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136B1 -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36B1
KR101749136B1 KR1020150139748A KR20150139748A KR101749136B1 KR 101749136 B1 KR101749136 B1 KR 101749136B1 KR 1020150139748 A KR1020150139748 A KR 1020150139748A KR 20150139748 A KR20150139748 A KR 20150139748A KR 101749136 B1 KR101749136 B1 KR 10174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cool air
transfer member
main body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586A (ko
Inventor
전건하
유금배
박은주
Original Assignee
(주)지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지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5013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136B1/ko
Priority to PCT/KR2016/011048 priority patent/WO2017061743A1/ko
Publication of KR2017004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물질에서 방출되는 냉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하부 둘레에 형성되어 냉장에서 실온보관으로 변동시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는 하부에 열전달부재에서 방출되는 냉기가 머무를 수 있는 냉기포켓부가 형성되어 내부의 온도 냉각 및 유지효율을 높일 수 있어 냉장에서 실온보관으로 외부온도변화에도 식품의 신선도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Food storage container maintaining freshness}
본 발명은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물질에서 방출되는 냉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하부 둘레에 형성되어 냉장에서 실온보관으로 변동시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의 신선도를 오랜기간동안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식품을 식품저장용기에 저장한 후 덮개로 밀봉한 상태에서 0~4℃로 보관하여야 한다.
일반 가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온도로 식품을 저장하기 위하여 식품저장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한다.
그러나,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저장용기가 식사 때마다 인출됨으로써, 냉장고 온도보다 높은 실내온도에 의하여 식품저장용기에 저장된 식품에 온도변화가 일어나면서 식품의 발효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저렴하고 가벼운 특징 및 성형성과 색상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제작된 식품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수지제로 제작된 식품용기는 밀폐성이 높아 냉장보관장소에서 실온보관 장소로 이동되어 외부온도가 상승되었을 때, 보관된 식품이 발효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지 못 함으로서 보관된 식품이 쉽게 변질과 악취등으로 음식물을 오염시키게 되어 오랜 기간 보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서 원적외선 또는 세라믹이 함유된 식품저장용기나 황토가 함유된 식품저장용기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837호 에는 황토, 맥반석, 일라이트, 옥등의 분말소성체 또는 그 원석판을 합성수지제 용기에 뚫린 체결공에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부재로부터 발휘되는 탈취와 항균 및 원적외선과 부재에 형성된 미쇄공으로 공기를 입출입시키는 방법으로 용기 내의 발효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식품저장용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식품저장용기는 외부온도변화에 따른 식품의 발효 진행을 막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외부온도변화에도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식품저장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9837호 : 식품저장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변화물질이 저장된 열전달부재가 장착되어 신선도 장시간 유지가 가능하며 특히 하부의 신선도유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기를 전달하며 하방으로 냉기가 흘러내려 상기 몸체 외주면에 냉기로 이루어져 실내공기와 접촉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열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열전달부재가 장착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바디부보다 둘레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열전달부재에서 방출되는 냉기에 의해 둘레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냉기포켓부;를 구비한다.
상기 냉기포켓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작은 둘레를 갖는 다수의 층으로 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바디부는 외주면에 상기 열전달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상기 제1수용홈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냉기가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홈의 깊이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제1수용홈에서 상기 냉기포켓부로 연통되어 상기 열전달부재의 냉기를 상기 냉기포켓부로 안내하여 상기 냉기포켓부 둘레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냉기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외주면에 상기 열전달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제2수용홈과, 상기 덮개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수용홈과 연통되게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까지 인입된 부분으로 상기 덮개에 장착된 상기 열전달부재의 냉기가 상기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냉기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제1수용홈의 상방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상기 제1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을 통해 흘러내린 냉기를 상기 제1수용홈으로 안내하는 제3냉기가이드홈과,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과 연통되며 상기 냉기포켓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을 통해 흘러내린 냉기를 상기 냉기포켓부로 전달할 수 있는 제4냉기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부재의 냉기가 전달될 수 있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주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는 하부에 열전달부재에서 방출되는 냉기가 머무를 수 있는 냉기포켓부가 형성되어 내부의 온도 냉각 및 유지효율을 높일 수 있어 냉장에서 실온보관으로 외부온도변화에도 식품의 신선도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식품저장용기에 대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대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식품저장용기에 대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식품저장용기는 과일, 야채 및 김치 등의 식품이 보관되는 것으로서 식품에 따라 냉장보관되기도 하며 외부에 보관되기도 한다.
냉장보관해야하는 식품이 저장된 식품저장용기가 외부 노출시 저장된 식품의 온도변화를 줄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변화물질이 저장된 팩을 내부에 식품과 함께 식품저장용기에 보관하거나, 상변화물질이 개재된 식품저장용기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은 상변화 과정을 통하여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축적하거나 저장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로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식품저장용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1)는 몸체(100), 덮개(200), 열전달부재(300)를 구비한다.
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며 상부에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메인바디부(110)와 냉기포켓부(150)로 구분된다.
메인바디부(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상부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101)가 형성되고 하부에 후술되는 냉기포켓부(150)가 연결된다. 메인바디부(110)의 내부공간은 냉기포켓부(150)의 내부공간과 함께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는데, 수용공간(101)의 많은부분을 차지한다. 메인바디부(110)는 외주면에 후술되는 열전달부재(300)가 장착될 수 있는 제1수용홈(113)이 형성된다. 제1수용홈(113)은 메인바디부(11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것으로 상호 직교하는 측면마다 하나씩 형성된다. 제1수용홈(113)은 열전달부재(300)의 열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달부재(300)와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사각형태로 인입된다. 제1수용홈(113)의 내주면에는 열전달부재(300)의 케이스(320)에 형성된 결합홈(3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홈(113a)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바디부(110)의 내주면에는 제1수용홈(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14)가 형성된다. 돌출부(114)가 형성된 메인바디부(110)의 두께는 얇게 형성되는데, 이는 제1수용홈(113)에 장착되는 열전달부재(300)의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냉기포켓부(150)는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메인바디부(110)의 하부와 연결되고 메인바디부(110)보다 둘레가 작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냉기포켓부(150)는 하단으로 갈수록 작은 둘레를 갖는 다수의 층으로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기포켓부(150)는 제1수용홈(113)에 장착되는 열전달부재(300)에서 방출되는 냉기가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둘레에 냉기로 이루어진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덮개(200)는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구부(111)를 덮음으로써 수용공간(101)을 밀폐하는 부분이다. 덮개(200)는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도록 개구부(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둘레를 갖는 판상이다. 덮개(200)의 가장자리는 몸체(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수직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된다. 덮개(200)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인입되어 열전달부재(300)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213)이 형성된다. 제2수용홈(213)의 내주면에는 후술되는 열전달부재의 케이스(320)에 형성된 결합홈(31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13a)가 형성된다.
열전달부재(300)는 제1수용홈(113) 및 제2수용홈(213)에 장착되어 수용공간(101)으로 냉기를 전달한다. 또한, 열전달부재(300)는 방출된 냉기가 하방으로 흘러내려 몸체(100) 외주면에 냉기로 이루어져 실내공기와 접촉을 차단하는 에어커튼(a)이 형성되도록 한다.
열전달부재(300)는 제1수용홈(113) 및 제2수용홈(213)에 장착되는 케이스(320)와 케이스(320) 내부에 충진되는 상변화물질(310)로 이루어진다.
상변화물질(310)은 후술되는 케이스(320)의 내부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물질이 갖고 있는 잠열의 흡수 또는 방출효과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여기서, 잠열이란 물질이 상변화될 때 같은 온도에서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잠열은 현열 즉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의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의 양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상변화물질은 주변 온도가 높을 때에는 서서히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고, 주변온도가 낮을 때에는 서서히 온도가 하강되도록 한다. 즉 주변온도가 높은 여름철 등에는 시원한 상태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주변온도가 낮은 겨울철 등에는 따뜻한 상태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변화물질에 대하여 일정한 온도를 기억시켜 놓으면 해당온도범위에서 상변환물질이 상을 변화시키면서 열을 방출하거나 열을 저장하여 주변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변화물질(310)은 설정온도에서 고체-액체 상변화하는 물질로 유기계인 파라핀류 테츠라데칸, 펜타데칸, 헥사데칸, 헵타데칸, 옥타데칸, 에이코산, 지방산류 라우르산, 스테아린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카프르산, 카프릴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망초, 탄산칼슘 n수화물, 인산나트륨 n수화물, 술폰산나트륨 n수화물 등 다양한 염수화물 및 공융 염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일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변화물질의 설정범위는 -20~120℃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케이스(320)는 내부에 상변화물질(310)이 충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제1수용홈(113) 및 제2수용홈(213)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320)는 제1수용홈(113)이 인입된 깊이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케이스(320)의 소재는 합성수지가 적용되나 상변화물질(310)이 내부에 수용되어 상변화 할 수 있으면 제한되지 않는다. 케이스(320)는 외주면에 제1수용홈(113) 및 제2수용홈(213)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1수용홈(113) 및 제2수용홈(213)에 각각 형성된 제1,2결합돌기(113a,213a)가 삽입되는 결합홈(31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저장용기(1)가 냉장고에서 인출되면 식품저장용기(1)의 온도보다 실내온도가 높기 때문에 상변화물질이 주변의 열를 빼았으면서 주변의 온도는 내려가게 된다. 주변온도가 내려가면 상변화물질이 흡수했던 열을 다시 배출함으로써 열전달부재(300)는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전달부재(30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열전달부재(300)와 접촉되는 제1수용홈(113) 및 제2수용홈(213)을 통해 메인바디부(110)의 내부로 전달되어 몸체(100)에 저장된 식품의 온도를 유지시켜준다.
또한, 제1수용홈(113)에 대해 돌출되게 장착된 열전달부재(300)에 의해 공기의 대류현상으로 냉기가 열전달부재(300) 하방으로 흘러내린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전달부재(300)의 하방으로 냉기가 흘러내려 몸체의 하부는 냉기로 둘러싸여 에어커튼(a)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냉기포켓부(150)에 의해 냉기가 냉기포켓부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림으로써 냉기가 형성하는 에어커튼이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커튼에 의해 몸체의 하부가 실내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므로써 식품저장용기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2)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1)의 메인바디부(110)에 주름부(115)를 더 구비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메인바디부(110)의 제1수용홈(113)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114)에는 냉기가 전달될 수 있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주름부(115)가 형성된다.주름부(115)는 볼록한 형상과 오목한 형상의 호형곡률이 반복되는 부분이다. 주름부(115)는 열전달부재(300)에서 전달되는 냉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 몸체(110)에 저장된 식품에 냉기전도율을 높인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3)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3)에 대한 일부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에 적용된 식품저장용기(3)에 대한 일부단면도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식품저장용기(3)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2)의 메인바디부(110)에서 제1냉기가이드홈(116)을 더 구비한다.
제1냉기가이드홈(116)은 제1수용홈(113)에서 냉기포켓부(150)로 연통되어 열전달부재(300)의 냉기를 냉기포켓부(150)로 안내하여 냉기포켓부(150) 둘레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냉기가이드홈(116)은 제1수용홈(113)과 냉기포켓부(150)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바디부(110)의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인입되어 제1수용홈(113)과 냉기포켓부(150)가 연통되게 하는 부분이다.
제1냉기가이드홈(116)은 열전달부재의 냉기가 하방으로 흘러내려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제1냉기가이드홈(116)은 제1수용홈(113)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바디부(110)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제1냉기가이드홈의 폭을 크게 하여 하나 형성되게 적용할 수 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전달부재(300)가 제1수용홈에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게 장착될 경우, 제1냉기가이드홈(116)은 열전달부재(300)의 냉기를 냉기포켓부로 유도하여 냉기포켓부 외주면에 에어포켓을 형성하는데 주된 역할을 하게 적용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4)가 도시되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4)에 대한 분리 사시도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덮개(200)에 제2냉기가이드홈(215)이 더 구비되며, 메인바디부(110)에 제3냉기가이드홈(117) 및 제4냉기가이드홈(119)이 더 구비된다.
제2냉기가이드홈(215)은 덮개(200)의 외주면에서 제2수용홈(213)과 연통되게 덮개(200)의 가장자리까지 인입된 부분이다. 제2냉기가이드홈(215)은 덮개(200)의 제2수용홈(213)에 장착된 열전달부재(300)의 냉기가 메인바디부(110)의 외주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제2냉기가이드홈(215)은 덮개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인입된 평행홈(215b)과, 제2수용홈의 모서리에서 덮개의 모서리로 연장된 사선홈(215a)으로 구분할 수 있다.
평행홈(215b)는 메인바디부(110)에 형성된 후술되는 제3냉기가이드홈(117)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사선홈(215a)은 메인바디부(110)에 형성된 후술되는 제4냉기가이드홈(119)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식품저장용기(4)의 메인바디부(110)는 제3냉기가이드홈(117)과 제4냉기가이드홈(119)을 구비한다.
제3냉기가이드홈(117)은 제1수용홈(113)의 상방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제1수용홈(113)과 연통되고 제2냉기가이드홈(215)의 평행홈(215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제3냉기가이드홈(117)은 제2냉기가이드홈(215)을 통해 흘러내린 냉기를 상기 제1수용홈(113)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3냉기가이드홈(117)은 제1수용홈(113) 상부에 위치하는 메인바디부(110)의 외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제1수용홈(113)과 덮개의 제2냉기가이드홈(213)이 연통되게 하는 부분이다.
제4냉기가이드홈(119)는 메인바디부(110)의 모서리마다 형성된 부분으로 덮개(200)의 제2냉기가이드홈(215)의 사선홈(215a)와 연통되며 냉기포켓부(150)까지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4냉기가이드홈(119)은 제2냉기가이드홈(215)을 통해 흘러내린 냉기가 냉기포켓부(1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4)는 제2냉기가이드홈(215), 제3냉기가이드홈(117) 및 제4냉기가이드홈(119)를 통해 냉기가 제1수용홈(113)과 냉기포켓부(150)로 흘러내림으로써 실내온도와의 접촉을 줄이고 냉기포켓부에 냉기공급을 보조하여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오래유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5)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5)는 열전달부재(300)가 메인바디부(110)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열전달부재(300)의 케이스(320)가 제1수용홈(113)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1수용홈(113)과 냉기포켓부(150) 사이에 형성된 메인바디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식품저장용기(5)는 제1수용홈(113)과 냉기포켓부(150) 사이에 형성된 메인바디를 통해 냉기가 전달되도록 적용한 것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는 하부에 열전달부재에서 방출되는 냉기가 머무를 수 있는 냉기포켓부가 형성되어 내부의 온도 냉각 및 유지효율을 높일 수 있어 냉장에서 실온보관으로 변동시 식품의 신선도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저장용기는 상변화물질이 저장된 열전달부재가 탈착가능하므로써 제작이 간단하며, 열전달부재 탈착 후 용도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선도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3 : 식품저장용기 100 : 몸체
101 : 수용공간 110 : 메인바디부
111 : 개구부 113 : 제1수용홈
114 : 돌출부 115 : 주름부
116 : 제1냉기가이드홈 150 : 냉기포켓부
200 : 덮개 201 : 손잡이
213 : 제2수용홈 300 : 열전달부재
310: 상변화물질 320 : 케이스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기를 전달하며 하방으로 냉기가 흘러내려 상기 몸체 외주면에 냉기로 이루어져 실내공기와 접촉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열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열전달부재가 장착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바디부보다 둘레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열전달부재에서 방출되는 냉기에 의해 둘레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냉기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바디부는
    외주면에 상기 열전달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과,
    상기 제1수용홈에서 상기 냉기포켓부로 연통되어 상기 열전달부재의 냉기를 상기 냉기포켓부로 안내하여 상기 냉기포켓부 둘레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냉기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포켓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작은 둘레를 갖는 다수의 층으로 된 계단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상기 제1수용홈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냉기가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홈의 깊이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6. 삭제
  7.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기를 전달하며 하방으로 냉기가 흘러내려 상기 몸체 외주면에 냉기로 이루어져 실내공기와 접촉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열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열전달부재가 장착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바디부보다 둘레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열전달부재에서 방출되는 냉기에 의해 둘레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냉기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바디부는
    외주면에 상기 열전달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외주면에 상기 열전달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제2수용홈과, 상기 덮개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수용홈과 연통되게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까지 인입된 부분으로 상기 덮개에 장착된 상기 열전달부재의 냉기가 상기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냉기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제1수용홈의 상방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상기 제1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을 통해 흘러내린 냉기를 상기 제1수용홈으로 안내하는 제3냉기가이드홈과,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과 연통되며 상기 냉기포켓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냉기가이드홈을 통해 흘러내린 냉기를 상기 냉기포켓부로 전달할 수 있는 제4냉기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제1수용홈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부재의 냉기가 전달될 수 있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주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KR1020150139748A 2015-10-05 2015-10-05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KR101749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748A KR101749136B1 (ko) 2015-10-05 2015-10-05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PCT/KR2016/011048 WO2017061743A1 (ko) 2015-10-05 2016-10-04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748A KR101749136B1 (ko) 2015-10-05 2015-10-05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586A KR20170040586A (ko) 2017-04-13
KR101749136B1 true KR101749136B1 (ko) 2017-06-20

Family

ID=5848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748A KR101749136B1 (ko) 2015-10-05 2015-10-05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9136B1 (ko)
WO (1) WO20170617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443A (ko) 2019-01-11 2020-07-21 강순동 음식물 신선도유지 보관용 자기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0520B1 (de) * 2017-12-04 2019-05-15 Pyar Ltd Behältnis für die Lagerung von feuchtegradsensiblen Produkt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210A (ja) 2002-10-04 2004-04-22 Sekisui Chem Co Ltd 断熱容器
JP2008505026A (ja) 2004-06-29 2008-02-21 ザ・グラッド・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容器
JP2014069805A (ja) * 2012-09-27 2014-04-21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樹脂製の保冷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735A (en) * 1994-06-13 1996-10-29 David C. Overton Food container
KR200236581Y1 (ko) * 2001-04-02 2001-10-10 손동국 수산물 보관용 냉장용기
KR200289837Y1 (ko) 2002-06-15 2002-09-19 주식회사 세경 식품저장용기
KR100623171B1 (ko) * 2005-01-12 2006-09-19 김정술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회용기
KR20080110336A (ko) * 2007-06-15 2008-12-18 김호태 얼음내피층 형성가능한 식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210A (ja) 2002-10-04 2004-04-22 Sekisui Chem Co Ltd 断熱容器
JP2008505026A (ja) 2004-06-29 2008-02-21 ザ・グラッド・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容器
JP2014069805A (ja) * 2012-09-27 2014-04-21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樹脂製の保冷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443A (ko) 2019-01-11 2020-07-21 강순동 음식물 신선도유지 보관용 자기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1743A1 (ko) 2017-04-13
KR20170040586A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7099B2 (en) Insulated container system for maintaining a controlled payload temperature
CA2790360C (en)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S2324829T3 (es) Contenedor para el transporte de mercancias enfriadas.
KR101749136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이 있는 식품저장용기
US9841223B2 (en) Refrigerator
CN203698988U (zh) 蓄冷保温箱
CN203534046U (zh) 便携可拆式储存箱及制冷装置
KR200465031Y1 (ko) 포장용 보온박스의 냉장 키트
JP3211437U (ja) 保冷箱
KR20120002901A (ko) 냉장 보관용 포장체
JP2017053612A (ja) 蓄冷熱材の使用方法、包装体、及び蓄冷熱材
JP2015193388A (ja) 保冷箱
JP5959705B1 (ja) 蓄冷熱材の使用方法、包装体、及び蓄冷熱材
SE8502978D0 (sv) Transport- och lagringsbehallare for kylvaror
KR200486363Y1 (ko) 육류용 포장상자
KR101513214B1 (ko) 발포폴리스티렌 포장상자
JP2019107052A (ja) 飲食容器
EP2813789B1 (en) Household type fridge including a crisper box
US20170283156A1 (en) Closure and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the Value or Integrity of Perishables by Regulating Temperature
KR200492982Y1 (ko) 저장 용기
US20160046429A1 (en) Multi-compartment insulated container systems
KR200401762Y1 (ko) 테이블용 김치냉장고
US20220205707A1 (en) Climate Control Lids
KR101848712B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100750230B1 (ko) 김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