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928B1 -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7928B1 KR101747928B1 KR1020150191271A KR20150191271A KR101747928B1 KR 101747928 B1 KR101747928 B1 KR 101747928B1 KR 1020150191271 A KR1020150191271 A KR 1020150191271A KR 20150191271 A KR20150191271 A KR 20150191271A KR 101747928 B1 KR101747928 B1 KR 101747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rva
- vibration
- conveyor belt
- larva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382353 Pup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8 lar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032 Acrid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814 Orth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76427 Poecilia ret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7 environmen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78—Belt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5G2812/02198—Non-metallic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선별 장치는,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입구(115)를 구비하는 공급부(110)와, 공급부(110)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구(115)를 통하여 낙하된 이물질이 포함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유충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제 1 진동선별부(120) 하부에 설치되어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며 표면이 천재질로 형성되어 유충 중 산 유충이 달라붙도록 하는 컨베이어 벨트(130)와, 컨베이어 벨트(130)가 180°회전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30)에 달라붙은 유충을 차단하여 하측으로 낙하시키도록 하는 이송차단부재(190)와,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연결부재에 의해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연결되어, 이송차단부재(190)에 의해 낙하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유충을 크기에 따라 분리 선별한 후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제 2 진동선별부(140)를 포함한다. The insect se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11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main body 100 and having a charging port 115 and a foreign substance dropping through a charging port 115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lying unit 110 A first vibration detecting unit 120 for removing fin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arvae while transferring the larva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 conveyor belt 130 installed on a path where the conveyor belt 130 rotates by 180 ° and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convey the conveyor belt 130, A conveyance blocking member 190 disposed below the conveyor belt 130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vibration discriminating unit 120 by a connecting member, While transferring the material to fall by 190 larvae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includes a separation by screening and then the main body 100 to which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second oscillation selec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arva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곤충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아있는 곤충의 유충을 자동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분리 선별될 수 있는 곤충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scree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ect screen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separating and sorting larvae of living insects automatically.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곤충, 예를 들어 갈색거저리, 메뚜기, 물바퀴, 구더기, 명충, 귀뚜라미등은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많은 지역에서 이를 가공하여 식량으로 사용한다.Commonly known insects, such as brown ducks, grasshoppers, water wheels, maggots, mites, and crickets, are processed and used as food in many areas, including Southeast Asia.
상기 곤충에 대한 수요량이 많은 지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곤충의 사육은 이미 신흥 업종으로 널리 형성 되었다. 상기와 같이 많은 곤충 중에 갈색거저리의 성충은 주로 곡류 속에 알을 낳는데, 이때 알은 점액질로 구성되며 그 크기가 대략 장경 1.93mm, 단경 1.00mm로 매우 작으며 1~2주일 후 부화한다. 상기 갈색거저리의 유충 기간은 약 10주이나 이를 인공 사육할 때에는 약 2주 정도이다. As the demand for these insects has expanded to many areas, breeding of insects has already been widely spread to emerging industries. Among the many insects as described above, the adults of brown duck usually lay eggs in the cereal. In this case, eggs are composed of mucilaginous eggs, which are very small, about 1.93 mm long and 1.00 mm long, and hatch after 1 ~ 2 weeks. The larval period of the brown guppies is about 10 weeks, but about two weeks when artificially cultivated.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까지 먹이와 온도에 따라 9 내지 20번 탈피한다. 번데기가 되고 2 내지 3주가 경과하면 성충으로 우화하며 처음으로 우화할 때에는 연한 갈색이나 점차 검게 변한다.Larvae moult 9 to 20 times depending on food and temperature until they become pupae. It becomes a pupa and becomes alien to adults when 2 to 3 weeks have elapsed. It changes to light brown or gradually black when it first becomes allegory.
이와 같은 갈색거저리 유충은 동물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고 성장이 빠르며 번식률이 아주 높으면서, 유충의 허물은 갑각소 생산에 필요한 우수한 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칼슘의 함량이 새우나 게 껍질보다 낮아서 가공하기가 쉽고, 갑각소는 기능식품, 의약용품, 보건용품, 환경재료, 방직, 강제막 생산등 광범위한 응용 가능하다.These brown larvae have the highest protein content, have the highest growth rate and have a high reproductive rate. Therefore, the larvae of the larva can be used as an excellent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the cadavers, and the calcium content is lower than that of the shrimp and crab shells It is easy to use, and the cadaver can be appli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functional foods, medicinal products, health care products, environmental materials, textile, and forced membrane production.
상기와 같은 갈색거저리 유충을 비롯한 많은 곤충의 유충은 스크린망 위를 이송 하면서 크기별 선별이 이루어 진다.Many insect larvae, including brown larvae,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are sorted by size while transporting them over the screen screen.
이때, 상기 스크린망 위를 이송하는 성충, 알, 유충 및 유충의 허물, 번데기는 단순히 망의 크기에 의해서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어, 정확한 선별이 어렵고 특히 대량 생산을 할 수 없으며, 선별된 상품의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offspring, eggs, larvae and larvae of the larvae, larvae, and larvae of the larvae, which transfer on the screen net, are simp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et,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elect them and mass production can not b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greatly reduced.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유충을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하는 곤충 선별 장치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유충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이물질이나 가벼운 이물질 및 죽은 유충 등을 걸러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결국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reference discloses an insect screening apparatus for sorting larvae by siz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filter fine foreign matter, light foreign matter and dead larvae contained in larvae,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deteriorat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해결과제는, 유충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동시에 유충 속에 포함된 이물질과 죽은 유충을 걸러내도록 하는 곤충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ect screening apparatus for sorting larvae by size and screening foreign matter and dead larvae contained in the larv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선별 장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입구(115)를 구비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15)를 통하여 낙하된 이물질이 포함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유충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진동선별부(120); 제 1 진동선별부(120) 하부에 설치되어,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며, 표면이 천재질로 형성되어 유충 중 산 유충이 달라붙도록 하는 컨베이어 벨트(130);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가 180°회전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와 대면하도록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에 달라붙은 유충을 차단하여 하측으로 낙하시키도록 하는 이송차단부재(190);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차단부재(190)에 의해 낙하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유충을 크기에 따라 분리 선별한 후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제 2 진동선별부(140); 및,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 또는 제 2 진동선별부(140)의 일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선별부(120,140)를 높이 방향으로 진동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선별부(120,140)에 적재된 유충 및 이물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진동선별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ect sel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A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는,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는 제1 몸체(122); 상기 제1 몸체(122)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제1 몸체(122)의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15)를 통하여 낙하된 유충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제1 몸체(122)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제1 스크린망(124); 및, 상기 제1 몸체(122)의 타측단부에 상기 제1 몸체(122)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미세 이물질배출구(128)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몸체(122)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러진 미세 이물질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이물질 배출관(126);을 포함한다. The first
상기 제 2 진동선별부(140)는,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는 제2 몸체(142); 상기 제2 몸체(142)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제2 몸체(142)의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차단부재(190)에 의해 낙하된 유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유충을 걸러내어 상기 제2 몸체(142)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제2 스크린망(144); 및, 상기 제2 몸체(142)의 타측단부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142)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작은 유층을 낙하시켜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작은유충 배출구(146);를 포함한다,The secon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컨베이어 벨트(130)의 각 타측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된 유충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된 유충을 상기 제 2 진동선별부(14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동작하는 회전 가이드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ect se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first
또한,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17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되는 유충에 포함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흡입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이물질 흡기송풍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인 곤충 건조장치에 의하면, 제 1 진동선별부에서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고, 제 2 진동선별부에서 큰 유충과 작은 유충을 선별하며, 또한 이물질 흡기송풍구에 의해 유충으로부터 가벼운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유충으로부터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고 크기에 따라 선별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며, 선별된 상품(유충)의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를 거친 천재질로 하여 죽은 유충을 걸러내고 이송차단부재에 의해 산 유충을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 역시 선별된 상품의 품질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insect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vibrating screens separate the large larvae and the small larvae from the first vibrating screen, and filter ligh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arvae by the foreign material air blast holes, It is possible to sort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roduct, and it is possible to select according to the size, so that the convenience of work and the productivity are excellent and the quality of the selected product (larva) is excellent. Further, by separating dead larvae with a conveyor belt as a rough material and separating the larva from the conveyor belt by the conveying blocking member, the quality of the selected product is also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곤충 선별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B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정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이물질 흡기송풍부를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 선별 장치의 요부 구조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sect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een from direction B in Fig. 1,
3 is a front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irection A in Fig. 1,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ntake air blowing unit is removed in FIG. 2,
5 is a structur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n insect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 선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nsect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곤충 선별 장치(10)는 본체(100), 공급부(110), 제 1 진동선별부(120), 컨베이어 벨트(130), 제 2 진동선별부(140), 회전 가이드부재(170), 이물질 흡기송풍부(180),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및 진동선별부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장치의 좌측을 일측이라 칭하고, 장치의 우측을 타측이라 칭하기로 한다. 1 to 5,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선별 장치(10)는 유충으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충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인데, 사전적 의미로서 '유충'이라 함은 곤충류가 부화한 후 번데기가 성충이 되기 전까지의 벌레를 의미하는 것인데, 유충이 유통되면서 시간이 지나 번데기나 벌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유충'은 곤충의 성충, 알, 유충, 번데기를 포함하는 통칭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체(100)는 장치의 골격 및 다른 구성요소들이 지지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 다수의 프레임이나 프레임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단에 이동 바퀴가 설치될 수 있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체(100)를 높이별로 구분하면 대략 상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부에는 공급부(110)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제 1 진동선별부(120), 컨베이어 벨트(130), 제 2 진동선별부(140)가 높이순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미도시) 및 진동선별부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및 진동선별부의 설치 위치는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공급부(110)는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측면은 막혀있는 사각 호퍼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공급부(110)의 저면은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저면의 일측 단부에는 투입구(115)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급부(110)에 이물질이 포함된 유충이 공급되면, 이물질이 포함된 유충은 경사진 저면을 따라 일측부로 흘러가게 되고 투입구(115)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The
한편, 본체의 상부 타측 즉, 공급부(110)의 측부에는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를 동작하거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각종 동작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at is, on the side of the
제 1 진동선별부(120)는 공급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구(115)를 통해 낙하된 이물질이 포함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유충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제 1 진동선별부(120)는 구체적으로 제1 몸체(122)와, 제1 스크린망(124) 및 이물질 배출관(12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제1 몸체(122)는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게 된다. The
제1 스크린망(124)은 제1 몸체(122)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제1 몸체(122)의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제1 스크린망(124)에는 그물망 구조를 갖도록 다수개의 미세 선별공이 제1 스크린망(124) 전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스크린망(124)은 투입구(115)를 통하여 낙하된 유충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유충 분비물, 분토, 크기가 작은 성충알 등)을 걸러내고, 미세 이물질은 제1 스크린망(124) 아래로 떨어져 제1 몸체(122) 내부 공간으로 수용된다. The
한편, 제1 몸체(122)는 진동선별부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높이방향으로 진동운동을 하게 되며, 이 상하 진동운동에 의해 제1 스크린망(124)에 놓여 있는 유충과 제1 몸체(122) 내부에 수용되는 이물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진동선별부 구동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이물질 배출관(126)은 제1 몸체(122)의 타측단부에 제1 몸체(122)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이물질 배출관(126)은 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미세 이물질배출구(128,도 1,2 참조)와 연통되며 제1 몸체(122)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도4 참조). 따라서, 제1 몸체(122)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 이물질이 일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물질 배출관(126)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물질 배출관(126)에 떨어진 미세 이물질은 경사면을 따라 폭방향 끝으로 이동하여 미세 이물질배출구(128)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The foreign
한편, 제1 스크린망(124)에 놓여있는 유충은 타측(우측) 끝단까지 이동한 후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rva lying in the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들은 우측단 끝까지 이동하여 낙하하고, 가이드판(160)과 회전 가이드부재(170)를 거치면서 컨베이어 벨트(130)로 이동한다. 여기서 가이드판(160)은 본체(180)에 지지되거나 또는 이물질 흡기송풍부(180)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판(160)은 생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전 가이드부재(17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컨베이어 벨트(130)의 우측단 길이를 적당히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arvae from which the fine particles are removed move to the right end and fall and move to the
회전 가이드부재(170)는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컨베이어 벨트(130)의 각 타측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된 유충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로 적재되도록 하는 제1위치(실선)와,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된 유충을 상기 제 2 진동선별부(140)로 적재되도록 하는 제2위치(점선) 사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동작한다. 회전 가이드부재(170)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로써, 이에 의하면 제 1 진동선별부(120)를 거친 유충이 컨베이어 벨트(130)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회전 가이드부재(170)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죽은 유충을 걸러내지 않고 신속하고 유충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경우로써, 이에 의하면 제 1 진동선별부(120)를 거친 유충은 바로 제 2 진동선별부(140)로 낙하하게 된다. The
이물질 흡기송풍부(180)는 회전 가이드부재(17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00)에 지지 또는 결합되게 설치되며, 본체와 대면하는 측에 흡기구가 설치되어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되는 유충에 포함되는 가벼운 이물질(유충이나 번데기 허물, 왕겨와 같은 곡물 껍데기 등)을 흡입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물질 흡기송풍부(180)에는 흡기팬이 설치되는 별도의 배관과 연결되게 된다. 유충은 제외하고 가벼운 이물질만을 흡입해야 하므로, 상기 흡기팬의 흡입력은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The foreign matter
컨베이어 벨트(130)는 제 1 진동선별부(120) 하부에 설치되어, 제 1 진동선별부(120)로부터 이동된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컨베이어 벨트(130)는 미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130)는 표면이 거친 천재질로 형성되어 유충 중 산유충이 달라붙어 이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130)가 일측(좌측) 단부에서 180°회전하여 반대 방향(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 산 유충은 컨베이어 벨트에 붙어서 이송하게 되나 죽어있는 유충은 낙하하게 된다. 죽은 유충은 다리의 움직임이 없어 컨베이어 벨트에 붙지 않게 된다. 낙하된 죽은 유충은 바닥에 마련된 죽은유충 수거함(192)에 수거된다. The
이송차단부재(190)는 컨베이어 벨트(130)가 180°회전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컨베이어 벨트(130)와 대면하도록 컨베이어 벨트(130)의 바로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송차단부재(190)와 컨베이어 벨트(130)는 거의 붙어 있을 만큼의 그 사이에 아주 작은 틈이 생기게 되며, 그 틈으로는 유충이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130)에 달라붙은 유충은 이송차단부재(190)에 막혀 컨베이어 벨트(130)로부터 분리된 후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The conveying
제 2 진동선별부(140)는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차단부재(190)에 의해 낙하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유충을 크기에 따라 분리 선별한 후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제 2 진동선별부(140)는 구체적으로 제2 몸체(142)와 제2 스크린망(144) 및 작은유충 배출구(14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제2 몸체(142)는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제2 몸체(142)는 제1 몸체(122)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제2 몸체(142)는 제1 몸체(122)와 연동하여 높이방향으로 진동 운동을 하게 된다. The
제2 스크린망(144)은 제2 몸체(142)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제2 몸체(142)의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제2 스크린망(144)은 제1 스크린망(124)과 같이 그물망 구조를 갖도록 다수개의 선별공이 제2 스크린망 전체에 형성된다. 제2 스크린망(144)의 선별공은 제1 스크린망(124)의 선별공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유충들 중 작은 유충을 걸러내게 된다. 따라서, 제2 스크린망(144)은 이송차단부재(190)에 의해 낙하된 유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유충을 걸러내고, 제2 스크린망(144)의 선별공을 통과한 작은 유충은 제2 몸체(142) 내부로 수용된다. The
작은유충 배출구(146)는 제2 몸체(142)의 타측단부 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142)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작은 유충은 일측에서 좌측으로 이송하면서 작은유충 배출구(146)를 통해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대응되는 바닥면에 있는 작은유충 보관함(194)에 수거된다.The
한편, 제2 스크린망(144)에 놓여있는 큰 유충은 타측(우측) 끝단까지 이동한 후 하부로 낙하하게 되고, 대응되는 바닥면에 있는 큰유충 보관함(196)에 수거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rge larva placed on the
진동선별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제1 몸체(122) 또는 제 2 진동선별부(140)의 제2 몸체(142)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122) 및 제2 몸체(142)를 높이방향으로 진동 즉, 상부로 튕기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제 1 진동선별부(120)에 수용되어 있는 유충과 미세 이물질을, 제 2 진동선별부(140)에 수용되어 있는 큰 유충과 작은 유충은 각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진동선별부 구동부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진동모터를 구비하고, 이 진동모터에 구동벨트, 구동풀리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에는 완충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어, 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The vibrating selector drive unit is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 선별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3 to 5, the operation of the insect scre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이물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충들이 공급부(110)에 화살표 C와 같이 공급되면, 공급부(110)의 경사진 저면을 따라 화살표 E와 같이 이동하고 투입구(115)를 거쳐 하부의 제 1 진동선별부(120)로 떨어지게 된다. When a plurality of larvae including foreign substances are supplied to the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충은 제 1 진동선별부(120)의 제1 스크린망(124)에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미세 이물질은 제1 스크린망(124)의 미세 선별공을 통과하여 제1 몸체(122) 내부공간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제 1 진동선별부(120)는 미도시된 진동선별부 구동부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므로, 미세 이물질과 이물질이 걸러진 유충은 화살표 F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The larva including the foreign substance drops to the
미세 이물질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미세 이물질 배출관(126)으로 낙하하여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미세 이물질배출구(128)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며, 그 아래 바닥면에 있는 미세 이물질 수거함(도면 미도시)에 수거된다.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들은 우측단 끝까지 이동하여 화살표 H와 같이 낙하하고, 가이드판(160)과 회전 가이드부재(170)를 거치면서 컨베이어 벨트(130)로 이동한다.The fine particles move downward to the fine
한편, 컨베이어 벨트(130)로 이동하는 중에 유충들에 포함되어 있는 가벼운 이물질은 이물질 흡기송풍부(180)에 흡입되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Meanwhile, the ligh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larvae are sucked into the foreign
유충은 컨베이어 벨트(130)의 회전운동에 의해 화살표 I와 같이 이동하게 되는데, 컨베이어 벨트(130)의 표면이 거친 천재질로 형성되므로, 산 유충은 컨베이어 벨트(130)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지만, 죽은 유충은 컨베이어 벨트(130)에 달라붙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가 좌측단에서 180°회전할 때, 죽은 유충은 화살표 J와 같이 하부로 낙하하여 죽은 유충 수거함(192)으로 수거되고, 산 유충은 컨베이어 벨트(130)에 붙어서 화살표 K와 같이 이동한다. 산 유충은 이동 중 이송차단부재(190)에 부딪히면서 컨베이어 벨트(130)로부터 분리되어 화살표 L과 같이 낙하하여 제 2 진동선별부(140)로 떨어지게 된다. The larva is moved as indicated by the arrow I by the rotation of the
유충은 제 2 진동선별부(140)의 제2 스크린망(144)에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유충은 제2 스크린망(144)의 선별공을 통과하여 제2 몸체(142) 내부공간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제 1 진동선별부(120)와 마찬가지로 제 2 진동선별부(140)는 높이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므로, 작은 유충과 큰 유충은 화살표 M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The larvae fall into the
제2 몸체(142) 내부에 있는 작은 유충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작은유충 배출구(146)을 통해 화살표 N과 같이 하부로 낙하하여 작은유충 수거함(194)으로 수거된다. 제2 스크린망(144) 위에 있는 큰 유충은 우측단 끝까지 이동하여 화살표 O와 같이 낙하하여 큰유충 수거함(196)으로 낙하한다. The small larva existing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진동선별부에서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고, 제 2 진동선별부에서 큰 유충과 작은 유충을 선별하며, 또한 이물질 흡기송풍구에 의해 유충으로부터 가벼운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유충으로부터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고 크기에 따라 선별이 가능하게 되어, 결국 작업의 편리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며 선별된 상품(유충)의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를 거친 천재질로 하여 죽은 유충을 걸러내고 이송차단부재에 의해 산 유충을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 역시 선별된 상품의 품질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vibrating screens separate the large larvae and the small larvae from the first vibrating screen, and filter ligh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arvae by the second airborne air outlet, Various foreign substances can be filtered out, and sorting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size, so that the convenience of work and productivity are excellent, and the quality of the selected product (larva) is excellent. Further, by separating dead larvae with a conveyor belt as a rough material and separating the larva from the conveyor belt by the conveying blocking member, the quality of the selected product is also excell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공급부
115. 투입구 120. 제 1 진동선별부
122. 제1 몸체 124. 제1 스크린망
126. 미세 이물질배출관 130. 컨베이어 벨트
140. 제 2 진동선별부 142. 제2 몸체
144. 제2 스크린망 146. 작은유충 배출구
160. 가이드판 170. 회전 가이드부재
180. 이물질 흡기송풍부 190. 이송차단부재100.
115.
122.
126. Fine
140. Second
144.
160.
180. Foreign matter
Claims (5)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입구(115)를 구비하는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15)를 통하여 낙하된 이물질이 포함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유충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진동선별부(120);
제 1 진동선별부(120) 하부에 설치되어,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 유충을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며, 표면이 천재질로 형성되어 유충 중 산 유충이 달라붙도록 하고, 이송 과정에서 죽은 유충이 낙하되면서 수거되게 하는 컨베이어 벨트(130);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가 180°회전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와 대면하도록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에 달라붙은 유충을 차단하여 하측으로 낙하시키도록 하는 이송차단부재(190);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차단부재(190)에 의해 낙하된 유충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유충을 크기에 따라 분리 선별한 후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제 2 진동선별부(140);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 또는 제 2 진동선별부(140)의 일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선별부(120,140)를 높이 방향으로 진동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선별부(120,140)에 적재된 유충 및 이물질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진동선별부 구동부; 및,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와 컨베이어 벨트(130)의 각 타측단부 사이에 양측벽 중심을 기점으로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된 유충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13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된 유충을 상기 제 2 진동선별부(14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면서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기울여 유충의 이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회전 가이드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선별 장치.
A main body 100;
A supply unit 110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and having a charging port 115;
A first vibration selecting unit 12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lying unit 110 and removing fin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arva while transferring the larva including the foreign substance dropped through the charging port 115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first vibrating screen 120 is provided under the first vibrating screen 120 to transfer the larva from which the microscopic particles have been remo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surface of the larva is formed as a genital material so that the larva among the larvae sticks, A conveyor belt 130 to be collected as it is collected;
The conveyor belt 130 is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conveyor belt 130 so as to face the conveyor belt 130 on a path that rotates by 180 ° and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transport block member 190 for blocking the adhering larvae to fall downward;
And a second vibration isolator 120 connected to the second vibration isolator 120. The first vibration isolator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vibration isolator 120 by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low the conveyor belt 130 and transfers the larva dropped by the transport blocking member 19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second vibration selecting unit 140 for separating and sorting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n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and second vibration selecting units 120 and 14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vibration selecting unit 120 or the second vibration selecting unit 140 to vibrate the first and second vibration selecting units 120 and 140 in the height direction, A vibrator selector drive unit for feeding the larvae and foreign substances loaded on the sorting units 120 and 14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vibration selecting part 120 and the conveyor belt 1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seesawed from the center of both side walls, To guide the larva discharged from the first vibrating screening unit 120 to move to the conveyor belt 130 and to move the larva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vibrating screening unit 120 to the second vibrating screening unit 140 And a rotation guide member (170) which is oper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rva by tilting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는 제1 몸체(122);
상기 제1 몸체(122)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제1 몸체(122)의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15)를 통하여 낙하된 유충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제1 몸체(122)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제1 스크린망(124); 및,
상기 제1 몸체(122)의 타측단부에 상기 제1 몸체(122)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미세 이물질배출구(128)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몸체(122)의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러진 미세 이물질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이물질 배출관(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선별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ibration selector (120)
A first body (122) having a fix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an upper end opened and having a housing shape;
The first body 122 is supported on the first body 12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122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from the larva dropped through the inlet 115, A first screen net 124 to be received within the first screen net 124; And
The first body 122 and the second body 122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22 through the first body 122 and the second body 122,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e pipe (126)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22) to discharge the filtered minut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는 제2 몸체(142);
상기 제2 몸체(142)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제2 몸체(142)의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차단부재(190)에 의해 낙하된 유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유충을 걸러내어 상기 제2 몸체(142)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제2 스크린망(144); 및,
상기 제2 몸체(142)의 타측단부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142)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작은 유층을 낙하시켜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작은유충 배출구(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선별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vibration selector (140)
A second body (142) having a fix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a shape of an enclosure with an open top;
The second body 142 is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14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142 by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filter larvae relatively small in size from the larva dropped by the feed blocking member 190 A second screen mesh 144 to be received within the second body 142; And
And a small larva outlet 146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142 for dropping the small oil layer received in the second body 142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insect selecting apparatus comprising:
상기 회전 가이드부재(17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진동선별부(120)의 타측단부에서 배출되는 유충에 포함되는 가벼운 이물질을 흡입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이물질 흡기송풍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선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ibration isolator 120 is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170 and sucks ligh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larva discharg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vibration selector 120, Further comprising a foreign matter suction blowing unit (180)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271A KR101747928B1 (en) | 2015-12-31 | 2015-12-31 |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271A KR101747928B1 (en) | 2015-12-31 | 2015-12-31 |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7928B1 true KR101747928B1 (en) | 2017-06-19 |
Family
ID=5927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91271A KR101747928B1 (en) | 2015-12-31 | 2015-12-31 |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7928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421A (en) * | 2017-08-11 | 2019-02-20 | 박준구 | Larva automatic sorting device |
USD841898S1 (en) | 2017-04-13 | 2019-02-26 | Aspire Food Group USA Inc. | Insect habitat stacker |
KR20190084170A (en) | 2017-12-22 | 2019-07-16 | 남영우 | Insect sorter |
KR101974428B1 (en) * | 2017-11-27 | 2019-09-05 | 김방재 | A Worm Distributing System |
KR102090204B1 (en) * | 2019-11-22 | 2020-03-17 | 신계주 | Larva collection sorting apparatus for Black soldier fly Breeding facility |
US10638788B2 (en) | 2016-05-04 | 2020-05-05 | Aspire Food Group USA Inc. | Method and system for spray drying insects |
KR102145046B1 (en) * | 2019-10-11 | 2020-08-14 | 이보라 | Eco-friendly recycling apparatus of food waste |
KR20200106313A (en) | 2019-03-04 | 2020-09-14 | 조경빈 | White Grub Slough Sorting Device |
KR20210152337A (en) | 2020-06-08 | 2021-12-15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 Larva and feces soil separation selecting device |
US11395474B2 (en) | 2016-05-10 | 2022-07-26 | Aspire Food Group Ltd | Harvesting and incubating systems for cultivation of insects |
KR20230104784A (en) | 2021-12-30 | 2023-07-11 |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 automatic washing and dewatering system for black solider fly larva |
KR20230173950A (en) * | 2022-06-20 | 2023-12-27 | 영농조합법인감농에스알씨 | larvae sorter |
KR102691553B1 (en) | 2023-07-05 | 2024-08-1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뮬산 | Insect screening device |
KR102691554B1 (en) | 2023-07-05 | 2024-08-1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뮬산 | Insect transport and screening system device |
KR102761873B1 (en) * | 2022-06-20 | 2025-02-05 | 영농조합법인감농에스알씨 | larvae sor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1067Y1 (en) * | 2004-02-24 | 2004-05-17 |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 Sorting Device Of Building Waste |
JP2009022900A (en) * | 2007-07-20 | 2009-02-05 | Yamamoto Co Ltd | Sorter |
KR101464734B1 (en) * | 2013-11-29 | 2014-11-27 | 김민기 | Mealworm sorting unit and sor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2015
- 2015-12-31 KR KR1020150191271A patent/KR1017479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1067Y1 (en) * | 2004-02-24 | 2004-05-17 |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 Sorting Device Of Building Waste |
JP2009022900A (en) * | 2007-07-20 | 2009-02-05 | Yamamoto Co Ltd | Sorter |
KR101464734B1 (en) * | 2013-11-29 | 2014-11-27 | 김민기 | Mealworm sorting unit and sor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38788B2 (en) | 2016-05-04 | 2020-05-05 | Aspire Food Group USA Inc. | Method and system for spray drying insects |
US11026439B2 (en) | 2016-05-04 | 2021-06-08 | Aspire Food Group Ltd | Method and system for spray drying insects |
US11395474B2 (en) | 2016-05-10 | 2022-07-26 | Aspire Food Group Ltd | Harvesting and incubating systems for cultivation of insects |
USD841898S1 (en) | 2017-04-13 | 2019-02-26 | Aspire Food Group USA Inc. | Insect habitat stacker |
KR20190017421A (en) * | 2017-08-11 | 2019-02-20 | 박준구 | Larva automatic sorting device |
KR102013800B1 (en) * | 2017-08-11 | 2019-08-23 | 박준구 | Larva automatic sorting device |
KR101974428B1 (en) * | 2017-11-27 | 2019-09-05 | 김방재 | A Worm Distributing System |
KR20190084170A (en) | 2017-12-22 | 2019-07-16 | 남영우 | Insect sorter |
KR20200106313A (en) | 2019-03-04 | 2020-09-14 | 조경빈 | White Grub Slough Sorting Device |
KR102145046B1 (en) * | 2019-10-11 | 2020-08-14 | 이보라 | Eco-friendly recycling apparatus of food waste |
KR102090204B1 (en) * | 2019-11-22 | 2020-03-17 | 신계주 | Larva collection sorting apparatus for Black soldier fly Breeding facility |
KR20210152337A (en) | 2020-06-08 | 2021-12-15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 Larva and feces soil separation selecting device |
KR20230104784A (en) | 2021-12-30 | 2023-07-11 |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 automatic washing and dewatering system for black solider fly larva |
KR20230173950A (en) * | 2022-06-20 | 2023-12-27 | 영농조합법인감농에스알씨 | larvae sorter |
KR102761873B1 (en) * | 2022-06-20 | 2025-02-05 | 영농조합법인감농에스알씨 | larvae sorter |
KR102691553B1 (en) | 2023-07-05 | 2024-08-1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뮬산 | Insect screening device |
KR102691554B1 (en) | 2023-07-05 | 2024-08-1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뮬산 | Insect transport and screening system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7928B1 (en) | Apparatus for sorting of insects | |
US20220354085A1 (en) | Harvesting and incubating systems for cultivation of insects | |
KR100209104B1 (en) | Cereal separation apparatus | |
KR101249957B1 (en) | Sorting equipments of embryo bud of rice | |
KR101271020B1 (en) | Methode of sorting to embryo bud of rice | |
KR102482242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of waste forest biomass | |
CN212238189U (en) | Adult and insect excrement separation device for hermetia illucens | |
KR101804507B1 (en) | Sorting apparatus | |
KR20230023654A (en) | Insect sorting device for sorting mixtures containing nymphs | |
JP2002272371A (en)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 |
JP3683873B2 (en) | Chick sorting device | |
CA247806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seeds | |
US213598A (en) | Improvement in machines for separating magnetic substances from grain | |
US2429343A (en) | Peanut cleaner consisting of gaseous suspension and sifting means | |
KR20230019617A (en) | Larvae automatic sorting device | |
JP3573664B2 (en) | Threshing machine sorting equipment | |
KR102724851B1 (en) | Screen-Based Separation Apparatus For Black Soldier Fly Larvae And Fecal Soil Applying Shock And Vibration | |
CN215466131U (en) | Movable grain impurity removing device | |
CN217474092U (en) | An automatic screening device for fly maggot breeding | |
JPH07256213A (en) | Apparatus for selecting granular materials | |
JPH07114A (en) | Cleaning and grading machine of coffee bean | |
US311904A (en) | Grain separator and cleaner | |
JPH03127634A (en) | Rice husking/sorting device | |
US368939A (en) | Grain-separator | |
US256097A (en) | Grain-sepa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