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368B1 -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368B1
KR101990368B1 KR1020140054435A KR20140054435A KR101990368B1 KR 101990368 B1 KR101990368 B1 KR 101990368B1 KR 1020140054435 A KR1020140054435 A KR 1020140054435A KR 20140054435 A KR20140054435 A KR 20140054435A KR 101990368 B1 KR101990368 B1 KR 10199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nformation
coordinate
mask
privacy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498A (ko
Inventor
하재룡
이재구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368B1/ko
Priority to CN201510181242.XA priority patent/CN105898208B/zh
Publication of KR2015012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5/275Generation of key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획득된 상기 위치 및 상기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마스크 적용부;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camera and surveillance system}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영상 감시 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각종 증거자료로써 사용되기도 하므로, 고화질 감시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골목길이나 학교 주변, 회사 건물 등 사람이 밀집해 있는 곳이라면 빠지지 않고 감시 시스템이 설치되는 추세이고, 설치 범위는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이와 같은 영상 감시 시스템은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 곳에 설치되어 효율적 관제를 가능하게 하며, 범죄현장에서 중요한 증거가 되기도 하는 등 긍정적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목적의 특성 상 촬영되는 대상이 촬영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오랜 시간동안 영상을 촬영하게 되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 침해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공유하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획득된 상기 위치 및 상기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마스크 적용부;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획득부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또는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좌표 변환부는 획득된 상기 상대 위치를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획득부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고유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와 기저장된 상기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또는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는 상기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방위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좌표는 상기 제2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방위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적용부는 상기 영상 중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모자이크 처리를 수행하거나, 소정의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획득된 상기 위치를 참고하여 상기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마스크 좌표 변환부; 및 상기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마스크 적용부;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은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카메라가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공유함으로써 시스템 전반적에 걸쳐 통일된 프라이버시 마스크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카메라가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에서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설정되었을 때 다른 카메라에서도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설정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100) 및 제2 카메라(20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정보의 좌표를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은 카메라부(10) 및 서버(2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는 감시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서버(20)는 카메라부(10)로부터 감시 영상을 전송받고, 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거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는 카메라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은 감시 영상에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버시 마스크는 사생활 보호 등의 목적으로 소정 영역을 마스킹 처리할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마스킹 처리에는 예컨대, 모자이크 처리, 단색으로 표시, 또는 특정 패턴 출력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에 있어서 복수의 감시 카메라는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 또는 기타 입출력장치를 통해 제1 카메라(100)에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설정된 경우, 동일한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제2 카메라(200)를 포함하는 나머지 카메라에 공유되어, 각각의 카메라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0) 및 서버(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0)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100, 200, …)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서버(20)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별도로 마련되는 서버(20)의 구성은 생략도 가능하다. 이 때, 감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서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100) 및 제2 카메라(20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카메라(100) 및 제2 카메라(2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00) 및 제2 카메라(200)는 고정 카메라일 수도 있으나, 팬(pan), 틸트(tilt) 가능한 구동부가 구비되고 렌즈의 줌(zoom) 제어가 가능한 PTZ 카메라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카메라(100)는 PTZ 카메라이고, 제2 카메라(200)는 고정 카메라일 수도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제1 카메라(100)에 설정된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제2 카메라(200)로 공유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100)는 촬영부(110), 통신부(120), 처리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제1 카메라(100)는 영상을 촬영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적용하고,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적용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00)는 프라이버시 마스크에 대한 정보를 제2 카메라(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세히, 촬영부(110)는 영상을 촬영한다. 통신부(120)는 제1 카메라(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처리부(130)는 영상 및 기타 데이터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14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처리부(1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처리부(130)는 마스크 정보 획득부(131), 마스크 적용부(132), 마스크 정보 출력부(133), 및 위치 측정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정보 획득부(131)는 제1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에 적용될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획득한다. 마스크 정보 획득부(131)는 획득한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마스크 정보 획득부(131)에 제공하는 주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카메라(100), 또는 서버(20)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통해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서버(20)가 기저장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입력장치는 예컨대 모니터, 터치패드,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니터에 표시된 촬영 영역을 참고하여 터치패드,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을 직접 설정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는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는 카메라의 촬영범위의 구좌표계 상의 좌표(거리, 방위각) 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의 픽셀좌표(가로, 세로)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예시에 한정하지 않는다.
마스크 적용부(132)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에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적용한다. 마스크 적용부(132)는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의 대응 영역을 마스킹 처리한다. 마스킹 처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자이크 처리, 단색으로 표시, 또는 특정 패턴 출력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마스크 적용부(132)는 마스크가 적용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영상은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에 전송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가 카메라의 촬영범위의 구좌표 범위로 표현되는 경우, 마스크 적용부(132)는, 상기 영역 정보를 참고하여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픽셀 영역을 도출하고, 도출된 픽셀 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한다. 제1 카메라(100)가 PTZ 카메라인 경우, 마스크 적용부(132)는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을 더 참고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가 영상의 픽셀 좌표 범위로 표현되는 경우, 마스크 적용부(132)는 상기 영역 정보를 참고하여, 영상의 해당 픽셀 범위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한다. 제1 카메라(100)가 PTZ 카메라인 경우, 상기 영역 정보는 PTZ 값과 연계될 수 있으며, 마스크 적용부(132)는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값을 더 참고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역 정보가 제1 PTZ 값과 연계되어 저장되었으나, 현재 제1 카메라(100)의 PTZ 값이 제2 PTZ 값인 경우, 마스크 적용부(132)는 상기 영역 정보, 제1 PTZ 값, 및 제2 PTZ 값을 참고하여, 영상에서 마스킹 처리할 픽셀 영역을 도출하고, 도출된 픽셀 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구체적 구현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 구현 방법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전술된 구체적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스크 정보 출력부(133)는 제1 카메라(100)에 설정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마스크 정보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되는 마스크 정보는 다른 카메라에 전달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34)는 제1 카메라(100)와 제2 카메라(200)의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측정부(134)는 제1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제2 카메라(200)의 상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상대 위치는 거리 정보 뿐 아니라 방향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위치 측정부(134)는 제1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제2 카메라(200)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카메라(100)는 거리 및 방향 측정용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34)에 의해 측정된 위치 정보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장치, 예컨대 제2 카메라(2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측정부(134)는 제1 카메라(100)의 절대 위치를 출력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제2 카메라(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00)의 절대 위치는 메모리(140)로부터 독출되거나, 서버(20)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GPS 등을 통한 수신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계속하여 도2를 참조하면, 제2 카메라(200)는 촬영부(210), 통신부(220), 처리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한다. 제2 카메라(200)는 제1 카메라(100)로부터 프라이버시 마스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카메라(200)는 영상을 촬영하고, 제1 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변환 및 적용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적용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세히, 촬영부(210)는 영상을 촬영한다. 통신부(220)는 제2 카메라(200)의 내부 및/또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처리부(230)는 영상 및 기타 데이터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24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처리부(2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처리부(230)는 정보 수신부(231), 위치 획득부(232), 좌표 변환부(233), 및 마스크 적용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31)는 외부 장치, 예컨대 제1 카메라(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231)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제1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는 제1 좌표계의 좌표로 표현되는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좌표계는 제1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로, 전술한 것과 같이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구좌표계, 또는 영상에서의 픽셀 직교좌표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획득부(232)는 제1 카메라(100)의 절대 위치, 제2 카메라(200)의 절대 위치, 제2 카메라(200)에 대한 제1 카메라(100)의 상대 위치, 및 제1 카메라(100)에 대한 제2 카메라(200)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위치 정보들은 제1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거나, 제2 카메라(200)의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되거나, 제2 카메라(200)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위치 획득부(232)는 제1 카메라(100)의 절대 위치 및 제2 카메라(200)의 절대 위치를 참고하여, 제2 카메라(200)에 대한 제1 카메라(100)의 상대 위치, 또는 제1 카메라(100)에 대한 제2 카메라(200)의 상대 위치를 계산 및 획득할 수 있다.
위치 획득부(232)는 제1 카메라(100)로부터 제1 카메라(10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카메라(100)의 고유 정보로부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100)를 획득하고, 제1 카메라(100)의 절대 위치와 제2 카메라(200)의 절대 위치를 참조하여 제2 카메라(200)에 대한 제1 카메라(100)의 상대 위치, 상기 제1 카메라(100)에 대한 제2 카메라(200)의 상대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좌표 변환부(233)는 상대위치 획득부(232)가 획득한 상대 위치 및 정보 수신부(231)가 수신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카메라(200)를 위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 변환부(233)는 제1 좌표계의 좌표료 표현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카메라(200)를 위한 제2 좌표계의 좌표로 표현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좌표계는 제2 카메라(200)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로, 전술한 제1 좌표계와 같이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구좌표계, 또는 영상에서의 픽셀 직교좌표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스크 적용부(234)는 촬영부(210)가 촬영한 영상에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적용한다. 마스크 적용부(234)는 좌표 변환부(233)에 의해 생성된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 즉 제2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는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촬영부(210)가 촬영한 영상의 대응 영역을 마스킹 처리한다. 마스킹 처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자이크 처리, 단색으로 표시, 또는 기저장된 패턴 출력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마스크 적용부(234)는 마스크가 적용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영상은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 예컨대 서버(20)에 전송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스크 적용부(234)가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 정보를 참고하여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구체적 방법은, 이상에서 제1 카메라(100)의 마스크 적용부(132)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130) 및 처리부(230)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부(130) 및 처리부(230) 각각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제2 카메라(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에서 도 2의 촬영부(210)는 영상을 촬영한다.
단계 32에서 정보 수신부(231)는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33에서 위치 획득부(232)는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 제1 카메라에 대한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및 제2 카메라에 대한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획득한다. 단계 33에서 위치 획득부(232)는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1 카메라로부터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고유 정보로부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33에서 획득되는 절대 위치 및 상대 위치의 정보들은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되거나, 제2 카메라에 의해 직접 측정되거나, 각 카메라의 고유 정보들을 참고하여 제2 카메라에 의해 계산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34에서 좌표 변환부(233)는 단계 33에서 획득된 위치 및 단계 32에서 획득된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참고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35에서 마스크 적용부(234)는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영상에 적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버시 마스크 영역 정보의 좌표를 변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100)를 기준으로 하는 제1 좌표계(41)와 제2 카메라(200)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좌표계(42)가 도시되었다. 각 좌표계는 구좌표계일 수 있다. 각 좌표계의 원점은 각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두 좌표계의 상대적 위치는 두 카메라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좌표계(41) 상의 제1 프라이버시 마스크(411)가 도시되었다. 제1 프라이버시 마스크(411)의 영역 정보는 제1 좌표계(41) 상의 방위각 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프라이버시 마스크(411)의 영역 정보는 거리 정보(r1)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정보(r1)는 제1 카메라(100)의 초점 거리와 연계되어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제1 카메라(100)가 줌(zoom) 기능이 있는 카메라인 경우 거리 정보(r1)는 제1 카메라(100)의 줌 값과 연계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좌표계(42) 상의 제2 프라이버시 마스크(412)가 도시되었다. 제2 프라이버시 마스크(412)는 제1 좌표계(41) 상의 제1 프라이버시 마스크(411)를 제2 좌표계(42)에 대응하여 변환한 것일 수 있다. 제2 프라이버시 마스크(412)의 영역 정보는 제1 프라이버시 마스크(411) 및 제1 카메라(100)와 제2 카메라(200)의 위치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프라이버시 마스크(411)와 제2 프라이버시 마스크(412)에 의해 마스킹 처리되는 영역은 실제로 동일한 촬영 영역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카메라에 설정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가 다른 카메라에 공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가 일관된 프라이버시 마스킹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감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감시 시스템
10: 카메라부
20: 서버
100: 제1 카메라
200: 제2 카메라

Claims (8)

  1.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획득된 상기 위치 및 상기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마스크 적용부;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획득부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또는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좌표 변환부는 획득된 상기 상대 위치를 참조하는
    감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획득부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고유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와 기저장된 상기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또는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를 획득하는
    감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표는 상기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방위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좌표는 상기 제2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방위각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적용부는
    상기 영상 중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모자이크 처리를 수행하거나, 소정의 패턴을 출력하는
    감시 시스템.
  6.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
    획득된 상기 위치를 참고하여 상기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마스크 좌표 변환부; 및
    상기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마스크 적용부;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7.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마스크 정보를 제1 카메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의 절대 위치, 제2 카메라의 절대 위치, 상기 제1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2 카메라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의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위치를 참고하여 상기 제1 좌표 상의 영역 정보를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좌표 상의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제7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54435A 2014-05-07 2014-05-07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KR10199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435A KR101990368B1 (ko) 2014-05-07 2014-05-07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CN201510181242.XA CN105898208B (zh) 2014-05-07 2015-04-16 监控系统、监控摄像机和图像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435A KR101990368B1 (ko) 2014-05-07 2014-05-07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98A KR20150127498A (ko) 2015-11-17
KR101990368B1 true KR101990368B1 (ko) 2019-09-30

Family

ID=5478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435A KR101990368B1 (ko) 2014-05-07 2014-05-07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0368B1 (ko)
CN (1) CN105898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697B1 (ko) 2016-08-09 2022-12-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CN107820041B (zh) * 2016-09-13 2020-09-08 华为数字技术(苏州)有限公司 隐私遮挡方法及装置
EP3639089B1 (en) 2017-07-21 2023-09-06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ing a target in video monitoring
CN108156397B (zh) * 2018-02-08 2020-08-04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监控画面的方法与设备
CN108039008B (zh) * 2017-12-29 2020-02-11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智能视频监控方法、装置及系统
JP7047394B2 (ja) * 2018-01-18 2022-04-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EP3514760B1 (en) * 2018-01-23 2020-06-17 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GmbH Method and system for privacy compliant data recording
CN110322397B (zh) * 2019-06-25 2023-05-1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的遮挡方法、服务器、监控系统以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0B1 (ko) * 2011-10-28 2012-06-08 주식회사 디아이랩 차량 감시 장치
JP2013243543A (ja) * 2012-05-21 2013-12-05 Canon Inc 撮像装置、マスク画像の重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120B1 (ko) * 2005-02-26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라이버시영역을 마스크 처리하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610396A (zh) * 2008-06-16 2009-12-23 北京智安邦科技有限公司 具有隐私保护的智能视频监控设备模组和系统及其监控方法
KR20100018363A (ko) * 2008-08-06 2010-02-17 김수종 이동 객체의 자동 위치추적 시스템
CN102118557A (zh) * 2009-12-31 2011-07-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数码照相控制方法、装置及数码照相设备
CN102148965B (zh) * 2011-05-09 2014-01-15 厦门博聪信息技术有限公司 多目标跟踪特写拍摄视频监控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0B1 (ko) * 2011-10-28 2012-06-08 주식회사 디아이랩 차량 감시 장치
JP2013243543A (ja) * 2012-05-21 2013-12-05 Canon Inc 撮像装置、マスク画像の重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98A (ko) 2015-11-17
CN105898208B (zh) 2019-07-09
CN105898208A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368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
US1150153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reducing a visibility of a specific image region
KR102282458B1 (ko) 영상안정화장치 및 방법
CN109218663B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和存储介质
JP201610069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633313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撮像システム
US1086311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20508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6008493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1246080B (zh) 控制设备、控制方法、摄像设备以及存储介质
JP2010193227A (ja) 映像処理システム
JP639668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201901976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677055B2 (ja) 監視映像表示装置
JP2013021551A (ja) 検知装置、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46509A (ko) 카메라 초점조절 장치와 방법
JP2016122892A (ja) 映像装置
KR102474697B1 (ko) 촬상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TWI448976B (zh) 超廣角影像處理方法與其系統
US106165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252662B1 (ko) 이미지 맵과 연관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614386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JP201706993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254862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158205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