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562B1 -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562B1
KR101748562B1 KR1020150042466A KR20150042466A KR101748562B1 KR 101748562 B1 KR101748562 B1 KR 101748562B1 KR 1020150042466 A KR1020150042466 A KR 1020150042466A KR 20150042466 A KR20150042466 A KR 20150042466A KR 101748562 B1 KR101748562 B1 KR 101748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ear
resin
supply passa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172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덕에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덕에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덕에이앤티
Priority to KR102015004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5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6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mounted on a turntable, i.e. on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arallel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사출홈이 형성된 제1금형부와 제2사출홈이 형성된 제2금형부로 구획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하부금형의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공급하는 자재 공급수단;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턴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 또는 제2금형부와 밀착되고,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공급유로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으로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2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상기 기어부와 상기 인서트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제2공급유로로 이동되는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상기 제2사출홈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부재의 동작, 상기 회전부재의 동작, 상기 자재 공급수단의 동작 및 상기 이동부재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기어 휠을 제조하는 기어 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가 구비되는 하부금형을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상부금형을 통해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위치하는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로 수지를 공급한 후 공급된 수지가 사출성형됨으로 인하여 기어 휠을 제조할 수 있어 기어 휠의 제작시간을 단축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equipment of gear wheel and gear whee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어 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 또는 전동식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윔 기어 휠을 제조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어 휠은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에 적용되는 윔 휠의 제작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09363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타력을 발생시키는 파워 스티어링장치는 핸들의 조작력을 가볍고 원활하게 하면서도 신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유압을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작동된다.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작은 힘으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으며 조향기어비의 조작력에 관계없이 선정할 수 있으며, 노면의 요철에서 오는 충격을 흡수하여 핸들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또한, 최근에는 차속센서 및 조향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 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하고, 고속 운행 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하며, 비상상황에서는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는 통상 EHPS(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나 또는 MDPS(Motor Driver Power Steering)가 있으며, 이중 MDPS 시스템은 펌프에서 유압을 형성하여 파워를 어시스트(assist)하는 유압시스템과 달리 모터의 회전력으로 조향 파워를 어시스트(assist) 하는 구조로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연계된 웜축(Worm-Shaft)이 스티어링샤프트(Steering-Shaft)와 연결되어 있는 웜휠(Worm Wheel)을 회전시켜 조향력을 어시스트하게 된다.
또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통상적인 유압식 브레이크와 다르게 마찰패드를 가압하는 구동장치의 동력원으로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를 채용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3691호는 이러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개시하고 있다.
이 디스크 브레이크는 제동 및 제동의 해제를 위해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류 기어부와, 스크류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진퇴하면서 마찰패드를 가압하는 피스톤을 구비한다.
한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모터를 이용하여 주차 보조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와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에서 별도로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웜휠 및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에서 모터의 동력을 받는 윔축과 치합되는 윔휠을 제작함에 있어서 모터의 동력을 받는 윔축과 치합되는 윔휠을 사출성형하는 하부 하우징의 홈에 인서트를 삽입하는 공정, 상부 하우징을 이용하여 인서트의 외측에 기어부를 사출성형하는 공정, 사출성형된 윔휠을 하부 하우징의 홈에서 탈형하는 공정을 하나의 하부 하우징을 이용함으로 인하여 공정시간이 증가하여 윔휠의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 또는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이 준비되는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로 구획된 하부금형을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밸브부재 및 제2공급유로가 제1유로의 끝단에서 하부로 사선바향으로 분할되게 구비되는 상부금형을 통해 수지를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로 공급함으로써 기어 휠을 제조할 수 있어 상부금형이 밀착되는 면을 깨끗하게 형성하도록 하여 밀착되는 면을 가공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기어 휠의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어 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사출홈이 형성된 제1금형부와 제2사출홈이 형성된 제2금형부로 구획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하부금형의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공급하는 자재 공급수단;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턴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 또는 제2금형부와 밀착되고,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공급유로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으로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2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상기 기어부와 상기 인서트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제2공급유로로 이동되는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상기 제2사출홈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부재의 동작, 상기 회전부재의 동작, 상기 자재 공급수단의 동작 및 상기 이동부재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사출홈이 형성된 제1금형부와 제2사출홈이 형성된 제2금형부로 구획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하부금형의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공급하는 자재 공급수단;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턴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 또는 제2금형부와 밀착되고, 인서트부의 외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의 외측면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공급유로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으로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2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기어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의 외측면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제2공급유로로 이동되는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상기 제2사출홈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부재의 동작, 상기 회전부재의 동작, 상기 자재 공급수단의 동작 및 상기 이동부재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로 구획된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로 구획된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를 상부금형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형의 제2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부에서 상부금형을 탈착시킨 후 상기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에서 기어 휠 및 기어축을 탈착 후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상부금형의 제1공급유로를 통해 이동시키고,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는 제2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인서트부와 기어부 사이로 수지를 공급하여 사출성형하며, 상기 상부금형에는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로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중앙부에는 각각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의 동작,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에 기어축 및 기어부의 준비,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의 밀착 및 탈착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로 구획된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준비하는 단계;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를 상부금형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의 외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형의 제2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부에서 상부금형을 탈착시킨 후 상기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에서 기어 휠 및 기어축을 탈착 후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의 외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상부금형의 제1공급유로를 통해 이동시키고,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는 제2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인서트부 외측면에 수지를 공급하여 사출성형하며, 상기 상부금형에는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로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금형부 및 상기 제2금형부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내측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의 동작,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에 기어축의 준비,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의 밀착 및 탈착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은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 또는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이 준비되는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로 구획된 하부금형을 턴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상부금형을 통해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위치하는 인서트부의 외측면 또는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수지를 공급한 후 공급된 수지가 사출성형됨으로 인하여 기어 휠을 제조할 수 있어 기어 휠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가 제1금형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를 상부금형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부금형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수지를 공급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과정 및 제2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공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기어 휠을 탈착하면서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공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작된 기어 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을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가 제1금형부에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를 상부금형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부금형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수지를 공급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과정 및 제2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공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기어 휠을 탈착하면서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공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작된 기어 휠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100)는, 하부금형(110)과, 턴 테이블(120)과, 자재 공급부재(130)와, 회전부재(140)와, 상부금형(150)과, 이동부재(160)와, 수지공급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금형(110)은 제1금형부(112)와 제2금형부(114)로 구획되며, 상기 제1금형부(112)에는 제1사출홈(1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금형부(114)에는 제2사출홈(114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사출홈(112a) 및 상기 제2사출홈(114a)에는 후술되는 자재 공급수단(130)에 의해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가 공급된다.
상기 하부금형(110)은 턴 테이블(120)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턴 테이블(120)은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턴 테이블(120)은 후술되는 회전부재(140)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금형(1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사출홈(112a) 및 상기 제2사출홈(114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공급하는 자재 공급수단(130)은 상기 하부금형(110)의 일단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자재 공급수단(130)은 상기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비가 아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출홈(112a) 및 상기 제2사출홈(114a)에는 제1삽입홈(112c) 및 제2삽입홈(114c)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12c)는 상기 제1사출홈(112a)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114c)는 상기 제2사출홈(114a)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12c) 및 제2삽입홈(114c)으로는 상기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이 삽입된다.
상기 제1삽입홈(112c)과 상기 제2삽입홈(114c)에는 각각 상기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112d) 및 제2장착돌기(114d)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돌기(112d) 및 제2장착돌기(114d)는 상기 제1삽입홈(112c) 및 상기 제2삽입홈(114c)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의 일단에는 상기 제1장착돌기(112d) 및 제2장착돌기(114d)에 장착되는 장착홈(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턴 테이블(120)은 회전부재(140)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와 제2금형부(114)는 위치가 변동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40)는 상기 턴 테이블(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턴 테이블(1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140)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110)의 타단 상부에는 상부금형(15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금형(150)은 후술되는 이동부재(160)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 및 제2금형부(114)와 밀착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에는 상기 기어축(20)에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부(30)와 상기 기어부(40)의 사이에 연결부(50)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30)와 상기 기어부(40)의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유로(15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은 상기 하부금형(110)의 타단 상부에서 이동부재(160)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 또는 제2금형부(114)에 밀착되거나 탈착되며,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금형(110)과의 밀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5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부재(160)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 및 제2금형부(114)의 상부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돌기(154)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112b) 및 제2가이드홈(114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금형(150)의 가이드돌기(154)가 상기 제1가이드홈(112b) 및 제2가이드홈(114b)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금형(150)이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 또는 제2금형부(114)의 상부에 정확하게 밀착되고, 후술되는 수지공급부재(17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상기 인서트부(30)와 상기 기어부(40)의 사이로 정확하게 공급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의 공급유로(152)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부재(170)는 상기 상부금형(15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금형(1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부재(172)를 통해 상기 상부금형(150)의 공급유로(152)로 기어 휠(70)의 연결부(50)를 사출성형하는 수지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에 형성되는 상기 공급유로(152)는 제1공급유로(152a)와 제2공급유로(15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급유로(152a)는 상기 상부금형(15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공급부재(170)와 상기 연결부재(172)에 의해 연결되어 수지가 공급된다. 상기 제2공급유로(152b)는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부에서 상기 제1공급유로(152a)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50)를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상기 기어축(20)에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부(30)와 상기 기어부(40)의 사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지공급부재(17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상기 인서트부(30)의 외측면과 상기 기어부(40)의 내측면 사이로 공급되어 사출성형됨으로써 연결부(5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공급유로(152b)의 끝단에는 밸브부재(152c)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부재(152c)는 상기 제2공급유로(152b)로 이동하는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부재(152c)의 동작, 상기 턴 테이블(12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40)의 동작, 상기 자재 공급수단(130)의 동작, 상기 상부금형(15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60)의 동작은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공급유로(152b)의 끝단에 밸브부재(152c)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밸브부재 없이 3점 이상의 핀 포인트(pin point)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급유로(152b)를 통하여 수지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가 준비되는 제1금형부(112)와 제2금형부(114)로 구획된 하부금형(110)을 턴 테이블(120)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상부금형(150)을 통해 제1금형부(112) 및 제2금형부(114)에 위치하는 인서트부(30)와 기어부(40)의 사이에 수지를 공급한 후 공급된 수지가 사출성형됨으로 인하여 기어 휠(70)을 제조할 수 있어 기어 휠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200)는 하부금형(210)과, 턴 테이블(220)과, 자재 공급수단(230)와, 회전부재(240)와, 상부금형(250)과, 이동부재(260)와, 수지공급부재(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턴 테이블(220), 회전부재(240), 상부금형(250), 이동부재(260) 및 수지공급부재(2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턴 테이블(120), 회전부재(140), 상부금형(150), 이동부재(160) 및 수지공급부재(170)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210)의 제1금형부(212)와 제2금형부(214)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는 각각 치형(212e,214e)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금형(210)의 제1금형부(212)와 제2금형부(214)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 상기 치형(212e,214e)이 형성됨으로 인해 완성된 기어 휠의 둘레면에 치형이 성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는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제조된 기어 휠의 둘레면은 별도의 후공정에 의하여 완성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 각각 치형(212e,214e)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으로 공급되는 수지가 사출성형됨으로 인하여 상기 기어축(20)과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부(30)의 외측면에 기어부(40)와 연결부(50)가 일체로 사출성형되게 된다.
상기 자재 공급수단(230)은 상기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비 또는 작업자가 수작업을 이용하여 공급하며, 상기 자재 공급수단(230)이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공급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100)를 이용하여 기어 휠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제1금형부(112)와 제2금형부(114)로 구획된 하부금형(110)의 제1사출홈(112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제1금형부(112)의 제1사출홈(112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10)는 자재 공급수단(13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사출홈(112a)에 형성된 제1삽입홈(112c)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삽입하고, 상기 제1사출홈(112a)에 외측 둘레면에 치형이 형성된 기어부(40)를 공급함으로써 수행되게 된다. 상기 제1사출홈(112a)의 둘레면에 상기 치형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완성된 기어 휠의 둘레면에 치형이 성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사출홈(112a)의 둘레면에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출홈(112a)의 둘레면에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하부금형(110)에 의하여 제조된 기어 휠의 둘레면은 별도의 후공정에 의하여 완성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사출홈(112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10)를 거친 후 상기 하부금형(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턴 테이블(120)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112)를 상부금형(15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턴 테이블(120)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를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부에 위치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금형(150)과 수지공급부재(170)를 이용하여 상기 인서트부(30)의 외측면과 상기 기어부(40)의 내측면 사이에 연결부(50)를 사출성형하게 된다. 상기 턴 테이블(120)의 회전은 회전부재(140)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재(140)는 상기 턴 테이블(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 테이블(120)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112)를 상부금형(15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S20)를 거친 후 제1금형부(112)의 상부로 상부금형(150)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30)의 외측면과 기어부(40)의 내측면 사이에 연결부(50)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이 이동부재(160)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금형부(112)의 상부에 밀착되면, 상기 상부금형(150)의 공급유로(152)를 통해 수지공급부재(17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제1사출홈(112a)에 위치되는 인서트부(30)와 기어부(40)의 사이로 공급되어 사출성형됨으로써 연결부(5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인서트부(30)와 상기 기어부(40) 사이에 연결부(50)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거친 후 하부금형(110)의 제2금형부(114)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제2금형부(114)의 제2사출홈(114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40)는 자재 공급수단(130)에 의해 이루어지며, 자재 공급수단(130)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제1사출홈(112a) 또는 제2사출홈(114a)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30)의 외측면과 상기 기어부(4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연결부(50)를 형성하는 단계(S30)와 상기 제2금형부(114)의 제2사출홈(114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40)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150)은 상기 하부금형(110)의 상부에서 이동부재(160)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금형(110)에 밀착되거나 탈착되며,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금형(110)과의 밀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5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 및 제2금형부(114)의 상부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돌기(154)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112b) 및 제2가이드홈(114b)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의 가이드돌기(154)가 상기 제1가이드홈(112b) 및 제2가이드홈(114b)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금형(150)이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금형부(112) 또는 제2금형부(114)의 상부에 정확하게 밀착되게 된다.
상기 제2금형부(114)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40)를 거친 후 상기 상부금형(150)을 제1금형부(112)에서 탈착시킨 후 상기 턴 테이블(120)을 회전시켜 하부금형(110)의 제1사출홈(112a)에서 제조된 기어 휠(70)을 탈착시킨 후 기어 휠(70)이 탈착된 상기 제1사출홈(112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과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제1금형부(112)의 제1사출홈(112a)에서 제조된 기어 휠(70)을 탈착한 후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50)는 제조된 기어 휠(70)을 회수하는 단계 및 제조된 기어 휠(70)이 회수된 제1사출홈(112a)에 새로운 기어 휠을 제조하기 위해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금형부(112)의 제1사출홈(112a)에서 제조된 기어 휠을 탈착시킨 후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를 준비하는 단계(S50)를 거친 후 상기 제2금형부(114)의 상부로 상부금형(150)을 밀착시킨 후 상기 인서트부(30)의 외측면과 상기 기어부(40)의 내측면 사이에 연결부(50)를 형성하는 단계(S6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이 이동부재(160)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2금형부(114)의 상부에 밀착되면, 상기 상부금형(150)의 공급유로(152)를 통해 수지공급부재(17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제2사출홈(114a)에 위치하는 상기 인서트부(30)와 상기 기어부(40)의 사이로 공급되어 사출성형됨으로써 연결부(5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 및 기어부(40)가 준비되는 제1금형부(112)와 제2금형부(114)로 구획된 하부금형(110)을 턴 테이블(120)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상부금형(150)을 통해 제1금형부(112) 및 제2금형부(114)에 위치하는 인서트부(30)와 기어부(40)의 사이에 수지를 공급한 후 공급된 수지가 사출성형됨으로 인하여 기어 휠(70)을 제조할 수 있어 기어 휠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장치(200)를 이용하여 기어 휠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금형부(212)와 제2금형부(214)로 구획된 하부금형(210)의 제2사출홈(212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준비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10)의 제1사출홈(212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준비하는 단계(S100)를 거친 후 상기 하부금형(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턴 테이블(220)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212)를 상부금형(25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턴 테이블(220)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212)를 상부금형(25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S200)를 거친 후 제1금형부(212)의 상부로 상부금형(250)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30)의 외측면에 기어부(40)를 형성하는 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250)이 이동부재(260)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제1금형부(212)의 상부에 밀착되면, 상기 상부금형(250)의 공급유로(252)를 통해 수지공급부재(270)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제1사출홈(212a)에 위치되는 인서트부(30의 외측면으로 공급되어 사출성형됨으로써 기어부(40)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1사출홈(212a)의 둘레면에는 치형(212e)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사출홈(212a)의 둘레면에 상기 치형(212e)이 형성됨으로 인해 완성된 기어 휠의 둘레면에 치형이 성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사출홈(212a)의 둘레면에는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출홈(212a)에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하부금형(210)에 의하여 제조된 기어 휠의 둘레면은 별도의 후공정에 의하여 완성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축(20)에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부(30)의 외측면에 기어부(40)를 형성하는 단계(S300)를 거친 후 하부금형(210)의 제2금형부(214)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준비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
상기 제2금형부(214)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준비하는 단계(S400)를 거친 후 상기 상부금형(250)을 제1금형부(212)에서 탈착시킨 후 상기 턴 테이블(220)을 회전시켜 하부금형(210)의 제1사출홈(212a)에서 제조된 기어 휠(70)을 탈착시킨 후 기어 휠(70)이 탈착된 상기 제1사출홈(212a)에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준비하는 단계(S500)를 수행한다.
상기 제1금형부(212)의 제1사출홈(212a)에서 제조된 기어 휠을 탈착시킨 후 인서트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20)을 준비하는 단계(S500)를 거친 후 상기 제2금형부(214)의 상부로 상부금형(250)을 밀착시킨 후 상기 기어축(20)에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부(30)의 외측면에 기어부(40)를 형성하는 단계(S60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방법은 연결부(50)를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어 휠의 제조방법은 기어부(40)와 연결부(50)를 일체로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지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는 기어부(40)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치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 상기 치형(212e,214e)이 형성됨으로 인해 완성된 기어 휠의 둘레면에 치형이 성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는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출홈(212a) 및 제2사출홈(214a)의 둘레면에 완성 치형이 아닌 가(假)치형이 형성되거나 민면(Blank Type)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제조된 기어 휠의 둘레면은 별도의 후공정에 의하여 완성 치형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기어 휠의 제조장치 110 : 하부금형
112 : 제1금형부 114 : 제2금형부
120 : 턴 테이블 130 : 자재 공급수단
140 : 회전부재 150 : 상부금형
152 : 공급유로 154 : 가이드돌기
160 : 이동부재 170 : 수지공급부재
200 : 기어 휠의 제조장치 210 : 하부금형
212 : 제1금형부 214 : 제2금형부
220 : 턴 테이블 230 : 자재 공급수단
240 : 회전부재 250 : 상부금형
252 : 공급유로 254 : 가이드돌기
260 : 이동부재 270 : 수지공급부재

Claims (13)

  1. 제1사출홈이 형성된 제1금형부와 제2사출홈이 형성된 제2금형부로 구획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하부금형의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공급하는 자재 공급수단;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턴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 또는 제2금형부와 밀착되고,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공급유로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으로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2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상기 기어부와 상기 인서트부로 공급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제2공급유로로 이동되는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상기 제2사출홈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부재의 동작, 상기 회전부재의 동작, 상기 자재 공급수단의 동작 및 상기 이동부재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
  2. 제1사출홈이 형성된 제1금형부와 제2사출홈이 형성된 제2금형부로 구획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하는 턴 테이블;
    상기 하부금형의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공급하는 자재 공급수단;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턴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 또는 제2금형부와 밀착되고, 인서트부의 외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의 외측면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공급유로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유로는,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1공급유로와,
    상기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제2사출홈으로 상기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가 이동하는 제2공급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급유로는 상기 기어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상기 인서트부의 외측면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제2공급유로로 이동되는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사출홈 및 상기 제2사출홈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부재의 동작, 상기 회전부재의 동작, 상기 자재 공급수단의 동작 및 상기 이동부재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금형과의 밀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부 및 상기 제2금형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사출홈 및 상기 제2사출홈의 둘레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장치.
  8.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로 구획된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를 상부금형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형의 제2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부에서 상부금형을 탈착시킨 후 상기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에서 기어 휠 및 기어축을 탈착 후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 및 기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와 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상부금형의 제1공급유로를 통해 이동시키고,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는 제2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인서트부와 기어부 사이로 수지를 공급하여 사출성형하며,
    상기 상부금형에는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로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중앙부에는 각각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의 동작,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에 기어축 및 기어부의 준비,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의 밀착 및 탈착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방법.
  9.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로 구획된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준비하는 단계;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금형의 제1금형부를 상부금형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1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의 외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형의 제2금형부에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부에서 상부금형을 탈착시킨 후 상기 턴 테이블을 회전시켜 제1금형부에서 기어 휠 및 기어축을 탈착 후 인서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금형부의 상부로 상부금형을 밀착시킨 후 인서트부의 외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수지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수지를 상기 상부금형의 제1공급유로를 통해 이동시키고, 제1공급유로에서 분산되는 제2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인서트부 외측면에 수지를 공급하여 사출성형하며,
    상기 상부금형에는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로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유로의 끝단에는 상기 수지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금형부 및 상기 제2금형부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내측으로 삽입되게 형성되어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기어축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는 각각 상기 기어축이 장착되는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돌기 및 제2장착돌기에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형성된 장착홈이 장착 및 탈착됨으로써 상기 기어축을 상기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키며,
    상기 밸브의 동작,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상기 제1금형부와 제2금형부에 기어축의 준비,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의 밀착 및 탈착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공급유로의 끝단에서 하부 사선방향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휠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금형과의 밀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금형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기어 휠의 제조방법.
KR1020150042466A 2015-03-26 2015-03-26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KR10174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66A KR101748562B1 (ko) 2015-03-26 2015-03-26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66A KR101748562B1 (ko) 2015-03-26 2015-03-26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72A KR20160116172A (ko) 2016-10-07
KR101748562B1 true KR101748562B1 (ko) 2017-06-21

Family

ID=5714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66A KR101748562B1 (ko) 2015-03-26 2015-03-26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0303A (zh) * 2018-06-19 2018-12-11 浙江文源智能科技有限公司 锥齿轮及其制造方法和模具
KR20230064807A (ko) * 2021-11-04 2023-05-11 남도금형(주)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 플레이트 구조체 제조용 이중복합사출금형
CN115674591B (zh) * 2023-01-05 2023-03-21 苏州市通达自动扶梯配件厂 一种梯级滚轮用可快速换模的模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6296A1 (fr) * 1995-10-31 1997-05-09 Takaoka Seiko Co., Ltd. Procede de moulage par injection de type a porte avec clapet et appareil s'y rapportant
JP2000202861A (ja) * 1999-01-08 2000-07-25 Seiko Epson Corp 射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007245398A (ja) * 2006-03-14 2007-09-27 Tokai Rika Co Ltd 型装置
KR101091067B1 (ko) * 2011-02-18 2011-12-08 주식회사 광덕에이앤티 기어 휠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JP2013237181A (ja) 2012-05-15 2013-11-28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射出成形装置及び積層成形品の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6296A1 (fr) * 1995-10-31 1997-05-09 Takaoka Seiko Co., Ltd. Procede de moulage par injection de type a porte avec clapet et appareil s'y rapportant
JP2000202861A (ja) * 1999-01-08 2000-07-25 Seiko Epson Corp 射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007245398A (ja) * 2006-03-14 2007-09-27 Tokai Rika Co Ltd 型装置
KR101091067B1 (ko) * 2011-02-18 2011-12-08 주식회사 광덕에이앤티 기어 휠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JP2013237181A (ja) 2012-05-15 2013-11-28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射出成形装置及び積層成形品の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72A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562B1 (ko) 기어 휠의 제조장치 및 기어 휠의 제조방법
US6497041B2 (en) Method of producing resin gear
CN103129546B (zh) 电子控制制动助力器
CN106573291B (zh) 齿条以及齿条的制造方法
EP1950122A1 (en) Gea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1883796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의 기어박스 구조체
JP6355965B2 (ja) 自動ステアリング中心合わせアセンブリ
CN111845675A (zh) 车辆液压制动系统的机电制动压力产生器和其制造方法
KR101425966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샤프트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N106427966A (zh) 一种用于车辆制动系统中的电子控制制动助力器
JP4589065B2 (ja) タイヤ用円環状部材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101906716B1 (ko) 전동식 조향장치용 웜휠
KR101483235B1 (ko) 프레스 금형에 의한 프라이머리 피스톤의 버프리 정밀가공 방법
US20190135255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mechanical Brake Device
CN107458499A (zh) 制造花键伸缩轴的方法
CN110961692A (zh) 一种模具机械加工用螺栓孔加工装置
JP6088222B2 (ja) ギ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862781A (zh) 机械式管件端部成型机
JP2012110913A (ja) ウォーム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70055033A (ko) 그린타이어 제조용 성형드럼 구동장치
KR10122350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어퍼 샤프트 성형방법
KR101541381B1 (ko)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KR10234253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스크류 홀더
JP7283319B2 (ja) ウォームホイ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ウォーム減速機
JPS623908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