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00B1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900B1
KR101746900B1 KR1020140080827A KR20140080827A KR101746900B1 KR 101746900 B1 KR101746900 B1 KR 101746900B1 KR 1020140080827 A KR1020140080827 A KR 1020140080827A KR 20140080827 A KR20140080827 A KR 20140080827A KR 101746900 B1 KR101746900 B1 KR 10174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film
protective layer
liquid crystal
crysta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073A (ko
Inventor
유수영
이성민
이은혜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8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9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편광자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되고, 이때 상기 보호층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는 최근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대형 TV에 이르기 까지 화면의 크기를 불문하고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LCD) 외에 다른 화상표시장치로는 특히 유기발광표시장치(OLED)가 모바일 기기에의 용도를 중심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편광판은 PVA계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투명 필름, 특히 TAC 필름을 부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광학 특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 등을 접합한 형태로, 감압 접착제(PSA)를 이용하여 액정 패널이나 유기발광소자의 패널에 부착되어 사용되어 왔다.
한편, 최근 표시장치의 박형화 추세가 가속화됨에 따라, 편광판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편광자의 일면에만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반대면에는 보호 필름 없이 바로 점착층을 형성하는 편면형 편광판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편광자에 바로 점착층을 형성한 편면형 편광판들의 경우, 내구성이 나빠 가혹한 환경 하에 높이면 편광자의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보호 필름과 점착층의 수축율 차이에 의해 컬이 발생하여 표시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빛샘 현상을 야기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편면형 편광판의 편광자와 점착층 사이에 경화형 수지를 이용한 보호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4555호에는 편광자와 점착층 사이에 인장 탄성율이 100MPa 이상인 보호층을 구비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 보호층 형성제로 사용하는 에폭시계 수지나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비결정성 유기 물질의 경우, 물질 자체의 물리적 성질에 한계가 있는바, 고온 고습 환경에서는 편광판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산소, 수증기, 아이오딘 등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편광자의 광학 특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와 다르게 편광자의 보호층 형성 재료로 결정성 물질인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고온 고습한 외부 환경에서도 편광자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산소, 수증기, 아이오딘 등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우수한바, 편광자의 광학 특성을 오랫동안 유지시켜줄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편광자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되고, 이때 상기 보호층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호층은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5˚내지 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층은 파장 550㎚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면 방향 위상차 값이 -10nm 내지 10㎚ 및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10nm 내지 10㎚로 제로위상차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Rin=(nx-ny)×d
식 (2) Rth=(nz-ny)×d
상기 식 (1) 및 (2)에서,
nx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가장 굴절율이 큰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nx 방향의 수직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임.
또한, 상기 보호층은 두께가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발현하는 메조겐(mesogen)과 중합 가능한 말단기를 포함하는 액정상을 갖는 단량체 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합 가능한 말단기는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하여 중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외선에 의해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에틸렌(etylene), 아세틸렌(acetylene) 또는 스틸렌(stylene)이고, 상기 열에 의해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는 옥세탄(oxetane) 또는 에폭시(epoxy)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5 내지 40 중량% 정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상기 중합 개시제를 10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5 중량% 정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편광자의 보호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필름은 아크릴 필름, 스티렌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폴리노르보넨(PNB) 필름, 싸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보호층 상부에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편광자 위에 직접 반응성 액정을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바, 소자의 연신 방향으로 액정이 배향되게 되어 별도의 위상차는 발현되지 않으며, 따라서 반응성 액정의 광학적 특성은 발현되지 않고 우수한 재료적인 특성만이 발현된다.
이때, 상기 반응성 액정은 결정성 물질로, 종래와 같이 비결정성 유기 물질을 보호층의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바, 고온 고습한 외부 환경에서도 편광자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액정은 산소, 수증기, 아이오딘 등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우수한바, 아이오딘의 승화량을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편광자의 성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 편광판 >>
본 발명자들은 고온 고습 환경에서도 편광자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산소, 수증기, 아이오딘 등에 대한 배리어 특성이 우수한 박형의 편광판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결정성 물질인 반응성 액정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편광자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되고, 이때 상기 보호층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1. 편광자
먼저, 본 발명의 상기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키고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층(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층(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편광자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비닐포르말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편광자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예컨대, 구라레 사의 P30, PE30, PE60, 일본합성사의 M3000 M6000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중합도가 1,000 내지 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인 것이 좋다. 중합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분자 움직임이 자유롭고,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과 유연하게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편광자가 두께는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또는 1㎛ 내지 10㎛ 정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이나 화상표시장치 등의 디바이스의 박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이 박형의 편광자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외부 환경에 대한 편광자의 보호 기능이 중요해지는바, 후술할 본원발명의 보호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2. 보호층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기 보호층은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층이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편광자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보호층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보호층은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액정이 배향되게 되어 별도의 위상차는 발현되지 않으며, 따라서 반응성 액정의 광학적 특성은 발현되지 않고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물리적 성질, 우수한 배리어 특성과 같은 우수한 재료적인 특성만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메조겐(mesogen)과 중합 가능한 말단기를 포함하여 액정상을 갖게 되는 단량체 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게 되면 액정의 배열된 상을 유지하면서 가교된 고분자 네트워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반응성 액정 화합물로는 시판되는 LC242-BASF, RM257-Merck, RM82-Merc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합 가능한 말단기는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하여 중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자외선에 의해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에틸렌(etylene), 아세틸렌(acetylene) 또는 스틸렌(stylene)이며, 상기 열에 의해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는 옥세탄(oxetane) 또는 에폭시(epoxy)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합 가능한 말단기를 가지는 경우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하여 용이하게 반응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은 효율성 및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매에 희석시켜 조성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자일렌, 톨루엔, 클로로포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메틸에틸케톤(MEK)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 내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의 함량은 5 내지 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0 내지 35중량% 또는 15 내지 35중량% 정도일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디웨팅(dewetting)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적절한 보호층의 두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레벨링과 용해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에는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 및 가교시키기 위한 중합 개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중합 개시제는 공지의 광 중합 개시제 또는 열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광중합 개시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펜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2-히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2-Hydroxy-1-[4-(2-hydroxyethoxy) phenyl]-2-methyl-1-propanone),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Methylbenzoylformate), 옥시-페닐-아세트산-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oxy-phenyl-acetic acid -2-[2 oxo-2phenyl-acetoxy-ethoxy]-ethyl ester), 옥시-페닐-아세트산-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oxy-phenyl-acetic acid-2-[2-hydroxy-ethoxy]-ethyl ester), 알파-디메톡시-알파-페닐아세토페논(alpha-dimethoxy-alpha-phenylacetophenone),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르폴리닐) 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4-morpholinyl) phenyl]-1-butanone),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폴리닐)-1-프로판온(2-Methyl-1-[4-(methylthio)phenyl] -2-(4-morpholinyl)-1-propanone),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포스핀 옥사이드(Phosphine oxide),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oxid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열 중합 개시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시아노-2-프로필아조포름아미드,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 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N-시클로헥실-2-메틸 프로피오네미드), V-40, VA-086, VA-085, VF096, VAm-110, Vam-111(이상 Wako pure chemicals ind.),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큐멘히드로퍼옥시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및 1,1'-비스-(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 내의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보호층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조성물 내의 용매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 중합 개시제 등을 제외한 나머지 함량은 용매의 함량이 된다.
한편, 상기 조성물에는 첨가제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산제, 결합제(예컨대, 유리 라디칼 중합성 및 양이온성 중합성 결합성분), 방부제(예컨대, 글루타르디알데히드, 테트라메틸올아세틸렌우레아), 실란커플링제, 레벨링제, 가교제, 산화방지제, 탈기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유동 개선제, 침강방지제, 광택개선제, 윤활제, 접착 촉진제, 항피부제, 메팅제, 유화제, 안정제, 소수성 제제, 광안정화 첨가제, 처리 개선제 및 대전방지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층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편광자의 일면에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코팅 법, 예컨대 스핀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공지의 자외선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공지의 열 경화 방법으로 열 경화시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켜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보호층은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5˚ 내지 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3˚ 또는 -1˚ 내지 1˚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층의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반응성 액정의 광학적 특성은 발현되지 않고 우수한 재료적인 특성만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한편, 지상축이란 면 방향 굴절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의 굴절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보호층은 파장 550㎚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면 방향 위상차 값이 -10nm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5nm 또는 -3nm 내지 3nm이고,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10nm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5nm 또는 -3nm 내지 3nm로 제로 위상차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응성 액정 화합물의 위상차가 발현되지 않고, 상기한 재료적인 특성만 발현되는 경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식 (1) Rin=(nx-ny)×d
식 (2) Rth=(nz-ny)×d
상기 식 (1) 및 (2)에서, nx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가장 굴절율이 큰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nx 방향의 수직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보호층은 두께가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0.5㎛ 내지 5㎛ 또는 0.5㎛ 내지 3㎛ 정도일 수 있다.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에는 디웨팅(dewetting)의 문제가 있어 코팅액이 전면에 도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액정 배향의 불량이 발생하여 산소, 수분, 기타 물질 등의 투과도가 올라갈 수 있다.
3. 보호 필름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서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편광판은 상기 보호층이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경우, 보호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하여 접착제층을 매개로 별도의 보호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부착은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편광자 또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접착제를 코팅한 후, 이들을 합지 롤로 가열 합지하거나, 상온 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 또는 합지 후 UV 조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편광판용 접착제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양이온계 또는 라디칼계 접착제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4. 점착층
한편, 본 발명의 편광판은, 표시장치 패널 또는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필름과의 부착을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점착제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층은 보호층 상부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형 시트 상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제조되는 점착 시트를 보호층 상부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 화싱표시장치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ex.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편광자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되고, 이때 상기 보호층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발현하는 메조겐(mesogen)과 중합 가능한 말단기를 포함하는 액정상을 갖는 단량체 분자이며,
    상기 중합 가능한 말단기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에틸렌(etylene), 아세틸렌(acetylene) 및 스틸렌(styl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자외선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이고,
    상기 보호층은 파장 550㎚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면 방향 위상차 값이 -10nm 내지 10㎚ 및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10nm 내지 10㎚로 제로위상차 특성을 갖는 것인 편광판.
    식 (1) Rin=(nx-ny)×d
    식 (2) Rth=(nz-ny)×d
    상기 식 (1) 및 (2)에서,
    nx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가장 굴절율이 큰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nx 방향의 수직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5˚ 내지 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인 편광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두께가 0.5㎛ 내지 10㎛인 편광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5 내지 40중량%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보호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아크릴 필름, 스티렌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폴리노르보넨(PNB) 필름, 싸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인 편광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상부에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편광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1㎛ 내지 20㎛ 이하인 편광판.
  14.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7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40080827A 2014-06-30 2014-06-3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74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27A KR101746900B1 (ko) 2014-06-30 2014-06-3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27A KR101746900B1 (ko) 2014-06-30 2014-06-3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73A KR20160002073A (ko) 2016-01-07
KR101746900B1 true KR101746900B1 (ko) 2017-06-14

Family

ID=5516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827A KR101746900B1 (ko) 2014-06-30 2014-06-3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9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027A (ja) 2008-05-27 2010-01-14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2177908A (ja) * 2011-02-01 2012-09-13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027A (ja) 2008-05-27 2010-01-14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2177908A (ja) * 2011-02-01 2012-09-13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73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16424A1 (en) Polarizing plate having protective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151869B2 (en) Liquid crystal film
US10871677B2 (en) Wide color gamut film,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polarizer plate
TWI732772B (zh) 積層體、含有該積層體之圓偏光板,及具備該積層體之顯示裝置
KR102268257B1 (ko)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4808275B (zh) 光学各向异性膜
US10012772B2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CN109791243A (zh) 液晶组合物、光学膜、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JP6200098B2 (ja) 偏光板
KR10173222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10038423A (ko) 적층체
JPWO2020100845A1 (ja) 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8530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038422A (ko) 적층체
WO2019151312A1 (ja) 積層体
KR10163708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20164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74690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6561449B2 (ja) 偏光子付き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評価方法
CN112088324B (zh) 偏光板、用于制造其的方法和包括其的图像显示装置
JP2005134521A (ja) 光学素子
JP2021513116A (ja) 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CN114096632B (zh) 粘合剂片、层叠体、显示装置及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CN111868581B (zh) 光学膜、偏振片、图像显示装置
KR102430597B1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