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85B1 -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85B1
KR101870785B1 KR1020170152791A KR20170152791A KR101870785B1 KR 101870785 B1 KR101870785 B1 KR 101870785B1 KR 1020170152791 A KR1020170152791 A KR 1020170152791A KR 20170152791 A KR20170152791 A KR 20170152791A KR 101870785 B1 KR101870785 B1 KR 10187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c module
parking lot
indoor park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대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조승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조승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품이앤씨
Priority to KR102017015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주차장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팬, 실내 주차장에 배치되는 유체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 결합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 제어반, 상기 유체파이프에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온습도 센서, 및 실내 주차장 바닥에서 1 내지 1.5m 높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PLC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PLC 모듈은 CO 센서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CO 센서의 입력값에 따라 하나 이상의 팬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열선 제어반에 공급 전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INDOOR PARKING LOTS}
본 발명은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 주차장의 공기 오염의 주 원인은 자동차 배기가스이다. 자동차 배기가스에는 일산화탄소, 탄산가스, 질소화합물, 탄화수소, 알데히드류, 흑연, 납화합물 등 여러 유해성분이 있다. 이중 실내 주차장의 주 환경오염 요인인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목표치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를 필요로 한다.
노외주차장 내부 공간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이 가장 빈번한 시각의 앞뒤 8시간의 평균치가 50피피엠 이하(「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제3조제1항제9호에 따른 실내주차장은 25피피엠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일산화탄소는 탄소와 산소로 구성된 화합물로 탄소화합물이 불완전 연소되며서 발생한다. 일산화탄소는 산소보다 헤모글로빈과의 친화력이 200배 정도 더 좋기 때문에 소량 흡입시에도 호흡대사를 방해하여 생명 유지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흡입된 일산화 탄소는 혈액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카복시헤모글로빈을 생성한다. 카복시헤모글로빈은 산소 운반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이는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크게 떨어트린다. 흡입된 양에 따라서 두통, 어지러움, 심계항진증, 나른함, 혼란, 구역질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경련, 의식 없음,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일산화탄소는 상온에서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로 존재한다. 일산화탄소는 밀도는 1.2504x10-3g/㎤로 밀도가 1.293x10-3g/㎤인 공기보다 약간 가벼운 편이다. 실내 주차장에서는 이러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관리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기타 원인에 따른 악취발생시 관리자에 의해 유도팬과 배기팬을 가동시켜 지하주차장의 오염된 공기를 건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더불어 실내주차장에는 빌딩내 각종 온수, 냉수, 소방수 등의 파이프라인이 설치되어 있어 겨울철 동파방지와 온수배관의 보온을 위해 다량의 ‘열선’이 설치되어 있어, 다수의 ‘열선감시제어반’이 열선 주변의 온도만을 감지하여 가동전력 제어에 따른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열선’을 포함하고 있는 각종 유체파이프는 그 총 길이에 비교해 소량의 온도감지센서만 설치되어 동파방지에 필요이상의 전력이 과소비 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하다.
이처럼, 건물(빌딩)의 지하주차장에는 항시 CO가스 잔량상황, 악취발생상황, 열선제어반을 위한 다수의 온도센서를 활용한 소비전력제어를 24시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관제하여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각종 관계 시설을 제어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제어방식은 대부분 보호가 필요한 각 시설별 공급자(제조사)가 센서(CO가스센서, 온도센서, 접점센서)를 설치하여 각기 별도로 관리되어 왔었던 관계로 통합적인 제어관리가 안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부는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제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각 시설별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링은 단순히 CCTV 확인이나 관리자 순찰에 의해 이루어져 완벽한 관리시스템 구현이 불가능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110469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59659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5-0032255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6-7002499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3-010767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인적이 드문 빌딩 지하주차장에서 CO 가스 농도 관리, 악취 발생 상황 제어, 열선 제어반의 온도에 따른 전력제어, 기타 접점신호의 위험상황 등을 유무선통신 기반으로 24시간 자동 모니터링하여 각종 센싱 데이터가 설정값(임계값) 이상이 되면 해당 시설을 자동 가동(제어)시켜 발생된 문제를 곧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설비 가동상태의 센싱데이터를 수신 받아 자동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실내 주차장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주차장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팬;
실내 주차장에 배치되는 유체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 결합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 제어반, 상기 유체파이프에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온습도 센서; 및
실내 주차장 바닥에서 1 내지 1.5m 높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PLC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PLC 모듈은 CO 센서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CO 센서의 입력값에 따라 하나 이상의 팬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열선 제어반에 공급 전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팬과 상기 PLC 모듈은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LC 모듈은 블럭 형상의 방진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방진 케이스의 일측면에 케이블이 결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서 케이블 보호관 연결 아답터가 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 보호관 연결 아답터에 결합하여 케이블이 PLC 모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진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용 콘센트 커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의 콘센트 커버 안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커버 안착 홈부의 중앙에는 상기 상용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에 상응하는 형상의 플러그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돌출부에 전원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PLC 모듈은 상용 전원 콘센트에 직접 조립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PLC 모듈을 포함하고, PLC 모듈의 해당하는 환기 장치의 가동을 로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센서를 포함한 PLC 모듈에 의해 외부공기 흡입 및 분석에 의한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공조 시스템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유체파이프 동파 장지를 위한 열선의 전력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PLC 모듈이 조절가능한 고정블럭에 의한 전원콘센트 직접 부착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PLC 모듈이 방진 방습 구조를 가져 옥내외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PLC모듈이 User Interface(LCD, LED)장착하여 의 각종 신호관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통신 및 신호 케이블의 케이블보호관과 직접 연결조립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복수의 PLC 모듈중 하나에서 이상 감지 시 BUZZER를 통해 어느 PLC 모듈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알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의 PLC 모듈은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시공 및 장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주차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PLC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열선 제어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CO 농도 관리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장함 일체형 실내주차장 공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주차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4는 공조 시스템의 PLC 모듈을 나타낸 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공조 시스템의 PLC 모듈을 나타낸 아래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열선 제어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CO 농도 관리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주차장의 공조 시스템은 실내 주차장(1000)의 바닥에서 1 내지 1.5m 높이의 벽에 복수개의 PLC 모듈(100)이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측에 급기팬(1210)이 설치되고, 공기 배출구측에 배기팬(1230)이 설치되고 급기팬(1210)과 배기팬(1230) 사이에 복수의 유도팬(12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LC 모듈(100)에는 센서들을 포함하여 센서 입력값에 따라 급기팬(1210), 유도팬(1220), 배기팬(1230)의 구동을 조절한다. PLC 모듈(100)은 Progra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하는 모듈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자동 제어 및 감시에 사용되는 제어 장치이다. PLC는 입력 신호를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논리 처리하고, 그 출력 결과를 이용하여 연결된 급기팬(1210), 배기팬(1230), 유도팬(12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내 주차장 중 지하 주차장에 설치되는 공조 시스템으로, 복수개의 PLC 모듈(100)이 지하 주차장의 바닥에서 1 내지 1.5m 높이의 벽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PLC 모듈(100)과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200)이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RF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유선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200)은 지하 주차장의 각 층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층의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200)과 중앙 관제센터와 같은 중앙제어부(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서버 PC에 의해 제어된다. 중앙제어부(300)는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200n)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마스터 수신모듈(330)과 마스터 수신모듈(33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스터 PLC(320)와 마스터 PLC(320)와 연결되어 제어하는 서버 PC(310)를 포함한다. 복수의 PLC 모듈(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200)은 PLC 모듈(100)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집하여 중앙제어부(300)로 송출한다. 또한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200n)은 중앙제어부(300)에서 송출된 제어 명령을 출력하여 해당 설비를 제어한다. 각 층의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200n)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는 중앙제어부(300)의 마스터 수신부 모듈(330)에 인가되로 전달되고, 마스터 PLC(320)는 해당 정보를 기입력된 정보와 비교 연산하여 모니터링 서버 PC(310)와 통신으로 그 상태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센싱 정보는 급배기 팬의 동작 여부, 일산화탄소와 같은 감지대상 가스 농도, 온도 습도 정보가 있다. 출력 제어 신호는 급배기 팬의 ON/OFF 제어신호, 밸브의 개폐 제어신호, 냉난방 ON/OFF 제어 신호가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PLC 모듈(100)은 센서부(130), 흡기팬(140), 경고음 출력부(151), 표시부(152), 스위치 입력부(153), 통신부(160), 무선통신부(170), 출력부(180), 전원공급부(190), 주전원플러그(191), I/O 단자(120), PLC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센서부(130)는 일산화탄소 농도 검출 센서(130a), 온도센서(130b),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PLC 모듈(100) 내에 설치되어 설치 장소의 공기질, 온습도 등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흡기팬(140)은 일산화탄소 농도 검출 센서(130a) 전방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일산화탄소 농도 검출 센서(130a)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경고음 출력부(151)는 알람 부저와 같이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오디오로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52)는 LCD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여부를 LED(152') 발광으로 표시할 수 있고, 그래픽 LCD 모듈(152)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입력부(153)는 LCD 모듈과 PLC 모듈(100) 조작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부(160)는 유선 시리얼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통신부(170)는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RF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을 제공한다. 출력부(180)는 유체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한 열선 제어반(410)과 급기팬, 유도팬, 배기팬과 연결되어 팬의 구동과 열선 제어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상용 전원 콘센트에 직접 연결되는 주전원플러그(191)와 연결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 및 ac/dc 전원 공급부로 구성되어 PLC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PLC 제어부(110)는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PLC 모듈(100)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I/O 단자(120)는 센서부(130), 입력 신호케이블, 출력 신호 케이블, 출력부, 통신부, 등과 PLC 제어부(110) 사이에서 신호 입출력을 제공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PLC 모듈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PLC 모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PLC 모듈은 블럭 형상의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은 방진 케이스(102)와 케이스커버(101)로 구성된다. 케이스(102)의 수용 공간에 PLC 모듈 PCB(111a)가 배치되고, LED가 설치되는 상부 제어 PCB(111b) 위에 배치된다. I/O 단자가 PCB(111b)에 결합하고, 케이스의 일 측면에 통공이 형성되고 외부에 케이블 보호관 연결 아답터(105)가 내부에 아답터 고정 너트(106)가 통공을 통해 결합하여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한다. 케이스커버(101)는 상면 일측에 LCD가 배치되고, 스위치 입력부가 그 일측에 형성된다. 상부 제어PCB(111b)에 결합하는 LED의 발광이 외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케이스커버(101) 상면에는 LED 안착 홈부(152a')가 형성되고, 그 위에 LED 방진 커버(152b')가 결합한다. 상면 일측에는 CO 가스 검출을 위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그릴이 형성되고, 그릴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102)의 저면에는 공기가 케이스(102) 내부에 확산되지 않도록 제1 구획벽(108-3)이 형성되고, 흡입부와 배출부의 구획을 위해 제2 구획벽(108-1)이 형성되며, 흡입부에 흡입된 공기가 배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구획벽(108-1) 하부에는 관통공(108-2)이 형성된다. 흡입부와 배출부 저면은 공기확산 방지 커버(108)가 결합하여 흡입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확산방지커버(108) 상에 CO 센서(130a)와 온습도 센서모듈(130b)이 배치되는데, 흡입부(103) 측에 CO 센서(130a)가 배치된다. CO 센서(130a)와 그릴 사이에 공기 흡입팬 필터(107)가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한 후 CO 센서(130a)에 공급할 수 있다. 케이스(102) 저면에는 전원 플러그 단자(191)가 상용 콘센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플러그 돌출부에 형성된플러그 돌출부(102-1)는 PLC 모듈(100)이 상용 콘센트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콘센트 커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콘센트 커버 안착 홈부(10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블럭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블록 슬라이스 슬롯이 콘센트 커버 안착 홈부 좌우에 형성된다. 고정 블럭이 고정블록 슬라이드 슬롯에 삽입 고정되고 고정 볼트가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콘센트가 형성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열선 제어 공정을 설명기로 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온수, 냉수 소화수 등의 배관 파이프가 난방이 되지 않는 지하 주차장에 배치된다. 배치되는 온수 냉수 소화수의 배관 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 파이프에는 열선(420)이 감기고, 온습도 센서(130c)가 설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열선은 열선 제어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배관 파이프에 배치되는 복수의 온습도 센서(130c)는 가까이에 배치된 PLC 모듈(1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감지 신호를 PLC 모듈(100)로 인가한다. 따라서, 배관 파이프를 따라 배치되는 센서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전선을 배관 파이프 모두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열선 제어반(410)은 PLC 모듈(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열선에 전압을 인가한다. 온습도 센서(130c)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1℃ 이하로 판단되면 열선에 전압을 인가하고, -10℃이상으로 판단되면 열선에 전원을 OFF하고, 80℃ 이상일 경우 과열 및/또는 화재 경보를 중앙제어부(300)로 출력하도록 한다. 습도가 95%wt 이상으로 판단되면 누수 또는 단락의 이상을 상황으로 판단하여 중앙제어부(300)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PLC 모듈(100)은 열선 제어반(410)과 연결되어 열선 제어반(410)의 ON/OFF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모듈의 CO 농도 관리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PLC 모듈(100) 내에 CO 센서와 온습도 센서 등 센서들이 설치된다. PLC 모듈이 지면에서 1 내지 1.5m, 바람직하게 1.2m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CO가스센서가 지면에서 1.2m 지점 설치에 배치되어, 50cm~1m에 배치되는 자동차 배기가스 내의 CO 가스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PLC 모듈(100)은 CO 센서 검출값에 따라 50PPM이상으로 판단하면, 급기팬, 환기팬, 유도팬을 모두 가동시키고, 40~49PPM으로 판단되면, 유도팬, 환기팬을 가동시키고, 40PPM이하로 판단되면 유도팬, 급기팬, 환기팬의 구동을 중단한다. 또한, 온도 센서 감지 신호에 따라 60℃ 이상일 경우 화재로 판단하여 화제 경보를 출력한다. 센서 감지 신호를 통해 CO 농도와 같은 공기 질과 온습도 그리고 연결된 유도팬, 급기팬, 환기팬의 구동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 공조 시스템으로, 전장함 일체형 실내주차장 공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 공조 시스템은 전장함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장함 케이스(202) 내부에 PLC 모듈(210), LCD 디스플레이(252), LCD 인터페이스, CO 센서(230), 온도센서와 같은 센서류, SMPS, RELAY, EOCR와 같은 전기공급부(290), I/O 단자(220)가 설치되고, 일측 벽면을 관통하여 전선관(260)이 연결된다. 전장함 커버(201)에는 LCD 디스플레이(252)에 상응하는 위치에 LCD 표시 윈도우(252')가 설치되고,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램프(254)와 전원 온오프 스위치(253) 및 커버 잠금 장치(201-1)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주차장 공조 시스템에 따르면, 인적이 드문 빌딩 지하주차장에서 CO 가스 농도와 같은 공기 질 상태, 악취 발생 여부, 열선 제어반의 온도에 따른 전력제어, 기타 접점 신호의 위험상황 등을 유무선통신 기반으로 24시간 자동 모니터링하여 각종 센싱 데이터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해당 시설을 자동 가동(제어)시켜 발생된 문제를 곧바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비 가동 상태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동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내에 문제해결이 안될 경우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경보 알람을 발생시켜 곧바로 관리자가 문제 있는 시설을 직접 점검할 수 있게 된다.
100 : PLC 모듈 101: 케이스커버
102 : 케이스 103 : 흡입부
104 : 배출부 105 : 케이블 보호관 연결 아답터
106 : 아답터 고정 너트 107 : 공기흡입팬 필터
108 : 공기확산방지커버 108-2 : 제1구획벽
108-2 : 관통공 108-3 : 제2구획벽
109 : 고정블럭 110 : PLC 제어부
111a,111b : PLC 모듈 PCB 120 : I/O 단자
130 : 센서부 140 : 흡입팬
151 : 경고음 출력부 152 : LCD
153 : 스위치 입력부 160 : 통신부
170 : 무선통신부 180 : 출력부
190 : 전원공급부 191 : 플러그 단자
300 : 중앙제어부 310 : 서버 PC
320 : 마스터 PLC 330 : 마스터 수신부 모듈
200 : 슬레이브 수신부 모듈
410 : 열선제어반 420 : 열선
1000: 실내주차장 1000': 벽
1210 : 급기팬 1220 : 유도팬
1230 : 환기팬

Claims (7)

  1. 실내 주차장으로 외기를 공급하고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팬; 및
    상기 실내 주차장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CO 센서; 및
    상기 CO 센서의 입력값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PLC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PLC 모듈은 블럭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방진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 일측에는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기 그릴 하부의 공간에서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확산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 커버의 저면에 제1 구획벽(108-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획벽(108-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그릴 하부의 공간을 공기 흡입 흡입부와 배출부로 구획하도록 제2 구획벽(108-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에 흡입된 공기가 배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구획벽(108-1) 하부에는 관통공(108-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획벽(108-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그릴 저면의 공간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공기 확산 방지 커버(108)가 결합하며, 상기 흡입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공기 확산 방지 커버(108) 상에 상기 CO 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CO 센서와 상기 그릴 사이에 공기 흡입팬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PLC 모듈은 실내 주차장의 바닥에서 1.2m 높이에 설치되는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주차장에 배치되는 유체 파이프의 동파 방지를 위해 결합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열선 제어반, 상기 유체파이프에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온도 센서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열선 제어반에 공급 전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팬과 상기 PLC 모듈은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케이스의 일측면에 케이블이 결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서 케이블 보호관 연결 아답터가 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 보호관 연결 아답터에 결합하여 케이블이 PLC 모듈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용 콘센트 커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의 콘센트 커버 안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커버 안착 홈부의 중앙에는 상기 상용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에 상응하는 형상의 플러그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돌출부에 전원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PLC 모듈은 상용 전원 콘센트에 직접 조립 장착하는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52791A 2017-11-16 2017-11-16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KR101870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791A KR101870785B1 (ko) 2017-11-16 2017-11-16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791A KR101870785B1 (ko) 2017-11-16 2017-11-16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785B1 true KR101870785B1 (ko) 2018-06-25

Family

ID=6280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791A KR101870785B1 (ko) 2017-11-16 2017-11-16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854B1 (ko) * 2018-07-11 2019-01-14 하나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누수감지 및 환기 제어시스템
KR102143423B1 (ko) * 2020-04-14 2020-08-11 (주)한동알앤씨 실내 주차장 공기질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901Y1 (ko) * 2006-05-09 2006-07-19 유한회사 훌로우하이텍 환풍기 제어장치
KR20110020967A (ko) * 2009-08-25 2011-03-04 이유경 실내 주차장 무덕트 환기시스템
KR20130107671A (ko) * 2012-03-23 2013-10-02 남기윤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3956A (ko) * 2012-11-19 2014-05-28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20170069602A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에코란트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901Y1 (ko) * 2006-05-09 2006-07-19 유한회사 훌로우하이텍 환풍기 제어장치
KR20110020967A (ko) * 2009-08-25 2011-03-04 이유경 실내 주차장 무덕트 환기시스템
KR20130107671A (ko) * 2012-03-23 2013-10-02 남기윤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3956A (ko) * 2012-11-19 2014-05-28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20170069602A (ko) * 2015-12-11 2017-06-21 주식회사 에코란트 조명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제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854B1 (ko) * 2018-07-11 2019-01-14 하나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누수감지 및 환기 제어시스템
KR102143423B1 (ko) * 2020-04-14 2020-08-11 (주)한동알앤씨 실내 주차장 공기질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6880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N1560636B (zh) 具有多个传感器与单独控制单元的周围条件检测器
KR101870785B1 (ko) 실내 주차장의 공조 시스템
CN114930414A (zh) 具有集成照明装置的防火安全系统
SI21941A (sl) Javni prikazovalnik
US9058731B2 (en) Smoke detector with airflow barrier
KR20080045293A (ko) 프로그램된 무선 센서 시스템
CN206075473U (zh) 一种智能楼宇消防检测装置
US10808954B2 (en) Vehicle exhaust removal system for buildings and method of control
CA2921709A1 (en) Hazardous gas response system
US20020183001A1 (en) Carbon monoxide air exchange system
US8289176B2 (en) Recessed detector assembly
US10777064B2 (en) Lighting with air quality and hazard monitoring
AU2016268932B2 (en) Ventilation system
KR20080080647A (ko) 공조기 제어기용 전자식 실내 공기 질 보드
JP2006101399A (ja) 屋内監視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210535782U (zh) 横列式模组化储能舱
CN211293776U (zh) 变电室环境管控系统
CN209842641U (zh) 一种消防设备远程监控装置
JP7107700B2 (ja) 火災検知器および消火システム
CN112628183A (zh) 一种有限空间通风系统及方法
JP6862307B2 (ja) 警報システムのグループ間移報装置
CN215769971U (zh) 一种适用于楼宇的智能消防预警系统
CN220323995U (zh) 一种安全警报装置
CN205299798U (zh) 一种节能机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