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030B1 -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030B1
KR101750030B1 KR1020150177016A KR20150177016A KR101750030B1 KR 101750030 B1 KR101750030 B1 KR 101750030B1 KR 1020150177016 A KR1020150177016 A KR 1020150177016A KR 20150177016 A KR20150177016 A KR 20150177016A KR 101750030 B1 KR101750030 B1 KR 10175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roller
antenna module
substrat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602A (ko
Inventor
백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란트
Priority to KR102015017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0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외주면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는 안테나 모듈;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안테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안테나 모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Light apparatus and controller for control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백열전구를 비롯하여 형광등,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회사 또는 가로등 등의 기타 실내외의 조명으로 활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첨단 기능을 갖는 가로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례로 선행 등록 특허 제10-1013813호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 메쉬 시스템 제어장치를 갖는 벤치 가로등이 개시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통신 기능을 위한 통신 모듈과, 엘이디 조명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장치가 지주대의 종단부에 장착됨으로써, 바람에 의한 흔들림 또는 비에 의한 물 침투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의 통신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대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방수 및 방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램프 내부에 상기 제어장치를 장착할 경우, 상기 조명램프의 방열부재(알루미늄 소재)에 의한 전파 간섭에 의해 통신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방수 및 방진 기능과, 안정된 통신 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조명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시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즉, 방수 및 방진 기능과, 안정된 통신 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는, 내부에 기판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함몰부에 안착되는 안테나 모듈과, 상기 기판과 상기 안테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안테나 모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등주와, 상기 등주 단부에 결합되는 등기구와, 상기 등기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내부에 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등기구 내측에 장착되는 제어기 케이스와, 상기 등기구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안테나 방사체와, 상기 기판과 상기 안테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안테나 모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어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는 등기구 내측에 장착되고, 안테나 모듈은 등기구 외주면에 장착됨으로써, 방수 및 방진 기능과, 통신 기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필요에 따라 제어기를 등주에 장착하거나 또는 등기구측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어기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필요에 따라 제어기 본체와 안테나 모듈이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어기 설치에 따른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제어기와 등기구가 하나의 모듈로써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관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어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안테나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안테나 모듈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상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하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가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가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제어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기로써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등주와, 등주에 결합되는 등기구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모두를 조명장치의 구성요소로써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는, 내부에 수용공간(129)이 형성되는 제어기 케이스(10)와, 상기 제어기 케이스(10)의 상측에 장착되는 안테나 모듈(20)과, 상기 제어기 케이스(10)의 전단에 장착되는 케이블 커넥터(30) 및 상기 수용공간(129)에 배치되는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기 케이스(10)는 상기 제어기 케이스(10)의 저면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2)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129)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는 함몰부(113)가 형성되는 플레이트(111)와, 상기 플레이트(111)의 테두리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3)는 상기 안테나 모듈(20)이 안착되도록 상기 안테나 모듈(20)과 상응하는 크기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상기 제어기 케이스(10)의 저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21)와, 상기 플레이트(121)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연장부(122)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연장부(112)와 면 접촉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연장부(122)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연장부(112)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들(122, 112)은 단차없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전단에 해당하는 연장부(122)에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장착되기 위한 삽입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상기 삽입홀(123)에 장착됨으로써, 외부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커넥터(30)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29)으로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10)를 제어기 본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40)은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가 결합하여 형성된 수용공간(129)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40)에는 다수의 전자부품(41)이 실장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전자부품(41) 중 일부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30) 또는 상기 안테나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41)은 전원공급장치, CPU, LED, 메모리, 통신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기기(예: 외부서버 등)와의 지그비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20)은 안테나 방사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안테나 모듈(20)의 내측면에 설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20)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부재(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는 일단이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상기 전자부품(4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20)의 내측에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가 수용되는 수용함(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함(24)은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소정 길이 인출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113)의 내측면(118)에는 관통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9)은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가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상기 전자부품(4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는 상기 수용함(24)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관통홀(119)을 통과한 다음, 상기 기판(40) 또는 상기 전자부품(4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안테나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안테나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20)은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의 테두리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21)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함몰부(113)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부(2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체결부(23)는 상기 플레이트(2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나사 체결홀(231)이 형성되는 제1보스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테나 모듈(20)이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형성된 함몰부(113)에 안착하는 경우, 상기 제1보스부(231)는 상기 함몰부(1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보스부(도 6의 114)와 면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보스부(231)가 상기 제2보스부(114) 위에 올려지는 경우, 상기 제1보스부(231)의 나사 체결홀(231)은, 상기 제2보스부(114)의 나사 체결홀(도 6의 115)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1)의 하면에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를 수용하는 수용함(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함(24)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함(24) 내부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가 인출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의 일부는 상기 수용함(24)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된 전기적 연결부재(241)는 상기 함몰부(113)의 내측면(118)에 형성된 관통홀(119)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20)이 상기 함몰부(113)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 모듈(20)의 외측면은 상기 함몰부(13)의 내측면(118)과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안테나 모듈(20)이 상기 함몰부(113)에 안착될 때, 상기 함몰부(113)를 밀폐시켜 방수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도 1의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상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11)는 함몰부(113)가 형성되는 플레이트(111)와, 상기 플레이트(111)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1)는 전체적으로 볼 때,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113)는 상기 안테나 모듈(20)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로 상기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3)에는 상기 안테나 모듈(20)이 안착된다. 일례로, 상기 함몰부(113)의 저면에는 상기 안테나 모듈(20)의 제1보스부(232)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제2보스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부(114)에는 상기 제1보스부(232)의 관통홀(231)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보스부(232)와 제2보스부(114)는 나사에 의해 동시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모듈(20)과 상기 상부 케이스(11)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113)의 내측면(118)에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함(24)으로부터 소정 길이 인출되는 전기적 연결부재(241)는 상기 관통홀(119)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1)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제1케이스 체결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케이스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111)의 배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나사 체결홀(117)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 보스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 보스부(116)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연장부(112)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케이스(11)가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결합되는 경우, 즉, 상기 상부 케이스(11)가 상기 하부 케이스(12) 위에 놓이는 경우, 상기 제1케이스 보스부(116)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케이스 보스부(도 8의 126)와 면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외측면은 단차없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하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12)는 상기 제어기 케이스(10)의 저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21)와, 상기 플레이트(121)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121)의 상면에는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41)이 실장되는 기판(4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1)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제2케이스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나사 체결홀(125)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 보스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 보스부(126)는 상기 연장부(122)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스 보스부(126)의 나사체결홀(125)은, 상기 제1케이스 보스부(116)의 나사 체결홀(117)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연장부(112)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연장부(122) 위에 놓이게 되면, 상기 제1케이스 보스부(116)의 나사 체결홀(117)은, 상기 제2케이스 보스부(126)의 나사 체결홀(125)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케이스 보스부(116)와 상기 제2케이스 보스부(126)는 나사에 의해 동시 관통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전단에 해당하는 연장부(122)에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3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커넥터(30)는 상기 삽입홀(123)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외부의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커넥터(30)를 통하여 상기 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123)이 형성되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전단측 연장부(122)는, 상기 삽입홀(123)이 형성되지 않는 다른측 연장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직선부를 갖는 양측 연장부(122)에는, 상기 제어기(1)가 조명장치의 등주(도 10의 50)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 슬릿(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슬릿(124)은 상기 양측 연장부(122)와 상기 플레이트(121)를 모두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 슬릿(124)에 케이블 타이 등의 스트랩을 삽입 관통시켜 등주(50)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가 상기 등주(5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하면(127)은 상기 등주(50)의 외주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하면(127)에는, 상기 제어기(1)가 조명장치의 등기구(도 12의 60)에 장착되기 위한 다수의 장착홀(1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128)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연장부(122)를 일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기구(60)의 전등 케이스(도 12의 63) 내측면에는 상기 장착홀(128)과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홀(128)과 상기 체결홀을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어기(1)를 상기 전등 케이스(6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가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조명장치는 등주와 등기구가 결합되는 가로등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조명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가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는 등주(50)와 등기구(60)가 결합되는 가로등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기(1)는 상기 등주(5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방법으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장착 슬릿(124)에 케이블 타이 등의 스트랩 일단을 삽입 관통시킨 다음, 상기 스트랩의 일단과, 타단을 상기 등주(50)에 결박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기구(60)의 내부에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61)와, 상기 발광소자(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62)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장치(62)는 CPU,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62)는 상기 제어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전원공급장치(62)로 상기 발광소자(61)의 작동에 관한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기(1)는 안테나 모듈(20)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외부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62)에 직접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62)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장치(62)는 상기 제어기(1)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소자(6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소자(61)의 작동 제어는, 상기 발광소자(61)의 조명밝기 제어, 조명 ON, 조명 OF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의 하측으로는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CCTV(70)는 상기 제어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CCTV(70)는 영상신호 또는 교통신호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교통정보를 상기 제어기(1)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1)는 상기 CCTV(70)로부터 수집된 교통정보를 토대로 상기 등기구(60)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62)로 제공함으로써, 등기구(60)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70)의 하측으로는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80)는 상기 제어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를 상기 제어기(1)로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80)는 습도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모션 센서, 적외선 센서, 안개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80)는 상술한 센서들을 통하여 외부의 습도 정보, 온도 정보, 조도 정보, 모션 정보, 적외선 정보, 안개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센서(80)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기(1)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센서(80)로부터 제공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밤인지 낮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등기구(60)의 조명 밝기 또는 조명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들면, 상기 센서(80)는 외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외부 조도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기(1)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센서(80)로부터 제공된 외부 조도에 기초하여, 밤인지 낮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등기구(60)의 조명 밝기 또는 조명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센서(80)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등기구(60)의 조명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센서(80)로부터 수집된 외부 환경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센서(80)로부터 수집된 교통량, 빛 공해, 공기오염, 날씨, 소음, 악취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센서(80)로부터 수집된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CCTV(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80)는 모션 센서를 통해 외부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정보를 상기 제어기(1)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1)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CCTV(70)를 동작시켜 영상촬영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와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되, 안테나 모듈이 제어기 케이스와 분리되어 위치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안테나 모듈(20)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함몰부(113)에 장착되지 아니하고,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모듈(20)은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가 상기 수용함(24)으로부터 소정 길이 더 인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241)는 유연성을 갖는 RF 케이블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등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가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는, 가로등의 등주가 아닌 등기구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는 안테나 모듈(20)과 제어기 케이스(10)가 분리되어 상기 등기구(60) 측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기 케이스(10)는 상기 등기구(60)의 전등 케이스(63)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방법으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장착홀(128)과 상기 전등 케이스(63)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을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어기 케이스(10)와 상기 전등 케이스(63)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20)은 상기 전등 케이스(63)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방법으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20)에 형성된 나사 체결홀(231)과 상기 전등 케이스(63)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을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모듈(20)과 상기 전등 케이스(63)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모듈(20)을 상기 전등 케이스(63) 외주면에 설치할 경우, 상기 안테나 모듈(20)은 외부로부터 물 등이 침투될 수 있으므로, 방수 및 방진을 위하여 안테나 모듈(20) 하우징 내부에 액상 실리콘이 주입될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외주면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는 안테나 모듈;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안테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안테나 모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방사체가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함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함은,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출입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은,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과 밀착하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단에는, 외부 케이블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제어기를 등주에 결박하기 위한 장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은, 상기 등주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제어기를 등기구 내측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함몰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함몰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9. 등주;
    상기 등주 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발광소자가 장착되는 등기구; 및
    상기 등기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등기구 내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어기 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등기구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안테나 모듈 및
    상기 기판과 상기 안테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안테나 모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어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50177016A 2015-12-11 2015-12-11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KR10175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16A KR101750030B1 (ko) 2015-12-11 2015-12-11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16A KR101750030B1 (ko) 2015-12-11 2015-12-11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602A KR20170069602A (ko) 2017-06-21
KR101750030B1 true KR101750030B1 (ko) 2017-06-26

Family

ID=5928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016A KR101750030B1 (ko) 2015-12-11 2015-12-11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785B1 (ko) * 2017-11-16 2018-06-25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4535A (ja) * 2006-06-14 2007-12-27 Brother Ind Ltd 無線タグ情報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ユニット
KR101153836B1 (ko) * 2012-03-14 2012-06-18 (주)엠케이 엘이디 등기구를 위한 다기능 스마트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4535A (ja) * 2006-06-14 2007-12-27 Brother Ind Ltd 無線タグ情報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ユニット
KR101153836B1 (ko) * 2012-03-14 2012-06-18 (주)엠케이 엘이디 등기구를 위한 다기능 스마트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602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768B2 (en) Lighting apparatus
US8567999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173656B1 (ko) 조명용 케이스 및 그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
AU2009298917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heat dissipation system
US20110310614A1 (en) Led light fixture having led modules
CN104317142A (zh) 智能灯及摄像系统
CA2950137A1 (en) Wireless light fixture
US10215371B1 (en) Outdoor lighting fixture
US20120057357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950810B1 (ko) 방수 커넥터를 구비한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등기구
US20170089566A1 (en) Illumination assembly, and light fixture including the same
JP6807557B2 (ja) 照明装置
US11246199B2 (en) Lighting apparatus
CA3021547C (en) External wireless module for lighting fixture
KR101750030B1 (ko)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US20170038037A1 (en) Led strip housing apparatus
CN101986005B (zh) 照明器具
KR101920442B1 (ko) 무선제어방식 가로등
JP6481941B2 (ja) 照明器具
US11428392B2 (en) Lighting apparatus
US10928016B2 (en) Flexible LED projection light
US20170370530A1 (en) Solid state hid canopy light fixture retrofit assembly
KR101462505B1 (ko) 확장모듈이 결합된 led 등기구
KR20150114729A (ko) 조립형 조명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
JP6179050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