규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652B1 true KR101751652B1 (ko) 2017-06-28

Family

ID=5928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620A KR101751652B1 (ko) 2016-12-30 2016-12-30 조적용 세로 규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62U (ko) 2019-08-05 2021-02-17 김국환 조적용 세로 규준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28Y1 (ko) * 2011-04-26 2011-12-15 강희준 조적용 서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28Y1 (ko) * 2011-04-26 2011-12-15 강희준 조적용 서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362U (ko) 2019-08-05 2021-02-17 김국환 조적용 세로 규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328Y1 (ko) 조적용 서포트
KR101751652B1 (ko) 조적용 세로 규준대
US3116919A (en) Large thin sheet handling tool
KR20200116398A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KR101276656B1 (ko) 잭 장치
CN213509634U (zh) 一种房屋建筑拱式支护体
KR102322571B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CN209976017U (zh) 一种伸缩式可周转卫生间降板定型模板
KR10131166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JP3941831B1 (ja) 断熱基礎
JP3154893U (ja) スリーブ
KR20090110021A (ko) 건축용 서포터
CN211647377U (zh) 一种建筑施工钢筋定位结构
KR200487309Y1 (ko)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20039459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998156B1 (ko) 블라인드 클립용 설치도구
JP2006169918A (ja) 配管設置用部材
KR20210000362U (ko) 조적용 세로 규준대
KR101399782B1 (ko) 기둥폼 지지장치
US7814607B1 (en) Concrete edger and keyway device
JP2005002788A (ja) 壁型枠等の建入れサポート方法
US2946360A (en) Concrete form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