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146B1 - 벨트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벨트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146B1
KR101751146B1 KR1020157007862A KR20157007862A KR101751146B1 KR 101751146 B1 KR101751146 B1 KR 101751146B1 KR 1020157007862 A KR1020157007862 A KR 1020157007862A KR 20157007862 A KR20157007862 A KR 20157007862A KR 101751146 B1 KR101751146 B1 KR 101751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elt
pulley
width
alignment
alignm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262A (ko
Inventor
리차드 제이 아담스
Original Assignee
게이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이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게이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5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2009/007Guides to prevent chain from slipping off the spr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s, Cam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은,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고 정렬 홈 깊이를 갖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그리고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치형부 폭을 갖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와; 와이어 형태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 상측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보다 회전 축선으로부터 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의 사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파편 분출 개구를 구비하는 정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 상기 정렬 부재 및 상기 정렬 홈은, 정렬 부재가 정렬 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벨트가 원주 방향 치형부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벨트 구동 시스템{BELT DRIVE SYSTEM}
벨트 구동 시스템, 특히, 사이클용 벨트 구동 시스템.
전 세계적으로 제조, 시판, 및 사용되고 있는 오토바이와 자전거를 포함하는 사이클의 압도적 다수는, 구동 샤프트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제 1 풀리와 후방 휠의 허브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제 2 풀리 사이에 동력을 제공하는 통상적인 체인을 구비한 구동렬(drive train)을 사용한다. 자전거 용례에서는, 제 1 풀리가 크랭크 세트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다. 이러한 체인은 제 1 풀리와 제 2 풀리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기에는 비교적 효과적이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단점으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기적인 윤활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 마모로 인해 체인의 동력 전달 효율이 저하된다는 점, 체인 링크 사이에 파편이 쌓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체인이 신장된다는 점, 그리고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는 점이 포함되며, 이로 인해 제 1 풀리 또는 제 2 풀리의 치형부가 추가로 마모될 수도 있어 교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체인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체인 기반 구동렬 시스템의 공지된 일 대안으로서, 벨트 구동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벨트 구동 시스템이 전술한 다수의 문제점을 극복하긴 하지만, 그 자체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벨트 구동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벨트 구동 시스템의 제 1 풀리와 제 2 풀리 사이의 비교적 정밀한 정렬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전거 조립체에서 다양한 제조자의 크랭크 세트와 허브가 혼합되어 짝을 이룰 수 있는 자전거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렬을 달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어, 정렬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정렬 정밀도가 낮은 자전거의 사용 중에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정확한 정렬의 상실의 결과, 공지된 벨트 구동 시스템의 벨트가 풀리에 대해 겉돌아 풀리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벨트와 풀리가 벨트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악화될 수 있다. 이러한 오정렬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된 일 방법은, 벨트가 풀리에 대해 겉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풀리의 주위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측면 부재를 제공하는 경우, 특히 두 개의 측면 부재를 제공하는 경우, 풀리의 제조가 복잡해지며, 중량이 증가되고, 풀리가 넓어질 뿐만 아니라 풀리의 비용이 증가된다. 공지된 벨트 구동 시스템의 또 다른 문제는 풀리의 치형부들 사이에 파편이 수집되어 효과적인 힘 전달을 방해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벨트가 풀리로부터 미끄러져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점은 각각 사이클 용례에서 그리고 특히 자전거 용례에서 심각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있는 다양한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려는 의도이다.
제 1 양태는,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고 정렬 홈 깊이를 갖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그리고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치형부 폭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와; 세장형의 무단 형태(endless form)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 상측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보다 회전 축선으로부터 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파편 분출 개구를 구비하는 정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 상기 정렬 부재 및 상기 정렬 홈은, 정렬 부재가 정렬 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벨트가 원주 방향 치형부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이다.
다른 양태는,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고 정렬 홈 깊이를 갖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그리고 상기 구동 벨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를 포함하는 자가 정렬식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회전 축선과 평행한 치형부 폭을 갖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와;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정렬 홈 깊이보다는 크지 않으며 정렬 홈 내부로 연장되는 거리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무단 정렬 부재와;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상기 정렬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파편 분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정렬식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이다.
또 다른 양태는, 크랭크 세트와; 후방 휠 허브와; 상기 크랭크 세트 및 후방 휠 허브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전거로서, 상기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은,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개별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구동 벨트와;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풀리 그리고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위해 자전거 크랭크 세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동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치형부 폭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위해 자전거 휠 허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구동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치형부 폭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기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파편 분출 개구를 구비하는 정렬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이다.
또 다른 양태는,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로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구동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치형부 폭을 갖고, 각기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와; 와이어 형태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회전 축선으로부터 원주 방향 치형부보다 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파편 분출 개구를 구비하는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이다.
또 다른 양태는,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내부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개별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고 정렬 홈 깊이를 갖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그리고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키트로서, 각각의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는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제1 풀리 및 제2 풀리 중 적어도 하나는,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폭을 갖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와;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회전 축선으로부터 원주 방향 치형부보다 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원통형 정렬 부재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 치형부, 정렬 부재 및 정렬 홈은, 정렬 부재가 정렬 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벨트가 원주 방향 치형부 상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키트이다.
본 발명은, 풀리의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며, 파편 수집 위험 없이 효과적인 힘 전달을 달성하고, 벨트와 풀리의 분리를 방지하는 벨트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이클, 특히, 풀리와 구동 벨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전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2 풀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선 3-3을 따라 취한 도 2의 제 2 풀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구동 벨트와 맞물린 도 1의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의 측입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7-7을 따라 취한 도 6의 제 2 풀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축 방향 오프셋을 예시하는 풀리의 일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벨트 러그-풀리 치형부 맞물림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은 치수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는 모든 예에서 용어 "대략"으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단수의 사용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또는"의 사용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및/또는"의 의미이다. 또한, 용어 "포함"뿐만 아니라 그 외 다른 형태 "포함하다" 및 "포함된"의 사용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요소" 또는 "구성 요소"와 같은 용어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일 유닛을 포함하는 요소 및 구성 요소 그리고 하나가 넘는 유닛을 포함하는 요소 및 구성 요소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여기 개시된 벨트 구동 시스템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토바이 및 자전거와 같은 사이클을 비롯하여 벨트 구동부를 사용하는 넓은 범위의 각종 장치에 대한 용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전거에 사용하기 위한 벨트 구동 시스템의 특정 장점으로 인해, 벨트 구동 시스템이 자전거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명시적으로 한정되지 않은 한, 비제한적인 의미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구동 벨트 시스템(12)을 구비하는 자전거(10)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전거(10)는 프레임(14)을 포함하며, 허브(18)를 구비한 후방 휠(16)이 후방 드롭-아웃(drop-out)(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자전거(10)는 크랭크 세트(20)를 추가로 포함한다. 벨트 구동 시스템(12)은, 크랭크 세트(20)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되어 크랭크 세트(20)와 공통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풀리(22)를 포함한다. 제 2 풀리(24)가 후방 휠 허브(18)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되어 공통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동기식 구동 벨트(26)가 제 1 풀리(22)와 제 2 풀리(24)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풀리(22)의 직경이 제 2 풀리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풀리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제 2 풀리의 직경이 제 1 풀리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기어비(gear ratio) 변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동축 풀리가 제 1 풀리 또는 제 2 풀리에 이웃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는 이웃한 풀리들 사이의 이동(shift)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방 변속기 또는 후방 변속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유형의 기어 후방 허브에 의해 전동장치(gearing)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벨트 구동 시스템(12)과 허브(18)로부터 제거된 제 2 풀리(24)의 사시도이다. 제 2 풀리(24)는 후방 휠(16)의 허브(18)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프레임(28)을 포함하며, 대향 측면(32, 34)을 구비한 원형 외부 테두리부(30), 허브 연결 링(36), 그리고 허브 연결 링(36)과 원형 외부 테두리부(30)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spoke)(37)를 포함한다. 제 2 풀리(24)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38)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치형부는 풀리 피치(PP)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치형부는 가변적인 간격의 러그(lug)를 구비한 구동 벨트와 짝을 이루도록 가변적인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치형부는 또한,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폭(W)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치형부의 폭이 구동 벨트의 폭과 동일하거나, 구동 벨트의 폭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긴 하지만, 치형부의 폭(W)은 구동 벨트(26)의 폭과 적어도 동일하다. 벨트와 치형부의 개개의 폭을 최소화하면서 벨트와 치형부 사이에서 전달되는 힘의 양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치형부의 폭과 벨트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각각의 치형부(3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26)의 이웃한 내부 러그(42)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러그들 사이의 공간이 치형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채워진다. 이러한 특징은, 풀리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벨트와 풀리 사이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러그는 벨트 피치(BP)로 이격 배치된다.
제 2 풀리(24)는,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며 세장형의 무단 형태를 갖는 정렬 부재(44)를 포함한다. 정렬 부재(44)는, 각각의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는, 구동 벨트(26)의 정렬 홈(46)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정렬 부재(44)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단부품의 19 게이지 강제 와이어와 같은, 길고 얇은 원통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렬 부재는 스프로켓 치형부 상측부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축선으로부터의 반경으로, 이웃한 스프로켓 치형부 상측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정렬 부재는 또한, 치형부 상측부의 반경보다 작지만 일반적으로 치형부 높이의 적어도 절반에 해당하는 반경보다는 큰 반경으로 이웃한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정렬 부재(44)가 치형부 홈(76)에 수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정렬 부재(44)는 제조 동안 치형부 상에서 "옮겨가는(walked)" 연속적인 강제 와이어 루프를 포함한다. 정렬 부재(44)는 치형부 위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경이 확장되도록 가열될 수 있다. 루프는, 예를 들어, 와이어의 길이의 양 단부를 함께 스폿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렬 부재(44)는 홈(76)과 맞물리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와이어의 "풀린(loose)" 단부들이 홈(76)에 매입됨으로써 이들 단부가 벨트를 간섭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는다. 단부는 스폿 용접이나 접착제에 의해, 또는 가압 간섭 끼워 맞춤에 의해 스프로켓 홈과 맞물릴 수도 있다. 와이어는 와이어 게이지 14(2.032 mm 직경)에서 와이어 게이지 25(0.5182 mm 직경)의 범위에 있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치수는 단지 예시로서만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와어어는 스테인리스 강, 강, 복합 재료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렬 부재(44)는 또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사각형, 타원형, 육각형, 삼각형 및 직사각형을 비롯하여 원통형을 제외한 임의의 적당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정렬 부재는 와이어를 포함할 필요는 없지만, 대신, 원형 스톡(stock), 원통형 스톡, 정사각형 스톡 또는 다른 금속 스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정렬 홈(46)은 평행한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벽은 내부에서의 정렬 부재(44)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홈(46)은 러그(42)를, 이웃하며 동일한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2 풀리(24)의 각각의 치형부가 테두리부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가 상이한 폭을 갖는 실시예에서, 치형부는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상이한 폭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2 풀리(24)의 각각의 치형부가 회전 축선(40)으로부터 정렬 부재(44)를 초과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만(도 6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는, 치형부가 동일한 거리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정렬 부재(44)가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원주 방향 치형부, 정렬 부재 및 정렬 홈은, 정렬 부재가 정렬 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벨트가 원주 방향 치형부 위에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원주 방향 치형부, 정렬 부재 및 정렬 홈이 정렬 부재 상에 또한 놓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정렬 부재가 이웃한 치형부(38)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와이어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풀리는 대략 11 mm의 폭(H)을 가지며, 치형부는 대략 11 mm의 폭을 갖는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치형부의 폭은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하다. 도 9에서, 정렬 홈의 폭(I)은 대략 1.5 mm이며, 정렬 부재의 폭(J)은 대략 1.0 mm이다. 일반적으로, 정렬 홈의 폭이 정렬 부재의 폭(J)보다 약간 넓어 약간의 맞물림 간극을 제공하긴 하지만, 벨트가 치형부의 폭을 따라 바람직하지 못한 크기로 겉돌도록 할 만큼 현저히 넓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정렬 홈의 폭(I)이 최소화됨으로써, 치형부와 맞물리기에 유용한 벨트 표면의 크기가 최대화되며 치형부와의 사이에서의 힘 전달을 위한 표면이 최대화된다. 정렬 홈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또한, 파편이 정렬 홈에 들어갈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벨트의 폭이 대략 11 mm인 것으로 가정하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정렬 홈의 폭(I)이 대략 1 mm 내지 3 mm일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략 1 mm 내지 2 mm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략 1 mm 내지 1.5 mm일 수도 있다. 정렬 부재는 일반적으로, 정렬 홈보다 대략 0.5 mm 작은 폭을 갖지만, 이러한 값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정렬 홈의 폭 대 벨트 폭의 비율은 1:3만큼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1:4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비율은 1:8, 1:10 또는 정렬 부재(44)의 직경에 기초한 제한치까지 심지어 더 작아질 수 있다. 정렬 부재의 폭 대 치형부의 폭의 비율은 또한, 1:3, 1:4, 1:10 또는 심지어 더 작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부재(44)는 정렬 홈의 바닥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정렬 부재와 정렬 홈의 바닥 사이의 거리(K)는 대략 0.75 mm이다. 이러한 구성은 산악 자전거와 같이 파편이 존재할 수도 있는 환경에서 벨트와 풀리 구동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유용하다. 이러한 공간은, 파편이 정렬 홈을 채우지는 않으며 이에 따라 벨트가 풀리로부터 분리되도록 강제할 가능성이 없는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의 파편 누적은 허용될 수 있도록 한다. 파편 누적이 거의 문제가 안 되는 다른 용례에서는, 정렬 부재가 스프로켓 치형부의 상측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정렬 홈의 전체 깊이에 걸쳐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는, 벨트가 정렬 부재 상에 놓이며 풀리 치형부의 표면에 위치하지 않도록 정렬 부재가 정렬 홈의 내부로 상당한 길이로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 링(36)과 테두리부(30) 사이에 선택 거리(예를 들어, 2 mm)의 축 방향 오프셋(48)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계단부에 의해 연결 링(36)과 복수 개의 스프로켓(37) 사이에 오프셋(48)이 제공된다. 대안으로, 각도상 오프셋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오프셋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오프셋의 목적은, 허브에 대한 연결 링의 부착 시에, 회전 축선을 따른 테두리부의 위치가 부착 동안 테두리의 대향 측면이 리딩(leading)하는지에 따라 변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 1 풀리(22)는 원형 외부 테두리부(30), 치형부(38) 및 정렬 부재(44)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상이한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풀리(22)의 프레임(50)은, 크랭크 세트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되는 수단을 추가로 형성하는, 다수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내향 연장 브라켓(52)으로 구성된다. 이들 브라켓은 제 2 풀리(24)와 관련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 방향 오프셋(48)과 동일한 방식으로 오프셋될 수도 있다. 홀(54; hole)은 크랭크 세트(20)에 대한 부착을 제공한다.
개시된 바와 같은 구동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지 제 1 풀리(22) 또는 제 2 풀리(24)가 정렬 부재(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이웃한 치형부들 사이에서 정렬 부재가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풀리가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 시에, 자전거의 특정 용례에서, 동기식 구동 벨트(26)의 러그(46)가 제 1 풀리(22) 및 제 2 풀리(24)의 각각의 이웃한 치형부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후방 휠이 크랭크 세트로의 힘 인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벨트의 정렬 홈(46)과 짝을 이루는 정렬 부재(44)에 의해 제 1 풀리(22) 및 제 2 풀리(24)에서 정렬이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전거에 사용되는 통상의 벨트 풀리에서 필요로 하는 측면 부재 또는 플랜지가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풀리의 폭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이것은 자전거 조립체에서 유효한 작은 공간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측면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자전거 디자인의 다른 중요한 인자인 풀리의 중량이 감소된다. 정렬 특징부는, 프레임이 정확한 사양으로 구축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프레임이나 풀리에 손상이 발생하여 다른 방식으로 풀리가 정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자전거에서 일반적인, 제 1 풀리와 제 2 풀리 사이의 상대적인 축 방향 변위(오정렬)를 허용한다. 또한, 자전거 제조자가 다양한 제조자의 크랭크 세트와 휠 세트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으며, 개개의 치수가 다소 변경될 수도 있어, 풀리의 약간의 오정렬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오정렬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에서 축 방향 오프셋을 제공함으로써, 또한, 정렬 홈과 정렬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벨트 구동 시스템을 사용하는 오토바이나 다른 장치와 같은 다른 용례에서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의 추가의 장점은 치형부의 영역에서 진흙과 파편이 분리되도록 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도 3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외부 테두리부(30)의 대향 측면(32, 34) 각각과 정렬 부재(44) 사이에서 연장되는 파편 배출 경로(56)에 의해 더 촉진된다. 파편 분출 개구(77) 또는 파편 분출 공간이 이웃한 치형부들 사이에서 정렬 부재의 바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파편 분출 개구(77)는 스프로켓의 평면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스프로켓의 평면은 회전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파편 분출 개구(77)는 파편 분출 경로(56)와 연통한다. 파편 배출 경로는 파편에 대한 장애물을 제거하여 풀리를 청소하도록 의도된다. 정렬 부재의 얇은 원통형 형상에 의해 이웃한 치형부들 사이의 파편 분출을 위한 최대 개방 공간을 남기면서 벨트 정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편 배출 경로(56)는, 풀리 테두리의 견부(shoulder)에 의한 차단을 방지하며 파편의 청소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테부리부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정렬 부재(44)로 경사진다. 곡면 또는 다른 파편 분리 구성이 또한 이러한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변형예에서, 돌출부(80)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80)는 세장형이며, 원통형일 수도 있고, 또는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반경 방향은 상기 반경과 교차하는 접선에 대해 평행하지 않지만 접선에 접근하는 라인까지 회전 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에 대하여 0°의 임의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도 범위는 90°는 아니지만 거의 90°에 이른다. 돌출부(80)는 이웃한 치형부(38)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돌출부(80)는 도 9의 "L"을 참조하면 회전 축선(40)으로부터의 정렬 부재(44)의 반경 방향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된다. 돌출부(80)는 벨트(26)가 스프로켓(22)과 스프로켓(24) 상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벨트(26)의 홈(76)과 협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돌출부(80)는 양 스프로켓(22, 24) 상에 또는 단지 하나의 스프로켓 상에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종속항이 독립항뿐만 아니라 선행 종속항 각각의 한정사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종속항인 것처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다양한 구성 요소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치환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명확하다.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히 도시 및 설명되고 있긴 하지만,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형태 변경 및 세부 사항의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기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여기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가 청구범위의 제약으로서 작용할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인용되고 있는 모든 참조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전체적으로 인용되고 있다.
10: 자전거 12: 구동 벨트 시스템
14: 프레임 16: 후방 휠
18: 허브 20: 크랭크 세트
22: 제 1 풀리 24: 제 2 풀리
26: 구동 벨트

Claims (24)

  1.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고 정렬 홈 깊이를 갖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그리고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
    를 포함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치형부 폭을 갖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 및
    세장형의 무단 형태(endless form)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 상측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보다 회전 축선으로부터 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파편 분출 개구를 구비하는 정렬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 상기 정렬 부재 및 상기 정렬 홈은, 정렬 부재가 정렬 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벨트가 원주 방향 치형부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정렬 부재가 정렬 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벨트가 정렬 부재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원주 방향 치형부, 정렬 부재 및 정렬 홈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테두리부의 대향 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정렬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파편 배출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파편 배출 경로는 상기 외부 테두리부의 대향 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정렬 부재 사이에 장애물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폭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렬 부재와 구동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렬 홈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홈은 러그의 중심에 마련되며, 각각의 치형부는 각각의 테두리부의 측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치형부는 회전 축선으로부터 정렬 부재를 초과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의 프레임은 테두리부와 연결 링 사이에 복수 개의 스포크(spoke)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연결 링과 테두리부 사이에 선택 거리의 축 방향 오프셋이 마련됨으로써, 회전 부재에 대한 연결 링의 부착 시에, 회전 축선을 따른 테두리부의 위치가 테두리부의 대향 측면이 리딩(leading)하는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풀리의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벨트 폭을 갖는 구동 벨트 및 이 구동 벨트 폭의 1/3 미만인 정렬 홈의 폭을 갖는 정렬 홈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벨트 폭을 갖는 구동 벨트 및 이 구동 벨트 폭의 1/4 미만인 정렬 홈의 폭을 갖는 정렬 홈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벨트 폭을 갖는 구동 벨트 및 이 구동 벨트 폭의 1/8 미만인 정렬 홈의 폭을 갖는 정렬 홈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벨트 폭을 갖는 구동 벨트 및 이 구동 벨트 폭의 1/10 미만인 정렬 홈의 폭을 갖는 정렬 홈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정렬 홈의 폭과 정렬 부재의 폭 사이의 간극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벨트는 11 m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6.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고 정렬 홈 깊이를 갖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그리고
    상기 구동 벨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
    를 포함하는 자가 정렬식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치형부 폭을 갖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
    세장형의 무단 형태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정렬 홈 깊이보다는 크지 않으며 정렬 홈 내부로 연장되는 거리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정렬 부재; 및
    상기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상기 정렬 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파편 분출 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정렬식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17. 크랭크 세트;
    후방 휠 허브; 그리고
    상기 크랭크 세트 및 후방 휠 허브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
    을 포함하는 자전거로서, 상기 풀리 및 구동 벨트 시스템은,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풀리; 그리고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풀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위해 자전거 크랭크 세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구동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치형부 폭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위해 자전거 휠 허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구동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치형부 폭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 중 적어도 하나는, 무단의 와이어 형태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파편 분출 개구를 구비하는 정렬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18.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로서, 상기 풀리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구동 벨트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치형부 폭을 갖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 그리고
    무단의 와이어 형태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회전 축선으로부터 원주 방향 치형부보다 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한 파편 분출 개구를 구비하는 정렬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테두리부의 대향 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정렬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는 파편 배출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파편 배출 경로는 상기 외부 테두리부의 대향 측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정렬 부재 사이에 장애물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폭의 1/3 미만의 폭을 갖는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폭의 1/4 미만의 폭을 갖는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폭의 1/8 미만의 폭을 갖는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의 폭의 1/10 미만의 폭을 갖는 정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하는, 구동 벨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풀리.
  24. 복수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내부 러그를 포함하며, 각각의 러그는 러그를 제 1 러그 세그먼트 및 제 2 러그 세그먼트로 분리하고 정렬 홈 깊이를 갖는 정렬 홈을 구비하는 것인 구동 벨트; 그리고
    각기 상기 구동 벨트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
    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키트로서, 상기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 중 적어도 하나는,
    대향 측면을 갖춘 원형 외부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테두리부의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기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폭을 갖고 상기 구동 벨트의 이웃한 러그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 방향 치형부; 그리고
    세장형의 무단 형태를 가지며, 이웃한 원주 방향 치형부들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정렬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회전 축선으로부터 원주 방향 치형부 상측부보다 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정렬 부재
    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 치형부, 정렬 부재 및 정렬 홈은, 정렬 부재가 정렬 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벨트가 원주 방향 치형부 상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키트.
KR1020157007862A 2012-08-28 2013-08-27 벨트 구동 시스템 KR101751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96,200 2012-08-28
US13/596,200 US8480109B1 (en) 2012-08-28 2012-08-28 Belt drive system
PCT/US2013/056782 WO2014035955A1 (en) 2012-08-28 2013-08-27 Belt driv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262A KR20150058262A (ko) 2015-05-28
KR101751146B1 true KR101751146B1 (ko) 2017-06-26

Family

ID=4870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862A KR101751146B1 (ko) 2012-08-28 2013-08-27 벨트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80109B1 (ko)
EP (1) EP2890916B1 (ko)
JP (1) JP6151783B2 (ko)
KR (1) KR101751146B1 (ko)
CN (1) CN104781585B (ko)
AU (1) AU2013309070B2 (ko)
BR (1) BR112015004638B1 (ko)
IN (1) IN2015DN01647A (ko)
RU (1) RU2597045C1 (ko)
WO (1) WO2014035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7903B (zh) * 2015-05-27 2017-04-11 傳誠技研有限公司 具有定位結構之皮帶與皮帶輪
CN105864395A (zh) * 2016-06-29 2016-08-17 陆先高 传动齿轮
US10088020B2 (en) * 2016-07-01 2018-10-02 Gates Corporation Belt drive system
US10400678B2 (en) * 2017-01-03 2019-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system for light-weight, flexible double-helical gear
US10578202B2 (en) * 2017-06-13 2020-03-03 Abb Schweiz Ag Sprocket for a synchronous drive belt system
DE102018107642B4 (de) * 2018-03-29 2019-12-24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Riementrieb
US11628895B1 (en) * 2019-12-30 2023-04-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procket for mobile robot track drive
USD959337S1 (en) * 2020-11-17 2022-08-02 Gates Corporation Spokes for sprocket
WO2023064359A1 (en) * 2021-10-12 2023-04-20 Gates Corpor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dustrial belt tracking
WO2024036286A1 (en) * 2022-08-10 2024-02-15 Gates Corporation Toothed belts including teeth with asymmetric prof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9831A1 (en) * 2009-09-01 2011-03-03 Lumpkin Wayne R Belt Driv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416A (en) 1897-06-29 Island
US438124A (en) 1890-10-07 Velocipede
US3338107A (en) 1965-02-15 1967-08-29 Kiekhaefer Corp Positive drive system
US3472563A (en) * 1967-11-22 1969-10-14 Outboard Marine Corp Vehicle track
US3888132A (en) * 1974-05-15 1975-06-10 Gates Rubber Co Positive drive belt and system
US4072062A (en) * 1976-12-27 1978-02-07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Self-cleaning sprocket
US4099737A (en) * 1977-04-27 1978-07-11 Dayco Corporation Bicycle belt drive system
US4119326A (en) 1977-06-10 1978-10-10 Porter John F Variable speed bicycle
JPS58182053U (ja) * 1982-05-31 1983-1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ベルト駆動装置
US4634409A (en) 1985-03-05 1987-01-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Idler pulley
US4846489A (en) 1985-12-31 1989-07-11 Ernest Kleinebenne Pedal-driven vehicle
JPS62170437U (ko) * 1986-04-16 1987-10-29
DE3909949C2 (de) * 1989-03-25 1993-12-23 Breco Kunststoff Riementrieb bestehend aus einem Zahnriemen und einer Zahnscheibe
RU2016290C1 (ru) * 1991-06-05 1994-07-15 Анатолий Иванович Турменко Зубчато-ременная передача
CH687272A5 (de) * 1993-03-02 1996-10-31 Rene Steinmetz Zahnriemenantrieb mit Fuehrungseinrichtung.
JPH06323383A (ja) * 1993-05-07 1994-11-25 Fuji Xerox Co Ltd 歯付ベルト伝導装置
KR100599150B1 (ko) * 2001-04-12 2006-07-12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열가소성 재킷 벨트
JP4688356B2 (ja) * 2001-07-03 2011-05-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走行装置およびこの弾性クローラ走行装置に用いる履帯用スプロケット
JP3964725B2 (ja) 2002-01-21 2007-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歯付きベルト伝動装置
DE10326512B4 (de) * 2003-06-06 2008-04-10 Aj Cybertron Gmbh Zahnriemenführung ohne Bordscheiben
US7254934B2 (en) 2005-03-24 2007-08-14 The Gates Corporation Endless belt with improved load carrying cord
USD545333S1 (en) 2006-02-07 2007-06-26 The Gates Corporation Sprocket
USD544894S1 (en) 2006-02-07 2007-06-19 The Gates Corporation Sprocket
USD592107S1 (en) 2007-07-17 2009-05-12 The Gates Corporation Sprocket
DE102010020527B4 (de) * 2010-05-14 2013-01-17 Ebert Kettenspanntechnik Gmbh Synchronriemengetrie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9831A1 (en) * 2009-09-01 2011-03-03 Lumpkin Wayne R Belt Driv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81585B (zh) 2018-07-20
EP2890916B1 (en) 2016-10-05
BR112015004638A2 (pt) 2017-07-04
RU2597045C1 (ru) 2016-09-10
AU2013309070B2 (en) 2015-10-01
JP2015526671A (ja) 2015-09-10
WO2014035955A1 (en) 2014-03-06
KR20150058262A (ko) 2015-05-28
BR112015004638B1 (pt) 2021-10-13
AU2013309070A1 (en) 2015-03-05
EP2890916A1 (en) 2015-07-08
CN104781585A (zh) 2015-07-15
IN2015DN01647A (ko) 2015-07-03
JP6151783B2 (ja) 2017-06-21
US8480109B1 (en)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146B1 (ko) 벨트 구동 시스템
EP2289792B1 (en) Belt drive system
CN105083461A (zh) 自行车链轮
EP3486157B1 (en) Belt drive system
US20160208903A1 (en) Chainrings with Alternating Tooth Thickness Offset
TW201328933A (zh) 具有非形成為一體之定心凸緣的皮帶驅動滑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