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700B1 -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700B1
KR101747700B1 KR1020110002558A KR20110002558A KR101747700B1 KR 101747700 B1 KR101747700 B1 KR 101747700B1 KR 1020110002558 A KR1020110002558 A KR 1020110002558A KR 20110002558 A KR20110002558 A KR 20110002558A KR 101747700 B1 KR101747700 B1 KR 10174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i
signal
server
terminals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298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700B1/ko
Priority to US13/343,807 priority patent/US8633369B2/en
Publication of KR2012008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175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jam sessions or musical collaboration through a network, e.g. for composition, ensemble playing or repeating; Compensation of network or internet delay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서버와, 상기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들은 연주 신호의 입력에 따른 미디(MIDI ;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서버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먼저 수신된 미디 신호를 모든 단말기들에게 우선하여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서버로부터 먼저 수신된 미디 신호를 해당 음원을 통해서 우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REMOTE CONCERT IN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주자들이 한 장소에 모이지 않고도 통신망을 이용하여 합주할 수 있는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단말기가 양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는 점점 커지고 있고 이를 만족시키기에는 과부하가 따르기 마련이다. 일 예로, 음악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단말기는 단순히 음악을 재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악기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악기처럼 연주할 수 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합주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합주를 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은 한 장소에 모여야 하므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장소 제약 없이 합주할 수 있는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원을 미디(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로 공유하여 실시간으로 합주할 수 있는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특정 단말기에서 출력된 미디 신호를 공통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든 단말기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와, 상기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들은 연주 신호의 입력에 따른 미디(MIDI ;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서버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먼저 수신된 미디 신호를 모든 단말기들에게 우선하여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서버로부터 먼저 수신된 미디 신호를 해당 음원을 통해서 우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합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서버와, 상기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합주를 위한 단말기들을 네트워크 연결시키는 단계와, 단말기가 연주 신호의 입력에 따른 미디(MIDI ;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를 생성 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먼저 수신된 미디 신호를 모든 단말기들에게 우선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들이 상기 서버로부터 먼저 수신된 미디 신호를 해당 음원을 통해서 우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합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하는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은 장소에 제약없이 실시간으로 합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합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합주 시스템의 통신 흐름도 및
도 5는 서버가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통합 미디 신호의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주자들이 한 장소에 모이지 않고도 통신망을 이용하여 합주할 수 있는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격 합주 시스템은 불특정 단말기에서 생성된 미디(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를 공통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든 단말기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합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원격 합주 시스템은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기(10-n)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n)들과 상기 서버(100)는 스타형(성형) 네트워크로 통신한다. 상기 단말기(10-n)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서버(100)를 대체하여 호스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불특정 단말기(10-1)가 호스트로 구성되고, 나머지 단말기들은 상기 호스트 단말기(10-1)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n)는 다수의 음원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음원은 소리를 표출하는 것으로서, 후술하겠지만 미디(Musical Instruments Digital Interface) 신호는 상기 음원을 통해서 출력된다. 일 예로, 상기 미디 신호는 상기 음원을 통해서 기타, 건반, 드럼 등의 악기 소리로 출력된다. 상기 음원은 미디 신호의 형식에 따라 GM 음원, GS 음원, XG 음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미디 신호 및 음원은 공지된 것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n)는 해당 악기의 연주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상응하는 미디 신호를 출력시켜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100)는 불특정 단말기(10-n)로부터 먼저 수신한 미디 신호를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에게 우선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불특정 단말기들로부터 동시에 수신한 미디 신호들을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에게 동시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과의 미디 신호를 주고 받는 시점(시간적 관계)을 정확하게 일치(유지)시키는 동기화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서버(100)는 불특정 단말기(10-n)으로부터 미디 신호를 받자마자 지체없이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에게 전송한다.
상기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은 상기 서버(100)로부터 먼저 수신한 미디 신호부터 차례대로 해당 음원을 통해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은 상기 서버(100)로부터 동시에 수신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미디 신호들을 해당 음원들을 통해서 출력한다.
일 예로, 불특정 단말기(10-1)는 건반의 해당 음의 연주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미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100)는 이를 동기화하여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로 전송한다. 상기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 신호를 건반의 해당 음의 음원을 통해서 소리로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100)가 불특정 단말기들(10-1, 10-2)로부터 건반, 드럼에 상응하는 두 개의 미디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하면, 상기 서버(100)는 이를 동기화하여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로 전송한다. 상기 모든 단말기들(10-1, 10-2, 10-3,...,10-n)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 신호들을 건반 및 드럼의 음원을 통해서 각각의 소리로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합주 시스템은 단말기들(10-1, 10-2, 10-3,...,10-n)이 통신망의 서버(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미디 신호들을 공유할 수 있어 합주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21)와 데이터 출력을 위한 출력부(2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3)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24)와, 미디 신호를 처리하는 미디 처리부(24)와,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5)를 포함한다.
입력부(21)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25)로 출력한다.
출력부(22)는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소리로 출력한다.
저장부(23)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24)는 상기 제어부(25)의 제어하에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24)는 해당 통신망의 서버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방식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미디 처리부(24)는 상기 제어부(25)의 제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합주 시스템에서 상기 입력부(21)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신호를 받아 이를 해당 미디 신호로 생성시킨 후 상기 통신부(2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미디 처리부(24)는 해당 통신망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 신호를 해당 음원을 통해서 해당 악기의 소리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부(22)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5)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21)로부터 자료를 받아서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출력부(22)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미디 처리부(24)에서 출력된 미디 신호를 상기 통신부(24)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통신부(24)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 신호를 상기 미디 처리부(24)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1)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32)와, 미디 신호를 동기화하는 동기화부(33) 및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4)를 포함한다.
저장부(31)는 상기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상기 서버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31)는 단말기가 제공한 미디 신호들을 저장한다.
통신부(32)는 상기 제어부(34)의 제어하에 단말기들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동기화부(33)는 단말기들과의 미디 신호를 주고 받는 시점(시간적 관계)을 정확하게 일치(유지)시키는 동기화 절차를 수행한다.
제어부(34)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32)로부터 수신한 불특정 단말기의 미디 신호를 상기 동기화부(33)로 출력하고, 상기 동기화부(33)에서 출력된 동기화된 미디 신호들은 모든 단말기들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부(32)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합주 시스템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1)는 해당 악기의 연주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상응하는 미디 신호를 생성시킨다(401 단계).
이후 제 1 단말기(10-1)는 생성한 미디 신호를 해당 통신망의 서버(100)로 전송한다(403 단계).
서버(100)는 제 1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한 미디 신호를 동기화한다(405 단계).
이후 서버(100)는 합주를 위한 모든 단말기들(10-1, 10-2,...,10-n)에게 동기화한 미디 신호를 전송한다(407 단계).
모든 단말기들(10-1, 10-2,...,10-n)은 상기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미디 신호를 해당 음원을 통해서 출력한다(409 단계).
도 5는 서버가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통합 미디 신호의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는 합주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단말기들을 인식하고, 각 단말기들의 미디 신호를 구분하는 섹터들(500-1, 500-2,...,500-n)로 구성되는 통합 미디 신호(500)로 전송한다. 일 예로, 특정 시간에 제 1 단말기에서 미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는 해당 섹터(500-1)에 미디 신호가 존재하는 통합 미디 신호를 모든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 또한, 특정 시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말기들로부터 동시에 미디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는 해당 섹터들에 미디 신호가 각각 존재하는 통합 미디 신호를 전송한다. 각 통합 미디 신호의 각 섹터는 해당 음원을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부; 및
    연주 신호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연주 신호를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미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통합 미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합 미디 신호에 따른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미디 신호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합주 단말기들의 미디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미디 신호들은 상기 통합 미디 신호 내에 각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섹터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미디 신호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들로부터 동시에 입력된 적어도 두 개의 미디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디 신호들을 해당 음원들을 통해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통신망 중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미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합 미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단말기의 원격 합주 방법에 있어서,
    합주를 위한 서버와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동작;
    연주 신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연주 신호를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
    상기 변환된 미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통합 미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합 미디 신호에 따른 음원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 미디 신호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합주 단말기들의 미디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미디 신호들은 상기 통합 미디 신호 내에 각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섹터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원격 합주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미디 신호는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들로부터 동시에 입력된 적어도 두 개의 미디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원격 합주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디 신호들을 해당 음원들을 통해 동시에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원격 합주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미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은,
    블루투스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미디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원격 합주 방법.
KR1020110002558A 2011-01-11 2011-01-11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 KR10174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58A KR101747700B1 (ko) 2011-01-11 2011-01-11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
US13/343,807 US8633369B2 (en) 2011-01-11 2012-01-05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cert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58A KR101747700B1 (ko) 2011-01-11 2011-01-11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298A KR20120081298A (ko) 2012-07-19
KR101747700B1 true KR101747700B1 (ko) 2017-06-15

Family

ID=4645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558A KR101747700B1 (ko) 2011-01-11 2011-01-11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33369B2 (ko)
KR (1) KR101747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6907A (ja) 2008-02-20 2011-05-26 オーイーエム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音楽の学習及びミキシングシステム
WO2012051605A2 (en) 2010-10-15 2012-04-19 Jammit Inc. Dynamic point referencing of an audiovisual performance for an accurate and precise selection and controlled cycling of portions of the performance
US8962967B2 (en) * 2011-09-21 2015-02-24 Miselu Inc. Musical instrument with networking capability
US9857934B2 (en) 2013-06-16 2018-01-02 Jammit, Inc. Synchronized display and performance mapping of musical performances submitted from remote locations
US9601097B2 (en) * 2014-03-06 2017-03-21 Zivix, Llc Reliable real-time transmission of musical sound control data over wireless networks
EP3652950B1 (en) 2017-07-13 2021-07-1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dio input and output device with streaming capabilities
CN112751873B (zh) * 2020-12-31 2023-07-07 南京乐侠科技有限公司 蓝牙midi数据转换方法、电路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3799A1 (en) * 2006-06-07 2007-12-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involving playing music by means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s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859A (en) * 1993-05-10 1996-06-25 Taligent, Inc. System for synchronizing a midi presentation with presentations generated by other multimedia streams by means of clock objects
US6067566A (en) * 1996-09-20 2000-05-23 Laboratory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live performances on MIDI devices via a non-real-time network protocol
US6141324A (en) * 1998-09-01 2000-10-31 Utah Stat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
US6686530B2 (en) * 1999-04-26 2004-02-03 Gibson Guitar Corp. Universal digital media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819775B1 (ko) 1999-12-20 2008-04-07 (주)피앤아이비 네트워크 기반의 음악연주/노래반주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
JP4483043B2 (ja) * 2000-07-19 2010-06-16 ヤマハ株式会社 楽曲データ提供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JP3552667B2 (ja) * 2000-12-19 2004-08-11 ヤマハ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898637B2 (en) * 2001-01-10 2005-05-24 Agere Systems, Inc. Distributed audio collabo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852348B2 (ja) * 2002-03-06 2006-11-29 ヤマハ株式会社 再生及び送信切替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6898729B2 (en) * 2002-03-19 2005-05-24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IDI data over a lossy communications channel
US20040154461A1 (en) * 2003-02-07 2004-08-12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group playing ability for creating a shared sound environment with MIDI-enabled mobile stations
US20040154460A1 (en) * 2003-02-07 2004-08-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music error recovery over lossy channels
US7012185B2 (en) * 2003-02-07 2006-03-14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bining processing power of MIDI-enabled mobile stations to increase polyphony
US7288712B2 (en) * 2004-01-09 2007-10-30 Yamaha Corporation Music station for producing visual images synchronously with music data codes
JP4363204B2 (ja) * 2004-02-04 2009-11-11 ヤマハ株式会社 通信端末
US7297858B2 (en) * 2004-11-30 2007-11-20 Andreas Paepcke MIDIWan: a system to enable geographically remote musicians to collaborate
CA2489256A1 (en) * 2004-12-06 2006-06-06 Christoph Both System and method for video assisted music instrument collaboration over distance
IL165817A0 (en) * 2004-12-16 2006-01-15 Samsung Electronics U K Ltd Electronic music on hand portable an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JP4211750B2 (ja) * 2005-03-25 2009-01-21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楽装置
US7853342B2 (en) * 2005-10-11 2010-12-14 Ejamm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real time collaborative acoustic performance and recording thereof
JP2008304821A (ja) 2007-06-11 2008-12-18 Mega Chips Corp 楽曲合奏公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3799A1 (en) * 2006-06-07 2007-12-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involving playing music by means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s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3369B2 (en) 2014-01-21
US20120174738A1 (en) 2012-07-12
KR20120081298A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700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합주 방법 및 시스템
CN110390925B (zh) 人声与伴奏同步方法、终端、蓝牙设备及存储介质
CN106409282B (zh) 一种音频合成系统、方法及其电子设备和云服务器
KR20150135517A (ko) 믹싱 관리 장치 및 믹싱 관리 방법
EP2770498A1 (en) Method of retrieving processing properties and audio processing system
KR20160112202A (ko) 악기 연주 로봇 통합 제어 장치
EP178404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sound reproduction, and a program product
TWI566173B (zh) 音訊播放裝置及方法
KR20180012397A (ko) 디지털 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230101944A1 (en) Multi-channel audio system, multi-channel audio device, program, and multi-channel audio playback method
KR101554662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코드 제공 방법 및 이에 의한 사용자 단말
WO2021081183A1 (en) Wireless midi headset
JP2014066922A (ja) 楽曲演奏装置
US10917465B2 (en) Synchronization setting device and distribution system
KR101573868B1 (ko)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노래 가사를 인식하는 서버 및 이 서버를 포함하는 노래 가사 자동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6081039A (ja) 音響システム
US20100216554A1 (en) Music genre judging device and game machine having the same
JP2015225302A (ja) カラオケ装置
US20230005460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encoding apparatus
EP41748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mixed audio file in a digital audio workstation
US20160179926A1 (en) Music playing service
KR102184378B1 (ko) 인공지능 악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914050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80115928A (ko) 스마트 음향 단말 기반의 음향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2398A (ko) 디지털 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