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881B1 -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881B1
KR101750881B1 KR1020150101167A KR20150101167A KR101750881B1 KR 101750881 B1 KR101750881 B1 KR 101750881B1 KR 1020150101167 A KR1020150101167 A KR 1020150101167A KR 20150101167 A KR20150101167 A KR 20150101167A KR 101750881 B1 KR101750881 B1 KR 10175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main body
molding di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219A (ko
Inventor
허성일
허남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구
Priority to KR102015010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p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16H21/22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 F16H21/2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with cams or additional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는 본체와, 공급부와, 가압부와, 이송부와, 상기 가압부와 이송부의 구동원이 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는 본체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오목하게 경사홈(1761-1)에 형성된 성형다이와 본체에 구비된 브라켓에 성형다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성형펀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성형다이와 반대측으로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는 본체에 설치되어 공급부에 적치된 종이판재를 성형다이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종이판재는 경사진 성형다이 상면에 공급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경사홈에 안착되고 성형펀치와 성형다이에 의하여 가압되어 성형되며, 성형된 종이재 컵뚜껑은 이송부에 의하여 공급되어 다음 종이판재에 의하여 하향 타격되어 경사진 성형다이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for paper cup cover}
본 발명은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부, 이송부, 가압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송부를 통해 종이판재의 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가압부가 경사지게 구비되어 성형된 종이재 컵뚜껑이 성형다이에서 자동으로 이탈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뚜껑은 레스토랑이나 커피숍 등과 같은 곳에서 테이블에 컵을 올려놓고, 컵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컵을 덮어 두는 컵뚜껑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컵뚜껑이 깨지거나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재질로 된 일회용 컵뚜껑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종이재 컵뚜껑(10)는 판상의 종이판재를 성형하여 절곡부(11)가 형성된 오목한 형태로 가공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오목하게 형성된 종이재 컵뚜껑(10)는 대량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803호(2002.09.1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공급부, 이송부, 가압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송부를 통해 종이판재의 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가압부가 경사지게 구비되어 성형된 종이재 컵뚜껑이 성형다이에서 자동으로 이탈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는 본체와, 공급부와, 가압부와, 이송부와, 상기 가압부와 이송부의 구동원이 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는 본체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오목하게 경사홈이 형성된 성형다이와 본체에 구비된 브라켓에 성형다이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펀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성형다이와 반대측으로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는 본체에 설치되어 공급부에 적치된 종이판재를 성형다이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종이판재는 경사진 성형다이 상면에 공급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경사홈에 안착되고 펀치와 성형다이에 의하여 가압되어 성형되며, 성형된 종이재 컵뚜껑은 이송부에 의하여 공급되어 다음 종이판재에 의하여 하향 타격되어 경사진 성형다이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에는 개구부로부터 공급부 하부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급홀이 형성되어 공급부에 상하 방향으로 적치된 종이판재의 일부가 공급홀을 통하여 하향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이송부는 본체 내에 설치되며 제1 흡착부가 구비된 제1 이송부와, 본체 외측에 설치되며 제2 흡착부가 구비된 제2 이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이송부는 공급홀을 통하여 하향 노출된 하단의 종이판재가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이송하며, 제2 이송부는 제1 이송부에 의하여 개구부로 노출된 종이판재를 제1 이송부로부터 인계받아 성형다이로 공급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제1 흡착부와 제1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구동부는 본체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축과, 상기 제1 축과 제2 이송부를 이루는 구동축에 각각 스프로켓과, 상기 복수의 스프로켓에 치합되어 구비되는 체인과, 상기 제1 축에 설치되는 제1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흡착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축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 제2 축과, 상기 제2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향 만곡 연장된 제1 구동부재와, 상기 제1 구동부재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캠의 전방을 위치하여 제1 캠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 롤러와, 일측은 상기 제1 구동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에 연결되어 제1 구동부재를 제1 축 쪽으로 당기도록 작동하는 제1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흡착부는 제1 구동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향하여 개구되어 하향 흡착하도록 구비되는 제1 흡착부재와, 제1 흡착부재에 연결된 제1 흡입관으로 이루어지며; 제1 축이 회전하면 제1 캠에 의하여 제1 구동부재는 제2 축을 회전 중심으로 공급홀과 개구부 사이를 왕복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축과 제2 축 사이이고 제1 축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에 구비되는 제3 축과, 상기 제3 축에 구비되는 제2 캠과, 제1 롤러의 하방으로 제1 구동부재에 회전 가능하며 제2 캠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 캠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 롤러와, 제2 롤러의 하부에서 일측이 제1 구동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에 연결되어 제1 구동부재를 하향으로 당기도록 작동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2 이송부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며 폭방향 양측에 크랭크부를 가지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며 측방에 회전축에 대하여 오목하게 편심홈이 형성되는 기어와, 일측 단부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향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편심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을 가지는 제2 구동부재와, 상기 제2 구동부재의 타측 단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제2 흡착연장부재와, 제2 흡착연장부재의 자유 단부에 하향 개구되어 상향 흡착하도록 구비되는 제2 흡착부재로 이루어져; 구동축이 회전하면 기어가 회전하면서 제2 구동부재는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하여 제1 이송부에서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이송되어 온 종이판재를 흡착하여 경사진 성형다이의 상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부는 본체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하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수의 브라켓과, 폭방향 양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고 하향 경사진 판상의 제2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사진 안내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된 봉상의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폭 방향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일측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크랭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와, 상단이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펀치연결부재와, 상기 펀치연결부재의 하단에 구비되는 펀치로 이루어져; 구동축이 회전하면 펀치부가 성형다이로 왕복운동하여 종이판재가 펀치와 성형다이 사이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공급홀이 형성된 위치에 구비되고, 높이조절부와 위치조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측에 구비되어 적치된 종이판재의 높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움직여 적치된 종이판재가 상기 높이조절부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는 공급부, 이송부, 가압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송부를 통해 종이판재가 한 장씩 가압부로 이송되어 펀치에 의한 성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가압부가 경사지게 구비되어 성형된 종이재 컵뚜껑이 성형다이에서 자동으로 이탈되어 컵뚜껑이 효율적으로 제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이재 컵뚜껑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이재 컵뚜껑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공급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제1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제1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제2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가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공급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제1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제1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제2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의 가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도 3에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며,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가압부(170)에서 공급부(110)로의 방향을 "후방"으로 하며, 공급부(110)에서 가압부(170)로의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는 본체(101)와, 공급부(110)와, 이송부와, 가압부(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1)는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1)는 상부 및 길이 방향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는 상기 본체(101)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01-1)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01-1)는 폭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본체(101)에는 공급부(110)와, 이송부와, 가압부(170)가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10)는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공급부(110)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부(170)의 성형다이(176)와 반대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공급부(110)는 높이조절부(113)와, 위치조절부(111)와, 제1 공급홈(1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113)는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13)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13)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13)는 제1 지지판(1131)과, 상하이동판(1133)과, 제1 받침부(1135)와, 상하조절부(1137)와, 상하이동부(1139)와, 제3 위치조절부재(1132)와, 제3 이동부(1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판(1131)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판(1131)은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의 단부에 폭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폭 방향 양단부는 상기 본체(101)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2 공급홈(1131-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급홈(1131-1)은 제1 공급홈(115)으로 형성된 공급홀(1151)과 연통된다.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절곡된 일측 단부에는 1개 또는 2개의 높이조절브라켓(1131-1)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131-1)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하부에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13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판(1133)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판(1133)은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판(113)의 상부에는 양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부(1133-5)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133-5)는 상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133-5)는 상기 상하이동판(1133)의 상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133-5)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33-5)의 폭 방향 양측에는 걸림부(1133-3)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33-3)는 상기 상하이동판(1133)의 상부가 하향으로 90°이상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33-3)는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상부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1133-3)는 상기 상하이동판(1133)이 하향하여 위치되는 최대 높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이동판(1133)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판(1133-1)이 구비된다. 상기 돌출판(1133-1)은 상기 제1 지지판(1131)에서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133-1)이 구비된 일측 단부와 돌출부(1133-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돌출판(1133-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받침부(1135)는 상기 상하이동판(1133)의 후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받침부(1135)는 상기 돌출판(1133-1)과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절곡된 타측 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받침부(1135)는 단면이 원호를 이루는 만곡진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1135)의 폭 방향 양단부는 후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1135)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부(1135-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135-1)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35-1)는 상기 상하이동판(1133)의 돌출부(1133-5)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133-1)는 고정부(1135-1)에 형성된 홀과 상기 돌출부(1133-5)에 형성된 홀에 핀이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는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양단부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일측 단부는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13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일측 단부에는 높이조절손잡이(1137-1)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손잡이(1137-1)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 구비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일측 단부는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131-1)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높이고정핀(1137-3)과 높이고정너트(1137-5)로 높이가 고정된다. 상기 높이고정핀(1137-3)과 높이고정너트(1137-5) 대신 볼트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타측 단부를 중심으로 일측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하이동부(1139)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113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1139)의 일측 단부는 상기 돌출부(1133-5)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1139)의 타측 단부는 상기 상하조절부(113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하이동부(1139)의 타측 단부는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폭 방향 중심부에 연결된다. 상기 상하이동부(1139)는 상기 상하이동판(1133)과 상하조절부(1137)를 연결하여 상기 상하조절부(1137)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이동판(113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3 위치조절부재(1132)는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131-1)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3 위치조절부재(1132)는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일측 단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3 위치조절부재(1132)의 일측 단부는 상기 돌출판(1133-1)에 폭 방향으로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3 이동부(1134)는 상기 높이조절브라켓(1131-1)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3 이동부(1134)는 폭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이동부(1134)의 홀에는 상기 제3 위치조절부재(1132)가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3 이동부(1134)에는 폭 방향으로 형성된 홀과 수직 방향으로 제3 이동부조절나사(1134-1)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이동부조절나사(1134-1)는 핀 또는 볼트 등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이동부조절나사(1134-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3 위치조절부재(1132)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 이동부(1134)와 제3 위치조절부재(1132)는 상기 상하이동판(1133)의 폭 방향 흔들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조절부(111)는 상기 높이조절부(113)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위치조절부(111)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움직여 적치된 종이판재가 상기 높이조절부(113)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조절부(111)는 길이 방향 이동부와 폭 방향 이동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 방향 이동부는 제1 위치조절부재(1111)와 제1 이동부(1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위치조절부재(1111)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위치조절부재(11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위치조절부재(1111)는 상기 제1 지지판(1131)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본체(10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위치조절부재(1111)는 상기 제1 이동부(1113)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부(1113)는 길이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이동부(1113)는 제1 위치조절부재(1111)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부(1113)에는 폭 방향으로 제1 이동부조절나사(1113-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부조절나사(1113-1)는 상기 제1 위치조절부재(1111)에서 길이 방향 이동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동부(1113)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위치조절부재(1115)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위치조절부재(1115)는 상기 높이조절부(113)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위치조절부재(1115)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위치조절부재(1115)는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 위치조절부재(1115)는 제2 이동부(1117)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부(1117)는 폭 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부(1117)의 길이 방향 후방에는 제2 이동부조절나사(1117-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부조절나사(1117-1)는 상기 제2 위치조절부재(1115)와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부조절나사(1117-1)는 상기 제2 이동부(1117)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부조절나사(1117-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위치조절부재(1115)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부조절나사(1117-1)는 폭 방향 이동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이동부(1117)의 전방에는 제2 받침부(1119)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받침부(111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받침부(1119)의 상단부는 후방으로 만곡 연장된다.
상기 제2 받침부(1119)의 후방에는 보조받침부(1119-1)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보조받침부(1119-1)는 상기 제2 이동부(1117)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조받침부(1119-1)와 제2 이동부(1117) 사이에는 스프링(1117-3)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받침부(1119-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받침부(1119-1)에 형성된 홀과 상기 스프링(1117-3)에는 높이조절나사(1117-5)가 하향 관통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나사(1117-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이동부(1117)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나사(1117-5)는 상기 제2 받침부(1119)의 상하 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홈(115)은 상기 높이조절부(113)와 위치조절부(11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급홈(115)은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공급부(110) 하부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급홀(115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홈(115)과 제2 공급홈(1131-3)은 연통되어 상기 공급홀(1151)이 연결 형성된다. 상기 공급홀(1151)에서는 상기 공급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적치된 종이판재의 일부가 상기 공급홀(1151)을 통하여 하향 노출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101)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부(110)에 적치된 종이판재를 가압부(17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부는 제1 이송부(130)와 제2 이송부(150)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송부(130)는 상기 공급홀(1151)을 통하여 하향 노출된 하단의 종이판재가 공급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이송한다. 상기 제1 이송부(130)는 본체(101)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이송부(130)는 제1 구동부(133)와 제1 흡착부(1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구동부(133)는 상기 제2 이송부(150)에 연결된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으로 구동된다. 상기 제1 구동부(133)는 제1 축(1337)과, 스프로켓과, 체인(1335)과, 제1 캠(13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축(1337)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축(1337)은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축(1337)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다. 상기 스프로켓은 상기 제1 축(1337)과 제2 이송부(150)를 이루는 구동축(1511)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축(1337)에는 제1 스프로켓(1331)이 구비된다. 상기 체인(1335)은 상기 스프로켓에 치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캠(1315)은 상기 제1 축(1337)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캠(1315)은 상기 제1 축(1337)의 양단부로부터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1 캠(1315)은 상기 공급홀(1151)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흡착부(131)는 제2 축(1316)과, 제1 구동부재(1311)와, 제1 롤러(1313)와, 제1 스프링(1319)과, 제3 축(1319-1)과, 제2 캠(1319)과, 제2 롤러(1317)와, 제2 스프링(1314)과, 제1 흡착부재(1318-3)와, 제1 흡입관(1318-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축(1316)은 상기 제1 축(1337)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축(1316)은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 축(1316)의 일측 단부는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축(1316)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부재(131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구동부재(1311)는 상향으로 만곡지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축(1316)이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의 타측 단부에는 제1 브라켓(1318)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브라켓(1318)은 블록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는 제1 롤러(13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롤러(1313)는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의 타측 단부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롤러(1313)는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롤러(1313)는 상기 제1 캠(1315)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롤러(1313)는 상기 제1 캠(1315)에 접하도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프링(1319)은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의 타측 단부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프링(1319)의 일측은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101)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스프링(1319)은 상기 제1 구동부재(1311)를 제1 축(1337) 쪽으로 당기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축(1319-1)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축(1337)과 제2 축(1316)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3 축(1319-1)은 상기 제1 축(1337)보다 전방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3 축(1319-1)은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3 축(1319-1)의 일측 단부는 제2 캠(1319)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3 축(1319-1)의 타측 단부는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캠(1319)은 상기 제3 축(1319-1)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캠(1319)은 상기 제3 축(1319-1)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캠(1319)은 상기 제1 롤러(1313)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롤러(1317)는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롤러(1317)는 상기 제1 롤러(1313)와 제2 캠(1319)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롤러(1317)는 상기 제1 롤러(1313)로부터 하향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롤러(1317)는 상기 제2 캠(1319)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롤러(1317)는 상기 제2 캠(1319)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프링(1314)은 상기 제2 롤러(1317)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프링(1314)의 일측은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10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1311)를 하향으로 당기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1 구동부재(1311)는 상기 제1 축(1337)이 회전하면 제1 캠(1315)에 의하여 제2 축(1316)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공급홀(1151)과 개구부 사이를 왕복하도록(B방향) 회전된다.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는 상기 제1 브라켓(1318)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는 상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에는 제1 흡입관(1318-1)이 연결된다. 상기 제1 흡입관(1318-1)이 연결되어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는 하향으로 흡착한다.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는 제1 흡입관(1318-1)이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컴프레서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흡입관(1318-1)에는 공기흡입 ON/OFF 밸브가 구비되다. 공기흡입 밸브가 ON일 때 공기가 흡입되고, OFF일 때 공기흡입이 정지된다.
상기 공기흡입 밸브는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가 상기 공급홀(1151)에서 개구부로 향할 때까지 ON으로 되며, 개구부에서 공급홀(1151)까지 OFF된다. 상기 공기흡입 밸브는 상기와 같이 반복되어 작동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부(150)는 상기 제1 이송부(130)에서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이송되어 온 종이판재를 흡착하여 가압부(170)로 이송한다. 상기 제2 이송부(150)는 제2 구동부(151)와 제2 흡착부(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구동부(151)는 상기 본체(101)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2 구동부(151)는 상기 제2 흡착부(153)를 전후방으로 왕복시킨다. 상기 제2 구동부(151)는 구동축(1511)과, 피니언(1513)과, 기어(1515)와, 제2 구동부재(1517)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1511)은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1511)은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1511)은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상기 구동축(1511)에는 폭 방향 양측에 크랭크부(1511-1)가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부(1511-1)에는 상기 가압부(170)의 회전부(175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1511)의 양단부에는 플라이휠(1511-3)이 고정 구비된다. 상기 플라이휠(1511-3)은 상기 제1 구동부(133)와 제2 구동부(151)의 구동 시 발생되는 저항을 줄이기 위해 질량이 크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1511)에는 양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제2 스프로켓(1333)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프로켓(1333)은 상기 제1 축(1337)에 구비된 제1 스프로켓(1331)과 체인(1335)으로 치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1511)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상기 제1 축(1337)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축(1511)에는 피니언(1513)이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1513)은 상기 제2 스프로켓(1331)과 크랭크부(1511-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기어(1515)는 상기 피니언(1513)과 치합하여 구비된다. 상기 기어(1515)는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어(1515)의 측방에는 회전축에 대하여 오목하게 편심홈(1515-1)이 형성된다. 상기 편심홈(1515-1)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1515-3)이 삽입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1515-3)은 상기 편심홈(15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 구동부재(1517)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구동부재(1517)는 상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구동부재(1517)의 일측 단부는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구동부재(1517)의 타측 단부에는 제2 흡착부(153)가 관통 구비된다. 상기 제2 구동부재(1517)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핀홈(1517-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홈(1517-1)은 상기 제2 구동부재(1517)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홈(1517-1)에는 상기 가이드핀(1515-3)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1515-3)은 상기 가이드핀홈(1517-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부(153)는 본체(101)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 흡착부(153)는 제2 흡착연장부재(1531)와, 제2 흡착부재(1535)와, 제2 흡입관(15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흡착연장부재(1531)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관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연장부재(1531)는 폭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연장부재(1531)는 상기 제2 구동부재(1517)의 타측 단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연장부재(1531)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흡입관(1533)이 연결된다. 상기 제2 흡착연장부재(1531)의 타측에는 상기 제2 흡착부재(1535)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부재(1535)는 상기 제2 흡착연장부재(1531)의 자유 단부에 하향 개구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부재(1535)는 상기 제1 흡착부재(1318-3)가 구비된 위치에 상향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흡착부재(1535)는 상기 제2 흡입관(1533)이 연결되어 상향 흡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부재(1535)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흡착부재(1535)는 제2 흡입관(1533)이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컴프레서와 연결된다. 상기 제2 흡입관(1533)에는 공기흡입 ON/OFF 밸브가 구비된다. 공기흡입 밸브가 ON일 때 공기가 흡입되고, OFF일 때 공기흡입이 정지된다.
상기 공기흡입 밸브는 상기 제2 흡착부재(1535)가 상기 개구부에서 가압부(170)의 성형다이(176)로 향할 때까지 ON으로 되며, 성형다이(176)에서 개구부까지 OFF된다. 상기 공기흡입 밸브는 상기와 같이 반복되어 작동된다.
상기 제2 이송부(150)는 상기 구동축(1511)이 회전하면 상기 기어(1515)가 회전하면서 제2 구동부재(1517)는 전후방으로 왕복 운동한다(C방향). 상기 제2 이송부(150)는 상기 제1 이송부(130)에서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이송되어 온 종이판재를 흡착하여 상기 가압부(170)의 성형다이(176)의 상부로 이송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70)는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170)는 상기 본체(101)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170)는 브라켓(171)과, 제2 지지판(173)과, 가이드부재(172)와, 상하이동부재(177)와, 연결부(175)와, 펀치연결부재(179)와, 펀치(174)와, 성형다이(176)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171)은 상기 본체의 연장부(101-1)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71)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71)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71)은 폭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71)에는 가이드홈(17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711)은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711)은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711)에는 상하이동부재(177)가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판(173)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판(173)은 상기 브라켓(17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판(173)의 폭 방향 양단은 상기 브라켓(171)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판(173)은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판(173)에는 가이드부재(172)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72)는 상기 제2 지지판(173)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72)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72)는 폭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72)에는 경사진 안내공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은 펀치연결부재(179)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77)는 봉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77)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77)는 상기 가이드홈(1711)을 관통하여 삽입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77)는 상기 가이드홈(171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77)의 양단은 상기 브라켓(171)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77)의 양단에는 연결부(175)의 회전부(175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75)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75)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75)는 상기 브라켓(171)의 외측에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75)는 상기 가이드홈(17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75)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부(1751)가 구비된다. 상기 회ㅈ넙주(1751)는 상기 상하이동부재(177)의 폭 방향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75)의 타측 단부는 상기 크랭크부(15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펀치연결부재(179)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펀치연결부재(179)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펀치연결부재(179)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펀치연결부재(179)는 폭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펀치연결부재(179)는 각각 상기 가이드부재(172)의 안내공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펀치연결부재(179)는 상기 안내공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편치연결부재(179)의 상단은 상기 상하이동부재(177)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펀치연결부재(179)의 하단은 상기 펀치(174)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펀치(174)는 상기 브라켓(17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펀치(174)는 상기 펀치연결부재(179)의 하단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펀치(174)의 하부에는 성형다이(176)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펀치부(1741)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부(1741)는 상기 성형다이(176)의 경사홈(1761-1)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격 구비된다. 상기 펀치(174)는 성형다이(176)와 마주하는 방향(A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성형다이(176)는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에 구비된다. 상기 성형다이(176)는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성형다이(176)에는 오목한 경사홈(1761-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홈(1761-1)은 상기 펀치부(1741)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경사홈(1761-1)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홈(1761-1)은 상향할 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성형다이(176)에는 성형홀(1767)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홀(1767)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성형홀(1767)은 상기 성형다이(176)에 상향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성형홀(1767)은 성형다이(17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성형홀(1767)이 형성된 경우, 상기 경사홈(1761-1)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성형홀(1767)에는 완충부재(1765)와 다이부재(1761)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1765)는 상기 성형홀(1767)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1765)로는 스프링 등이 이용된다. 상기 완충부재(1765)의 상부에는 다이부재(1761)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부재(1761)는 상기 성형홀(1767)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다이부재(1761)는 상기 성형홀(176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다이부재(1761)는 상기 완충부재(1765)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다이부재(1761)는 상기 완충부재(1765)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다이부재(1761)의 상단은 상기 경사홈(1761-1)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다이부재(1761)는 상기 성형다이(176)로 부터 상향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170)는 상기 구동축(1511)이 회전하면 펀치부(1741)가 성형다이(176)로 왕복 운동하여 종이판재가 펀치(174)와 성형다이(176) 사이에서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100)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
성형될 종이판재는 상기 공급부(110)에 적치된다. 상기 종이판재는 공급부(110)의 높이조절부(113)와 위치조절부(111)로 조절되어 공급홀(1151)이 형성된 위치에 구비된다. 종이판재는 상기 공급부(110)의 공급홀(1151) 상부에 구비되어 종이판재의 하부 일부가 공급홀(1151)에 노출된다.
상기 공급부(110)에 구비된 종이판재는 이송부를 통해 가압부(170)의 성형다이(176)로 공급된다. 상기 종이판재는 제1 이송부(130)를 통해 본체(101)의 개구부로 이송된다. 상기 종이판재는 제1 이송부(130)의 제1 흡착부(131)를 통해 공급홀(1151)에서 흡착되어 개구부로 이송된 후 제1 흡착부(131)의 흡입이 정지된다.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로 이송된 종이판재는 제2 이송부(150)를 통해 개구부에서 성형다이(176)로 공급된다. 개구부로 이송된 상기 종이판재는 제2 이송부(150)의 제2 흡착부(153)를 통해 개구부에서 흡착되고 경사진 성형다이(176)의 상면에서 제2 흡착부(153)의 흡입이 정지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경사홈(1761-1)에 안착된다.
상기 가압부(170)로 이송된 종이판재는 펀치(174)와 성형다이(176)에 의하여 가압되어 성형된다. 성형된 종이재 컵뚜껑은 이송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다음 종이판재에 의하여 하향 타격되어 경사진 성형다이(176)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로 성형된 컵뚜껑은 컵 받침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101 : 본체 110 : 공급부
111 : 위치조절부 113 : 높이조절부
115 : 제1 공급홈 130 : 제1 이송부
131 : 제1 흡착부 133 : 제1 구동부
150 : 제2 이송부 151 : 제2 구동부
153 : 제2 흡착부 170 : 가압부
171 : 브라켓 172 : 가이드부재
173 : 제2 지지판 174 : 펀치
175 : 연결부 176 : 성형다이
177 : 상하이동부재 179 : 펀치연결부재

Claims (8)

  1. 본체(101)와, 공급부(110)와, 가압부(170)와, 이송부와, 상기 가압부(170)와 이송부의 구동원이 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1)는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170)는 본체(101)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오목하게 경사홈(1761-1)이 형성된 성형다이(176)와 본체(101)에 구비된 브라켓(171)에 성형다이(176)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펀치(17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10)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성형다이(176)와 반대측으로 본체(101)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는 본체(101)에 설치되어 공급부(110)에 적치된 종이판재를 성형다이(176)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종이판재는 경사진 성형다이(176) 상면에 공급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경사홈(1761-1)에 안착되고 펀치(174)와 성형다이(176)에 의하여 가압되어 성형되며, 성형된 종이재 컵뚜껑은 이송부에 의하여 공급되어 다음 종이판재에 의하여 하향 타격되어 경사진 성형다이(176)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배출되며;
    상기 이송부는 본체(101) 내에 설치되며 제1 흡착부(131)가 구비된 제1 이송부(130)와, 본체(101) 외측에 설치되며 제2 흡착부(153)가 구비된 제2 이송부(1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이송부(130)는 제1 흡착부(131)와 제1 구동부(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구동부(133)는 본체(101)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 축(1337)과, 상기 제1 축(1337)과 제2 이송부(150)를 이루는 구동축(1511)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로켓과, 상기 복수의 스프로켓에 치합되어 구비되는 체인(1335)과, 상기 제1 축(1337)에 설치되는 제1 캠(131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흡착부(13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축(1337)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 제2 축(1316)과, 상기 제2 축(13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향 만곡 연장된 제1 구동부재(1311)와,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캠(1315)의 전방을 위치하여 제1 캠(1315)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 롤러(1313)와, 일측은 상기 제1 구동부재(13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101)에 연결되어 제1 구동부재(1311)를 제1 축(1337) 쪽으로 당기도록 작동하는 제1 스프링(131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흡착부(131)는 제1 구동부재(1311)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향하여 개구되어 하향 흡착하도록 구비되는 제1 흡착부재(1318-3)와, 제1 흡착부재(1318-3)에 연결된 제1 흡입관(1318-1)으로 이루어지며; 제1 축(1337)이 회전하면 제1 캠(1315)에 의하여 제1 구동부재(1311)는 제2 축(1316)을 회전 중심으로 개구부로부터 공급부(110)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공급홀(1151)과 개구부 사이를 왕복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에는 개구부로부터 공급부(110) 하부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급홀(1151)이 형성되어 공급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적치된 종이판재의 일부가 공급홀(1151)을 통하여 하향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130)는 공급홀(1151)을 통하여 하향 노출된 하단의 종이판재가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이송하며, 제2 이송부(150)는 제1 이송부(130)에 의하여 개구부로 노출된 종이판재를 제1 이송부(130)로부터 인계받아 성형다이(176)로 공급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축(1337)과 제2 축(1316) 사이이고 제1 축(1337)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01)에 구비되는 제3 축(1319-1)과, 상기 제3 축(1319-1)에 구비되는 제2 캠(1319)과, 제1 롤러(1313)의 하방으로 제1 구동부재(1311)에 회전 가능하며 제2 캠(1319)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 캠(1319)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 롤러(1317)와, 제2 롤러(1317)의 하부에서 일측이 제1 구동부재(13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101)에 연결되어 제1 구동부재(1311)를 하향으로 당기도록 작동하는 제2 스프링(13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6. 제3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15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며 폭방향 양측에 크랭크부(1511-1)를 가지는 구동축(1511)과, 상기 구동축(1511)에 설치되는 피니언(1513)과,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1513)과 치합하며 측방에 회전축에 대하여 오목하게 편심홈(1515-1)이 형성되는 기어(1515)와, 일측 단부가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향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편심홈(15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1515-3)을 가지는 제2 구동부재(1517)와, 상기 제2 구동부재(1517)의 타측 단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제2 흡착연장부재(1531)와, 제2 흡착연장부재(1531)의 자유 단부에 하향 개구되어 상향 흡착하도록 구비되는 제2 흡착부재(1535)로 이루어져; 구동축(1511)이 회전하면 기어(1515)가 회전하면서 제2 구동부재(1517)는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하여 제1 이송부(130)에서 개구부로 노출되도록 이송되어 온 종이판재를 흡착하여 경사진 성형다이(176)의 상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70)는 본체(101)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하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홈(1711)이 형성된 복수의 브라켓(171)과, 폭방향 양단이 상기 브라켓(171)에 연결되어 브라켓(171) 사이에 구비되고 하향 경사진 판상의 제2 지지판(173)과, 상기 제2 지지판(173)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사진 안내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72)와, 상기 가이드홈(17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브라켓(171)의 외측으로 돌출된 봉상의 상하이동부재(177)와, 상기 상하이동부재(177)의 폭 방향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751)와, 일측은 상기 회전부(1751)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크랭크부(15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175)와, 상단이 상기 상하이동부재(177)에 연결되며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펀치연결부재(179)와, 상기 펀치연결부재(179)의 하단에 구비되는 펀치(174)로 이루어져; 구동축(1511)이 회전하면 펀치부(1741)가 성형다이(176)로 왕복운동하여 종이판재가 펀치(174)와 성형다이(176) 사이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10)는 상기 공급홀(1151)이 형성된 위치에 구비되고, 높이조절부(113)와 위치조절부(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부(113)는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측에 구비되어 적치된 종이판재의 높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위치조절부(111)는 상기 높이조절부(113)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움직여 적치된 종이판재가 상기 높이조절부(113)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KR1020150101167A 2015-07-16 2015-07-16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KR10175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67A KR101750881B1 (ko) 2015-07-16 2015-07-16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67A KR101750881B1 (ko) 2015-07-16 2015-07-16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219A KR20170010219A (ko) 2017-01-26
KR101750881B1 true KR101750881B1 (ko) 2017-07-04

Family

ID=5799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67A KR101750881B1 (ko) 2015-07-16 2015-07-16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127B1 (ko) * 2022-12-22 2023-12-27 이상복 지관 형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578A (ja) * 2001-04-13 2002-10-23 Paper Ware Co Ltd 紙蓋のプレス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803Y1 (ko) 2002-06-29 2002-10-04 최박일 컵받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578A (ja) * 2001-04-13 2002-10-23 Paper Ware Co Ltd 紙蓋のプレス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219A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448B1 (ko) 진단 키트용 스트립 연속절단장치
KR100897421B1 (ko) 김 공급장치
CN109626038A (zh) 图文送纸切割机的控制方法
CN109778442B (zh) 一种腰牌自动缝纫机
KR101750881B1 (ko) 종이재 컵뚜껑 성형장치
CN109537189B (zh) 一种腰牌自动缝纫机的折料装置
CN109775060B (zh) 一种包装用带孔卡板自动安装设备
CN109365720B (zh) 一种垫圈送料装置及送料方法
KR101237004B1 (ko) 하급지형 골판지 자동급지기계
CN107522005B (zh) 一种下吸式递纸装置
KR100959200B1 (ko) 용지공급장치
KR100495939B1 (ko) 종이컵 제조장치의 옆지이송장치
CN209536526U (zh) 图文送纸切割机
KR101888574B1 (ko)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소재 공급장치
CN214266805U (zh) 编织袋对齐装置
CN108736074B (zh) 蓄电池自动打胶盖盖片装置
CN113909851A (zh) 一种活塞卡簧装配系统
CN114043003A (zh) 一种追接模块、极片裁切设备及出料方法
CN109650114B (zh) 一种纸片输送装置
JPH0324511Y2 (ko)
CN209023786U (zh) 一种镶件运输装置
CN213536502U (zh) 吸盘式上料装置及印刷机
CN219094233U (zh) 一种打火机翘板安装装置
CN211594347U (zh) 一种数字印刷流水线用防粘张高速输纸机构
CN113327793B (zh) 一种开关的自动装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