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555B1 - 건강 보조 의자 - Google Patents

건강 보조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555B1
KR101747555B1 KR1020150178973A KR20150178973A KR101747555B1 KR 101747555 B1 KR101747555 B1 KR 101747555B1 KR 1020150178973 A KR1020150178973 A KR 1020150178973A KR 20150178973 A KR20150178973 A KR 20150178973A KR 101747555 B1 KR101747555 B1 KR 10174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waist
rotation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최보람
Original Assignee
김성수
최보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최보람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15017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보조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의자는, 팔걸이부와;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등받이부와 분리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허리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에 내장 설치되며, 상기 허리 받침부의 일면 다수 위치로 동시 또는 번갈아 돌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의 척추를 가압하여 교정하는 가압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는 복수 개의 기어에 의해 상호 결합하고, 구비된 복수 개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허리 받침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 보조 의자 {HEALTHY CHAIR}
본 발명은 건강 보조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부분의 척추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도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디스크 압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허리의 피로를 풀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건강 보조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척추의 추간판(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자세 교정용 의자가 시판되고 있으나 그 내용을 보면 엉덩이 및 척추의 곡선을 살려 허리의 자세를 교정하거나 등받이를 뒤로 젖혀서 반쯤 누울 수 있는 형태의 의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에는 의자의 등받이에 허리를 붙이고 앉거나,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반쯤 눕는 경우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허리를 등받이에 붙이는 경우 보다는 허리를 등받이에서 떼어 책상 쪽으로 가까이 하면서 허리를 굽히고 있는 시간이 훨씬 더 많다.
또한 의자에 등을 붙이고 있는 경우에도 요추의 추간판에는 계속해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종래의 의자로는 척추 디스크의 예방 및 교정에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7-01222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척추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도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디스크 압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허리의 피로를 풀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건강 보조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의자는, 팔걸이부와;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등받이부와 분리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허리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에 내장 설치되며, 상기 허리 받침부의 일면 다수 위치로 동시 또는 번갈아 돌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의 척추를 가압하여 교정하는 가압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는 복수 개의 기어에 의해 상호 결합하고, 구비된 복수 개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허리 받침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자에 앉는 위치에 상관없이 허리 받침부가 이동하여 허리를 받쳐 줌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의 피로를 풀고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다수의 비선형 가압 교정부를 등받이부에 나란하게 설치하고, 이를 동시 또는 번갈아 돌출하여 척추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다수 위치를 안정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고 골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동바의 단부에 가압 롤러를 회전하도록 구비하여, 사용자 척추를 가압하는 경우,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척추에 가해지는 통증을 최소화하면서 마사지할 수 있고 골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허리 받침부는 등받이부와 분리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등받이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허리 받침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허리 받침부와 팔걸이부가 기어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허리 받침부 내에 구비된 비선형 가압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비선형 가압부가 복수개 허리 받침부 내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팔걸이부 내에 가이드 봉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팔걸이부의 가이드 봉을 조이거나 풀리도록 하여 허리 받침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멈추도록 하는 허리 받침부 내의 스토퍼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의자(100)의 전체적인 사시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 보조 의자(100)는 팔걸이부(140), 등받이부(120), 허리 받침부(130), 좌판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팔걸이부(140)는 의자에 앉는 사용자가 팔을 걸칠 수 있는 부분이고, 등받이부(120)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부분이며, 좌판부(110)는 사용자가 앉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팔걸이부(140), 등받이부(120), 좌판부(110)의 상술한 기능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서 허리 받침부(130)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20)와는 별도로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특징이다.
즉, 허리 받침부(130)는 등받이부(12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등받이부(120)와 분리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팔걸이부(140)와 허리 받침부(130)는 복수개의 기어에 의해 상호 결합하고, 구비된 복수개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허리 받침부(130)가 팔걸이부(140)의 길이 방향(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이처럼 허리 받침부(130)가 전면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허리 받침부(130)가 팔걸이부(14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부(140) 내부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랙기어(141a, 141b)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허리 받침부(130)에는 제1 직교 배밸기어(132)와, 제2 직교 배밸기어(133), 복수 개의 원형 기어(134a, 134b) 및 이동 모터부(131)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직교 배밸기어(132)는 허리 받침부(130)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고정 배치된 기어로서 후술하는 제2 직교 배밸기어(133)와 치합(기어가 맞물림)한다.
제2 직교 배밸기어(133)는 제1 직교 배밸기어(132)의 수평방향 회전축을 수직방향 회전축으로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며 제1 직교 배밸기어(132)와 치합한다.
복수 개의 원형 기어(134a, 134b)는 이러한 제2 직교 배밸기어(133)의 회전축의 상/하 양 단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단 원형 기어(134a)는 상술한 팔걸이부(140)의 상단 랙기어(141a)와 치합하고, 하단 원형 기어(134b)는 팔걸이부(140)의 하단 랙기어(141b)와 치합한다.
이동 모터부(131)는 제1 직교 배밸기어(132)의 수평 방향의 축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서는 이동 모터부(131)는 하나의 모터로 구성되어 제1 직교 배밸기어(132)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허리 받침부(130)의 양쪽 각각에는 도 3과 같이 각 팔걸이부(140)와 결합되어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직교 배밸기어(132), 제2 직교 배밸기어(133), 원형 기어들(134a, 134b)이 구비될 수 있는데, 어느 하나의 모터만으로 양쪽의 제1 직교 배밸기어(132)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이동 모터부(131)가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좌/우측 제1 직교 배밸기어(132)의 축을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또 다른 직교 배밸기어 쌍을 구성(미 도시함, 그 중 어느 하나의 직교 배밸기어는 좌/우측 제1 직교 배밸기어(132)의 축에 위치함)하고 어느 하나의 모터 회전에 따라 좌/우측 제1 직교 배밸기어(132)의 축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에 따라 허리 받침부(130)가 이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축이 회전하며 제1 직교 배밸기어(132)가 회전한다.
이때 제1 직교 배밸기어(132)의 수평방향 축과 직교하는 제2 직교 배밸기어(133)가 제1 직교 배밸기어(13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2 직교 배밸기어(133) 축의 상/하 양단에 구비된 상단 원형 기어(134a)와 하단 원형 기어(134b) 역시 함께 회전한다.
상단 원형 기어(134a)와 하단 원형 기어(134b)는 각각 팔걸이부(140)의 상단 랙기어(141a) 및 하단 랙기어(141b)와 치합된 상태이므로 결국 허리 받침부(13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복수 개의 랙기어(141a, 141b)와 복수 개의 원형 기어(134a, 134b)가 치합한 상태에서 허치 받침부(130)가 이동하므로,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다. 즉, 기어들간의 유격으로 인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허리 받침부(130)에는 가압 교정부(200)가 내장 설치되며, 허리 받침부(130)의 일면 다수 위치로 동시 또는 번갈아 돌출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의 척추를 가압하여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압 교정부(200)는 다수의 비선형 가압 교정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비선형 가압 교정부(200)의 구체적인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형 가압 교정부(210)는 소정의 회전축(211b)을 회전시키는 가압 모터(211a)와, 회전축(211b)에 편심 연결되는 회전체(212)와, 회전체(212)에 연결되어 해당 회전체(212)의 회전에 따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바(213)와, 이동바(21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214)로 구성된다.
다수의 비선형 가압 교정부(210)는 서로 수평을 유지하여 간격을 이루어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었다.
한편, 회전체(212)는 회전축(211b)에 편심 연결되는 제 1회전체(212a)와, 제 1회전체(212a)의 단부에 회전 연결되며 이동바(213)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 2회전체(21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참조 하면, 각 비선형 가압 교정부(210)의 이동부(213)는 각 가압 모터들(211a)의 회전에 따라 번갈아 허리 받침부(13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선형 가압 교정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좌우로 간격을 이루어 3개로 구성되며, 그 중 중앙부의 비선형 가압 교정부(210)는 다른 비선형 가압 교정부(210)에 비해 허리 받침부(130)의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척추 후방을 감싸듯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비선형 가압 교정부(200)는 좌우로 위치가 조절 및 상하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등받이부(120)에는 각 비선형 가압 교정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사용자의 척추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도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의 피로를 풀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의자(100)의 팔걸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가이드 봉(14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기어 구조들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가이드 봉(1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 아래쪽에 팔걸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허리 받침부(130)를 관통하게 된다.
또한 허리 받침부(130)에는 가이드 봉(142)을 감싸는 스토퍼 링(138)과, 스토퍼 링(138)의 조임과 풀림을 수행하는 스토퍼 모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스토퍼 모터부에는 스토퍼 모터(135), 조임 기어(136), 조임 나사(137)가 포함될 수 있는데, 스토퍼 모터(135)의 축이 회전하게 되면 스토퍼 모터(135) 회전축에 고정 장착된 조임 기어(136)가 회전하고, 이러한 조임 기어(136)와 치합되어 있는 조임 나사(137)가 회전함에 따라 허리 받침부(130)를 감싸는 스토퍼 링(138)이 조여지거나 풀리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사람의 힘에 의해 스토퍼 링(138)이 조여지는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람의 힘이 아니라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스토퍼 링(138)이 조여질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즉, 스토퍼 모터부는 허리 받침부(130) 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스토퍼 링(138)이 가이드 봉(142)을 단단히 조이는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허리 받침부(13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 링(138)은 탄성 부재로 되어 있어서 스토퍼 모터(135)가 스토퍼 링(138)이 풀리도록 역회전하는 경우 스토퍼 링(138)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그 간격이 쉽게 벌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 도시함)가 허리 받침부(130)에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예를 들어 MPU(Micro Processor Unit)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자 모듈의 구성 또는 형태는 개발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각 가압 모터와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은 물론이고, 상술한 스토퍼 모터(135)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각 가압 모터를 회전시켜 각 가압 교정부(200)의 이동바가 최대 길이로 돌출 이동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을 제어하여 허리 받침부(130)가 팔걸이부(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 모터부(131)에 인가된 전력과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을 판단하여 이동바에 소정의 물체가 닿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 부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자에 살짝 걸터앉은 상태에서 허리 받침부(130)의 자동 이동을 위한 버튼(미 도시함)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는 이러한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도 4의 이동바가 최대로 뻗은 상태가 되도록 한 후 허리 받침부(130)가 전면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허리 받침부(130)가 전면으로 이동하다보면 결국 이동바의 끝에 달려 있는 가압롤러가 의자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닿게 되는데, 이 경우 가압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은 결국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즉, 동일한 전력이 인가됨에도 불구하고 허리 받침부(130)가 쉽게 전면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는 이러한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 부하 정도를 이용하여 허리 받침부(130)의 이동을 멈추는 위치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 부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는 이동 모터부(131)의 회전을 정지시켜 해당 위치에 허리 받침부(130)가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상술한 스토퍼 모터(135)를 회전시켜 가이드 봉(142)을 감싸는 스토퍼 링(138)이 조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스토퍼 링(138)에 의해 가이드 봉(142)이 조여지는 경우 사용자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허리 받침부(130)의 원형 기어(134a, 134b) 등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시켜 결국 기어들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원상회복을 명령하는 버튼(미 도시함)을 누르는 경우 제어부는 스토퍼 모터(135)의 회전을 제어하여 스토퍼 링(138)에 의한 가이드 봉(142) 조임을 풀고, 이후 이동 모터부(131)를 제어하여 허리 받침부(130)가 등받이부(120)의 위치까지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제어부 또는 각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에 대해서는 편의상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건강 보조 의자 110 : 좌판부
120 : 등받이부 130 : 허리 받침부
140 : 팔걸이부 131 : 이동 모터부
132 : 제1 직교 배밸기어 133 : 제2 직교 배밸기어
134 : 원형 기어 141 : 랙기어
142 : 가이드 봉 135 : 스토퍼 모터
136 : 조임 기어 137 : 조임 나사
138 : 스토퍼 링 200 : 가압 교정부
210 : 비선형 가압 교정부

Claims (6)

  1. 팔걸이부와;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등받이부와 분리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허리 받침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에 내장 설치되며, 상기 허리 받침부의 일면 다수 위치로 동시 또는 번갈아 돌출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의 척추를 가압하여 교정하는 가압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는 복수 개의 기어에 의해 상호 결합하고, 구비된 복수 개의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허리 받침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팔걸이부 내부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랙기어가 고정 부착되고,
    상기 허리 받침부내에는 제1 직교 배밸기어와; 상기 제1 직교 배밸기어와 치합되는 제2 직교 배밸기어와; 상기 제2 직교 배밸기어의 축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팔걸이부의 랙기어와 각각 치합되는 원형 기어와, 상기 제1 직교 배밸기어의 축을 회전시키는 이동 모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모터부에 의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직교배밸기어, 상기 제2 직교 배밸기어, 상기 원형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허리 받침부는 상기 원형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형기어와 치합된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압 교정부는 다수의 비선형 가압 교정부를 구비하되,
    상기 비선형 가압 교정부는, 가압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회전축에 편심 연결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척추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비선형 가압 교정부는, 서로 수평을 유지하여 간격을 이루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가압 모터와 상기 이동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가압 모터를 회전시켜 각 가압 교정부의 이동바가 최대 길이로 돌출 이동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허리 받침부가 상기 팔걸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 모터부에 인가된 전력과 상기 이동 모터부의 회전을 판단하여 상기 이동바에 소정의 물체가 닿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이동 모터부의 회전 부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이동 모터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아래쪽에 상기 팔걸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허리 받침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봉과;
    상기 허리 받침부에는, 상기 가이드 봉을 감싸는 스토퍼링과; 상기 스토퍼링의 조임과 풀림을 수행하는 스토퍼 모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의자.
KR1020150178973A 2015-12-15 2015-12-15 건강 보조 의자 KR10174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73A KR101747555B1 (ko) 2015-12-15 2015-12-15 건강 보조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73A KR101747555B1 (ko) 2015-12-15 2015-12-15 건강 보조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555B1 true KR101747555B1 (ko) 2017-06-14

Family

ID=5921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973A KR101747555B1 (ko) 2015-12-15 2015-12-15 건강 보조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55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974B2 (en)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JP6537152B2 (ja) 医療装置
CA3048254C (en) Ergonomic workstation chair with sternum support
CN103635119A (zh) 电脑椅子
KR20110082744A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KR101567324B1 (ko) 견인 기능을 갖는 안마의자
JP4642127B1 (ja) 首整体器具
KR101561513B1 (ko)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KR20220016068A (ko) 자중력 임브레이스 지지 감압고정 척추 보호 교정 다기능 헬스케어 시트 장치
KR100955202B1 (ko) 어깨교정 장치 및 어깨교정 장치가 포함된 자세교정 장치
KR101747555B1 (ko) 건강 보조 의자
KR20140112855A (ko) 삼중 곡면 구조의 등받이형 척추 교정장치
WO2012077837A1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교정용 의자
KR101436747B1 (ko) 자세교정 의자
KR10160583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CN105581541B (zh) 具有仰躺功能的电动椅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KR101350821B1 (ko) 자동식 복근 강화 운동기구
KR20110048189A (ko) 기능성 쿠션시트
CN112076058A (zh) 座椅式按摩机以及按摩机
KR20190081416A (ko) 자세 유도용 의자
KR200477024Y1 (ko) 신체 지지 장치
CN214909977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多功能针灸推拿躺椅
JP2014171486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CN202128696U (zh) 一种颈部可调的电动按摩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