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108B1 -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108B1
KR101747108B1 KR1020150074721A KR20150074721A KR101747108B1 KR 101747108 B1 KR101747108 B1 KR 101747108B1 KR 1020150074721 A KR1020150074721 A KR 1020150074721A KR 20150074721 A KR20150074721 A KR 20150074721A KR 101747108 B1 KR101747108 B1 KR 10174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socket portion
socket
protrusion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440A (ko
Inventor
조은상
한상훈
김정민
임종대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3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205
    • H01M2/109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배터리 팩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며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 러그가 형성된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내부와 소통하는 제1가스배출공을 갖는 디가싱포트 바디(degassing port body) 및 상기 소켓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2가스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에 형성된 제1가스배출공과 연통되는 디가싱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DEGASSING APPARATUS FOR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터리 팩의 외부로 방출함과 동시에 외부에 대해 배터리 팩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외부의 수분침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2차 전지로 이루어진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에 이용되는 배터리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들고, 이러한 모듈을 복수개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에 설치하여 전기자동차의 구동원으로 이용하고 있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을 차체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터리 팩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용 공기통로가 마련되고, 더불어 배터리 팩 내의 배터리 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배터리 팩에 대한 냉각용 공기통로와 가스배출유로가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팩에서 발생한 유해한 가스가 자동차의 실내공간으로 유입되거나 냉각용 공기통로를 통해 외부의 수분이 배터리 팩 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구동용 배터리의 경우는 외부에 대해 기밀이 확보됨과 더불어 실내공기와 차단된 위치에 배터리 팩을 배치함으로써 수분침투나 외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마일드 하이브리드용 48V 배터리 팩은 표준화되어 엔진룸이나 트렁크 등과 같이 외부의 수분침투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또한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기밀을 확보할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터리 팩의 경우는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가스가 자동차의 실내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수분이 배터리 팩 내로 유입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었다.
KR 10-1463196 B (2014.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터리 팩의 외부로 방출함과 동시에 외부에 대해 배터리 팩의 기밀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외부의 수분이 침투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배터리 팩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며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 러그가 형성된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내부와 소통하는 제1가스배출공을 갖는 디가싱포트 바디(degassing port body) 및 상기 소켓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2가스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에 형성된 제1가스배출공과 연통되는 디가싱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와 상기 소켓부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가싱 니플은 상기 소켓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돌출부와, 상기 전방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제2가스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를 관통하여 디가싱포트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 및 상기 전방 돌출부와 후방 돌출부의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숄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디가싱 니플의 솔더와 마주하는 면에 제2가스켓이 안치되는 안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 홈의 중심에 상기 디가싱 니플의 후방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홀은 그 내경에 상기 후방 돌출부의 기단에 형성된 시건 돌기가 통과하는 시건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에 디가싱 니플이 결합된 후에 회전하는 것에 따라 상기 시건 돌기가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를 소켓부로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는 상기 후방 돌출부가 관통하여 상기 시건 돌기와 접촉하는 면에 가이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후방 돌출부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상기 시건 돌기가 가이드 경사면을 압박하여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를 소켓부로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에 결합된 디가싱 니플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방지 스토퍼;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방지 스토퍼는 상기 디가싱 니플의 숄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를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 및 상기 소켓부의 러그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가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 걸림 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러그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턱에 형성된 삽입공간으로부터 무단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 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디가싱 니플의 제2가스배출공을 통해 배터리 팩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내부로 유해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가싱 니플을 기밀하게 설치할 수 있어 외부의 수분이 배터리 팩 하우징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중 소켓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는 배터리 팩 하우징(120)에 수용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정해진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여 가스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배터리 팩 하우징(120)에 소켓부(130)가 마련되고, 상기 소켓부(130)에 분리가능하게 디가싱 니플(15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는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소켓부(130), 소켓부(130)에 대응하여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디가싱포트 바디(140), 소켓부(1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디가싱 니플(15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셀이 케이스에 수용되고, 이렇게 케이스에 수용된 배터리 셀은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은 다수개가 배터리 팩 하우징에 장착되는데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에 소켓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팩 하우징(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터리 팩 하우징(120a)과 하부 배터리 팩 하우징(120b)으로 구성되어 상부 배터리 팩 하우징(120a)과 하부 배터리 팩 하우징(120b)이 조립되어 하나의 배터리 팩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소켓부(130)는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소켓부(130)는 디가싱 니플(150)이 삽입되는 삽입 홀(133)이 형성되어 디가싱 니플(150)이 소켓부(130)에 조립될 때 디가싱 니플(150)의 일부가 삽입 홀(133)을 통해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을 관통하게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30)에 형성된 삽입 홀(133)의 둘레를 따라 러그(131)가 형성되는데, 러그(131)는 삽입 홀(133)이 형성된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러그(131)에 의해 삽입 홀(133)이 보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에 마련된 소켓부(130)는 디가싱 니플(150)이 결합되어 배터리 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소켓부(130)에 디가싱 니플(150)이 설치될 때 소켓부(130)와 디가싱 니플(150)을 더욱 기밀하게 할 수 있게 제2가스켓(170)이 개재된다.
이때, 제2가스켓(170)은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고무,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디가싱 니플(150)이 소켓부(130)의 전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에 따라 제2가스켓(170)이 변형되면서 디가싱 니플(150)과 소켓부(13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기밀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2가스켓(170)은 소켓부(130)의 러그(131)에 형성된 안치 홈(132)에 안치되어 디가싱 니플(150)이 소켓부(130)에 조립될 때 제2가스켓(170)이 디가싱 니플(150)에 압박되면서 소켓부(130)와 디가싱 니플(150) 사이의 틈새를 더욱 견고하게 기밀하게 된다.
그리고, 소켓부(130)에 대응하여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디가싱포트 바디(degassing port body)(140)가 마련되는데, 디가싱포트 바디(140)에는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내부와 소통하는 제1가스배출공(141)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가스배출공(141)은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에 형성된 소켓부(130)에 결합되는 디가싱 니플(150)에 형성된 제2가스배출공(151)과 연통된다.
이때, 디가싱포트 바디(140)와 소켓부(130)의 내면 사이에 제1가스켓(160)이 개재되어 디가싱포트 바디(140)와 소켓부(130)의 내면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렇게, 디가싱포트 바디(140)와 소켓부(130)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가스켓(160)은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고무,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디가싱포트 바디(140)가 소켓부(130)의 내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에 따라 제1가스켓(160)이 변형되면서 디가싱포트 바디(140)와 소켓부(130)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기밀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배터리 팩 하우징(120)에 마련되는 소켓부(130)에 조립되는 디가싱 니플(150)은 전방 돌출부(152), 후방 돌출부(153), 숄더(154)로 구성되는데, 전방 돌출부(152)는 소켓부(13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 돌출부(153)는 상기 전방 돌출부(152)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2가스배출공(1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방 돌출부(152)와 일체로 형성되는 후방 돌출부(153)는 소켓부(130)에 결합되었을 때 소켓부(130)를 관통하여 디가싱포트 바디(14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전방 돌출부(152)와 후방 돌출부(153)의 경계에 숄더(154)가 형성되는데, 숄더(154)는 전방 돌출부(152) 또는 후방 돌출부(153)보다 큰 외경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 숄더(154)의 외경은 소켓부(130)에 형성된 삽입 홀(133)보다 크게 형성되어 후방 돌출부(153)를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에 삽입하였을 때 숄더(154)와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일측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또한, 디가싱 니플(150)의 후방 돌출부(153)에는 시건 돌기(153a)가 형성되고,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에는 상기 시건 돌기(153a)가 통과하는 시건 홈(133a)이 형성되어 디가싱 니플(150)의 후방 돌출부(153)가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에 삽입될 때 시건 돌기(153a)와 시건 홈(133a)이 동일 선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후방 돌출부(153)가 삽입 홀(133)을 향해 직선 이동하여 시건 돌기(153a)가 시건 홈(133a)을 통과한 후 회전하는 것에 따라 시건 돌기(153a)가 디가싱포트 바디(140)를 소켓부(130)로 밀착시키게 된다.
즉,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에 형성된 시건 홈(133a)은 디가싱 니플(150)의 후방 돌출부(153)에 형성된 시건 돌기(153a)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방 돌출부(153)가 삽입 홀(133)에 삽입되었을 때 시건 돌기(153a)가 시건 홈(133a)을 통과하여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가싱 니플(150)이 회전하는 것에 따라 후방 돌출부(153)의 시건 돌기(153a)와 삽입 홀(133)의 시건 홈(133a)은 서로 엇갈린 상태를 갖게 되어 디가싱 니플(150)이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도 시건 돌기(153a)가 디가싱포트 바디(140)에 걸림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켓부(130)에 대응하여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내측에 마련된 디가싱포트 바디(140)에는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을 관통한 후방 돌출부(153)의 시건 돌기(153a)와 접촉하는 면에 가이드 경사면(14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가싱 니플(150)의 후방 돌출부(153)가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것에 따라 시건 돌기(153a)가 디가싱포트 바디(140)에 형성된 가이드 경사면(142)을 압박하여 디가싱포트 바디(140)를 소켓부(130)로 밀착시키게 된다.
한편, 디가싱 니플(150)과 소켓부(130)에는 디가싱 니플(150)이 소켓부(130)에 결합되었을 때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해 회전방지 스토퍼가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방지 스토퍼는 디가싱 니플(150)의 숄더(154)와 일체로 형성되고, 소켓부(130)를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154a) 및 소켓부(130)의 러그(131)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154a)가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 걸림 턱(131a)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 턱(131a)은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에 형성된 시건 홈(133a)과 엇갈리게 배열되어 디가싱 니플(150)의 후방 돌출부(153)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숄더(154)와 일체로 형성된 걸림 돌기(154a)가 걸림 턱(131a)에 걸림되어 디가싱 니플(150)의 회전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걸림 돌기(154a)가 걸림 턱(131a)과 러그(131)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될 때 걸림 턱(131a)이 걸림되어 디가싱 니플(150)이 임의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이탈방지 턱(131b)이 마련되는데, 이탈방지 턱(131b)은 바람직하게 걸림 턱(131a)과 마주하는 러그(13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이탈방지 턱(131b)은 걸림 턱(131a)에 대응하는 러그(131)의 외경에 형성되는데, 이때 걸림 돌기(154a)의 두께보다 러그(131)와 걸림 턱(131a) 사이의 공간이 좁게 형성되도록 이탈방지 턱(131b)이 걸림 턱(131a)을 향해 돌출된다.
이에 따라, 디가싱 니플(150)이 소켓부(130)의 삽입 홀(133)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숄더(154)의 걸림 돌기(154a)가 걸림 턱(131a)과 러그(131)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원활하게 삽입되지만, 이와는 반대로 삽입공간에 위치한 걸림 돌기(154a)가 삽입공간에서 이탈할 때에는 이탈방지 턱(131b)에 걸림되어 임의적으로 디가싱 니플(15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디가싱 니플(150)의 제2가스배출공(151)을 통해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내부로 유해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가싱 니플(150)을 배터리 팩 하우징(120)에 기밀하게 설치할 수 있어 외부의 수분이 배터리 팩 하우징(1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20 : 배터리 팩 하우징
130 : 소켓부 131 : 러그
131a : 걸림 턱 131b : 이탈방지 턱
132 : 안치 홈 133 : 삽입 홀
133a : 시건 홈 140 : 디가싱포트 바디
141 : 제1가스배출공 142 : 가이드 경사면
150 : 디가싱 니플 151 : 제2가스배출공
152 : 전방 돌출부 153 : 후방 돌출부
153a : 시건 돌기 154 : 숄더
154a : 걸림 돌기 160 : 제1가스켓
170 : 제2가스켓

Claims (6)

  1.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는 배터리 팩 하우징;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며 관통된 부분의 둘레에 러그가 형성된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팩 하우징의 내부와 소통하는 제1가스배출공을 갖는 디가싱포트 바디(degassing port body); 및
    상기 소켓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2가스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에 형성된 제1가스배출공과 연통되는 디가싱 니플;을 포함하고
    상기 디가싱 니플은
    상기 소켓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돌출부;
    상기 전방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제2가스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를 관통하여 디가싱포트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돌출부; 및
    상기 전방 돌출부와 후방 돌출부의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숄더;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는
    상기 디가싱 니플의 솔더와 마주하는 면에 제2가스켓이 안치되는 안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 홈의 중심에 상기 디가싱 니플의 후방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 홀은 그 내경에 상기 후방 돌출부의 기단에 형성된 시건 돌기가 통과하는 시건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에 디가싱 니플이 결합된 후에 회전하는 것에 따라 상기 시건 돌기가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를 소켓부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가싱포트 바디와 상기 소켓부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 결합된 디가싱 니플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방지 스토퍼;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방지 스토퍼는
    상기 디가싱 니플의 숄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를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 및
    상기 소켓부의 러그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가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 걸림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턱에 형성된 삽입공간으로부터 무단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 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KR1020150074721A 2014-05-29 2015-05-28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KR101747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4857 2014-05-29
KR1020140064857 2014-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40A KR20150139440A (ko) 2015-12-11
KR101747108B1 true KR101747108B1 (ko) 2017-06-15

Family

ID=5502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721A KR101747108B1 (ko) 2014-05-29 2015-05-28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820B1 (ko) * 2017-07-31 2021-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42775B1 (ko) 2019-07-02 2019-11-08 (주)하나기술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KR102234755B1 (ko) 2019-07-02 2021-04-01 (주)하나기술 배터리 셀 디가싱 방법
KR20210133534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134165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고정 구조 및 가스 배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CN115668605A (zh) * 2020-06-19 2023-01-3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包、电动工具以及电动车辆
CN112751121A (zh) * 2020-12-29 2021-05-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箱体和电池包
KR102560890B1 (ko) * 2021-03-10 2023-07-28 에프디씨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의 고압가스 배출장치
WO2023121291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428663B1 (ko) 2022-04-22 2022-08-03 (주)하나기술 이차전지 셀 디가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854A (ja) * 2009-06-05 2010-12-16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のガス排出装置
JP2013089375A (ja) 2011-10-14 2013-05-13 Nissan Motor Co Ltd 密閉型電池の排気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854A (ja) * 2009-06-05 2010-12-16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のガス排出装置
JP2013089375A (ja) 2011-10-14 2013-05-13 Nissan Motor Co Ltd 密閉型電池の排気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40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108B1 (ko) 배터리 팩의 가스배출장치
US20180248237A1 (en) Battery pack
CN107112452B (zh) 电池模块排气系统和方法
US9685682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CN107813772B (zh) 电力设备单元及车辆
CN107534110B (zh) 二次电池盒和包括它的电池模块
KR101831817B1 (ko) 가스 배출 수단 및 내,외부의 압력 보상 수단을 갖는 차량용 배터리 팩
EP2421071B1 (en) Tool batteries
US7125268B1 (en) Power source device
CN110024169A (zh) 电池模块在储能系统电池模块隔间内的固定
JP6330634B2 (ja) 蓄電モジュール
CN101263030B (zh) 用于安装电气部件的结构
US20210028424A1 (en) Battery housing, battery and motor vehicle
EP3306702A1 (en) Secondary battery pack
CN110875448A (zh) 电动车辆的蓄电池封装体
KR101718063B1 (ko) 배터리 팩
KR20170003754A (ko) 배터리 팩용 케이지
KR102078420B1 (ko) 자동차 배터리
JP2006185668A (ja) 組電池
WO2015025017A1 (en) Vent apparatus for a battery casing
JP5509023B2 (ja) 電池パック
CN109994754A (zh) 燃料电池车辆
KR101758468B1 (ko) 커넥터 커버 구조
KR101775686B1 (ko) 배터리 팩
JP7135852B2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