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022B1 -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022B1
KR101747022B1 KR1020160006718A KR20160006718A KR101747022B1 KR 101747022 B1 KR101747022 B1 KR 101747022B1 KR 1020160006718 A KR1020160006718 A KR 1020160006718A KR 20160006718 A KR20160006718 A KR 20160006718A KR 101747022 B1 KR101747022 B1 KR 10174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image
cctv
sensor module
image sens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철
이근신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5/00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A41D5/006Accessories for fur garments, e.g. fur fasteners, artificial animal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H04N5/225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은, 주간 또는 야간 촬영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CTV와 결합 가능한 열화상 센서 모듈, CCTV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 및 CCTV 및 서버와 연결되어 CCTV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열화상 센서 모듈의 결합에 따라 CCTV는 열화상 카메라로 동작 가능하고, 서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The fire prevention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in connection with CCTV}
본 발명은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화상 카메라는 물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주는 장치이며 주로 야간에 물체를 식별할 때나 체온에 의한 생물체 구분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산업분야 (예컨대, 기계, 전기기계, 일반 건물의 유지/관리 등), 공정분야 (예컨대, 내화단열재, 탱크와 용기의 높이, 증기시스템 및 트랩, 파이프와 밸브 체크 등), 전기 분야 (예컨대, 부하 불균형, 과부하, 배선 및 구성요소 장애 발생여부 체크 등) 등 다양한 측정 작업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산업용으로도 많은 수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열화상 카메라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개인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하기에는 비용적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안으로써 안출된 것으로, CCTV 등과 연계될 수 있는 저가형 무선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화재예방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은, 주간 또는 야간 촬영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CTV와 결합 가능한 열화상 센서 모듈, CCTV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 및 CCTV 및 서버와 연결되어 CCTV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열화상 센서 모듈의 결합에 따라 CCTV는 열화상 카메라로 동작 가능하고, 서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하고, 사용자 디바이스에 열화상 센서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과 온도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에는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 열화상 센서 모듈에 의하여 감시되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여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 획득된 열화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온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온도 상태 표시부, 획득된 열화상 이미지와 추정된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해두는 저장부 및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상태 표시부에서는 객체의 온도 범위에 따라 미리 결정된 컬러를 출력함으로써 온도 상태를 표시하고, 객체의 온도값이 5 도씨(℃) 이하라면 청색, 5도씨 초과 20도씨 이하라면 하늘색, 20도씨 초과 40도씨 이하라면 주황색, 40도씨 초과 60도씨 이하라면 황색, 60도씨 초과의 경우 적색을 객체에 대하여만 출력하거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 전체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되고,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 변화가 없거나 온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며, 화재 관련 정보에는 감시 위치, 감시 시작 시간, 감시하는 동안 획득된 영상 및 변화된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을 이용하면, 전기기기의 과부하에 따른 발열, 고장으로 인한 국부발열, 전기설비의 접속불량 등에 따른 발열 등을 조기 발견하여 화재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을 사람이 쉽사리 직접 접근하기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건물이나 보일러실 등에서 사용함으로써 잠재적인 화재 발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은 공원 등의 산불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써 사용될 수도 있으며, 야간 적외선 카메라, CCTV 등과 연동되어 방범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은 산업용 목적으로써 기계, 공장 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검사 장비 등으로써 활용될 수 있으므로 공장 등에서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은 건축용 목적으로써 주택단열, 건축물 에너지 손실 검사, 블로어도어 열손실 진단 등에 사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에너지 절감 필요성을 체감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은 의학용 목적으로써 체열을 측정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나 통증부위를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 항구 등에서의 출입국자에 대한 발열 여부 진단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1000)은, 주간 또는 야간 촬영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100), CCTV(100)와 결합 가능한 열화상 센서 모듈(200), CCTV(10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400) 및 CCTV(100) 및 서버(400)와 연결되어 CCTV(100)와 서버(4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300)를 포함하고, 열화상 센서 모듈(200)의 결합에 따라 CCTV(100)는 열화상 카메라로 동작 가능하고, 서버(400)에서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로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300)에는 알람 신호 발생을 위한 알람 생성부를 포함하고, 서버(400)에서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알람 생성부에서 알람 신호(예컨대, 패턴화된 발광 또는 경보음 등)가 생성되어 게이트웨이(300) 근방으로 경보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200) 내에서는 열화상 센서 모듈(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별로 열화상 온도값을 생성하여 센서 모듈(200) 내의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라인을 통하여 주처리장치(예컨대, 도 3의 25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210)를 통하여 획득된 온도값을 제어부(250)로 전달하고, 제어부(250)에서는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21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에 위치 정보 획득부(220)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추출된 온도값 정보를 부여하고, 라인 단위의 영상들을 조합하여 온도 상태가 표시된 열화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210), 위치 정보 획득부(220), 온도 상태 표시부(230), 저장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부를 통하여 영상 또는 정보 등을 획득하거나 온도 상태를 표시하게 하는 동작은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저장부(24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210)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210)를 통하여 객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등이 감지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열화상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200)은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와 연결 가능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에 열화상 센서 모듈(200)이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의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과 온도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는 스마트 폰, 데스크 탑 PC, 랩탑 PC, 테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사운드 재생 기능 및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임의의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를 통하여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열화상 센서 모듈(200)을 통하여 획득된 열화상 영상은 온도 정보,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는 관제 센터 등에 고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이동 시 휴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200)에는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210), 열화상 센서 모듈(200)에 의하여 감시되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여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220), 획득된 열화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온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온도 상태 표시부(230), 및 획득된 열화상 이미지와 추정된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해두는 저장부(240)가 포함될 수 있다.
열화상 센서 모듈(200)에 의하여 감시되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의 추정은 열화상 센서 모듈(200)의 위치 좌표와 열화상 센서의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상 센서 모듈(200)이 CCTV와 결합되는 경우, CCTV의 위치 좌표가 열화상 센서 모듈(200)의 위치 좌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화상 센서 모듈(200)과 CCTV(100)의 촬영 방향 및 각도, 객체까지의 초점 거리 정보를 통하여 감시되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가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센서 모듈(200)은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화상 센서 모듈(200)은 사용자 디바이스(11)의 오디오 잭, 도크 잭 등과 연결 가능하고, 열화상 센서 모듈(200)이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와 연결되면,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는 열화상 카메라의 기능을 갖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열화상 센서 모듈(200)을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의 카메라를 통하여 열화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는 이동식 열화상 카메라 기기로써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상태 표시부(230)에서는 객체의 온도 범위에 따라 미리 결정된 컬러를 출력함으로써 온도 상태를 표시하고, 객체의 온도값이 5 도씨(℃) 이하라면 청색, 5도씨 초과 20도씨 이하라면 하늘색, 20도씨 초과 40도씨 이하라면 주황색, 40도씨 초과 60도씨 이하라면 황색, 60도씨 초과의 경우 적색을 객체에 대하여만 출력하거나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 전체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상태의 색상 표시를 통하여 사용자는 감시 중인 객체에 대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직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온도 범위 및 온도 범위에 상응하게 할당된 컬러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400)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11 또는 12)로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되고,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 변화가 없거나 온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며, 화재 관련 정보에는 감시 위치, 감시 시작 시간, 감시하는 동안 획득된 영상 및 변화된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12: 사용자 디바이스
100: CCTV
200: 열화상 센서 모듈
300: 게이트웨이
400: 서버
1000: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Claims (5)

  1.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주간 또는 야간 촬영이 가능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상기 CCTV와 결합 가능한 열화상 센서 모듈;
    상기 CCTV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을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 및
    상기 CCTV 및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CCTV와 상기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의 결합에 따라 상기 CCTV는 열화상 카메라로 동작 가능하고, 상기 서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로써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가 증가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화재 관련 정보에는 감시 위치, 감시 시작 시간, 감시하는 동안 획득된 영상 및 변화된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에는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별로 열화상 온도값을 생성함으로써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에 의하여 감시되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정하여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열화상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온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온도 상태 표시부; 상기 획득된 열화상 이미지와 상기 추정된 위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해두는 저장부; 및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온도 상태 표시부에서는 상기 객체의 온도 범위에 따라 미리 결정된 컬러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온도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의 온도값이 5 도씨(℃) 이하라면 청색, 5도씨 초과 20도씨 이하라면 하늘색, 20도씨 초과 40도씨 이하라면 주황색, 40도씨 초과 60도씨 이하라면 황색, 60도씨 초과의 경우 적색을, 상기 객체에 대하여만 출력하거나 상기 객체가 포함된 이미지 전체에 중첩하여 출력하고,
    상기 온도 범위 및 컬러는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 가능하고,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 내에서는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셀별로 열화상 온도값을 생성하여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 내의 SPI 라인을 통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열화상 이미지 획득부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에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온도값 정보를 부여하고, 라인 단위의 영상들을 조합하여 온도 상태가 표시된 열화상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의 위치 좌표와 상기 CCTV의 촬영 방향, 각도, 객체까지의 초점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열화상 센서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과 온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감시 중인 객체의 온도 변화가 없거나 온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재 관련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며,
    상기 화재 관련 정보에는 감시 위치, 감시 시작 시간, 감시하는 동안 획득된 영상 및 변화된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KR1020160006718A 2016-01-19 2016-01-19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KR10174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18A KR101747022B1 (ko) 2016-01-19 2016-01-19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18A KR101747022B1 (ko) 2016-01-19 2016-01-19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022B1 true KR101747022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718A KR101747022B1 (ko) 2016-01-19 2016-01-19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0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30B1 (ko) * 2017-08-02 2018-05-31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WO2019164047A1 (ko) * 2018-02-21 2019-08-29 심완규 열화상을 이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KR102329774B1 (ko) * 2021-03-12 2021-11-22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KR20220089801A (ko) *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근로자 사고예방분석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30B1 (ko) * 2017-08-02 2018-05-31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WO2019164047A1 (ko) * 2018-02-21 2019-08-29 심완규 열화상을 이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KR20220089801A (ko) *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근로자 사고예방분석시스템
KR102508731B1 (ko) * 2020-12-21 2023-03-15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근로자 사고예방분석시스템
KR102329774B1 (ko) * 2021-03-12 2021-11-22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무선으로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il et al. IoT based smart surveillance security system using raspberry Pi
KR101747022B1 (ko) Cctv 연계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예방 시스템
KR101544019B1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US10346968B2 (en) Machin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hree dimensional thermography
US20160203694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US20130335550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KR101411624B1 (ko)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863530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KR101637007B1 (ko)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0368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TW201534118A (zh) 監視系統、監視攝影機及其保全監視方法
JP2017076304A (ja) 火災検知システム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20170083256A (ko) 뎁스 영상 기반 감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65276B1 (ko) 통합관제서버 및 설비를 통합관제하는 방법
KR20170004378A (ko) 체온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23109757A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66995B1 (ko) 3차원 카메라 모듈장치
KR200492429Y1 (ko) 통합관제서버
TWM464777U (zh) 監控裝置
JPH11284985A (ja) 設備監視方法及び装置
JP7453447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7154B1 (ko) 듀얼무선모듈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JP7395137B2 (ja) ヘッドマウント型温度分布認識装置
KR101529612B1 (ko) 무선 보안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