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37B1 -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937B1
KR101746937B1 KR1020150123106A KR20150123106A KR101746937B1 KR 101746937 B1 KR101746937 B1 KR 101746937B1 KR 1020150123106 A KR1020150123106 A KR 1020150123106A KR 20150123106 A KR20150123106 A KR 20150123106A KR 101746937 B1 KR101746937 B1 KR 10174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creen
application screen
input window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952A (ko
Inventor
나영빈
박정훈
Original Assignee
나영빈
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빈, 박정훈 filed Critical 나영빈
Priority to KR102015012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9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표시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및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제1방향으로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한 줄로 형성하여 표시함으로써, 키패드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하나의 화면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보 탐색을 위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KEYPAD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표시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이메일작성, 문서작성 등 기존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던 기능들이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그 휴대성 및 이동성을 위하여 컴팩트(compact)하게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도 물리적인 크기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통합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국내등록특허 10-0764652가 있다(2007.10.08.,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을 포함하여 종래의 터치 스크린 방식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키패드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인해 메신저 화면,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 등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정부분이 가려지게 되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없었으며, 사용자는 가려진 부분을 보기 위해 화면의 스크롤 동작을 자주 입력해야 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보면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쥐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키패드는 휴대 단말기 화면의 좌단에서 우단까지 좌우로 확장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좌단 또는 우단 부근의 키에는 엄지손가락이 닿지 않아 한 손으로 모든 키의 입력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키패드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한 손으로도 모든 키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키패드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한 손으로 모든 키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은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를 제1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상기 키패드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키패드의 표시 영역만큼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축소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자음 키패드, 우단에 모음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상기 키패드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단계;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좌에서 우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결합하여 우단에 상기 제1방향으로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결합하여 좌단에 상기 제1방향으로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키패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키패드의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를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로 전환하여 키패드가 형성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은 상기 그래픽객체에서 터치가 입력된 후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객체를 제1방향으로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로 전환하여 그래픽객체가 형성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후, 문자 입력창이 위치한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문자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제1방향으로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를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상기 키패드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한 줄로 형성하여 표시함으로써, 키패드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하나의 화면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보 탐색을 위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 모든 키에 닿을 수 있도록 키패드가 형성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200)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의 무선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부(110)는 키패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120)는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입력부(120)는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이나 버튼에 사용자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이 입력되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하게 된다.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키패드를 표시한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40)는 키패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키패드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키패드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를 세로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키패드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키패드가 표시되는 영역만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가로방향으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자음 키패드, 우단에 모음 키패드를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키패드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한 후, 입력부(120)를 통해 좌에서 우로의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를 형성하고 화면의 우단에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를 형성하고 화면의 좌단에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키패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터치가 입력된 후 키패드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키패드를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로 전환하고, 키패드가 형성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그래픽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그래픽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그래픽객체에 터치 입력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그래픽객체를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고, 그래픽객체가 표시되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문자 입력창이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의 화면 표시 상태를 유지하고,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문자 입력창이 위치한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문자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에서 구현되는 키패드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110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대표적으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문자 입력창이 포함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체화면모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부(13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S12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를 제1방향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10)의 표시부(130)에서 장축이 형성된 방향을 제1방향이라 지칭하고 단축이 형성된 방향을 제2방향이라 지칭한다. 즉, 수화기가 송화기보다 상부에 있도록 휴대 단말기(10)를 위치시켰을 때, 제1방향은 세로방향, 제2방향은 가로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키패드는 쿼티(Qwerty), "ㄱ, ㄴ, ㄷ"과 같은 자음키과, "l, ㅇ, ㅡ"와 같은 모음키로 구성된 한글 입력 자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키패드가 될 수 있다.
S13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키패드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키패드에 의해 가려지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키패드를 디밍(dimming)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15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밝기, 색온도 등)을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어두울수록 키패드를 진하게 표시하고(투명도를 낮추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밝아질수록 키패드를 옅게 표시할 수 있다(투명도를 높일 수 있다).
키패드는 글자 표시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글자 표시 영역을 제외하고 배경 영역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통해 키패드를 등장시킬 때 배경 영역을 먼저 불투명한 이미지로 표시하고, 이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배경 영역을 투명한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가 표시되어도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전체화면모드로 표시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보 탐색을 위한 스크롤 동작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키패드가 한 줄 형태로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도 쉽게 키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210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한다.
이어 S22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를 제1방향으로 표시한다. 즉, 휴대 단말기(10)가 정위치로 놓였을 때, 한 줄 형태의 키패드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된다.
S23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축소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키패드의 제2방향으로의 폭만큼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다소 축소되기는 하나 화면의 폭이 줄어들 뿐 가려지는 정보가 없어 전체화면모드로 표시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탐색을 위한 스크롤 동작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키패드가 한 줄 형태로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한 손으로도 쉽게 키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4는 "ㄱ, ㄴ, ㄷ"과 같은 자음키과, "l, ㅇ, ㅡ"와 같은 모음키로 구성된 키패드(200)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키는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한 줄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로서,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투명도가 조절된 키패드(2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속성에 따라 키패드(200)의 배경 영역이 투명한 이미지로 변경되어,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이 키패드(200)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에서 키패드(200)가 프로필 이미지(202) 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키패드(200)가 투명한 이미지로 변경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필 이미지(202)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키패드(200)의 투명도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속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이 어두울수록 키패드(200)의 투명도는 낮아지고(키패드가 진하게 표시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이 밝아질수록 키패드(200)의 투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키패드가 옅게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로서, 좌단의 일정 영역(210)에 형성된 키패드(200)와, 키패드(200)의 폭 만큼 가로방향으로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200)를 생성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이 축소되고, 좌단의 일정 영역(210)에 키패드(200)가 생성된다.
도 4의 (c)는 키패드(200)가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우단에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키패드(20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뿐만 아니라 우단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키패드(20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상단, 하단 등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c)는 키패드(2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위치 변경 아이콘(220)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위치 변경 아이콘(220)을 터치한 후 이동하는 동작을 입력하여, 키패드(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의 (d)는 키패드(200)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키패드(200)는 일자 형태뿐만 아니라 부채꼴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부채꼴 형태의 키패드(200)는 엄지손가락의 동선에 맞게 곡선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310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한다. 이어 제어부는 S320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좌단에는 자음 키패드를 표시하고, 우단에는 모음 키패드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자음 키패드는 "ㄱ, ㄴ, ㄷ"과 같은 자음키만으로 구성된 키패드이며, "l, ㅇ, ㅡ"와 같은 모음키만으로 구성된 키패드에 해당한다. 키패드를 표시한 후, S330단계에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이어 S34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좌에서 우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후 우측으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동작을 입력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좌에서 우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35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고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
S340단계에서 좌에서 우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50)는 S36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부(120)를 통해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37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자음 키패드와 모음 키패드를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고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양손으로 문자를 입력하다가 한 손으로만 입력해야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쉽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6의 (a)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자음 키패드(230), 우단에 모음 키패드(240)가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에서 자음 키패드(230)와 모음 키패드(24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속성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된 상태이다. 도 6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우단에 위치하는 모음 키패드(24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좌단에 위치하는 자음 키패드(230)와 결합되어 하나의 키패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은 모음 키패드(240)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가 입력된 후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으며, 위치 변경 아이콘(250)에 터치가 입력된 후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위치에 관계없이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에 터치 후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6의 (b)은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었을 때 변경되는 화면으로서, 모음 키패드(240)와 자음 키패드(230)를 결합된 한 줄 형태의 키패드(200)가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S410단계, S420단계 및 S430단계는 도 2의 S110, S120 및 S130 단계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44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키패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키패드의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즉,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키패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터치가 입력된 후 키패드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키패드의 상단부는 키패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이 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키패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 영역이 될 수 있다.
키패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키패드의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45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키패드를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는 키패드가 히든(hidden)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에 해당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그래픽객체를 표시할 때, 키패드가 형성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한다. 즉, 키패드가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형성되었던 경우, 그래픽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의 좌단에 표시되고, 키패드가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우단에 형성되었던 경우, 그래픽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의 우단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간단한 동작으로 키패드를 숨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패드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정보 탐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8의 (a)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한 줄 형태의 키패드(200)가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에서 한 줄 형태의 키패드(20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속성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된 상태이다. 도 8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키패드(200)의 상단부(261)와 하단부(262)에서 키패드(200)의 중심부(263)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키패드(200)는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로 전환된다.
도 8의 (b)는 키패드(200)의 상단부(261)와 하단부(262)에서 키패드(200)의 중심부(263)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었을 때 변경되는 화면으로서, 키패드(200)가 소정의 그래픽객체(260)로 전환되어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키패드(200)가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표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래픽객체(260)도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표시에 표시된다. 도 8의 (b)는 화살표를 포함한 소정의 이미지로 그래픽객체(260)를 표시하고 있는데,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래픽객체(260)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51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어 S52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를 표시한다.
그래픽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 S53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그래픽객체에 터치가 입력된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S54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그래픽객체를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키패드를 표시할 때, 그래픽객체가 형성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하게 된다. 즉, 그래픽객체가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형성되었던 경우, 키패드는 어플리케이션의 좌단에 표시되고, 그래픽객체가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우단에 형성되었던 경우, 키패드는 어플리케이션의 우단에 표시된다.
이어 S550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키패드의 투명도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속성에 따라 조정하여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S560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창이 위치한 화면으로 이동하고 문자 입력창에 커서를 표시한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문자 입력창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문자 입력창이 항상 표시되기 때문에 제어부(150)는 항상 문자 입력창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한 검색창이 상부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크롤 동작을 입력하여 화면을 아래로 내리는 경우 문자 입력창이 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문자 입력창이 없는 화면으로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어부(150)는 현재 접속해 있는 사이트가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사이트인지를 판단하고,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되어 있는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통해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하면, URL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통해 검색어 입력창 또는 URL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패드를 등장시킬 때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킬지, URL 입력창으로 이동시킬지는 사용자가 설정메뉴를 통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URL 입력창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접속해 있는 사이트가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하더라도 표시부(130)를 통해 URL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고 URL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문자 입력창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의 표시 화면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반면, 제어부(150)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문자 입력창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킨다. 이어 제어부(15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 정보 탐색을 하다가 검색을 위해 문자 입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 키패드를 등장시키는 스와이프 동작만으로 문자 입력창이 위치하는 화면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문자 입력창이 나타날 때까지 스크롤 동작을 입력하는 수고를 들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키패드(200) 표시 방법에 따라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서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그래픽객체(260)가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이 표시된 상태에서 그래픽객체(260)에 터치가 입력된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그래픽객체(260)는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한 줄 형태의 키패드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속성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어 표시된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서 그래픽객체(260)에 터치가 입력된 후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었을 때 변경되는 화면으로서, 그래픽객체(260)가 사라지고 키패드(200)가 생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키패드(200)는 투명도가 조절된 상태로 어플리케이션 화면(300)의 좌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0의 (b)는 도 10의 (a)와 비교하여 검색어 입력창(270)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그래픽객체(260)에서 키패드(200)로 전환되면서, 검색어 입력창(270)이 포함되지 않은 화면에서 검색어 입력창(270)이 포함된 화면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객체(260)에서 키패드(200)로 전환되면서, 화면도 URL 입력창(280)이 포함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설정메뉴를 통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를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 또는 우단에 한 줄로 형성하여 표시함으로써, 키패드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하나의 화면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보 탐색을 위한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 모든 키에 닿을 수 있도록 키패드가 형성되기 때문에,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200 : 키패드
202 : 프로필 이미지
210 : 좌단의 일정 영역
220 : 위치 변경 아이콘
230: 자음 키패드
240 : 모음 키패드
260 : 그래픽객체
261 : 키패드 상단부
262 : 키패드 하단부
263 : 키패드 중심부
270 : 검색어 입력창
280 : URL 입력창
300 : 어플리케이션 화면

Claims (9)

  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화면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자음키만으로 구성된 자음 키패드를 표시하고, 우단에 모음키만으로 구성된 모음 키패드를 표시하는 단계;
    좌에서 우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좌단에 위치하는 자음 키패드를 우측으로 이동하여 우단에 위치하는 모음 키패드와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우단에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우단에 위치하는 모음 키패드를 좌측으로 이동하여 좌단에 위치하는 자음 키패드와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한 줄 형태의 키패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키패드를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로 전환하여 키패드가 형성되어 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객체에서 터치가 입력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그래픽객체를 제1방향으로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로 전환하여 상기 그래픽객체가 형성되어 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문자 입력 창이 위치한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문자 입력 창이 위치한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접속해 있는 사이트가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사이트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하면,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검색어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되지 않은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하면, URL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URL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터치 및 스와이프 동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자음키만으로 구성된 자음 키패드를 표시하고, 우단에 모음키만으로 구성된 모음 키패드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좌에서 우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좌단에 위치하는 자음 키패드를 우측으로 이동하여 우단에 위치하는 모음 키패드와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우단에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우에서 좌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우단에 위치하는 모음 키패드를 좌측으로 이동하여 좌단에 위치하는 자음 키패드와 결합하여 한 줄 형태의 키패드로 전환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좌단에 제1방향으로 배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한 줄 형태의 키패드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키패드를 기 설정된 그래픽객체로 전환하여 키패드가 형성되어 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그래픽객체에서 터치가 입력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중심부로 스와이프 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그래픽객체를 제1방향으로 한 줄로 형성되는 키패드로 전환하여 상기 그래픽객체가 형성되어 있던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단부에 표시하고, 문자 입력 창이 위치한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문자 입력 창이 위치한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 시, 현재 접속해 있는 사이트가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하면,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검색어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검색어 입력창이 포함되지 않은 사이트인 것으로 판단하면, URL 입력창이 포함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URL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50123106A 2015-08-31 2015-08-3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4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06A KR101746937B1 (ko) 2015-08-31 2015-08-3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06A KR101746937B1 (ko) 2015-08-31 2015-08-3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52A KR20170025952A (ko) 2017-03-08
KR101746937B1 true KR101746937B1 (ko) 2017-06-14

Family

ID=5840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06A KR101746937B1 (ko) 2015-08-31 2015-08-3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5173B (zh) * 2019-03-29 2021-10-2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20230051784A1 (en) * 2019-12-31 2023-02-1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427495A (zh) * 2020-03-19 2020-07-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输入键盘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669459B (zh) * 2020-04-23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键盘显示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52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753B2 (en) Input device, input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EP287653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290291A1 (en) Input processing for character matching and predicted word matching
KR101746937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US9626093B2 (e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KR2011002883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7911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thereof
JP5485154B2 (ja) 入力装置、特に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KR20130004857A (ko)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904468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operation object
CN107193451B (zh) 信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374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KR2011010462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682725B1 (ko) 가상 키보드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
CN108475161A (zh) 显示方法及终端
US20150089431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and storage medium
KR20130083195A (ko) 터치를 이용한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101916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web browser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N108509138B (zh) 一种任务栏按钮显示的方法及其终端
US201403659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 mobile device
CN105468241A (zh) 电子书的浏览方法及装置
US20160202867A1 (en) Electronic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KR101358506B1 (ko) 필기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12230573A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21033538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